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장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언어ㆍ다중문화시대에 교사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교사 실행공동체(a community of practice)의 가능성을 주장하며, 실제로 실행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와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8명의 현직교사이며, 약 10개월간 정기적인 줌 미팅과 상시적인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의도적 표집과 맥락적 자료수집 등)을 활용하였으나 사전ㆍ사후 설문을 통해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행공동체를 통한 교사들의 변화를 요약하면, 첫째, 생소한 영역이었던 다중언어주의 및 다중언어교육에 대해 지식적인 이해 및 인식 확장, 둘째, 이주배경 학생의 언어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언어 및 언어교육 전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다중언어교육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로의 전환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중언어 교사교육을 위한 실행공동체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신념을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서 실행공동체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 환경의 이해와 간접 경험의 기회로서 실행공동체이다. 셋째, 지속적인 배움과 토론을 통해 지식과 이론적 이해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가능케하는 실행공동체이다. 이 연구에서 시간과 지속성의 한계, 참여자들의 서로 다른 환경으로 인한 협력적 문제해결의 제한과 동료코칭의 한계 등의 어려움을 발견하였으나 이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실행공동체 구축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in chang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Eight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regular and irregular online meetings for about ten months. This study adopted main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ut conducted pre- and post-surveys to report the teachers’ perceptions as a group.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oP, the teachers were fou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unfamiliar’ topic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learning about theories and concepts; to re-think migrant students’ language use; and, to gain new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proactive attitudes towards plurilingual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P showed potentials for plur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that it served as: a safe space to share teachers’ uncertain beliefs; an opportunity for indirect experiences of language divers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a drive to develop pedagogical professionalism in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he constraints of the CoP were difficulties in sustainable learning due to limited time, hesitation in critical peer coaching,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due to the participants’ different teaching contexts.

      • KCI등재

        Expérimentation de deux outils pour l'éveil au plurilinguisme :le Portfolio et l'entretien bio-langagier

        윤소영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4 No.-

        본 연구는 지난 십여 년 간 공식적으로 유럽 언어 교육의 핵심이 되어오고 있는 「다중언어주의․다중문화주의plurilinguisme et pluriculturalisme」를 교육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시킬 수 있는가 하는 논의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학습경로parcours d'apprentissage」를 비롯한 「개인인생경로parcours individuel」 속에 존재하는 다중언어적․다중문화적 요소에 대한 학습자 스스로의 자각이 모든 다중언어적․다중문화적 접근에 기반을 둔 언어교육의 시발점이라는 입장을 취하면서, 현재 프랑스 언어․문화 교육학 분야에서 활발히 실험연구 되어지고 있는 「언어자서전biographie langagière」적 도구인 「유럽언어포트폴리오Portfolio européen des langues」와 「언어자서전적 면담entretien bio-langagier」에 특히 주목한다. 한 학기 동안 포트폴리오와 언어자서전적 면담 활동에 동시에 참여한 학습자들로부터 얻어진 피드백 코퍼스의 분석을 통하여 이 두 활동이 언어 학습자들에게 있어 어떤 방식으로 「다중언어주의적 자각éveil au plurilinguisme」을 촉진할 수 있게 하였는지를 상세히 기술해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두 활동을 실험해 본 학습자들에 의하면, 포트폴리오의 경우, 자신의 언어학습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해 주는 언어학습전략에 관한 질문에 답하는 활동과, 자신의 언어능력수준을 유럽 차원의 표준화된 「언어능력 수준척도échelle de niveau de compétences en langues」를 참고하여 「자기평가auto-évaluation」 해보는 활동을 특히 유의미한 활동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언어자서전적 면담은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 선택이 어떤 동기에 의해 유발된 것인지, 자신을 둘러싼 여러 다양한 언어와 자신과의 관계는 어떠한 것인지 등, 보다 넓은 의미에서 자기자신을 더 잘 알게끔 해 주고,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언어목록을 보다 총체적이고 복합적으로 이해하게끔 해 주는 데 각별히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이 두 언어자서전적 도구가 실제로 학습자의 「경로parcours」 속에 존재하는 다중언어적․다중문화적 요소를 자각케 하는 데 실질적이고도 상호보충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졌다.

