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중교통 이용특성과 코로나19 감염 위험 인식에 미치는 요인 분석

        이경재(LEE, Gyeongjae),추상호(CHOO, Sangho),김기용(KIM, Ki Yong),정준영(JOUNG, Junyoung)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5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전 세계가 전례 없는 전염병 위기를 겪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백신 등의 약물적인 예방수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개인 및 집단 간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바이러스 노출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많은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사람들의 활동이 감소하였고, 이는 이동의 감소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크게 감소하였다. 다만, 국내의 연구는 주로 수단별 이용량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개인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느끼는 대중교통 수단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대중교통 수단의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대중교통 통행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중교통 수단과 공간(차량/정류장)별로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중교통 이용 빈도, 이용 시간 등의 통행행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통행행태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 특성, 지역에 따른 개인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대한 순서형 로짓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특성, 대중교통에 대한 인식, 지역적 요인이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하철 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요구되는 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pandemic crisis of COVID-19. In the absence of any pharmaceutical intervention, social distancing measure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 19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virus by reducing contact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People’s activity decreased according to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of travel demand.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focus is mainly on the change in the amount of use by means, and few studies have analyzed individual perceptions in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along with th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hanges in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behavior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divided into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space (vehicle/stop) and changes in travel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are compared. In addition, we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sonal perceptions caused by travel behavior,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and regional factors, and further, ordered logit model is estimated to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 factors and perceived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percep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egional factors affect perception of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influence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ubway service is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respondent resides.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prioritize public transport policies required in the post-corona era in the future.

      • KCI등재

        교통카드 기반자료를 활용한 복합대중교통망 구축 및 경로탐색 방안 연구

        천승훈,신성일,이영인,이창주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and roles of public transportation is increasing because of traffic problems in many cities. In spite of this paradigm chang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trip assignment have limits in some aspects. Especially, in case of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many characte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ransfers. operational time schedules, waiting time and travel cost. After metropolitan integrated transfer discount system was carried out, transfer trips are increasing among traffic modes and this takes the variation of users' route choices. Moreover, the advent of high-technology public transportation card called smart card, public transportation users' travel information can be recorded automatically and this gives many researchers new analytical methodology for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ology for establishment of brand new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based on computer programming methods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First, we propose the building method of integrated transportation networks based on bus and urban railroad stations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ravel information from transportation card data. Second, it is offered how to connect the broken transfer links by computer-based programming techniques. This is very helpful to solve the transfer problems that existing transportation networks have. Lastly, we give the methodology for users' paths finding and network establishment among multi-modes in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By using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it becomes easy to build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with existing bus and urban railroad station coordinates. Also, without extra works including transfer links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make large-scaled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In the en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olve users' paths finding problem among multi-modes which is regarded as an unsolved issue in existing transportation networks 도시의 교통문제 증가로 대중교통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반해 기존 대중교통 통행배정과 관련한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복합대중교통망의 경우, 독립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교통과는 달리 수단간 환승, 운행시간 스케줄, 대기시간, 통행요금과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분석의 어려움은 배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환승할인제의 시행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간 환승통행의 증가와 이에 따른 경로선택의 변화로 대중교통의 통행행태가 변하고 있으나, 기존의 대중교통교통망 구축방법으로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에 따라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정보가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첨단교통카드체계가 구축․운영 중에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도입은 복합대중교통망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자료의 통행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정류장의 위치정보와 노선정보를 활용해서 새로운 복합대중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통카드자료의 통행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정류장 기반의 통합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컴퓨터 기반의 프로그래밍기법을 활용한 단절된 링크의 연결방안을 통해 대중교통의 환승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대중교통망의 경로탐색에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다수단간의 경로탐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으로 복합교통망을 구축할 경우, 기존 정류장 좌표와 대중교통의 노선정보를 그대로 활용하여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어 교통망 구축이 쉬울 뿐만 아니라, 환승링크 연결과 같은 별도의 교통망 작업 없이도 대규모 교통망에서의 활용이 가능해 진다.

