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죽음담론 분석

        황지영(Ji-Young Hw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2

        인간만이 매장을 하고 인간만이 사후의 가능성을 인지해 왔다. 그리고 인간은 죽음을 창조해 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죽음담론을 이해하고 그러한 죽음담론들이 구성되고 유포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뉴스 미디어의 담론분석을 수행했다. 분석대상으로 디지털 조선일보를 선택했으며 2008년부터 2012년 4월 30일까지 죽음관련 기사 중 최요삼 사망, 김수환추기경 선종, 법정스님 입적을 포함한 251건의 최종 분석대상 기사를 수집했다. 푸코의 담론분석 개념을 차용해, 죽음담론을 구성하는 주요 주체, 중요한 죽음 담론의 대상, 새롭게 구성된 죽음 개념의 영역을 규명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죽음담론을 이끄는 주요 주체는 종교계, 기자, 일반인, 정치계, 의료계, 문화예술계 순으로 나타났다. 기사에서 다루어진 죽음에 대한 담론의 대상은 웰다잉담론. 뇌사.장기기증담론, 생애담론, 추모.영향력담론 이었다. 또한 의료 권력의 영역으로서 죽음과 도덕적 실천 영역으로서 죽음이 지배적 개념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은 그 자체로 애도 받지 못하며 삶에 봉사할 때만이 애도되고 추모되는 것으로 의미화 되었다. 요컨대 죽음담론은 후기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즉 사자의 실천을 규정하는 장기기증을 포함하는 기부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있었다. Man alone actually buries his dead and man alone has conceived of the possibility of an after-life. And man has created death. This study conducted discourse analysis of news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dominant discourses of death and the ways they are constructed and circulated in Korean society. Digital chosunilbo is selected and 251 articles from 2008 to April 30, 2012 that include ‘choi yo sam samang’, ‘bub jeong ib jeog’ and ‘kim su hoan seon jong’ are collected. The analysis focuses on identifying major agents of constructing discourses of death, important discoursive object and the newly constructed concept or knowledge.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agents wh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 are those who works for religious circles, journalists, common people, political circles, medical circles and culture and artistic circles. The dominant discoursive object was ‘well-dying’, ‘brain death-organ donation’, ‘lifetime’ and ‘influence’. The realm of dominant concepts was composed of death as the realm of medical power and death as the realm of ethical practicality In our society death in itself isn’t mourned without serving life. In short, death discourse reflects post capitalism ideology, namely, donation ideology including organ donation that define dead’s practice.