      • KCI등재

        교사 실행공동체의 다중언어 수업 개발 및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장은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3 다문화교육연구 Vol.16 No.2

        The question, ‘how to deal with language issues in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era of transnational mobility?’ initiated this study. This case-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plurilingualism based on CEFR in Korean classrooms through examining in-service teachers’ experimental plurilingual cla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ight teachers who attended online meetings through zoom and Google classroom as a ‘community of practice’ over a year. The eight plurilingual classes developed by the teachers had five common characteristics: convergence of language and cultural elements,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ent-centered activities, subject-based plurilingual education, and use of multimodal materials and technology. It was also fou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plurilingualism, the developed plurilingual classes aimed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languages through experiencing diverse languages; to develop their plurilingual comprehension; to build on their plurilingual repertoire; to build on their pluricultural repertoire; and to raise their critical awareness of power issues in langua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rved as a space for teachers not only to learn about plurilingualism but also to design plurilingual classes and see how it actually works in their own classrooms. 이 연구는 초국적 이주의 시대에 한국 공교육에서 언어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교사들의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개발하고 적용한 다중언어 수업 사례들을 탐구함으로써 한국 교실 현장에 맥락화된 다중언어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연구참여자는 8인의 교사이며 약 1년에 걸친 실행공동체 모임에 참여했다. 교사 발화와 교수안, 활동지, 사전․사후 성찰 등의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교수안의 전반적인 특성과 다중언어주의적 성취목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다중언어교육의 실현이 어렵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개발하고 적용한 다중언어 수업은 공통적으로 5가지 특성(언어와 문화 요소의 융합, 다문화교육적 내용 요소의 통합, 학생 중심 교수 내용 및 방법 활용, 교과교육과 다중언어교육의 융합, 다중양식의 수업자료 및 테크놀러지 활용)을 보여주었다. 한편, 다중언어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언어다양성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다중언어적 이해’, ‘다중언어적 레퍼토리 구축’, ‘다중문화적 레퍼토리 구축’, ‘언어권력에 대한 비판적 인식함양’‘이라는 수업의 기대목표를 발견하였고, 각 항목은 개별 교사와 수업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교사들이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생각과 배움을 나누는 기회이자, 토론과 협력을 통해 다중언어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마련하고 실제 교실 적용까지 수행하였던 실천적 공간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프랑스 고등교육에서의「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 CECR 개념화로부터 실제 교육현장 적용까지

        윤소영 ( So Young Yu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공통참조기준 Cadre europeen commun de reference pour les langues (이하CECR)」에서 유럽 공동 언어정책의 핵심원리로서 제시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가 프랑스 고등교육의 경우 실제 언어교육현장에서 과연 얼마만큼 충실히, 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살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CECR에서 정의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의 개념을 특히 「다언어주의 multilinguisme」와 구별하여 검토해 본 뒤, 최근 프랑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고등교육개혁이 특정 두 기관-「국립동양학대학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이하INALCO)」과 보르도 3대학-의 언어교육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본다. 이어, 프랑스에서 진행 중인 고등교육 관련 개혁이 언어교육에 있어 다중언어주의적 교수법을 보다 자연스럽게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인 여건을 마련해 주고 있음을 첫째, 기관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언어의 수, 둘째, 활성화되는 교환 학생 프로그램, 셋째, 새로운 학제의 도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끝으로 INALCO의 「외국어로서의 불어교육 Didactique du Francais Langue Etrangere」분야에서 최근에 신설된 한 석사과정 수업의 예를 통하여 다중언어주의 개념이 CECR의 이론적 논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의 실제 언어교육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되어지는 실천원리임을 밝혀 보인다.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와 프랑스의 언어정책:

