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3

        지식생산 자체가 다변화되고 대중화되는 탈경계, 다매체, 탈전통화 그리고 세계화의 시대의 담론은 다양한 학문과 제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지식과 상징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힘이자, 이 시대의 대표적인 개념어다. 담론분석은 말과 사물, 문화와 권력작용, 그리고 제도적 실행이 결합되는 양상과 그러한 결합이 주는 효과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규명하려는 방법론이며, 인간과학의 전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준 ‘언어적’ 그리고 ‘문화적인 전환’을 강조하는 매우 특수한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담론분석이 중시하는 담론의 물질성과 사건성 그리고 권력작용과의 결합은 전통적 의미의 사회분석과 문화비평의 방식을 급격하게 해체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이 테마논문의 목적은 미셀 푸코의 담론개념과 그의 작업을 선택적으로 계승하는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aurse Analilysis)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현 단계 문화연구와 미디어연구 그리고 지식생산의 중요한 화두이자 주묘한 방법론으로 인지되는 담론분석을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다. Discour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cultural criticism and cultural studies. And yet its multidimensional use in different disciplines and genres tend to create some interpretiv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s. This paper aims to present several informed interpretations of what discourse means and does. It will also explore multiple ways discourse and discourse analysis have been adopted and employed in cultural studies and media criticism by focusing and elaborating on Foucault's work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후보

        세대와 세대담론의 문화정치-“신세대”와 “촛불세대”의 주체형성과 특성을 다룬 논의들을 중심으로

        이기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For years, the term, “generation” has been deployed by many scholars, cultural critics, and marketing and advertising specialists, among others, in Korean society. Generation and generation-related concepts and observations have occasionally been produced in the journalistic, popular-cultural and advertising fields, creating a number of generation-related discourses. Put differently, discourses on particular types of generation-for instance, the so-called “4․19” or “386” generation-became quite popular in academic and intellectual work. They served as a way to explain and focus on the role of specific socio-demographic groups who collective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ajor historic events in Korean society. In doing so, many have accepted this use of generation as an analytic concept as well as a popular symbol. At the same time, generation as an analytic category contains a number of problems that are not easy to solve. For instance, among other things, any discourse on the role of a particular generation often contains tendencies to over-generalize and disregard internal differences. From a different angle, series of discourses on the younger generation of Koreans produced by the culture industries often contain many simplistic, formulaic, and market-driven interests. Hence, generation as a concept is greatly contested, despite its explanatory powers. In this contex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use of generation in two cultural discourses: one on the so-called “New Generation”, the other on “Candlelight Generation”. By examining a range of intellectual arguments and observations on these two generational discourses, this article attempts to critically explore the ways these two discursive constructs are presented in the local intellectual fields. In doing so,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alternative ways generation-related studies can be launched. 세대와 세대를 둘러싼 담론들은 사회학에서 언론학, 역사학, 문학, 문화연구 등의 학문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저널리즘과 광고, 마케팅, 그리고 대중문화 등의 영역에서도 주기적으로 등장해왔다. 세대는 한국사회의 급속한 사회문화적인 변동과 탈전통화, 그리고 소비자본주의의 심화와 같은 과정들을 압축적으로 포착하(려)는 키워드 혹은 상징으로 종종 사용되어왔다. 세대담론들 중에는 “4․19세대”나 “386세대” 관련 논의들과 같은 주요한 역사적 사건과 정치적인 지향점을 일정하게 공유하는 집단의 특성을 이들의 역사사회적인 역할과 체험의 공유 그리고 주체성의 측면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작업들이 있다, 또한 “신세대”나 “P세대”, “X세대”와 같은 청년세대의 특징과 이들과 기성세대와의 차이를 주로 문화적인 감성과 습속의 형성 그리고 대안적인 가치의 표출을 중심으로 논하는 작업들은 종종 기성세대와 차별화되는 이 특정세대가 발현하는 감정구조와 행동에 주목하였다. 나아가서 “Web2.0세대”나 “IT세대” 혹은 “N세대” 등의 사례들이 예시하듯이, 정보테크놀로지의 사용과 이를 매개로 한 실천상을 보여주는 청년세대의 특질에 초점을 맞춘 학문적인 작업과 저널리즘과 대중문화가 재현하는 사례들 또한 다수 존재한다. 부연하면 세대담론은 복잡다단한 사회, 문화, 정치적인 차원의 변화상을 포착할 수 있는 느슨하지만 유용한 개념화의 도구로 종종 상당수의 연구자와 비평가 그리고 저널리스트를 포함한 담론생산자들에 의해 채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세대라는 개념 혹은 이론적인 구성물이 갖고 있는 의미의 복수성과 개념적인 유동성, 정의하기의 어려움, 그리고 과도한 일반화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서 세대담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한계를 노출하기도 한다. 세대 관련한 다수의 신조어들과 개념들이 양산되었지만, 동시에 세대의 개념과 세대담론의 명과 암을 정치하게 분석하는 작업들은 아직 상대적으로 희소하다. 이 글은 그간 매우 다기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제기되어 온 세대담론을 기존에 수행된 주요 작업들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특히 1990년대 초반에 등장했던 “신세대”담론과 2000년대에 등장한 “촛불세대” 관련 담론들을 정리․비교함으로써, 향후 진행될 세대 관련 연구와 담론생산에 일정한 방향성과 모색의 지점들을 조심스럽게 제시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본 작업은 그간 주로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천착되어 온 “세대의 정치학”과 인문학 부문에서 시도되어 온 “세대의 문화정치학”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시도 또한 담는다. 이 작업은 “신세대”와 “촛불세대” 관련 담론들의 함의와 이들 담론의 형성에 개입하고 있는 일련의 해석적인 관점과 맥락적인 요인들을 짚어보고, 세대 관련 연구들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일련의 제언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 문화 속의 성(sexuality) 담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성 정치학의 관점에 따른 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김재기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5 No.-