      • KCI등재

        세계주요도시의 대중교통 경쟁력 비교

        김동준,장원재,성현곤,김혜자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4

        As public transportation is significant mode to make sustainable urban transportation system, the importanc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grown gradually.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make various policies which help to raise modal split of public transportation. To understand previous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and make more efficient policie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urrent level of public transportation exactly.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assess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world major cities. We select assessment indexes and have grouping use factor analysis. Then we have 8 clusters of cities by cluster analysis, Also,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and modal split.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통분야에서도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대중교통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중교통육성법 제정, 대중교통분야의 투자확대, 대중교통체계개편 등의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중교통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때보다도 높은 시기에, 현재의 대중교통경쟁력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의 대중교통정책 및 그 효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향후 효과적인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중교통의 전반적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으며 국제비교연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여러 평가요소를 고려한 12개의 평가지표 선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4개의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요인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60개의 세계주요도시를 8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대중교통경쟁력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역(대륙)별 도시들 및 서울시의 대중교통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도시의 대중교통경쟁력수준과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다이알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수단 대중교통 노선배정기법에 관한 연구

        이재섭,김익기 대한교통학회 2001 대한교통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대중교통 노선배정 시에 여러 수단간의 환승을 고려함으로써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수단선택과 노선선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확률적인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형의 하나인 다이알 알고리즘을 응용할 것을 제시하고 그 알고리즘의 속성을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있다 승용차의 확률적 통행배분모형으로 잘 알려져 있는 Dial 알고리즘은 로짓모형에 기초한 것이므로 다수단간의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노선선택과 같은 선택 행태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모형적 특성을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중교통 노선선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정적 대중교 통 노선배정 모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은 기종점간 최단경로에 교통량을 전랑배분(All-or-Nothing)하여 통행자들의 행태적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환승을 포함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선택을 효용극대화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 최소비용노선에 전량배분하는 모형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의 단점을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의실험으로 Sioux Falls 형태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탄력성을 갖고 있는 수정된 대중교통 다이알 알고리즘이 현실적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기존 모형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다수단 대중교통망이 형성된 대도시의 대중교통 정책분석에 적합한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 KCI등재