        전지혜(Jihye CHUN)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0 No.83

        Le dialogue interculturel, conçu comme un échange où chacun s’enrichit par la connaissance de l’autre, concerne directement le plurilinguisme. En France, les langues régionales et les langues des migrants coexistent, depuis longtemps, avec le français. Pourtant, la Constitution qui précise que “la langue de la République est le français” et l’idéologie de la République “une et indivisible” sont des obstacles majeurs pour reconnaître, d’une manière officielle, la coexistence de plusieurs langues de Franc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la Charte européenne des langues régionales ou minoritaires n’est pas encore ratifiée, malgré plus de 20 ans d’efforts. Qui plus est, les langues des migrants ne sont pas bien reconnues au nom de l’assimilation républicaine. Pour envisager une direction convenable à cette réalité, nous avons examiné les politiques linguistiques actuelles de deux organisations. D’une part, la Délégation générale à la langue française et aux langues de France intègre la politique du plurilinguisme, plus activement depuis 2013, dans les sections de la culture, des médias, et de l’éducation. Mais cela s’effectue dans le maintien de l’idéologie républicaine, ce qui est contradictoire comme direction. La pratique culturelle des individus en langues régionales continue à travers la musique, la littérature, les médias etc., tandis que la méthodologie de l’éducation comme immersion linguistique n’a pas été réussie à cause du principe de la loi, notamment de la loi de Toubon. De plus, le Ministère de l’Education n’a pas eu la volonté de continuer le programme d’Enseignement des langues et des cultures d’origine sous prétexte du nombre trop faible d’apprenants. D’autre part, l’Agence de la langue française pour la cohésion sociale, créée le 1er janvier 2017, juste après l’attentat de novembre 2015, poursuit le vivre-ensemble avec les migrants à travers la politique du “français pour tous”. Pourtant, l’intégration sociale par la langue française implique la politique d’assimilation, ce qui signifie que les langues des migrants sont devenues secondaires. Ainsi, les tentatives administratives pour le plurilinguisme et l’interaction des cultures n’ont pas rencontré de succès, principalement en raison du principe de la loi et des préjugés envers les cultures des migrants. Mais c’est seulement récemment que l’administration a commencé à se montrer active et que le discours du plurilinguisme a commencé à se répandre en France, et on sait que le changement n’est pas immédiat. Par conséquent, afin d’incarner la politique du plurilinguisme et de réaliser le dialogue interculturel, l’idée de la République “une et indivisible” et la protection de la langue française devraient être reconsidérées, en acceptant que les cultures ne sont plus immuables, mais dynamiques et interactives.

      • KCI등재

        다중언어주의 기반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담론

        지현숙 ( Jee Hyunsuk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2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의 이데올로기, 변화된 의사소통 방식, 언어 경관 등을 반영하여 한국어 말하기 시험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중언어주의의 개념을 고찰하고 언어 평가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으며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연구사 검토와 현황을 조사하여 비판적 관점으로 기술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는 다중적 문해력, 상호작용 전략, 레퍼토리의 크기, 창발성이 구인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시험 과업은 복수의 말하기 수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맥락과 가치가 내재되어야 하고 스토리텔링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며 대화 참여자의 수행 변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다중언어시대의 언어 경관을 반영하여 광고물, 기호, 표지판, SNS 콘텐츠 등이 시험입력물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중언어시대의 사회적 단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타당한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시론적으로 개진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plores how to change the Korean speaking test to reflect the plurilingualism, the change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anguage landscape. To this end, the concept of plurilingualism and the relevance of language assess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state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was investiga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s are established: First, the Korean learners’ speaking test should be reconsidered as multiple literacy, interaction strategy, size of repertoire, and emergence. Second, the task of speaking test should include various contexts and values to be able to carry out multiple spoken words. Storytelling task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of dialogue participa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dvertisements, symbols, signs, SNS contents should be used as test prompt reflecting the language landscape of the pluri-lingual era.