        I. 요즘 들어 성에 관한 담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는 다양한 문화 매체들 속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현대 문화 속의 성 담론을 철학적 고찰의 대상으로 삼고 일종의 예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나는 성 정치학의 시각을 받아들였는데, 그 이유는 성에 대한 전통적(생물학적 또는 형이상학적) 견해들이 지닌 난점을 극복하고 성을 역사적��E��D사회적 구성물로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글이 다루는 ‘성’(sexuality)은 생물학적 의미의 ‘섹스’나 좁은 의미의 성 행위가 아니라, 우리가 ‘성적인 것’(the sexual)으로 이해하고 있는 총체다. 구체적인 논의 자료로는 영화를 선택했다. 영화는 현대 문화를 대표하는 대중적 텍스트 중 하나이며, 영화 속에서 성은 풍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II. ‘성 정치학’은 한 마디로 권력에 의해 구성되는 성의 다의성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이며, 더 나아가 현존하는 권력 투쟁의 장을 넘어서서 우리가 성이라는 이름으로 총칭하는 것, 즉 본능, 욕망, 관계, 관습, 구체적 행위, 그리고 이념들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통찰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 따라 나는 보이지 않는 미시 권력을 작용을 ‘타자의 개입’으로 명명하고, 이를 다시 두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첫째로 나는 먼저 두 편의 성애 영화를 골라, 그 속에서 권력이 어떤 형태로 어떤 담론을 따라 성의 의미를 구성하는지 살펴 본 뒤에, 둘째로 미시 그러한 권력이 관능성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간략히 논하였다. III. 권력이 성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가 선택한 영화는 “감각의 제국”과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다. 두 영화 모두 노골적인 성애 영화이며 사적인 성 관계를 소재로 삼고 있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더구나 두 영화 속에서 성은 평범하거나 아름답게 묘사된 것이 아니라 극단적이고 자기파괴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런 모습의 의미는 보이지 않는 권력의 작용과 연관시킬 때에야 비로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감각의 제국” 속의 성 담론은 쾌락의 담론이지만, 극단적인 새도매저키즘의 양식으로 표현되는 그 쾌락은 사실 권력의 은유이자 환유다. 하지만 그 권력이 유미주의(��D��E��D��E��D��E��D��E)적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권력에 대한 비판과 반성은 약화된다. 반면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속의 성 담론은 부정(��D��E��D��E)의 담론이며, 그 부정은 직접적으로는 부정을 통한 역설적 자아 성찰로, 간접적으로는 숨어 있는 권력에 대한 냉소와 환멸로 형상화된다. IV. 영화 속의 성을 논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주제가 ‘관능성’의 문제다. 시각 이미지의 위력에 의해 좌우되는 관능성은 얼핏 보면 권력의 작용과 무관한 듯하다. 그러나 관능성을 가능하게하는 구조 자체를 분석해 보면 여기서도 권력의 개입이 , 중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관능성은 육체와 시선의 만남을 통해서 형성되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육체 그 자체가 아니라 시선이다. 시선은 일정한 틀에 따라, 일정한 전략에 따라, 코드화된 쾌락에 따라 관능을 생산한다. 흔히 관능성이나 에로티시즘을 남성적 시선(남성적 관음주의)으로 설명하지만, 사실은 남성도 진정한 주체가 아니다.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관능성을 즐기는 남성은 수혜자임이 틀림없지만, 남성 또한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해 조종되는 게임에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에로틱한 영화를 보는 것은 어떤 자아 성찰도 허용하지 않는 수동적 놀이에 지나지 않는다. V. 성은 단순한 호기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 존재 자체와 인간 삶의 조건을 좀 더 깊이 성찰하도록 해 주는 기호학적 지표이며, 이 글 또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만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성 담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은 잘 정돈된 화학식이나 원자 구조같은 어떤 불변의 본질로서 드러나는 게 아니라 사회적��D��F역사적��D��F정치적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축조물, 여러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미로 같은 그물망이다. 현대 문화 속의 수많은 성 담론들은 그 기둥이고 들보이며, 씨줄과 날줄인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이러한 통찰이야말로 성 정치학의 출발점이다. 영화 속의 성애 묘사나 그 묘사를 통해 진술되는 담론들은 권력의 은유이자 환유이며, 또 그러한 권력을 은밀하게 미화하기도 하고 냉소적으로 성찰하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영화 속의 성은 문자 그대로 기호학적 독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면 관능성의 경우에는 사정이 어떠한가? 관능성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권력의 작용은 현실의 성 관계에서 더 거세게 작용하지만, 이 영역에는 우리의 실천의 몫이 남아 있다. 기존 권력에 대해 성찰하고 저항하면서 새로운 성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양식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성에 대한 진지한 영화가 존재한다면 바로 이러한 공간이 그 무대가 될 것이다. 영화에서 순수한 에로티시즘의 미학 같은 것은 존재할 수 없다. 관능적 영상이나 성애의 묘사는 성애의 다양한 의미와 그 속에 작용하는 권력에 대한 성찰과 연결될 때에만 간접적으로 가치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 These days the discourses of sexuality are expanding and exploding, so we can see their concrete appearances in various media. This essay gives attention to this phenomena, makes the discourses of sexuality in the contemporary culture a subject of philosophical study and tries to make an exemplary analysis. For this work I introduce the viewpoint of ‘sexual politics’ because I think it enables for us to surmount the difficulties of the traditional(biological or metaphysical) views on human sexuality and to understand human sexuality as a historical and social construct. Therefore ‘the sexuality’ in this essay is neither the ‘sex’ in biological sense nor the sexual actions or relations in usual sense, but a totality that is composed of what we call ‘the sexual’. I select some films as material for more concrete analysis. I think the film is one of the best popular text in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in the film human sexuality is