      • KCI등재

        푸코와 바흐친을 통해 바라본 담론의 바깥

        조수경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7 No.-

        This study has a key assumption that 'characteristics of discouse can be found in not its inside, but its outside'. The prism through which we can see those characteristics was provided by Foucault and Bakhtin who were introduced in the study. As an effort to probe the outside of discourse, the study is briefed 'the three attributes of discourse' that were suggested by Foucault First, discourse has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which is based on power relations. Second, discourse is not transparent at all since it is always offensive towards other discourses and defensive against selected ones Third, discourse which is naturally accepted because of its dailiness had a deep structure secretly hidden in it. Based on the above attributes, Foucault and Bakhtin paid their attention to the outside of discourse. Specifically, they considered discourse fundamentally and went beyond it, and reflected the procedures of discourse. This study focused on 'Socrates', something common in the two scholars' works with discourse. In dealing with discourse, Bakhtin started with 'Socratic dialogue' that is based on the dialogic nature of human thoughts which purse the truth. For Foucault, it was Socrates who had the 'courage to tell the truth' and practiced 'self-consideration'. According to Foucault, the ethics of self-practice originated from the philosopher. The ethics is neither the precis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life that is withdrawn towards the inner self, nor the skills of happiness. It is just relational and cross-sectional. For a better understanding, this study pointed out that Kafka created a variety of 'dialogic voices' focusing on the outside of discourse. Dialogues found in his writings are 'interminable dialogues' that truly 'communicate with different times and different spaces'. For example, his novel, 'Der Prozess' opens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in various ways the court which is look beyond conventions and extraordinary. Kafka's novels have a structure that their starting point found at the introduction reappears at the termination, presenting multi-vocal dialogues. 하버마스는 모든 억압과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운 담론 상황을 ‘이상적 담화 상황’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상적 담화 상황’이 언어를 의사소통의 매개체로 간주한다는 데서 본 논문의 의문은 시작된다. 푸코와 그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밝힌 담화(담론)가 가진 속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 배제의 원리’다. 담론을 제한하거나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권력이며, 권력에 의해 담론은 선택되거나 배제 당한다. 둘째, 담론은 자신들의 입장을 방어하고, 반대의 입장을 공격하는 병기로 작용한다. 셋째, 담론 내부의 드러나지 않는 심층구조에는 태도, 입장, 권력과의 관계, 이데올로기적인 위치가 숨겨져 있다. 이러한 담론의 속성에 주목한다면, 담론의 문제는 언어를 주목해서 보편성을 추출하는 것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언어학의 바깥으로 눈을 돌린 바흐친과 푸코의 논의는 설득력을 가진다. 담론이 결코 투명할 수 없다는 푸코의 논의나 담론의 문제는 바깥으로 시선을 향하는 경우에 답이 열린다는 바흐친의 논의에서 ‘진실을 말하는 용기, 즉 파르헤지아적 용기’를 를 가진 인물로 소크라테스를 찾을 수 있다. 소크라테스적 대화에서 공통된 출발지점을 가진 푸코와 바흐친은 각각 ‘자기 배려’, ‘다성적 대화’를 통한 담론 바깥에서의 해결점을 찾아낸다. 자기 배려는 고대의 지혜를 통해서 낯섦의 효과를 발생시키고 수치스럽지 않게 살 만한 자기를 생산하는 절차와 실천의 문제다. 푸코가 말하는 자기 배려의 윤리는 자기 내면으로 퇴각하는 개인 생활의 섬세한 연출이 아니며, 행복의 기술도 아니다. 자기 배려는 우리의 사유와 원칙, 담론과 행실 간의 일치, 조화, 정합성이 설정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경계하는 행위다. 바흐친은 다성적 대화의 과제를 수행한 인물로 도스도옙스키에 주목한다. 그의 작품은 수많은 별개의 관점이 대화를 시작하는 세계를 창조해내며, 그 안에서 타자들이 저자의 이데올로기와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 순서로, 다성적 목소리를 만들어 내는 파르헤지아적 작가로 ‘카프카’를 발견하고 그의 작품을 주목한다. 카프카는 그의 작품을 통해 ‘종결 불가능한 대화’를 창출했으며, 매 순간 새로운 조합을 이끌어내며 바깥을 향하는 파르헤지아적 용기를 가지고 있다. ‘소송’이라는 그의 작품이 출발점에서 시작해서 출발점으로 끝나는 ‘종말장 지양’의 방식을 갖고 전개된다는 점은,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르기까지 그때마다 상응하는 강렬도를 산출’한다는 들뢰즈의 말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 KCI등재후보

        특집 : 한국의 조세담론 정치: 세금폭탄론과 부자감세론을 중심으로

        황규성 ( Kyu Seong Hwang ),강병익 ( Byung Ik Ka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4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6 No.-

