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정미나,임영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factors directly related to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about labor market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based o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t is used to predict variables about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by ‘decision tree analysis’ an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mportant predictors of college graduat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such as salary, job stability), a major field of study. Especially, it indicates that the most predictable factor is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hen it comes to starting work. Second, factors which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have directly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entry. Thir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 Fourth, although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indirect effect on colleg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ith specifying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as parameters, the results a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proper policy to decreas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o solve socioeconomic structural problems. And individual efforts for pre-employment are needed as well. Second, a solution can be developed to redress un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he youth labor market due to the surplus of graduates. Third, Career education for adolescent should be prepared vi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인과적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노동시장 이동경로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경력자들의 안정적 안착 기간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대졸 청년층과 비진입한 대졸 청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으로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변인을 예측하였고,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변인 간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예측하는 변인은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예컨대, 급여, 고용 안정성 등)의 중요도, 전공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노동시장 진입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있어,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가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와 구직 조건의 중요도를 매개로 하여 노동시장 진입에 간접효과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직자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정책적으로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유휴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급자 및 수요자 측면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과 인턴 경험이 경제적 효과 및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경란,허선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과 인턴 참여 경험이 경제적 효과와 일자리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중 2008GOMS1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 경험은 소득이나 경제적 복리후생 조건의 향상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 참여는 직장 내의 제반 제도와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포함하는 일자리 만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 경험은 인턴 경험을 긍정적으로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 경험은 인턴 경험이 매개 개입하여도 소득이나 경제적 복리후생 조건의 향상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 경험은 인턴 경험이 매개 개입하면 직장 내의 제반 제도와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포함하는 일자리 만족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과 인턴제와 관련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and internship on the economic outcome and job satisfaction of youth workers. To analyze results for this study, data of 2008GOMS1(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ere used. Study results showed that youth workers'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s have not effect to improve their income and economic condition. Secondly, youth workers' experiences of vocational training have not effect job satisfaction. Thirdly, youth workers' experiences of vocational training effects positively on internship participation. Fourthly, youth workers' experiences of vocational training have not effect positively on their income and economic condition that their internship participations intermediate between them. Lastly, youth workers' experiences of vocational training effects positively on job satisfaction that their internship participations intermediate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 성과의 동서격차

        박주상,문영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동서격차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2월에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5GOMS)’ 자료 를 활용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는 양적인 측면(취업 여부)과 질적인 측면(대기업·정규직 취업 여부, 임금 수준)으로 구분하여 동서 간 격차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부산지역 청년층의 고용성과는 2000년 이후 전국 및 수도권보다 낮았으며, 경 기변동과 위기에 더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둘째,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는 동부권이 서부권보다 1.31배 취업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정규직 취 업 성과도 동부권이 서부권보다 1.39배 높았다. 넷째,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의 동·서 지 역 간 임금격차를 추정한 결과, 동부권이 서부권보다 7.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의 열악한 고용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 산지역 내에서도 동부권이 서부권보다 고용성과가 높게 나타나 동서격차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의 일자리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서 간의 고 용격차를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ast - West gap i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youth graduates in Busan. Labor market performance is analyzed by quantitative (employment) and qualitative aspects (large company-regular employment, monthly average monthly w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young people in Busan has remained lower than that of the national and metropolitan areas since 2000.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youth economic activity and the trend of youth employment rate are showing signs of being vulnerable to economic fluctuations and the recent youth unemployment rate is the highest in the nation Respective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gap between the East and West regions shows that the eastern region is 1.31 times(odds ratio)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e Western region. Third, An analysis of the disparity between East and West regions on the performance of large companies-regular in the net, showed that the eastern region had a 1.39 times(odds ratio) higher employment rate than the western region. Fourth, Estimating the wage gap between eastern and western youths of university graduates in Busan showed that the eastern region was 7.1% higher than the western region. This analysis shows the poor employm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y graduates in Busan and suggests that there is a western-western gap i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because the eastern region has higher employment performance than the western region.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youth employment in the youth graduates in Busan, specific policies are needed to resolve the employment gap between the East and West.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과 임금효과