dealt with very abundantly and diversely. II. ‘Sexual Politics’ is in a word an insight into the ambiguity of human sexuality that is constructed by many micro-powers, moreover an insight into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what we call ‘the sexual’, that is instincts, desires, relations, customs, concrete actions and ideas. From this point of view I name the working of micro-powers ‘the intervention of the Other’ and describe this in two aspects. Firstly, I select two erotic movies and see how the power makes the meaning of human sexuality in what figures and with what discourse in these movies. Secondly, I discuss what role the power plays in making sensuality or eroticism in the film. III. For analysing how the power make the meaning of human sexuality, I select two movies, “In the Realm of the Senses” and “Last tango in Paris”. Both are naked erotic movies and deal with the private sexual relations, but in some sens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political messages. Besides in these movies human sexuality is not described as something plain or beautiful but is expressed as something extreme and self-destroying. I think the real meaning of these aspects can be understood well only in relation to working of the power that we cannot see directly in the screen. The discourse of sexuality in “In the Realm of the Senses” is a kind of discourse of pleasure, but in fact the pleasure expressed in the extreme sadomasochism is a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power. But in this movie the critic or reflection of that power is weakened because it is described as something very esthetic. On the contrary, the discourse of sexuality in “Last tango in Paris” is a kind of discourse of negation. This negation is directly embodied in the self-reflection through self-negation, and indirectly embodied in the cynicism and disillusion at the hidden power. IV. We have to deal with another theme, ‘the sensuality’ when we discuss human sexuality in films. The sensuality much influenced by visual images seems like foreign to working of the power. But if we analyse the structure itself that makes the sensuality, we will find that the intervention of the power is very important here also. The sensuality is made through meeting of the body and the gaze, and it is not the body but the gaze that is important here. The gaze produces the sensuality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ules, the strategies, and the encoded pleasures. It is usually said that the sensuality is made by the gaze(voyeurism) of the men, but in fact the men are not the real subjects. Of course the beneficiaries are the men who can enjoy the sensuality in the patriarchic culture, but they also participate only passively in the game that is controlled by the invisible micro-powers. Therefore to see the erotic movies is nothing but a passive play that doesn't allow any self-reflection. V. The sexuality is not a subject of simple curiosity but a semiotic index that enables us to reflect more deeply upon what the human being is and how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m is. This essay also have some values only if it serves such reflection.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is as follows: Human sexuality cannot be understood as a immutable essence but have to be understood as a intricate construct that is made by many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factors or a complicated network in which many micro-powers interact one another. Many discourses of sexuality in the contemporary culture are pillars and crossbeams of that construct. And the insight into this fact is the beginning point of sexual politics. The descriptions of sexuality in the film or the discourses expressed in those descriptions are metaphors or metonymies of the power. And they sometimes beautify the power in secret or sometimes reflect upon it sarcastically. In this aspect the sexuality in the film need a literal semiotic reading. How is the situation in the case of the sensuality? The influence of the power that make the sensuality works much more strongly in the real sexual relations, but there is something for us to do in this real realm. We have to reflect upon and resist the existing power and we can make the new sexual relations and the new mode of communication. If there are any films that deal with human sexuality sincerely, they must be these ones that deal with these problems. There cannot be any pure aesthetics of eroticism in the film. Because the sensual images and the discriptions of human sexuality will get some values indirectly only if they are connected to the reflections up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sexuality and the power that works in it.