        수도권 대중교통 정기권 도입 방향에 관한 연구

        김서정(Kim Seo-jeong),유정훈(Yu Jeong-whon) 경기연구원 2024 GRI 연구논총 Vol.26 No.3

        고유가 상황의 지속과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로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환경대책이 나오고 있다. 그 중 2022년 6월 부터 9월까지 4달간 한시적으로 도입된 독일의 9-Euro 무제한 교통 티켓은 당시 큰 이슈를 가져왔다. 독일은 이후 2023년 5월부터 49-Euro 티켓을 정식 도입하며 고유가 및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무제한 교통패스에 대한 관심과 함께 9,900원 무제한 교통패스 정책이 국정반영 정책으로 선정(’22.7)되며 2024년 5월부터 국토교통부의 환급형 대중교통 정기권인 K-패스가 국내에 도입되었다. 국토부에 앞서 서울시에서 2024년 1월 시범도입한 기후동행카드는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으로 65,000원/월으로 서울시내 전철 및 서울시 면허의 시내버스, 따릉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내만 한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로 인해 이용자들은 불편함을 이야기하고 있고 서울시는 경기도에 기후동행카드 동참을 요구하고 있다.(2024년 4월 기준 수도권 내 5개 지자체(인천, 김포, 과천, 군포, 고양) 서울시와 기후동행카드 업무 협약) 현재 수도권 대중교통 정기권의 가장 큰 문제는 다양하게 쏟아져나오는 대중교통 정기권으로 이용객들이 혼란을 겪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대중교통 정기권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도권 대중교통 정기권이 도입 목적에 맞게 이용될 수 있도록 정책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수도권 대중교통 정기권의 쟁점은 이용객 혼란, 환경대책으로서의 효과 미미, 지자체 간 협의 사항 다수, 정치적 이슈로 구분할 수 있다. 이같은 쟁점에 대한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광역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다방면 대중교통 활성화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내 추가적 정산 시스템 구축과 정산 방법의 마련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정책의 이해와 소통이 필요할 것이다. 수도권 대중교통 정기권의 쟁점과 대안을 통해 향후 수도권 대중교통은 물론 수도권 정책의 전반적인 상생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awareness of the persistent fuel situ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continues to evolve, various environmental measures are being introduc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mong them, Germany’s temporary introduction of the 9-Euro unlimited transportation ticket from June to September 2022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at the time. Subsequently, Germany officially introduced the 49-Euro ticket in May 2023 as a response to fuel costs and the climate crisi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unlimited transportation passes, the policy of a 9,900-won unlimited transportation pass was selected as a national policy in July ’22, and starting from May 2024,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roduced the public transportation regular pass, K-Pass, domestical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public transportation regular passes, and propose policy alternatives to ensure that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passes are used in line with their intended purpose. Key issues with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passes include user confusion, limited effectiveness as an environmental measure, numerous inter-municipal agreements, and politicization. The following alternatives are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Firstly, central government management is necessary to resolv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issues. Secondly,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mote public transportation activation in various aspects are needed. Thirdly, discussions are required to establish additional settlement systems within the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ed fare system. Lastly,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ion policies are essential.

      • KCI우수등재

        직접 수요모형을 활용한 건조 환경과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수요의 관계 분석: 인천 영종도를 중심으로

        이재형,김지원,정진혁,김진희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지 Vol.41 No.6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은 유동적인 운행계획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접근시간이나 대기시간을 줄이는 등 기존 대중교통과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기존 대중교통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은 기존 대중교통과 차별적인 서비스로 통행패턴 또한 기존 대중교통과는 다를 것으로 예상되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의 직접 수요모형을 설계하여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 영종도에서 운행되었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인 I-MOD의 이력 자료를 사용하였다. 토지이용, 관심지점, 교통시설 등 건조 환경과 관련된 독립변수를 사용하여 I-MOD 서비스의 오전 첨두시, 오후 첨두시, 비첨두시 수요를 예측하는 승법 모형을 추정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기·종점과 시간대와 상관 없이 상업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지하철역과 가깝거나 간선버스가 많이 다니는 지역에서 I-MOD의 수요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거지역 비율이 높거나 지선버스가 적게 다니는 지역에서는 오전에는 I-MOD의 통행 유출이, 오후에는 통행 유입이 많은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의 운영 전략 수립이나 다른 지역에 도입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등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의 교통 정책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Demand responsive transit (DRT) is expected to provide distinct services from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reducing waiting and access time for users based on the flexible route and schedule, DRT has been implemented to address the issues with conventional public transportation. Although the travel patterns when riding DRT could be distinct from conventional public transportation,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ridership of D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direct demand model of DR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DRT demands. To attain our goals, the historical data of I-MOD, which was DRT services operated in Yeongjong island, Incheon, was used. The multiplicative models to predict the morning peak, evening peak, and non-peak DRT demand were estimated using built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land use, point-of-interest (POI),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ed that I-MOD demand is higher in areas close to subway stations and areas with a high number of trunk buses, as well as in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commercial areas regardless of time-of-day. Furthermore, there was a large outflow of I-MOD traffic in the morning and an inflow of traffic in the afternoon in areas with a high number of residential areas and places with a lower proportion of feeder buses.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making transportation policies related to DRT, such as establishing operational strategies for DRT services or when introducing them to other regions.

