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렬법을 이용한 범주형 자료의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

        주영신,장승민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2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has been widely used to analyze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factor models. Traditionally, in order to conclude that measurement equivalence exists, it is necessary to have evidence that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parameters, such as factor loadings are completely identical, with no differences across target groups or measurement occasions. However, when the number of groups is large, these conditions can become overly stringent or impractical.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is a relaxed form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proposed to practically examine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many groups. Alignment is a widely used procedure for analyzing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and has been used to compare measurement models with continuous indicator between many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of test scores across ages reflecting developmental changes in psychological attributes has been mainly conducted by comparing two or three small age groups using multiple-group CFA. However,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ages,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can be applied to ages that are divided into a large number of age groups.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idea, necessity, and analytical model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and illustrates the analysis of the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of psychological tests over time using the alignment method. In particular, we discussed the conceptu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 invariance and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for factor models with categorical data, and introduced the analytical proces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for 26 age groups of K-MMSE test scores, a test for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using multiple-group CFA and the alignment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versus traditional measurement invariance were explained, and discussions related to analysis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with categorical data were summarized. 요인모형을 이용한 측정동일성 분석에는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측정동일성이 성립한다고 결론을 내리기 위해 비교 집단이나 시점 사이에 요인구조와 측정모수가 차이가 없이 완전히 동일하다는 근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집단의 수가 많은 경우 이와 같은 조건은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비현실적이 되기도 한다. 근사 측정동일성(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은 비교 집단의 개수가 많을 때 이들 사이의 측정동일성을 현실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제안된 완화된 형태의 측정동일성을 의미한다.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는 주요 절차인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의 정렬법은 주로 연속형 측정변수에 대한 요인모형을 다수 국가 간에 비교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반면 연령에 따른 측정동일성의 분석은 주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둘 또는 셋으로 구분된 연령 집단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측정동일성의 분석에도 연령 집단을 세분한 다수의 연령 집단에 대해 근사측정동일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사 측정동일성의 개념과 필요성, 분석 모형에 대해 논의하고 정렬법을 이용하여 심리검사의 연령에 따른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하였다. 특히 범주형 자료에 대한 측정동일성 및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에서의 개념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으며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정렬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검사인 K-MMSE 검사점수의 26개 연령 집단에 대한 측정동일성 및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측정동일성과 비교하여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범주형 자료의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과 관련된 논의사항들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LSRP) 비교문화연구 : 한국과 미국의 일반인 및 수감자를 대상으로

        박소향,서종한 한국보호관찰학회 2023 보호관찰 Vol.23 No.2

        본 연구는 비교문화관점을 바탕으로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에 대한 타 당화 연구를 실시하여 문화권에 따른 LSRP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두 국가의 일반인 및 수감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측정동일 성 검증을 통해 LSRP가 사이코패시 측정도구로써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탐 색하였다. 그리고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한국과 미국에서 나타나는 하위요인 간의 차 이점을 확인하였고,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 집단에서는 형태동일성과 부분측정단위동일성이 확립되었으며, 수감자 집단에서는 형태동일성과 측정단위동일성이 확립되었다. 잠재평균분석결과, 표본의 집단과 관계없이 이기주의 요인과 냉담성 요인은 한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사회성 요인은 한국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 기능문항을 탐색한 결과, 이기주의 요인과 반사회성 요인의 일부 문항이 차별기능문 항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냉담성 요인에서는 차별기능문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관점을 바탕으로 LSRP를 타당화함으로써, LSRP의 측정 동일성을 검증한 국내 첫 번째 연구로써 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SRP according to culture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based on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To this end, data on the general public and inmates in two countri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used. Through measurement equivalence, we explored whether LSRP can be commonly used as a psychopathic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appear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as confirmed through the latent mean analysis,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tems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function items. As a result, configural invariance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were established in the general public group, and configural invariance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were established in the inmates group. As a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gocentricity and callous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 regardless of the group of samples. However, the antisocial fact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Korea.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items of egocentricity and antisocial were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but there were no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in the callousness factor.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verify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LSRP by validating LSRP through cross-cultural point of view.