      • KCI등재

        추상과 과잉-중일전쟁기 제국/식민지의 사상연쇄와 담론정치학

        차승기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I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Japan presented the de-nationalistic, de-modem vision to Chinese in order to pass over the wall of anti-Japanese nationalism of Chinese. In other side, Japan assumed a course which make the colonial-Korea as a supply base for the War. The conflicts and gaps of the heterogeneous powers of violence, mobilization, and revolution surrounding Japan, China, and Korea, brought forth a unique site of discourse. Korean converted intellectuals participated in this site of discourse, while forecasting the transition and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in the one hand, and expecting the effect of close adhesion of imperial-colonial relationship. In the first place, Korean converted intellectuals ought to have kept the distance to the future project of Japan (for example, 'the Community of the East-Asia'), because the visions of Japan was presented in face with the resisting China,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vision lacked of the colony problem. A theoretical position which had risen from this characteristic of the site of discourse, was strongly impressed on the strategy of 'abstraction'(徐寅植, 朴致祐). In the other side, the relation of the imperial-colony was stuck to closer in the process of the war. This change stimulated the desires to overcome the colonial discrimination, and these desires turned up the strategy of 'excess' which misread the hegemonical discourse from Japan, against the grain(印貞植, 金明植). The both were inscribed the historic-geopolitical topology of the colony in the position of utterance, and at the same time, were the practical strategies of discourse for changing the imperial/colonial relationship. 중일전쟁기는 일본이 중국의 강력한 항일민족주의의 벽에 부딪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다민족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탈민족주의적탈근대적 비전을 제시하는 한편, 식민지를 병참기지로 배치하면서 제국/식민지 사이의 거리를 억압적으로 밀착시켜가는 시기였다. 일본, 중국, 조선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폭력과 동원과 변혁의 이질적 힘들의 충돌 및 간극은 중일전쟁기 특유의 담론공간을 생성하게 되었다. 특히 조선의 경우 일본의 식민지로서 중국과 일본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전쟁의 추이와 결과를 예측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강화되어가는 제국/식민지 관계의 효과를 예상하는, 상대적으로 비결정적인 담론공간이 생성되고 있었다. 저항하는 중국의 내셔널리즘을 의식하면서 제기된 ‘동아신질서’ 구상 및 ‘동아협동체’론에는 식민지가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그 미래기획 담론의 현실성으로부터 거리를 두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거리가 담론실천에서 ‘추상화’ 전략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식민지 동원을 강화해감으로써 제국/식민지 관계가 보다 억압적으로 밀착되었는데, 이 밀착이 오히려 식민지를 식민지로서 위치지었던 조건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식민지 차별의 극복이라는 욕망을 촉발하였고 그 욕망은 일본에서 발화된 헤게모니 담론을 넘겨짚어 오독하는 ‘과잉’ 전략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추상화’ 전략과 ‘과잉’ 전략은 각각 제국/식민지 관계의 불균등성과 차별성, 그리고 식민지의 역사-지정학적위상을 발화의 입장에 각인한 채, 중일전쟁기에 개시된 담론공간에서 제국/식민지의 관계를 변화시키고자 수행된 담론의 실천전략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추상화’ 전략은 일본의 ‘동아신질서’ 구상의 근본적 한계를 비판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었고, ‘과잉’ 전략은 일본의 헤게모니 담론을 내부로부터 거슬러 읽음으로써 그 기만성과 허위성을 드러낼 수 있었지만, ‘대동아공영권’이라는 보다 분명한 제국주의적 비전이 제시되면서 중일전쟁기의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가능성의 공간은 닫히게 된다.