      • KCI등재

        대중교통 이용자 관점의 서비스 평가 모형 개발

        김원길,노창균,손봉수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1

        The evalua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 quality is more complicated than evaluating other aspects of transportation service. Although various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s] for transit service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a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MOE is still required. In the past, either data from user surveys or the experience of bus agency administrators and/or engineer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However, recently, with reliable and accurate real time data from BMS(Bus Management System) and BIS(Bus Information System), more reliable and accurate MOEs are available. This study develops a service evaluation model from users' perspectives, which is based on user' cost models that consider passenger access time, riding time, waiting time, and discomfort due to in-vehicle overcrowding,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accident rate. For validating proposed model, data from the BMS and transit-fare cards (T-Money Card) for Seoul's No. 472 main bus line were used.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d reliable results. 최근 다양한 대중교통 중심 정책의 시행뿐만 아니라 시행된 정책의 효율적 운영과 대중교통 이용자 측면에서의서비스 품질평가를 통한 서비스 개선은 대중교통 이용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의 모니터링, 개선 및 새로운 정책의 시행을 위해서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다양한 정량적 모니터링 방법이 필요하다. 이용자 측면에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정량,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척도는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 정시성, 쾌적성, 안전성, 경제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평가지표가 있을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설문조사나 대중교통 행정가의 경험 등을 통해 해당 지역 또는 노선의 서비스를 평가하기 보다는 대중교통 운행 상세이력, 이용자 수요 등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등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화된 다양한 평가방법론과 평가척도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하여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의 버스운행 자료와 교통카드로부터 수집되는 정류소별 승하차정보를 활용하여 노선 및 정류소별 서비스수준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서비스 수준평가를 위해 김원길(2009)의 버스 운행계획수립 모형을 기반으로, 서비스 평가지표 중 운행서비스 측면에서 이용자접근시간, 대기시간, 차내 혼잡, 교통 혼잡, 돌발 상황, 교통법규위반, 운행규정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 접근시간, 구간통행시간, 차내 혼잡수준, 교통법규 및 운행규정 위반여부 등으로 인한 승객불편 등을 비용함수로 정량화하여 노선및 정류소별 대중교통 이용자 서비스 수준을 상세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중교통 운행이력자료, 노선 및 정류소 기반의 대중교통 수요 자료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과 활용을 통해 노선 및 정류소별 이용자 서비스 평가를함으로써 해당 노선이나 정류소의 서비스 현황분석, 개선사항 도출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대중교통 정책 수립, 시행 정책의 모니터링 목적 등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 분석의 최신 동향 고찰

        황명화,심지수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4 地理學論叢 Vol.70 No.-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의 공간적 형평성 확보는 국민의 이동권을 확보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이 과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전국 및 지역의 대중교통 서비스 이 용 여건, 특히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신의 국내외 연구 고 찰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에 관한 개념과 공통적 분석 프레임워크를 정리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 검토 결과, 「대중교통 현황조사」,「농어촌서비스 기준 이 행 점검·평가」등의 국가 사업은 분석의 공간 단위, 기초 도로망 데이터의 정밀성, 접근성 측정 및 취약성 기 준 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최신의 분석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소지역 단위 분석, 고정밀 도로망 및 교 통카드 데이터 활용, 인구 및 신규 대중교통 수단을 고려한 취약성 진단 등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 분석에 있어 미시적 공간 단위의 도입, 표준 데이 터 정의 및 관련 생산 인프라 구축, 인구 및 신규 대중교통 수단을 고려한 다차원적 취약성 진단 등을 발전 방 향으로 제시하였다. Ensuring spatial equity in the use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is crucial for people’s mobility rights and quality of life. Achieving this involves a systematic analysi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 services, particularly vulnerable areas across a country and within region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ims to define a concept of vulnerable areas of public transport access, delineate a common framework for analyzing them, and proposing improvements to existing territorial approaches for such an analysis in Korea. Our review indicates that national projects like the “Public Transport Status Survey” and “Inspection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of Rural Service Standards” fac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patial unit of analysis, precision of road network data, accessibility measurement, and vulnerability criteria. Recent studies advocate for smaller spatial units of analysis, high-precision road network and transport card data, and inclusive vulnerability assessments considering population and new transport modes. The study thus suggests enhancing national projects by introducing micro-level spatial units, establishing standardized data and analytical infrastructure for common uses, and assessing vulnerability more comprehensively through incoporation of new factors such as population and new transport modes.