      • KCI등재

        The Impact of Unequal Sample Sizes on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정혜원(Hyewon Chung),Jiseon Kim, Ryoungsun Park, 이금호(Keumho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4

        이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불균형 표본크기와 비정규분 범주화 자료가 구인 동등성 측정을 위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범주의 개수, 전체 표본의 수, 불균형 표본 비율, 비정규분포의 수준의 조건들이 고려되었다. 또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추정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maximum likelihood(ML)와 weighted least squares mean and variance adjusted(WLSMV), 두 추정 방법이 사용되었다. 모의실험 결과 상대편의 Relative Bias 와 표준오차는 불균형 표본 형태와 비정규분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대편의와 표준오차에 영향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WLSMV 추정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ML에 비해, 적은 상대편의를 나타냈다. This simulation study examines how unequal sample sizes and non-normally distributed categorical data affect factor loading parameter estimates in detecting a lack of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G-CFA).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examined: number of score categories, total sample size, sample size ratio, and degree of non-normality. Two estimation procedures were used to test the accuracy of MG-CFA model estimation: maximum likelihood (ML) and weighted least squares mean and variance adjusted (WLSMV). The relative bias of parameter estimates and standard error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sample size ratios and degree of non-normality between the groups. As the total sample size increased, the relative biases tended to function independently of those factors. In general, use of WLSMV estimation resulted in less bias as compared to ML estimation.

      • KCI등재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박혜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scal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Park and Won (2010) and turned out to be one factor composed of nine items. Based on that result, more comprehensive items that reflec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ifferent parts of Korea. Validation processes were based on Messick’s (1989) ideas of content-, construct-, generalizabil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es were based on exploratory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t-test.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five factors and these results were revalidated using two subsamples. To find out whether the scale can work for both gender groups in the same wa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cause the scale satisfied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intercept invariance assumptions, different scores on the scale can be compared meaningfully across the two groups. This can serve as more evidence of generalizability of the scal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also tested. The correlations and mean differences in the five scales, however, were not so great. This might be due to the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riterion variable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five factors indicates that students’ level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varies depending on the areas. The utilization of the scale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 수용성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있다. 기존 연구(박혜숙, 원미순,2010)에서 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1요인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를 기반으로 인지(n=14), 정의(n=12), 행동(n=13)을 나타내는 39개의 문항으로 확대 개발하고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Messick(1989)의 내용관련, 구인관련, 일반화관련, 그리고 준거관련 타당도 개념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그리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 5개 요인을 발견하고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확증하였다. 두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교차타당화를 실시한 결과도 유사하였다. 또한 남녀에게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구조 불변성, 측정 불변성, 절편 불변성 가정을 각각 만족하였고, 두 그룹점수 비교가 의미 있게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일반화가능성의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준거관련 타당도는 한 달 평균 독서량, 본인이 지각한 외국어 수준, 외국인 친구유무, 해외방문경험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관관계의 크기는 크지 않았고, 친구유무, 방문경험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 요인과의 평균차이도 크지 않았다. 이는 준거변인의 선정 및 척도의 특징과도 관련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5요인으로 구성된 다문화 수용성 척도는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수준은 영역(내용)에 따라 다르다는 것도 보여준다. 다문화 수용성 척도 사용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고용준비 특성: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비 발달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동일(Kim, Dongil),신재현(Shin, Jaehyun),최서현(Choi, Seohyeon),송주석(Song, Jusu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과 비 발달장애인의 고용준비 특성을 비교하고 발달장애인의 전환 및 고용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최근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변화와 새로운 고용서비스 판정 기준 필요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장애인 고용서비스 판정 도구를 활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두 집단 간 평균 차이 분석과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항별 평균 차이 분석결과 신체 영역에서는 발달장애 집단의 수행이 더 높았지만, 인지, 사회관계의 모든 문항, 그리고 자기관리의 다수의 문항에서는 발달장애 집단이 비 발달장애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여주었다. 다집단 확인적 결론: 이러한 결과는 추후 타당화 시 발달장애에 대한 별도의 규준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가 발달장애인의 전환 및 고용에 시사하는 바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 동등성 가정부터 성립되지 않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readiness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compared to those of people with non-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We utilized the items of ‘the classification instrument for the employment servic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examine the mean differences and the metric invaria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n independent t-test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in cognitive, social-relations, and most of the self-management items, but lower in physical factor items.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figural model’s model fit was adequate: however, other models including the factor loading invariance, latent factor covariance invariance, and measurement error invariance model demonstrated significantly worse fi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eparate criterion is need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Bayley-Ⅲ 검사를 사용한 남녀 영유아 적응행동 비교 연구

