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쇄성 결장 및 직장암에서 폐쇄 병변의 위치에 따른 수술 전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비교

        김종수 ( Jong Su Kim ),오승엽 ( Seung Yeob Oh ),서광욱 ( Kwang Uk Seo ),이명희 ( Meong Hee Lee ),전수진 ( Su Jin Cheon ),임현철 ( Heon Cheol Im ),김진홍 ( Jin Hong Kim ),이광재 ( Kwang Jae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6

        목적: 대장 및 직장암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장 폐쇄는 근위부 결장의 경우에는 단단계 절제 및 문합이 비교적 안전하지만 원위부 결장의 경우에는 축적된 대변의 양이 많아서 수술 전에 장폐쇄 및 장정결을 해결하지 못하면 다단계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장 폐쇄는 원위부 결장에서 호발하기 때문에 스텐트 삽입도 주로 직장 및 구불창자에서 시행되어 왔으나 장비 및 기술의 발달로 위치에 상관없이 스텐트 삽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전 폐쇄성 대장암 및 직장암으로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삽입한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및 단단계 절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폐쇄성 결장 및 직장암으로 수술 전에 자가팽창형 금속 스텐트 삽입을 시행 받고, 수술로 근치 절제를 시행하였던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분석하였다. 병변의 위치에 따라 구불창자보다 근위부 장(A군), 구불창자(B군), 직장(C군)의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하여 스텐트 삽입 후의 임상적인 호전 여부, 단단계절제술률, 중환자실 입원 유무와 기간, 수술 후 재원기간, 수술 후 합병증 및 병원 내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의 위치에 의한 분류에서 A군 13명, B군 22명, C군 22명이었다. 연령, 남녀비, 전신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의 유병률, 스텐트의 종류는 A, B, C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세 군 간에 스텐트 관련 합병증, 임상적인 유효성 및 단단계 절제술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율, 중환자실 평균 재원기간, 수술 후 재원기간, 병원 내 사망률도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 전에 폐쇄성 대장암 및 직장암으로 스텐트를 삽입하고, 단단계 근치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은 스텐트 삽입술의 임상적인 효과 및 수술의 결과가 병변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수술 전 스텐트 삽입술은 폐쇄성 대장암 및 직장암에서 단단계 근치절제술을 시행하는 데 병변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With the development of self-expanding metallic stents, colonic obstruction can be relieved without the need for surgery. The results of preoperative placement of stents for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migh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bstructing le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improvement rates and operative results after preoperative placement of stents for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ng lesion.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including 57 patients who underwent self-expanding metallic stent insertion for obstructing resectable colorectal cancer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esion as follows: proximal to the sigmoid colon (Group A), sigmoid colon (Group B), and rectum (Group C).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 A, B, and C groups was 13, 22, and 22,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stent type, and accompanying diseases among the three groups were observ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nt-related complications, clinical improvement rates, and one-stage resection rat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requirement rate of ICU care, the period of ICU stay, postoperative hospital stay, and hospital mortal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Clinical improvement rates and operative results after successful placement of stents for obstructing resectable colorectal cancers a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ng lesion, suggesting that preoperative stenting for one-stage curative resection is useful, irrespective of the location of les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384-389)

      • KCI등재

        대장, 직장암 환자에서 화학방사선치료의 급성 부작용과 XRCC1 유전자 다형성과의 상관관계

        김우철,홍윤철,최선근,우제홍,남정현,최광성,이문희,김순기,송순욱,노준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1