        김동규(Dong-Kyu Kim),어수봉(Soo-Bong Uh)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 실태와 그 요인 그리고 경력변동에 따른 임금효과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이 일궁합 수준을 높이는 직장탐색 과정으로서 합리적 선택인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데이터는 패널조사인 한국고용정보원의「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2006-2007)의 1,2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경력변동에 대한 실태분석과 결정요인 분석, 그리고 경력변동에 따른 임금효과 분석의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경력변동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경우, 종속변수는 경력변동 더미(직종·업종 모두 변동, 직종만 변동, 업종만 변동)이며, 독립변수는 개인적 변수(성별 더미, 연령, 배우자 더미, 대학등급)와 이직 전 직장의 조직적 변수(시간당 임금, 고 용형태 더미, 직장형태 더미, 직장규모), 이직 전 직장의 직무적 변수(직장만족도, 교육수준 일치도, 전공일치도)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임금, 비정규직 등 이직 전 직장의 열악한 근로조건이 직종만 변동 또는 직종?업종 모두 변동할 확률을 높였다. 둘째, 남자는 여자에 비해 이직 가능성이 낮았던 것과 달리, 경력변동 가능성은 오히려 컸고, 직종 또는 직종?업종 모두 바꾸는 급격한 경력변동을 하였다. 이는 남자의 높은 경력변동이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더좋은 일자리(decent job)’라는 기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능동적 선택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여자 대졸 청년층은 대학등급이 높을수록 경력변동 가능성이 컸다. 여자는 동일한 대학등급의 남자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대학등급이 높을수록 그 격차는 더 벌어졌다. 넷째, 이직 전의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경력변동 확률이 낮았다. 다섯째, 직종?업종 모두 변동한 집단은 경력유지 집단에 비해 임금효과가 컸다. 이는 이직에서와 같이,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도 직장탐색(jobsearch)을 통해 일궁합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찾아가는 합리적 선택 과정임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nd to study the career changes, its causes and the wage effect of graduates youth. I have used the first and secondary resources of「2006-200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from KEIS. Fo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career chang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lex job mobility in both occupation and industry, ‘a change in 4-digit occupation’ and ‘an industrial groups change’. The results on actual analysis of career change are listed as following. First, the probability of ‘a change in occupation’ and ‘complex job mobility’ wa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simple job mobility’ for individuals with relatively ‘bad jobs’ as low wages and temporary positions. Second, males had more tendencies to change career than females, especially for ‘complex job mobility’ and ‘a change in occupation’ even though females had greater turnover rate. Third, females with a degree from higher ranking college were more likely to change careers compared to males from same ranking college. Fourth, the probability of career changes was low for individuals who had a job relevant to their majors. Fifth, wag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complex job mobility’ compared to the group with unchanged career.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인턴 활동 경험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분석

        양인준(Injun Yang),정진철(Jinchul Je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인턴활동 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취업여부, 고용형태, 종사상규모, 월평균임금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이하 2018GOMS)에 응답한 18,163명 중 성향점수매칭 방식을 적용하여 만 27세 이상 34세 미만의 848명을 최종적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취업여부, 고용형태, 종사상규모, 월평균임금 및 직무만족을 성과지표로 설정하였다. 노동시장 성과지표 중 취업여부, 고용형태, 종사상규모와 같이 이분형 변수의 경우에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월평균임금과 직무만족과 같은 연속형 변수의 경우에는 OLS 추정법을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 중 인턴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질의 노동시장 성과를 보였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인턴활동 경험은 노동시장의 주요 지표 중 고용여부와 월평균임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지표를 추가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인턴제도의 유형 별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분석 변인으로 도출한 변인 간의 위계가 존재하는 경우,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과 같은 통계적 보정방식을 대안으로 고려해야 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labor market outcomes(employment, employment status, worker composition within firm, monthly salary and job satisfaction) for university graduates. To this end, 848 out of the 18,163 respondents to the 2019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8GOMS) aged 27 to 34 were selected for the stud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bifurcated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employment status and worker composition within firm, and OLS regression was applied for continuous variable such as monthly salar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nalyze labor market outcomes set out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university graduates, those who have internship experience showed relatively high quality of labor market outcomes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Second, the internship experience of university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status and monthly salary among the major indicators of the labor market. Based on thos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dditional labor market outcomes criteria. Second,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control variables effecting on labor marke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Third, it is needed to have a research to analyze the labor market outcomes by types of internship. Fourth, it is required to regard additiona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hierarchical linear models in the presence of hierarchy between variable to minimize possible statistical errors in the analysis process.