        김호정,방희정 한국발달지원학회 2016 발달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를 사용하여 한국 영유아 남녀 집단의 적응행동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충청,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15일부터 42개월 15일까지의 영유아 1091명의 주양육자이다.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가 남녀 집단간 동등하게 기능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측정 원점에 대한 측정동등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1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원점이 두 집단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집단의 적응행동 잠재 평균비교 결과, 두 집단간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 척도를 국내에 적용하는데 있어 남녀 집단간 심리측정적 동등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질 및 성격 검사(TCI)의 구인동등성 분석 및 잠재평균분석

        이금호 ( Keum Ho Lee ),정혜원 ( Hye Won Ch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본 연구는 한국판 기질 및 성격 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청소년용 검사의 구인동등성을 검증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기질과 성격특성 비교연구에 있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잠재평균 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총 574명으로 2010년 과학고등학교 학생 212명과 일반고등학교 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남학생은 345명, 여학생은 229명이었다. 연구결과, TCI의 기질척도와 성격척도의 형태동일성, 부분측정동일성이 검증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성격척도는 측정동일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판 TCI 청소년용 검사의 구인타당도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잠재평균분석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극추구, 사회적 민감성, 자기 초월이 낮게 나타났으며, 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자극추구, 위험회피는 낮고 자율성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Korean Version using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between male and female, between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CI operates with seven dimensions of personality traits: four temperaments and three characters. Data included 212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36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ale was 345, female was 229. Given the partial metric invariance was hold, the current study suppor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junior TCI-Korean Version. Next, latent means analysis is performed to test latent mean differences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construct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latent means analysis, male show statistically lower mean in Novelty Seeking(NS), Reward Dependence(RD), and Self-Transcendence(ST) than female. And science gifted students show statistically lower mean NS and Harm Avoidance(HA) than general students. Howeve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show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Self-Directedness(SD), of character.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 측정동등성 및 잠재평균분석: 단위학교 별 비교

        유인화(Inhwa Yoo),최수미(Sumi Choi),김동일(Dongil Kim),선우미현(Mihyun Sunwoo),조아영(Ahyoung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학교 현장에서 선별하기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사용했을 때,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교사들이 단위 학교별로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만약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사 1,103명을 대상으로 재직 중에 지도하였던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떠올린 후 그들의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단위학교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 453명, 중등 238명, 고등 287명의 교사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차원 중 관계적 차원을 제외하고 모두 측정동등성이 지지되었고, 측정동등성이 위배된 관계적영역은 정렬법을 이용하여 부분측정동등성을 확보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으로 학습과 인지적인 면을 높게 인식한 반면 고등학교 급에서는 정서․행동적 차원을 높게 인식하여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만 학습자의 단위학교 급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이 다르게 인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렬법을 통해 관계적 영역의 요인평균을 비교한 결과 차별문항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단위학교 급 별 관계적 영역의 문항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선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척도의 활용과 연구에 있어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Teacher’s Scale used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showed an equivalent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is scale is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e check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s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as per the Teacher’s Scale across school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1,1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work all over the country,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Teachers were encouraged to think about the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they taught in class and were asked to evaluate learne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all, 97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453 elementary, 238 middle, and 287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surement invariance was supported in all 3 domains except for the relational domain. Therefore, latent means of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and the daily life and environmental domain could be compared, whil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using the alignment method.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learn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Third, th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with factor means through the alignment method, resulting in different modes of functioning being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he learner ha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relational domain of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re-adjustment of the questions for adolesc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영과잉 자료의 측정동일성 검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2-부분 요인분석 모형의 적용과 비교

        김미림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3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GCFA) is a common tool for testing factorial invariance within structural eqaution modeling (SEM) framework; however, a two-part factor model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zero-inflated measures due to the severe non-normality of the data. Nevertheless, testing the factorial invariance of zero-inflated variables using the two-part factor model is uncommon. To fill that gap in the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e use of two-part factor model for testing factorial invariance of highly zero-inflated measures and compared the result to the MGCFA’s. The two models led to different factorial invariance results on the zero-inflated measures. The two-part factor model supported full scalar invariance of the continuous-part model whereas the MGCFA concluded only partial metric invariance. Thus, applying a different factor model brought different conclusions about factorial invariance when the measures were zero-inf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