        목 적: 방사선치료와 항암제치료의 급성부작용은 환자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다는 것은 임상경험을 통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이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알려진 것은 없다. XRCC1 유전자는 DNA base-excision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대장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와 항암제치료로 인한 급성부작용과 XRCC1 유전자의 다형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대장 직장암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암이 2명, S자결장암이 13명, 직장암이 71명이었다. 병기는 B기가 22명, C기가 50명, D기가 8명이었고 절제 불가능한 경우가 6명이었다. 방사선치료 범위는 골반강만 조사된 경우가 81명, extended field로 조사된 경우가 5명이었고 방사선량은 일일 1.8 Gy로 주 5회 조사하여 총 30.6 Gy∼59.4 Gy (중앙값:54 Gy)를 조사하였다. 항암제치료는 전 환자에서 5 FU를 근간으로 한 약제를 투여받았고 방사선 치료기간 중에 시행된 횟수는 1회가 24명, 2회가 45명이었고 17명은 동시에 투여 받지는 않았다. 치료의 급성부작용은 상부위장관과 하부위장관으로 나누어 기록하였고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를 0, 증상이 있으나 투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를 1, 투약이 필요한 경우를 2, 투약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여 치료의 휴식 또는 입원을 한 경우를 3으로 분류하였고 전 치료기간 중 최초, 최저 수치와 방사선치료기간 중 최초, 최저 백혈구, 혈소판수치를 조사하였다. 환자의 동의 하에 혈액을 채취하여 림프구를 분리한 후 DNA를 추출하여 PCR-RFLP 방법으로 XRCC1 유전자의 코돈 194, 280, 399번 위치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통계는 Chi-square, t-test,logistic regression, ANOVA를 사용하였다. 결 과: 다변량 분석결과 상부위장관 부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재발유무였고, 하부위장관의 부작용에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XRCC1 339 다형성, 방사선량, 방사선 중 항암제횟수 순이었다. 방사선 치료 중 백혈구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XRCC1 399 다형성, 194 다형성이었고, 혈소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진단명, XRCC1 399 다형성이었다. 결 론: 대장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항암제의 치료에 따른 정상조직의 급성부작용을 예측하는데 XRCC1 유전자의 코돈 399번의 다형성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t is well known from clinical experience that acute complications of chemoradiation therapy vary from patients to patients. However, there are no known factors to predict these acute complications before treatment starts. The human XRCC1 gene is known as a DNA base excision repair gene.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of XRCC1 gene polymorphisms as a predictor for the acute complications of chemoradiation therap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7 to June 2003, 86 colorectal cancer patients (71 rectal cancer, 13 sigmoid colon cancer and 2 colon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hemoradiation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Twenty-two patients were in stage B, 50 were in stage C, 8 were in stage D and 6 patients were unresectable cases. External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10MV X-ray at a 1.8 Gy fraction per day for a total dose of radiation of 30.6∼59.4 Gy (median: 54 Gy). All the patients received 5-FU based chemotherapy regimen. We analyzed the acute complications of upper and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based on the RTOG complication scale. The initial and lowest WBC and platelet count were recorded during both the RT period and the whole treatment period. Allelic variants of the XRCC1 gene at codons 194, 280 and 399 were analyzed in the lymphocyte DNA by performing PCR-RFLP.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 SAS (version 6.12) statistical package. Results: When all the variables were assessed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recurrent disease revealed the factors that 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pper gastrointestinal acute complications. Arg399Gln polymorphisms of the XRCC1 gene, the radiation dose and the frequencies of chemotherapy during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wer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rg399Gln polymorphisms also affected the decrease of the WBC and platelet count during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Although the present sample size was too small for fully evaluating this hypothe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rg399Gln polymorphisms of the XRCC1 genes may be used as one of the predictors for acute complications of chemoradiation therap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 KCI등재후보

        대장암 관련 건강검진 정보

        박부연,Park, Bu-Y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3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들에서 대장암의 건강검진 관계성을 파악하여 이들의 대장암 검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도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변수는 국민건강수준, 건강관련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실태에 대해 12,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장암검진 대상자인 40세 이상 성인 남, 여 4,7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장암 검진 이행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 건강기능 식품 복용여부, 건강검진 수검여부, 암 과거력 등 이었다.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별, 가구 월 총소득, 민간보험, 규칙적 운동여부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대장암검진 수검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료 암검진 확대실시와 암검진의 간편한 검사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 홍보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adults aged 40 and over our country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those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a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ol 4th secondary data were used. The main variable levels of public health, health-related awareness and behavior, food and nutritional status were surveyed about 12,528.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dults aged 40 and over who target male and female study subjects were 4703. Compliance findings that are relevant to colorectal cancer screening variables include gender, age, residence, or taking supplements, Health Screening, whether history, such as cancer, respectively.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household monthly gross income, private insurance, whether regular exercis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 order to increas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mong the expanding free cancer screening and cancer screening performed a systematic test of the simple and effective education and publicity will be carried out.

      • SCOPUSKCI등재

        1)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Suk Ho Lee),김헌정(Hun Jung Kim),김우철(Woo Chul Kim),조영갑(Young Kap Cho),노준규(John J K Loh),우제홍(Ze Hong Woo),황태숙(Tae Sook Hw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r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 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목 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S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H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 를 사용하여 DNA ploidy 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S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loi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 와 나이, 성별, 침범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48). 결 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dy 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S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김헌정,김우철,조영갑,노준규,우제홍,황태숙,Lee Suk Ho,Kim Hun Jung,Kim Woo Chul,Cho Young Kap,Loh John J K,Woo Ze Hong,Hwamg Tae So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5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M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DNA ploldy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5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iol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와 나이, 성별, 침범 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8). 결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텀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5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 KCI등재후보