      • KCI등재

        대중교통회랑이 녹색도시 구현에 미치는 영향

        서민호(Seo, Min-Ho),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도시공간구조와 대중교통체계, 토지이용 및 지구단위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중교통회랑 계획모델을 제시하고, 녹색도시 구현과 관련하여 교통ㆍ환경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대중교통회랑은 승용차 의존적 도시공간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노면형 대중교통노선 주변 400~600m 지역의 토지이용을 중ㆍ고밀도로 복합화하고 보행ㆍ자전거 친화적인 대중교통중심생활권을 회랑형으로 조성하는 도시ㆍ교통 통합개발이다. 안양시를 대상으로 약 9㎞의 노면형 대중교통체계 도입과 회랑축 반경 400m 권역의 복합용도개발 등을 병행하는 대중교통회랑 계획모델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양시에 대중교통회랑을 도입할 경우, 개발수준별 시나리오에 따라 대중교통분담률을 3.5~5.9% 증가시켜 연간 약 161,000~292,800 kl의 교통에너지 소비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연간 40.2~73.1 만톤의 CO₂ 배출량 감축과 연간 2,577~4,688 억원의 경제효과 유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urban spatial structure, mass transit systems, and land use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ning into a transit-oriented corridor (TOC) model in order to realize green cities. Expanding upo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the TOC further overcomes dependence on automobiles by incorporating various land uses within 400 to 600m of mass transit routes through planning mixed and middle to high density buildings, in addition to pedestrian and bike-friendly streets into a corridor. This study focuses on a 9㎞ mass transit corridor passing through Anyang City, encompassing a region of 400m in order to test a parallel application of mixed-use development and the TOC plan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fter applying the model, ridership would increase from 3.5 to 5.9% and that energy consumed for transportation would decrease by 161,000 to 292,800 kl. Furthermore, the city would enjoy a reduction of CO₂ emissions from 402 to 731 thousand tons along with an increase in economic activity of 2.2 to 3.9 billion USD.