        이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한국의 조세담론을 대표적으로 상징하고 있는 두 담론인 세금폭탄론과 부자감세론을 비판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조세담론 지형과담론정치의 현주소를 진단함과 아울러 대안적인 담론 대결의 장(field)을 만들어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있다. 세금폭탄론은 참여정부의 부동산대책에 대해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을 주축으로 하는 담론 연합을 통해 제시되고 확산되었다. 세금폭탄론은 정부의 일관성 없는 부동산정책 전개와 맞물려 보수진영의 결집 효과뿐만 아니라, 집권세력의 내분을 이끌며 종부세가 사실상 무력화되는 헌재 판결로까지 이어졌다. 반면 부자감세(비판)론은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집권과 함께 추진된 대규모 감세정책에 대한 반대 담론으로서, 조세의 수직적 형평성에 기반을 둔 조세정의의 측면을 부각시킨 민주당과 진보진영을 중심으로 재생산되고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부자감세론 역시 이명박 정부 기간 경제 위축을 기반으로 집권세력 내 갈등을 야기했고, 궁극적으로 감세정책의 후퇴 내지 축소를 이끄는 성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민주당은 이후 보편적 복지 논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이에 조응하는 복지재정전략을 재생산하는 데는 소극적으로 일관했고, 복지정당으로서 조세정치를 주도하는 데 정치력의 한계를 노정했다. 이상의 논의에서 앞으로 조세담론 정치의 몇 가지 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부정적 대상화 담론보다는 복지국가 확대 과정에서 조세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부각시키고, 그 고유의 원칙인 과세형평성, 적정과세 혹은 능력과세(ability to pay), 그리고 부유층의 사회적 기여를 강조하는 부자증세의 담론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조세담론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세원을 발굴하는 것에서부터 탈세에 대한 엄격한사법적 집행, 그리고 담세와 조세 쓰임새의 선순환, 즉 우리가 지향해야 할 복지국가의 재정운영 메커니즘이 더 고민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조세담론 간 경쟁의균형을 위해 조세의 공공적 성격을 부각시킬 정치세력의 육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조세담론에 대한 상상력이 담보될 수 있는 정치세력의 존재와 활성화를 통해기존 자유주의 야당이 가지고 있는 시장 중심적 조세 관념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조세체계는 공평과세와 보편증세라는 두 가지 숙제를동시에 안고 있다. 정치의 역할과 담론투쟁의 방향도 여기에 있다.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elements of discourse and the realityof discoursive politics on taxes, to suggest the alternative field of discursivecompetition by comparing and reviewing ‘Tax Bombs(TB)’ and ‘Tax Reductionfor the Rich(TRR)’ that were typical tax discourses after economic crisisof 1997. TB as a discourse was appeared and proliferated by mostly the conservativeparty, Hannara and conservative medias which were desperately opposedto real estate policies of Roh Moo Hyun’s administration. This discoursehas not only united conservative camps but stirred up conflict in the powerbloc, finally contributed to weaken the tax on home and land. Meanwhile,TRR based on vertical tax-structure and tax justice was reproduced and sociallyspread out by opposition parties and progressive newspapers which were keepup with the massive tax reduction policies under Lee Myung Bak’s administrationafter 2008. TRR has achieved expected results that weaken and retrenchedthe range of tax reduction arousing controversy between ruling partyand government. The main opposition party, Minjoo, however, has revealedtheir political limitation in the course of extension to universal welfareprogram. Through this research, we found a couple of problems to solve for the betterdiscoursive tax politics. Above all, it is required that highlighting tax discoursesuch as tax equity, proper taxation, ability to pay in line with deepening welfarestate and increasing the social role of the riches. Second, it is necessarythat developing various tax discourse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aspects. Finally, political forces, from parties to actors, were to grow and strengthenfor dynamics of tax politics. There are two main tasks to reform tax system in South Korea. One is taxequity, the other is universal tax-increasing coincide with progressive taxsystem. In these tasks, we must impose larger role of politics and set the directionof tax discoursive struggle.

      • KCI등재

        정보사회담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고찰 - 정보사회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지형 -