      • KCI등재

        정치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놀이생태: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손연주(Son, Yeon-Ju),임부연(Lim, Boo-Ye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최근 유아중심ㆍ놀이중심 누리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놀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놀이가 갖는 운동성을 정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놀이는 항상 고정된 기표를 갖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역사에 따른 정치학적 장과 복잡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끊임없이 생동한다. 본 연구는 하나의 놀이라는 단편적 접속이 아닌 맥락적 놀이 계보학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정치학에 따라 움직이는 놀이생태의 흐름을 해석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해석학적 글쓰기이다. 이러한 정치학의 관점에서 철학ㆍ역사적 장의 놀이생태를 먼저 살펴보면 첫째, 소수자의 지위에 선 고대ㆍ근대의 놀이생태가 있었고 여기서는 인간만이 주체로 인식되었다. 둘째, 현대의 놀이 생태는 놀이 그 자체에 주목한 존재론적, 예술적 놀이였으며 셋째, 탈현대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놀이는 놀이하는 인간과 놀이 그 자체, 그 안의 물질과 비물질적 내부작용을 살피는 놀이공동체가 되어간다. 이러한 놀이생태의 계보는 유아교육에 배치될 때 차이화가 이루어진다. 유아교육 장의 놀이생태는 첫째, 유아의 계에 갇힌 고대ㆍ근대의 놀이 판타지이며 둘째, 학습과 발달을 위해 계획된 현대의 놀이생태가 있었다. 이미 도래한 미래의 놀이생태는 분열분석적이고 다양체적 놀이로 공동체를 향해 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놀이가 갖는 생태성에 주목하고, 이러한 흐름이 정치학과 연결되어 있다는 새로운 시선을 던져주었음에 의의가 있다. Interest in plays has recently spread with regard to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Play does not always have fixed signatures, but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political" fiel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s steeped with history, and is constantly a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of play ecology that moves according to "arrangement-poli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play genealogy. Furthermore, the study method is hermeneutical writing. In this study, "arrangement-politics" has a mnemonic meaning of being placed and considering contemporary national politics. Also "arrangement-politics" is has a dynamic and molecular flow. From the viewpoint of arrangement-politics, the ecology of philosophy and historical play is firstly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cology of ancient and modern plays was in the position of being in the minority. Second, modern(contemporary) play ecology is an ontological and artistic play that has focused on the play itself. Third, the play that moves from the postmodern to the future becomes the play community that considers the play’s people and the play together. The genealogy of these play ecologies is differentiated when pla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the play ecology of ancient⋅modern times is a fantasy that applies only to infancy. Second, modern(contemporary) play ecology goes through planning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future play ecology that has already arrived is opening towards the community with multiplicity pl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ecological nature of play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flow is connected with ‘arrangement-politics’.