      • KCI등재

        심리적 요인이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주상(Park Joos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요인 중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청년고용 문제와 관련된 정책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2020년에 공개된 한국고용 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7GOMS)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심리적 요인을 주도적 대학선택, 취업목표, 희망임금으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취업성과는 취업, 정규직취업, 대기업취업, 임금수준, 직무만족도라는 5개의 대표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주도적 대학선택은 취업과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취업목표는 취업의 질을 나타내는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임금 수준, 직무만족도에서 모두 정(+)의 방향을 나타냈다. 희망임금은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임금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주도적 대학선택이 취업의 질을 나타내는 정규직과 대기업취업 그리고 임금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한국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처럼 불안정고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졸청년층의 개인역량과 사회경제적 요인들 뿐 만 아니라 통제 불가능한 비인지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들도 고려하는 청년고용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i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 youth employment problem by analyzing its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determining factors of employmen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In this study, psychological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prior research, including voluntary university selection, employment target setting, and minimum wage desired, and the employment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five representative variables: employment,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wage level,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oluntary university sele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goal indicated positive direction for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wage levels and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The desired minimum wage had a positive impact on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and wag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youth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individual capabilities and socioeconomic factors of college graduates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be called uncontrollable non-recognition characteristics in the face of continued instability in employment as it is now.