        권기욱 ( Kee Wook Kweo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1

        이 글은 정보사회담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고찰을 통해 정보사회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지형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사회를 분석하는 다양한 정보사회담론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는데, 우선 담론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미진하며, 연관된 것으로 담론들 간의 소통불가능성이 있다. 이는 담론의 표면적인 내용에만 논의가 집중되고 담론이 기초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런 난점은 담론 내부의 내용 그 자체로부터 담론을 고찰하는 ``내부로부터의`` 고찰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칼 만하임의 통찰을 따라, 담론의 외적인 사회적, 사상적 배경에 기초하여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각각의 정보사회담론을 고찰하는 ``외부로부터의`` 고찰을 수행하였다.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적 지형의 정보사회담론은 정보사회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현 질서와 변동방향에 대해 묵인하기 쉽다. 따라서 이런 담론하에서는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인간의 실천이 개입하기 어렵다. 정보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밝혀내고 여기에 인간의 실천이 개입해 정보사회를 진정한 ``유토피아``로 변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정치경제학과 같은 진보적 지형의 비판 담론에 기초하여 정보사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criticism on ideological position of discours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by an examination of these discourses from ``without.`` The various discourses on the information society appear problematic in terms of their approach methods. First, there are few synthetic attempts to examine the information society. Second, in relation to first issue, these discourses have not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well because they only have concentrated on superficial issues and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e social and scientific grounds that each discourse depends on. There are two ways of examination of discourse according to K. Mannheim. These are ``from within`` and ``from without``. The examination from within is that into the contents themselves of discourse, and the examination from without is that into the ideology by consideration from the view of social existence that lies outside of discourse. This paper examines discours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from ``without`` because foregoing problems depend on the examination only from ``within.`` Through the examination from ``without,`` we can get the critical and synthetic understanding with specific standard and derive mutual criticisms and comparisons from the discourses which do not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well.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is that many discours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have an important problem that they stand on conservative ideological position. To the contrary, the political economy of information stands on the critical ideological position as it observes the information society at the extension of capitalistic systematization principals. The discourses that stand on conservative ideological position describe the information society as positive, and admit the order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s in the present. They do not have room for intervention of human practice. In contrast, discourses on critical ideological position can disclose hidden proble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reby correcting the society by intervention of human practice. The direction of social change is not fixed, but variable by human practice. Thus, we ne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s such as the political economy of information.

      • KCI등재

        담론의 균열과 지식인의 위치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글은 식민지말기 제국 담론의 균열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지배 담론을 모방, 반복/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균열의 흔적들을 제국 담론의 본질적 한계로 해석하고는 한다. 하지만 균열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중일전쟁(1937.7)에서 태평양전쟁(1941.12)으로 이어지는 식민지말기의 전시상황에서, 제국 담론 균열은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이 생성되는 기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중일전쟁의 고착화/장기화로 인해 제국 일본은 전시체제의 구축을 위해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흔히 황국신민화 정책이라 일컬어지는,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조선교육령 개정, 육군지원병제도 실시, 국어(일본어) 전용, 창씨개명 등 식민지 조선(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들은 그 구체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활한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제국의 경계 내부로 포섭/포획하려고 하면서도 제국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던 식민 지배 권력의 이율배반성이다. 이로 인해 “국책담론”은 일관성이나 구체성을 가지기 어려웠고, 담론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이와 같은 균열의 흔적들은 제국 담론의 불완전성/비완결성을 증명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민지말기 전시국가 총동원(총력전)체제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국책담론들은 애초부터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민지에 던져진 것이었고, 당연히 조선의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표면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피식민지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부각된 식민지말기의 상황에서 그러한 담론의 균열은 어떻게든 봉합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으로 호명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리고 “서구 근대의 파국”으로 상징되는 세계사적 정세를 바탕으로 “근대의 초극”이라는 일본의 탈근대적 이상을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였던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지식인들은 “국책담론”에서 나타나는 균열을 봉합하는 “지식인의 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담론공간과 위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지식인들은 제국 담론의 균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Meanwhile, signs of cracks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prove the imperfe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rown into the colony as a non-completion status. That"s why they called intellectuals of this colonial korea. Based on the world-historical situation, chosun intellectuals that embraced it as a new paradigm Japan"s postmodern ideal, has created a discourse space and intellectual position through the stitching of cracks appearing in the national discourse.

      • KCI등재

        한국의 조세담론 정치: 세금폭탄론과 부자감세론을 중심으로

        황규성,강병익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4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26