      • KCI등재

        담론분석이란 무엇인가?: 국제정치학의 경우

        차태서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지역연구 Vol.29 No.1

        This research discusses con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theory and analysis of discourse in International Relations(IR). It asks what discourse analysis is and explores its potential contributions to IR in South Korea. The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it introduces a Foucauldian approach to discourse after the linguistic/ cultural/interpretative turns and identifies the relevant debates that have characterized the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Second, it identifies two distinct types of discourse analysis in IR around which most contributions in this field after the so- called “Third Debate” converge: micro-interactional approaches and macro- structural approaches. Finally, it presents some theore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our IR research with Korean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grand strategy. 국제관계연구는 그동안 주류 접근법들이 부당전제 해온 홉스적 자연상태론과 물리적 힘의 합리 적 계산에만 기초한 가정들을 벗어나, 담론분석을 통해 각 행위자들이 어떠한 상징세계 속에서 상 대방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문화접촉과 변용의 세계사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나 아가 착취와 지배의 집단간 관계를 벗어나 보다 다원적이고 평화적인 타자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추구하는 윤리적 문제도 제기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국제정치 학에서의 담론분석이란 무엇인지, 그것이 우리의 학문에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지 등을 질문하였다. 이에 본론에서는 언어적/문화적/해석적 전환 이후 담론연구의 내용을 특히 푸코주의적 관점에서 소개하면서, 담론분석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을 다뤄 보았다. 다음으로 냉전 종식을 전후해 등장 한 소위 “제3논쟁”을 배경으로 본격적으로 부상한 국제정치학 내에서 담론연구의 현황을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담론분석이 우리의 국제정치연구 에 주는 의미를 이론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으로 나눠 고찰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학생’의 담론적 구성과 포용-배제의 정치학: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 문서를 중심으로