      • 교통카드 자료가 알려주는 대중교통 이야기

        김채만,한아름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수도권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대중교통 이야기”를 만들었다. 대중교통 이야기는 “2018년 경기도 대중교통 이야기”, “2018년 시․군의 대중교통 이야기”, “지난 9년간의 경기도 대중교통 이야기”로 구성된다. 본 연구 결과는 분석대상 시간과 항목을 결합하여 총 58개의 이야기를 만들었다. “2018년 경기도 대중교통 이야기”는 29개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경기도 대중교통 목적통행 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군, 읍·면·동, 전철역, 버스정류소, 버스노선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3가지의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기도는 서울시에 비해서 대중교통수단을 운영하기 위한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이 근거는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100인당 대중교통 목적통행 발생량이 39로 서울시 94의 41%수이고, 경기도 출근시간 목적통행 집중률이 30.1%로 서울시 23.1%보다 높다. 둘째, 출근시간에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가는 대중교통 이용자는 통행시간 단축을, 퇴근시간에 서울시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대중교통 이용자자는 편리함을 추구한다. 이 근거는 출근시간 경기도→서울시 대중교통 목적통행의 환승률은 53.3%이나, 퇴근시간 서울시→경기도 환승률은 47.4%이다. 셋째, 경기도 주말 대중교통 통행량은 평일의 83.1%이고, 경기도 5개 시·군(가평군, 양평군, 동두천시, 과천시, 연천군)은 주말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이 평일보다 많다. 이들 5개 시․군은 주말 관광지이며, 수도권 전철이 연결되어 있다. “2018년 시․군의 대중교통 이야기”는 14개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전철역에 대하여 지표들을 결합하여 의미 있는 2가지 이야기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기도 전철역의 평일대비 주말 통행량 비율은 95%이고, 평일보다 주말 통행량이 많은 전철역은 50개 역(약 23%)이다. 둘째, 경기도 전철역의 직승대비 환승(버스+전철) 통행량 비율은 28%이며, 직승보다 환승 통행량이 많은 전철역은 9개역(약 4%)이다. “지난 9년간, 경기도 대중교통 이야기”는 15개 이야기로 구성된다.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4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9년 동안 경기도의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은 2014년을 정점으로, 그 이후에는 감소 추세에 있다. 둘째, 지난 9년간 대부분의 경기도내 시·군은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이 증가하였으나, 6개 시․군(안산, 안양, 과천, 포천, 동두천, 연천)은 감소하였다. 셋째, 지난 9년 동안 출근시간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의 경기도↔서울시간 방향별 불평등 지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기도 대중교통 목적통행량은 복합수단 이용률이 증가하고, 복합수단 중에서는 버스-전철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This study made “public transportation story”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data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public transport story consists of “2018 Gyeonggi-do Public Transport Story”, “2018 City and County Public Transport Story” and “Last 9 Years of Gyeonggi-do Public Transport 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de 58 stories combining analysis object time with items. The “2018 Gyeonggi-do Transit Story” consists of 29 stories. The cities, counties, towns, towns and villages, subway stations, bus stops, and bus routes with the highest traffic volume for public transportation are presented. The study produced three meaningful results. First, Gyeonggi-do has a very poor environment for operating public transportation compared to Seou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mount of public transport purpose traffic per 100 population in Gyeonggi-do is 39, which is 41% of 94 in Seoul, and the concentration rate of the purpose of traffic in Gyeonggi-do is 30.1%, higher than 23.1% in Seoul. Second, public transportation users from Gyeonggi-do to Seoul during the morning rush hours seek to reduce travel time, but convenien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ers moving from Seoul to Gyeonggi-do during the evening rush hou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transfer rate from the time of commuting to Gyeonggi-do →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s 53.3%, while the rate of transfer from Seoul to Gyeonggi is 47.4%. Third, Gyeonggi-do"s weekend traffic volume is 83.1% of weekdays, and Gyeonggi-do"s five cities and counties (Gapyeong-gun, Yangpyeong-gun, Dongducheon-si, Gwacheon-si, and Yeoncheon-gun) have more traffic on weekends than weekdays. These five cities and counties are weekend tourist destinations and are connected by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s. The 2018 City and County Public Transport Stories consisted of 14 stories. By combining the indicators of the subway station, two meaningful stories were drawn. First, the ratio of weekend traffic to weekdays is 95% in Gyeonggi-do, and 50 stations (about 23%) have more weekend traffic than weekdays. Second, the ratio of transit (bus + train) to direct transfers in Gyeonggi-do is 28%, and 9 stations (about 4%) have more transit traffic than direct transfers. “The story of Gyeonggi-do public transport for the last 9 years“ consists of 15 stories. Four meaningful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the purpose of public transport traffic. First, for the past nine years, Gyeonggi-do"s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peaked in 2014 and after that it has declined. Second, most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have increased in public transportation for the past nine years, while six cities and counties (Ansan, Anyang, Gwacheon, Pocheon, Dongducheon, and Yeoncheon) have decreased. Third, the inequality index by the direction of Gyeonggi-do and Seoul time of public transport purpose traffic volume during the morning rush hour has increased for 9 years. Fourth, Gyeonggi-do"s public transportation purpose traffic volume has increased in the use of multi-purpose vehicles, and among the multi-purpose vehicles, the usage rules of bus-trains hav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