      • KCI등재

        다중언어적 공간을 향하여: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대한 비판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나타난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특히 모레티의 세계문학 ‘공간’으로의 이행에서 강조되는 단일언어주의에 반대하여 다중언어적 세계문학 공간을 제안한다.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라는 새로운 비평적 읽기 방법은 미국 학계 내 논란이 될 만큼 파격적이었고 세계문학론의 전환점을 가져올 만큼 획기적이었으나 이제는 세계문학론의 다양한 비평 방법론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로 들어온 모레티의 이론은 디지털 인문학, 양적 연구, 인문과학의 성행과 더불어 학계의 주류적 연구로 간주된다. 이런 현실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된 한계 역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을 그리는 모레티에게 중요한 것은 불균등한 세계문학 공간을 ‘설명’하는 것이다. 세계문학론에는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불평등이 지속되는 논리를 비판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움직임도 필요하다. 가야트리스피박의 ‘행성성’과 에밀리 앱터의 ‘번역불가능성’ 개념은 모레티의 반대편에서 전 지구화의 동일성으로 점철된 세계가 아닌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들이 다중언어주의를 통해 ‘문학 내 세계’를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면, 프란체스카오르시니의 대안적 관점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한 단일언어주의를 비판하는 한편, ‘다중언어적 로컬’과 ‘의미있는 지리’라는 개념을 주장함으로써 ‘세계 내 문학’과 ‘문학 내 세계’의 관계를 풀고 또 엮으며 세계를 만들어간다. 오르시니의 세계문학에 관한 주장은 수많은 독립적인 로컬적 문학 공간을 활성화함으로써 위계적인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참조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을 종적 다양성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재위치시키고 세계문학을 보다 풍성하게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deavors to undertake a critical examination of Franco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elucidating its limitations, and subsequently proposing an alternative approach. Specifically, it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ingual world literary framework as a counterpoint to the monolingualism emphasized within Moretti’s conception of a world literary ‘space.’ While Moretti’s pioneering “distant reading” method once sparked controversy and marked a transformative juncture in the field of world literatur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t has since evolved into one among several critical methodologies in the discipline. In Korea, conversely, Moretti’s theory has attained mainstream recognition within academic research. This prevalence, coinciding with the ascent of digital humanities,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ay inadvertently lead to a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inherent limitations withi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For Moretti, who draws inspiration from Immanuel Wallerstein’s world system theory to conceptualize the world literary space, the paramount objective is to ‘explain’ the complexities of ‘one and unequal’ global literary landscape. However, world literature theory should not only seek to ‘explain’ the unevenness within the world literature space but also engage in a critical analysis of the mechanisms perpetuating these inequalities, ultimately striving to effect change. In this regard, Gayatri Spivak’s notion of ‘planetarity’ and Emily Aptor’s concept of ‘untranslatability’ offer valuable insights, enabling us to envision a multilingual world distinct from the homogeneity often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While their focus centers on exploring the presence of the ‘world in literature,’ Francesca Orsini’s alternative perspective offers a critique of the inherent monolingualism within Moretti’s theory while advocating for the adoption of the concepts of ‘multilingual local’ and ‘significant geographies’ to unravel and elucid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in the world’ and the ‘world in literature.’ Orsini’s argument may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critically engaging with hierarchical center-periphery dynamics by empowering numerous independent local voices. This approach can enable us to repositio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as one of the available methodologies, paving the way for a more nuanced and enriched understanding of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영어교사교육자들의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성찰 : 공동문화기술지 연구