        이수한,소경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represented as beings in need of ‘inclusion’ through policy discours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politics of inclusion-exclusion. To this end, using Foucault’s archaeological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key relevant policy documents, issued from 2006 to 2021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ocus of the analysis is to reveal different discourses that portray ‘multicultural students’ as the objects of inclusion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underlying such disco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discourses: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described as the targets of inclusion because they embody cultural differences that (1) can cause linguistic-cultural and achievement gaps, (2) should be experienced and tolerated by the mainstream, and (3) should be turned into ‘differentiated human capital.’ Within these discourses, multicultural students have emerged as the ‘human kinds’ that are subject to the politics of inclusion-exclusion, in that they have been marginalized as ethno-culturally ‘exceptional’ or ‘other than normal’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thus requiring special programs for inclusion in schools. 본 연구는 국내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 담론 속에서 ‘다문화학생’이 어떻게 포용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재현(혹은 구성)되어 왔는지를 포용-배제의 정치학의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Foucault의 고고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21년까지 교육부 및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발행한 주요 다문화교육 정책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다문화학생’에 대해 어떤 담론들이 형성되어 왔으며, 그러한 담론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맥락적 조건은 무엇인지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연구 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다문화학생은 언어⋅문화적 격차 및 학력 격차의 원인이 되는 문화적 차이를 구현하는 존재, 주류집단에 의해 체험⋅관용되어야 할 차이를 상징하는 존재,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이를 ‘차별화된 인적 자본’으로 전환해야 하는 존재로 재현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문화학생을 둘러싸고 상호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여러 담론들이 공존할 수 있었던 맥락적 조건들이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학생을 여러 방식의 포용 프로그램(격차 해소, 주류집단의 체험⋅수용, 글로벌 인재 양성)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호명하는 동시에, ‘결코 주류집단과 민족적⋅문화적으로 동등해질 수 없는’ 어떤 예외적이고 특수한 타자로 주변화하는 포용-배제의 정치학의 측면을 보여준다. 연구의 함의로는 포용-배제의 문화적 기제가 만들어내는 ‘불평등한 권력 관계’에 주목하게 하는 다문화시민성 함양 측면의 다문화교육이 강조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북한 담론의 역사와 재현의 정치학: 1950~1970년대 북한 담론의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임유경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discourse after the Korean War and explain how the discourse changed over tim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onditions that enabled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discourse and examine the historicity of the North Korean representations. It is meaningful to discuss the historical discourse that formed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Because it makes us question ‘How did North Korea exist in South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What was North Korea that South Koreans saw and heard under the division system which produced numerous prohibitions on representation?’ The North Korean discourse tells the story of actual changes made in the North Korean society, while also showing how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imagined the North. The division has turned everything which could be experienced into a taboo. All sorts of communication have been blocked across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and everything about North Korea has turned into an “untouchable object.” Also, over the past half century, North Korea has had representations such as “the power behind”, “devil”, “virus”, “poverty”, and “mental illness,” and h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evil agent which represents “abnormality.” And these representations have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way South Koreans understand North Korea and imagine the others(North Korea, Zainichi Koreans, Korean Chinese, North Korean refuge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for illuminating North Korea as a discursive formations and a self-reflector of South Korean society. The images we see and imagine up interact with the representational system established in our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 could be limited or extended by these representational schemes. The images and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 and the way it is spoken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cannot be explained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long-standing representation system. Furthermore, In South Korean society, representing North Korea was not limited to the purpose of simply describing “North Korea in itself.” Imagining North Korea could not be performed without the desire of recreating “self” (South Korea). Therefore, the story about North Korea eventually converges to the story of South Korea, in other words, ‘self-narrative.’ Meanwhile, the exceptional agents that crossed the border under the division system(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way they have been portrayed in Korean society need to be noticed. Their presence in itself is an important subject of research, as it reveals the aporia of politics and representation, which has been triggered by two political regimes for many year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 이후 북한 담론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담론이 일정 부분 변환되어가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것을 기술하는 일은 북한 담론의 형성과 변환을 가능하게 한 조건들을 드러내고 북한 재현의 역사성을 사유하는 한 방식이 될 것이다. 한 시대의 인식을 가능하게 했던 특수한 담론들과 무의식적인 장에 관한 논의는 ‘북한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존재했는가’, 다시 말해 서로가 금기이자 흔적으로 존재했던 분단 체제하에서 ‘한국인들이 보고 들었던 북한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북한 담론은 북한사회에서 발생한 실제적인 변화들에 대해 말해주는 동시에, 한국사회가 북한을 어떻게 상상해왔는가를 보여준다. 분단은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해도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할 수 있던 것들을 모두 ‘금기’로 만들어버렸다. 정치, 사회, 문화, 예술 전 분야에 걸쳐 교류와 소통이 차단되었고, 북한에 관한 모든 것이 사실상 ‘만질 수 없는 대상’이 되었다. 또한 지난 반세기에 걸쳐 북한은 배후, 악마, 바이러스, 빈곤, 정신병 등의 용어들을 통해 표현되었고, 점차 어떤 ‘비정상성’을 체현하는 거대 주체로 변화해갔으며 종국적으로는 ‘낡은 것’의 표상이 되어갔다. 그리고 이러한 표상들은 한국인들이 북한을 이해하고 타자(북한, 재일조선인, 중국조선족, 탈북자)를 상상하는 방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북한을 하나의 담론적 구성물이자 남한사회의 자기 반영물로 조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가 보고 떠올리는 이미지는 우리가 속한 사회에서 구축된 재현 체계와 상호 작용한다. 대상에 대한 이해는 이 재현 체계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고 확장될 수도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통용되는 북한의 이미지와 표상들, 그리고 북한을 이야기하는 방식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구성되고 변화해온 재현 체계에 대한 이해를 통하지 않고는 설명될 수 없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북한 재현은 단지 ‘북한 그 자체’를 드러낸다는 목적에 복무하지 않았다. 북한을 재현하는 일은 ‘자기(남한)’를 재현하려는 욕망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북한에 관한 이야기는 궁극적으로 남한에 대한 이야기, 즉 ‘자기 서사’로 귀착되었다. 한편, 분단체제하에서 남북의 경계를 넘나들었던 예외적인 존재인 ‘귀순자’와 그들이 한국사회에서 재현되는 방식은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들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사건들과 그들의 곁에서 발생했던 말과 행위들은 하나의 알레고리로 독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의 존재는 그 자체로 오랜 세월 동안 두 체제가 봉착해 있던 정치와 재현의 아포리아를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빅토리아 시기 월경에 대한 의학담론과 여성의 ‘구성된 몸’