        이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한국의 조세담론을 대표적으로 상징하고 있는 두 담론인 세금폭탄론과 부자감세론을 비판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조세담론 지형과담론정치의 현주소를 진단함과 아울러 대안적인 담론 대결의 장(field)을 만들어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있다. 세금폭탄론은 참여정부의 부동산대책에 대해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을 주축으로 하는 담론 연합을 통해 제시되고 확산되었다. 세금폭탄론은 정부의 일관성 없는 부동산정책 전개와 맞물려 보수진영의 결집 효과뿐만 아니라, 집권세력의 내분을 이끌며 종부세가 사실상 무력화되는 헌재 판결로까지 이어졌다. 반면 부자감세(비판)론은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집권과 함께 추진된 대규모 감세정책에 대한 반대 담론으로서, 조세의 수직적 형평성에 기반을 둔 조세정의의 측면을 부각시킨 민주당과 진보진영을 중심으로 재생산되고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부자감세론 역시 이명박 정부 기간 경제 위축을 기반으로 집권세력 내 갈등을 야기했고, 궁극적으로 감세정책의 후퇴 내지 축소를 이끄는 성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민주당은 이후 보편적 복지 논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이에 조응하는 복지재정전략을 재생산하는 데는 소극적으로 일관했고, 복지정당으로서 조세정치를 주도하는 데 정치력의 한계를 노정했다. 이상의 논의에서 앞으로 조세담론 정치의 몇 가지 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부정적 대상화 담론보다는 복지국가 확대 과정에서 조세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부각시키고, 그 고유의 원칙인 과세형평성, 적정과세 혹은 능력과세(ability to pay), 그리고 부유층의 사회적 기여를 강조하는 부자증세의 담론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조세담론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세원을 발굴하는 것에서부터 탈세에 대한 엄격한사법적 집행, 그리고 담세와 조세 쓰임새의 선순환, 즉 우리가 지향해야 할 복지국가의 재정운영 메커니즘이 더 고민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조세담론 간 경쟁의균형을 위해 조세의 공공적 성격을 부각시킬 정치세력의 육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조세담론에 대한 상상력이 담보될 수 있는 정치세력의 존재와 활성화를 통해기존 자유주의 야당이 가지고 있는 시장 중심적 조세 관념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조세체계는 공평과세와 보편증세라는 두 가지 숙제를동시에 안고 있다. 정치의 역할과 담론투쟁의 방향도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지역신문을 통해 본 “강남스타일”에 대한 담론 분석 - 『강남·서초 내일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이은애 ( Eun Ae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필자는 수년 전부터 문화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의 지역이 담론구성체들의 담론 형성 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담론적 공간으로 만들어졌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강남과 강북에 대한 연구에 주목해 왔다. 본고는 그 연속선상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 이후의, 기존의 지역지와는 다른 차원의 뉴미디어인 『강남·서초 내일』 지역 신문 속에 나타난 ‘강남담론’ 내지 ‘강남스타일’ 담론을 분석하여 도시공간으로서의 ‘강남’이 어떻게 ‘담론적 공간’으로 변모해 가는지에 대한 문제를 담론 전략을 중심으로 추적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2년, 싸이가 <강남스타일>이라는 특이한 말춤을 곁들인 노래로 전 세계를 강타한 이래 한국은 ‘강남스타일’이라는 담론으로 떠들썩해 졌다. ‘강남스타일’ 붐은 가뜩이나 강남에 거주한다는 것이 (강남 3구를 포함하여) 부러움과 선망의 대상이 되기 시작한, 꽤 오래된 사회현상에 기름을 끼얹는 결과를 가져 오게 하여 보다 강남에 대한 권위를 확고하게 하고 강남에 대한 환상을 가속화 하게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강남스타일> 열풍이라는 그 뜨거운 세계적 현상은 ‘강남담론’을 한층 더 공고히 하였다. 우리는 이제 개인이건 언론이건 ‘강남’ 또는 ‘강남 3구’라고 아무렇지도 않게 버젓이 이야기 하는데 그 누구나 암묵적으로 ‘합의’하고 있다. 그럼 이때 ‘강남’의 실체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합의’에 토를 달지 않고 받아들이는 ‘강남’이란 도대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 공간인가. 그 ‘강남’이라는 것이 단지 일개 지역으로서의 서울 한강 남쪽에 있는 지역을 지칭하는 것은 분명 아닐 터이다. 본고의 문제제기는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강북을 중심으로 개발 되었던 서울의 도시계획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점차 남하하기 시작했던 것이 어느 틈엔가 거대하고 비대한 강남 도시계획으로 발전하더니 어떻게 오늘날과 같은 지경 즉, 담론의 공간으로 탄생하여 새로운 도시공간의 이미지를 확대, 생산, 재생산하기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추적하는데 있어 본고는 보다 효율적인 지역신문을 활용할 것이다. 뉴미디어로서 지역신문이란 각 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요긴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지역 내일신문』은 기존의 지역 미디어와는 다른 차원의 지역신문이기에 각 도시공간의 정치, 경제, 문화적 성향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강남스타일> 선풍 이후의 『강남·서초 내일신문』에 실린 기사를 중심으로 ‘강남스타일’ 속에 내재된 담론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강남담론’이라는 것이 첫째, 비강남과의 ‘구별짓기’ 전략을 통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소비적 주체’임을 과시하려는 것, 둘째, ‘강남스타일’의 문화적 기반이 거의 물질주의에 기반을 둔, 소비의 축을 중심으로 졸속으로 ‘만들어진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 셋째, 따라서 강남에는 그들 ‘고유’의 ‘강남스타일’이 부재한다는 것을 독해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강남스타일’을 생산해 낸 담론형성체들도 의식하고 있는 한계로써 이러한 한계상황에 대한 극복의 방안으로 강남의 담론구성체들은 강남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개발을 고민하고 있는 듯이 보여 진다. 역사는 기억으로부터 재현 된다는 벤야민의 말처럼, 이제 ‘상품으로서의 강남’, ‘전시나 쇼의 현장’으로서의 강남이 아닌, 그 속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강남 지역주민들의 ‘삶의 현장’으로서의 살아있는 강남의 이야기, 즉 진정한 ‘강남스타일’의 서사를 재현해 낼 차례이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Gangnam style Discourse`` through use of the local 『Gangnam?Seocho Naeil Newspaper』 articles. It discusses how the meaning of ‘Gangnam`` has developed into a new form of discourse not only associated as a place name. The release of Psy`s worldwide hit song <Gangnam Style> in 2012, Gangnam`s image has been accelerated to that of a wealthy one. The words ``Gangnam`` and ``Gangnam 3`` have now been adopted and are used by the population and media as nouns. Therefore, surely the definition of Gangnam has changed and today is not just the name of the place. This study discusses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creation of Gangnam as a place up until its modern day image now. To gain an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Gangnam, the local newspaper, ``Gangnam·Seocho Naeil Newspaper`` was used in our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Gangnam Discourse`` has transformed Gangnam into a place representative of wealthy consumers compared to other areas in Seoul. Due to this manmade phenomena ``Gangnam Style``, Gangnam is now labelled a wealthy consumer district. This means there is not an ``actual`` ``Gangnam Style``. The limitations of ``Gangnam Style`` are being built up and now it is time to produce a real ``Gangnam Style``, with real stories by the locals of Gangnam.