        껌씹기가 대장∙직장암환자의 장 절제술 후 장운동 회복 및 재원일수에 미치는 효과

        김삼숙(Kim, Sam Sook),이은남,김학선(Kim, Hack Sun),김민경(Kim, Min Kyoung),이경선(Lee, Kyoung Sun),남혜진(Nam, Hye Jin),김미영(Kim, Mi 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tility and days of hospitalization after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irty-four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were assigned to either gum-chewing group (n=17) or control group (n=17). The patients in the gum-chewing group chewed gum for 10 min three times daily from the first postoperative morning until the day they began oral intake. Outcome variables were time of first flatus, time of first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Gum-chew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first passage of flatus, but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ime of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Conclusion:Gum-chewing can be utilized as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shorten the time of the first flatus of postoperative colectomy. 본 연구는 껌씹기가 대장∙직장암 수술 후 장운동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대학교 의료원에서 대장∙직장암으로 장절제술을 받은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대장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7명씩 임의로 배당하였다. 실험군은 수술후 첫날 아침부터 유동식 시작 전까지 하루 세 번 무가당 자일리톨 껌을 제공 받았으며, 식사 시간에 맞춰 10분 이상씩 껌을씹었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수술 후 관리만을 받도록 하였다. 껌씹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그룹 간 가스 배출 시간과196 종양간호학회지 10 (2), 2010년 8월첫 배변시간 및 재원일수를 비교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분포여부를 확인한 후 일반적 특성에 대한동질성 검정은 c2와 t-test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장운동 회복 및 재원일수에 대한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스배출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605, p=.014). 둘째, 제2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변의 배출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0.382, p=.705). 셋째, 제3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재원일수가 단축될 것이다”도 기각되었다(t=-0.197, p=.845). 결론적으로 껌씹기가 대장∙직장암으로 장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가스배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변의배출시간과 재원일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구분하여반복 연구할 것과 껌씹는 시간을 세분화하여 적용해봄으로서장운동 회복을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껌씹기 시간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해 볼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원발성 대장 반지세포암종의 직장 전이 1예

        백관미,차재명,이정일,주광로,신현필,박재준,전정원,김교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6

        Rectal metastasis of colon cancer without peritoneal carcinomatosis is a rare condition whose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 may mimic inflamm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was no report on such cases. A 45-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left hemicol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py for primary signet ring cell carcinoma (SRCC) of the descending colon, admitted to have constipation and abdominal pain for 3 weeks. His colonoscopic findings did not show local tumor recurrence at the anastomsis site, however, a hard, concentric luminal narrowing of the lower rectum was encountered. Endoscopic biopsies revealed chronic inflammations,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18F-fluorodeoxyglucose revealed diffuse mildly hypermetabolic lesion in the rectum, suggesting inflammation.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ed submucosal wall thickening with multiple perirectal lymph nodes. Rectal metastasis of colon cancer was highly suspected clinically and a surgical biopsy confirmed SRCC which was surgically removed thereafter. 대장암의 직장전이가 복막전이 없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이런 경우 초기 임상양상이 단순 염증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들이 확인한 바에 의하면, 대장암의 직장전이 증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45세 남자 환자가 3주간 지속된 변비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에서 4년 전 하행결장의 원발성 반지세포암종으로 좌측 결장반절제술 및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수술 문합부의 재발 소견은 없었지만, 하부 직장 내강이 좁아져 있었고, 점막의 요철이 단단하게 관찰되었다. 조직 생검에서는 만성 염증 소견만 보였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에서도 경도의 미만성 섭취가 직장에서 관찰되어 단순 염증을 시사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직장 점막하층 벽의 비후와 다발성 직장 주위 림프절이 관찰되었다. 임상적으로 대장암의 직장전이로 재발이 의심되었기 때문에 수술적 전층 절제 조직에서 반지세포암종으로 확진한 후 복회음절제술을 시행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장암 관련 건강검진 정보

        박부연(Bu-Yeon Par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3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들에서 대장암의 건강검진 관계성을 파악하여 이들의 대장암 검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도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변수는 국민건강수준, 건강관련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실태에 대해 12,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장암검진 대상자인 40세 이상 성인 남, 여 4,7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장암 검진 이행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 건강기능 식품 복용여부, 건강검진 수검여부, 암 과거력등 이었다.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별, 가구 월 총소득, 민간보험, 규칙적 운동여부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대장암검진 수검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료 암검진 확대실시와 암검진의 간편한 검사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 홍보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adults aged 40 and over our country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those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a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ol 4th secondary data were used. The main variable levels of public health, health-related awareness and behavior, food and nutritional status were surveyed about 12,528.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dults aged 40 and over who target male and female study subjects were 4703. Compliance findings that are relevant to colorectal cancer screening variables include gender, age, residence, or taking supplements, Health Screening, whether history, such as cancer, respectively.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household monthly gross income, private insurance, whether regular exercis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 order to increas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mong the expanding free cancer screening and cancer screening performed a systematic test of the simple and effective education and publicity will b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