      • 인과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졸 청년층의 일과 전공의 일치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예은,정혜원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일과 전공 일치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머신러닝 기반의 인과추론방법인 인과 포레스트(casual forest) 기법을 적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개인, 대학, 직장 특성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제 하여 일과 전공 일치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보다 정확한 평균 처치효과를 분석하고자 하 였다. 더불어 차별적 처치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성별, 전공, 대학의 진로 및 취업 관련 프로그램 참여 여부, 직장 사업체 유형에 따라 일과 전공 일치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 게 나타나는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대졸 청년층의 개인, 대학, 직장 관련 공변인을 통제한 이 후에도 일과 전공의 일치 정도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성별, 학생 지원제도, 사업체 유형 등과 같은 특성에 따라 차별적 처치효과가 상이한 것 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조대연,두민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for reducing early turnover of young college graduates. This study classified young college graduates by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on their first job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terms of work value, turnover experience, causes of turnover, reservation wage,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experience, and job search preparation. We analyzed data on 5,558 young college graduates and the participants were clustered into 5 group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These groups are: 1)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2) job search trial out 3) reality obedient 4) career aptitude oriented, 5) passive job seek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experience and job search preparation among the five groups;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s outperformed other typ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Fur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sons for turnover in the first job and the turnover intention in the current job remained identical. This finding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work valu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s were found to be the best candidates for recruitment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llege life and job search preparation of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 in future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llege students,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첫 일자리의 만족도에 따라 청년 취업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대학 재학시절의 취업 준비, 학교생활 만족도, 현 일자리에서의 이직의도와 사유를 비교 분석하여 취업 준비생, 대학 및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고용정보원의 2014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년제 대졸 상용근로자 5.5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유형 분류를 위해 비위계적 군집분석 방법인 K-means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졸 청년층 취업자는 총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주요 직업 가치, 첫 일자리 이직 경험 여부와 사유,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 5가지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 1) 준비된 취업 성공형, 2) 취업 시행착오형, 3) 현실 순응형, 4) 적성 및 미래 중시형, 5) 소극적 취업자형. 5가지 유형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취업 준비 경험을 비교한 결과, 첫 일자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취업을 한 준비된 취업 성공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학교 생활 만족도와 취업 준비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첫 일자리 만족도가 가장 낮고, 이직률이 높았던 취업 시행착오형은 학교생활 만족도이 낮고, 취업 준비경험에 대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유형의 현 일자리에서의 이직의도와 사유, 의중임금을 비교한 결과, 준비된 취업 성공형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고, 취업 시행착오형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들의 향후 이직을 고려하는 사유는 첫 일자리의 이직 사유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직업가치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청년층 취업자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 지원을 하는 대학과 청년층 취업자를 채용하는 기업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학교 지원 및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가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한상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학교 지원 및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내재적 직업가치, 외재적 직업가치가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규명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통하여 학교 시설 및 지원, 전공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올바른직업가치 확립을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이대졸 청년층의 첫 직장만족도를 높여 조기 퇴사율을 낮추고 안정적인 취업을 도와고용 안정화에 앞장서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중 2010년 1차년도 횡단면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첫 직장에 근무 중이거나 혹은 근무경험이 있는 대학 졸업자 3,68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외재적 직업가치를 제외한 대졸 청년층의 학교 지원에 대한 만족도, 전공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내재적 직업가치는 첫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first job, lower early retirement rates of college graduates, and establish effective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lans in college. Thus, this study selected satisfaction with school support, satisfaction with major programs, intrinsic job value and extrinsic job value as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first job.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0. A total of 3686 students’ dat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PSS and AMO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satisfaction with school support, satisfaction with major programs, and intrinsic job valu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irst job satisfaction. However, extrinsic job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first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대졸 청년층 신입사원의 첫 일자리 적응 잠재 유형과 조기 이직과의 관계 분석

        이은정(Eun-jung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 초기 경력자에게 첫 일자리에서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기업 차원에서는 신입사원의 조기 이직을 방지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에서의 적응 유형 잠재 집단을 도출하였으며, 생존분석을 통해 잠재 집단별 조기이직 여부와 시점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청년층의 첫 일자리 적응 유형은 ‘전반적 불만족’ ,‘임금, 고용 안정성 만족’ ,‘근로시간 만족’, ‘전반적 만족’, ‘인간관계, 적성 만족’의 총 다섯 개 잠재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전체 분석대상에 대한 카플란 마이어 생존 곡선을 확인한 결과 조기이직 위험률은 초기 5개월 동안 증가하다가 감소한 뒤 1년에 도달하는 시점에 다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안정화 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카플란 마이어 생존 함수를 적용하여 첫 일자리 적응 유형 잠재집단별 조기이직 발생 시점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임금, 고용 안정성, 근로시간과 같은 기업의 조직 구조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관찰기간 중기에 이르기까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조기이직 생존율을 보여주었으나, 후기에 이르면서 점차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반면 ‘인간관계, 적성 만족’집단의 경우, 입사 직후 초기 시점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조기이직 생존율을 기록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타 집단 대비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 세계 진입 이전에 선행 되어야 하는 진로 설계 지원의 중요성과 입사 이후 조직 차원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신입사원 조기 전력화를 위한 선제적인 지원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supporting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to adapt to their first jobs.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latent profile groups were constructed, which were “general dissatisfaction,” “wage and job stability satisfaction,” “working hours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and “coworkers relationships and job aptitude satisfaction.” The groups presenting high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structural factors such as wages, job stability and working hours showed relatively high survival rates until the middle of the observation period. But it changed to be relatively low as getting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workers relationships satisfaction” group, the survival rate was relatively low in the beginning, but it wa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other groups at the 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offering realistic job preview and social supports helping newcomers adjust to their first job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