      • KCI등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의 담론의 동학 : 담론제도주의적 관점에서의 담론과 정책변화

        이소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본 연구는 차별금지법 입법과정의 정책담론을 분석하여 정책변화이론과 연결시키려는 시도이다. 담론제도주의의 시각에서 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를 비교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의 담론의 동학이 분석되었다. 미장애인법 제정 과정에서는 장애옹호가들의 기회평등담론과 정부의 활성화담론이 미국장애정치의 민권적 유산 아래 맞물려져 나타났다. 그러나 정책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타협점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 것은 활성화담론이었다. 반면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는 활성화담론의 위축과 기회평등담론의 변이가 발생하였다. 기회평등담론은 보다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적용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장애인들의 현실에 정합적인 인권담론으로 수정된 후 장애계 내부의 응집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어진 사회정치적 배경 속에서 담론들은 정책변화를 주도하기도 하고, 기존의 정책지형으로부터 구속을 받아 변형되기도 하였다. 담론의 동학은 장애정책변화의 메카니즘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analysis of policy discourses can be linked to theory of policy change. Two cases of legislative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ere compared, focusing their dynamism of policy discourse, on theoretical basis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In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equal opportunity discourse of disability advocates and activation discourse of government was combined under the legacy of civil rights of disability politics. But the latter discourse facilitated interactions and negotiations between actors. Meanwhile, i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Act, disabled representatives took the leading role in the whole process, shrinking of activation discourse and alteration of equal opportunity discourse occurred. Equal opportunity discourse was replaced by human rights discourse which had broader and universal implications and fitted to real world of disabled persons. It contributed to fasten internal cohesiveness of disabled groups. Policy discourses, demonstrating their varieties and dynamics, can initiate policy change, simultaneously, be framed and constrained by policy configuration.