        배혜정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 modern medical discourses with a gender ideology, by analyzing the menstrual discourses in the Victorian medical science. And it explores how a woman’s body was constructed, by tracing the changes of the understanding of menstruation from a physiological phenomenon into a pathological one. While the function of menstruation itself was considered a natural and necessary process until the early modern period, the 19th century medical discourses ‘scientifically’ reconstructed the woman’s body a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a man’s body and more vulnerable to diseases. Through a set of assumptions ‘that a woman’s reproductive function defines her character, position and value, they generalized the perception that the medical control over the woman was necessary, and helped to strengthen the modern gender ideology, ‘that women should be suited to the private sphere, not the public.’ 본 연구는 빅토리아 시기 의학 속 월경담론을 분석하여, 여성의 몸에 대한 ‘과학적’ 권위를 행사하게 된 근대 의학담론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역사적 시각에서 월경이라는 생리적 현상이 병리적 현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시대적 맥락 속에서 여성의 몸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구한다. 오랫동안 월경은 침묵의 대상이자 금기의 표적이었음에도 여성의 몸과 여성성을 설명할 때 가장 결정적인 요소로 여겨졌다. 하지만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여겨진 몸이 실은 다양한 맥락 속에서 구성되어왔듯 월경 또한 역사 속에서 늘 같은 모습이지는 않았다. 근대 초까지 월경혈에 대한 폄하가 분명 존재해 왔어도 월경 기능 자체는 자연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으로 간주된 반면, 진정한 과학의 시대를 연 19세기에는 월경이 병리학적 현상으로 탈바꿈했다. 이는 기능상 남성의 몸에 비해 불완전하다고 본 여성의 몸이 남성과는 질적으로 다른 몸이자 온갖 병에 취약한 몸으로 새로이 ‘과학적으로’ 재구성된 탓이다. 이런 과정 속에서 빅토리아기 월경에 대한 의학담론은 여성의 생리적 특성인 월경이 어떻게 젠더 정치학이 작동하는 무대가 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월경을 통해 여성의 몸과 마음의 불안정성 및 열등성을 과학적으로 개념화한 의학담론은 여성을 비정상적이고 무기력한 존재로 규정했다. 그 결과, 의학의 지속적인 개입과 감독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편화했음은 물론이고, ‘여성은 공적 영역보다 사적 영역에 적합하다’는 근대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영속시키는 데도 기여했다.

      • KCI등재

        대통령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정치학: 텍스트 마이닝과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2003-2021)

        최종환(Choi, Jong Hwa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을 활용한 대통령의 통치 기획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번영을 이룸과 동시에,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오래된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하지만, 2021년 현재 한국전쟁을 종결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는 부재한 상황이다. 전쟁의 지속은 결국 한 사회의 냉전 기획이 내면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이를 학술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활용해 한국전쟁을 둘러싼 담론의 거시적 맥락과 세부 전략을 살폈다. 분석 자료는 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이다. 분석결과, 대통령들은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전쟁을 재차 발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설문에는 식민지와 전쟁, 분단, 산업화, 민주화로 이어지는 ‘성공 서사’를 통한 국가적 자부심이 담겨 있었다. 이러한 담론 전략은 국가 간 외교 행위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쟁은 그 자체로 아픔과 불안을 양산하지만, 대통령은 이를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닌 국민 단결과 선전의 도구로 활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자는 한국전쟁을 평화롭게 종결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residen’s government planning utilizing the Korean War. While achieving world-clas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rosperity, South Korea is fighting the oldest war since World War II. However, there is no social discussion to officially end the Korean War as of 2021. The continuation of the war means that the Cold War planning of a society has been internalized. To review this academically, the researcher used text mining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examine the macro-context and detailed strategies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Korean War. The data analyzed are speeches of Presidents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and Moon Jae-in.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presidents rekindled the Korean War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the regime. The speeches reflected national pride through a ‘success narrative’ from colonization, war, division, and industrialization to democratization. This discourse strategy appeared similarly in Korea’s diplomatic activities with other countries. War itself produces pain and anxiety, bu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esident used it as a tool for national unity and propaganda rather than a task to be overcome. The researcher raises the need for a future-oriented discourse to end the Korean War peace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