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낭선종 혹은 선종연관 병변의 조직 병리학적 분석

        이승호 ( Seung Ho Lee ),이달식 ( Dal Sik Lee ),유일영 ( Il Young You ),전원중 ( Won Joong Jeon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최재운 ( Jae Woon Choi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2

        목적: 담낭 선종에서 암종으로 진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한 검체에서 담낭 선종과 선종 연관병변의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847예의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담낭 선종 26예, 상피내암 9예, 침윤성 선암 28예를 포함한 63예의 담낭 절제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명의 병리 의사가 선종과 선종의 바탕 위에 국소적인 악성화 혹은 선암에서 발견되는 선종 잔류조직 등 선종 연관 병변을 조사하였다. 담낭 선종은 형태학적으로 관형, 관유두형, 유두형으로 분류하고, 구성하는 표피세포에 따라 담상피, 위상피화생, 장상피화생으로 분류하였다. 양성 선종과 암성 선종에서 환자의 나이와 병변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담낭 절제술에서 선종 연관병변은 1.8%에서 발견되었다. 상피내암 9예와 침윤성 암종 28예 중에서 선종 연관 병변은 각각 7예, 1예가 있었다. 선종에 동반된 암종 8예는 모두 고분화암이었고, 단일 병변이었다. 암성 선종은 양성 선종에 비하여 종양의 장경이 컸고(1.8 cm 대 0.9 cm, p=0.01), 환자들의 나이가 많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57세 대 47세, p=0.09). 선종을 구성하는 상피 세포 및 형태학적 분류에 따라 양성 선종 혹은 암성선종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담낭 선종에서 악성 변화를 보인 선종은 23.5%였다. 결론: 담낭 선종은 드문 질환이나 악성화 진행은 자주 발견되었다. 암성 선종은 상피내암이 많고, 고분화암이며, 단일 병변이었다. 담낭 선종은 전암성 병변으로 담낭 선종-선암 연속은 담낭암 병인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In order to determine the malignant potential of gallbladder adenoma for progression to carcinoma, we evaluated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on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Methods: Among 1,847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63 specimens from 26 benign adenomas, 9 carcinomas in situ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were selected. A pathologist reviewed all specimens and selected benign adenomas, CIS in the adenoma, and adenoma residue in invasive carcinomas. Adenomas and adenoma- related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rphology (tubular, tubulopapillary, and papillary) and the consisting epithelium (biliary, pyloric metaplasia, and intestinal metaplasia). The age and the size of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also compared. Results: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were found in 34 out (1.8%) of all resected gallbladder. Among 9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adenoma-related lesions were detected in 7 and 1 case, respectively. All eight carcinomas arising in the adenoma were well-differentiated solitary tumors. The diameters of the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larger than that of the benign adenomas (1.8 cm vs. 0.9 cm, p=0.01). The patients with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older than those with benign adenoma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57 years vs. 47 years, p=0.09). The morphology and consisting epithelium did not differ between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red in 23.5% of adenomas. Conclusions: Gallbladder adenoma is a rare disease, although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s frequently. Adenoma is a precancerous lesion and the adenoma-carcinoma sequence is one of the gallbladder cancer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 119-126)

      • KCI등재

        총간관 관상 선종과 동반한 조기 담낭암 1예

        최준호,이태훈,박상흠,심윤숙,이창균,이석호,김선주,조현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6

        Biliary adenoma is rarely found in the biliary tract, and there are currently few reported cases of tubular adenoma. Biliary adenoma most often occurs on the duodenal ampulla and the next most common site is on the common bile duct. Because the clinical signs, symptoms and the laboratory findings of these lesions may be similar to malignant biliary disease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nign biliary adenoma from malignancy. Therefore, the diagnosis of these tumors tends to be delayed and physicians usually make the pathologic confirmation after a surgical opera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tubular adenoma of the common hepatic duct and gallbladder carcinoma, and all this was diagnosed and treated with common hepatic duct resection and a Roux-en-Y hepaticojejunostomy oper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iliary tubular adenoma accompanied with gallbladder carcinoma arising from tubulovillous adenoma. 간외 담도의 양성 종양은 약 6% 정도로 악성 종양에 비해 드물고, 주로 총담관 유두종, 융모성 선종 등으로 여러 차례 보고 되었으나 관상 선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매우 드물어 국내에서는 1예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유두종에서 병발된 선암 등이 보고된 예는 있으나 동시성으로 담낭 선암과 담도 관상선종이 보고된 예는 없었다. 총담관 양성 종양은 임상 증상과 검사 소견이 담석이나 악성 종양에 의한 폐쇄성 담도 질환과 비슷하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치료는 내시경적 진단 및 치료한 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악성화 가능성 때문에 가능한 수술을 통한 치료가 원칙이다. 저자들은 총간관 종양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조직검사에서 선종이 의심되었으나 영상 검사에서 담낭의 용종성 병변이 동반되어 근치적 수술을 시행함으로서 총간관 관상 선종에 동반한 조기 담낭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