      • KCI등재

        탈학교담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의 의미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성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것은 90년대 후반 ‘학교붕괴’ 라는 논쟁의 대두 속에서 학교교육의 위기를 고민했던 것과는 또 다른 상황에서 학교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미래 학교교육 방향 탐색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제도 비판과 대안적 교육을 모색해 온 탈학교(대안교육)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교육 비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관하며, Ⅲ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탈학교담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고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탈학교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학교담론은 공교육제도의 모순을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 회복을 촉구한다. 둘째, 탈학교담론은 노작의 교육적 가치를 포함한 전인교육, 생태적 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가치를 역설한다. 셋째, 탈학교담론의 전개과정은 의무교육을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권리로 간주해야 함을 강조하며, 교육의 공공성의 의미를 제고한다. 넷째, 탈학교담론은 국가의 교육독점을 비판하고 학교밖 다양한 배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탈학교담론은 학교가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따라서 교육이 시대변화에 따라 혁신해갈 것을 촉구한다.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and "education" again. This presented the ne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rough criticis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that has sought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d the meaning of deschooling discourseo and outlined the history of criticism of school education, and Chapter II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apter IV reflected on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hooling discours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rged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econd,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e values of whole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ec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for all people and enhanced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education. Fourt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criticized the nation's monopoly 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outside of school. Finally,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presupposed that schools are historical products, and therefore urged education to innovate as the times change.

      • 문화 연구와 담론 분석

        박해광(Park Hae-Kwa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의미와 상징을 둘러싼 실천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문화를 분석하는 핵심적인 접근법이다. 하지만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충분히 토론되지 않았고, 그 쟁점들도 명확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문화연구에서 담론 분석이 가지는 위상과 의의를 방법론적, 이론적 차원의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다양한 담론 분석의 방법론들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사회언어학적 접근과 화용론적 접근, 그리고 텍스트 분석을 살펴보았다. 담론 분석은 언어의 중립적 외양을 해체하고 권력과 지배가 작동하는 실천 장으로서의 담론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점에서 사회적 조건과의 연관을 보다 강하게 확인하면서 기존의 접근법을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여지를 탐색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판적 담론분석(CDA) 접근을 간략히 검토하면서 이 접근법이 가진 구성적 실천 개념의 허약성을 비판하였다. 구성적인 실천은 무매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정치적, 실천적 조건이라는 제약하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 구성적 실천을 언어의 다차원성 및 실천적 의식과 연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담론적 실천은 관습적인 것이 아니라 의미를 둘러싼 투쟁이라는 담론 투쟁의 개념으로 급진화될 필요가 있으며, 지배적 담론에 대한 거울상이 아니라 일탈 해독과 낯설게 하기를 활성화시키는 창조적 실천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discourse analysis in relation with cultural studies. While semiotic approaches have shown the weakness of dealing discourse as social practice, discourse analysis has been trying to make connections with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its social characteristics. Evaluating these studies, this study also raises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for further research. Methodologically I examine three approaches, sociolinguistic approach, speech act theory and text analysis, and try to raise issues for further study. First, I argue sociolinguistic approach should be expand to deal utterance as not only representation of social group but also the core containing power relation among social groups. Second, speech act theory, as a study on utterance and context should be redirect to analyse a social situation in which utterance and social context interplays. Third, though text analysis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ideology critique or analysis of narrative form,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it to analyzing textual transformation which content emerges into a certain form. In theoretical issues, consenting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I argues that the concept of practice should be treated as a symbolic struggle in a strong sense, where as the concept constructive as restricted in relation with soci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