        김회경(Hoe Kyeung Kim),조현희(Hyunhee Ch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는 두 교사교육자의 공동문화기술지 연구를 통해 단일언어주의와 다중언어주의를 둘러싼 상충적인 문제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저널쓰기를 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의 이해를 재구축하고 기존 인식의 변화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맥락에서 적절한 영어 교수 접근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와 교사교육자들이 지배적인 단일언어주의를 인식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공동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은 참여자가 기존의 원어민중심주의에 대한 문제점을 재인식하고, 각자의 환경에 맞는 성찰을 하며, 영어교사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연구결과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explored conflicting language ideologies between monolingualism and multilingualism through two teacher educators’ duoethnography. Through this study, the two researchers re-constructed the understanding of multilingualism and experienced a change in perception. Two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need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criticize the dominant monolingualism to develop an approach of teaching English appropriate in the Korean context. Second, duoethnographic study gave th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problems of existing native speakerism, reflect on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reconstruct their identity as English teacher educators and grow through them. The research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Le plurilinguisme dans l’enseignement supérieur en France - la mise en œuvre des recommandations du CECR

        윤소영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공통참조기준 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pour les langues (이하CECR)」에서 유럽 공동 언어정책의 핵심원리로서 제시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가 프랑스 고등교육의 경우 실제 언어교육현장에서 과연 얼마만큼 충실히, 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살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CECR에서 정의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의 개념을 특히 「다언어주의 multilinguisme」와 구별하여 검토해 본 뒤, 최근 프랑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고등교육개혁이 특정 두 기관-「국립동양학대학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이하INALCO)」과 보르도 3대학-의 언어교육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본다. 이어, 프랑스에서 진행 중인 고등교육 관련 개혁이 언어교육에 있어 다중언어주의적 교수법을 보다 자연스럽게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인 여건을 마련해 주고 있음을 첫째, 기관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언어의 수, 둘째, 활성화되는 교환학생 프로그램, 셋째, 새로운 학제의 도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끝으로 INALCO의 「외국어로서의 불어교육 Didactique du Français Langue Etrangère」분야에서 최근에 신설된 한 석사과정 수업의 예를 통하여 다중언어주의 개념이 CECR의 이론적 논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의 실제 언어교육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되어지는 실천원리임을 밝혀 보인다.

      • KCI등재

        방송에 나타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 간 상호작용 전략의 사용 양상

        황선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3

        Korean non-native speakers(KNNS) will find their way through communication in a multilingual society like Korea using Korean or English as a contact language. Korean native speakers(KNS) will also try to understand KNNS utterance by employing their language resources to infer or other available methods to continue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looks into the types of interaction strategies between KNS and KNNS to continue conversations in contacts by analyzing eight different Korean TV shows(58 episodes). The types of interaction strategies were inductively collected from transcription data of TV shows based on prior researches, then re-categorized depending on “the abundancy of language resources.” Under abundant language resources, common strategies include “Relying on the meaning” and “Relying on the conversation participant.” Under insufficient language resources, the strategies can be re-divid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n the speaker needs to deliver a message, or when the speaker did not understand the message from conversation participant. The strategies in trying to deliver a message are categorized as “utilizing common language resource,” “utilizing non-common language resource,” and “utilizing nonverbal resource.” The strategies in trying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message are categorized into “let-it-pass” and “negotiating the meanings.” Studying the conversation cases of each interaction strategies, the question “Should speaking accurate Korean be essential to a successful interaction?” answers itself “No.” Language is constantly changing by those who use it, and Korean speakers constantly change Korean. So far as Korean speakers are not limited to its natives, the KNNS within the community will contribute to the dynamics and diversit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tries to propose a paradigm-shift from the former perspective of monolingualism to multilingualism, and suggest Korea’s facets as a multilingual society. The core of this study lies in trying to understand the utterance of KNNS as an effort towards a successful interaction using each speaker’s available language resource, rather than an object of correction or deficiency. 한국이라는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한국어 비모어 화자들은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해도 접촉 언어인 한국어와 영어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해 나간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도 비모어 화자의 발화와 대화할 때 그들의 발화를 이해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언어적 자원을 활용해 추론하거나 자신이 가진 자원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발화하면서 의사소통을 이어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가 상호작용을 하는 접촉의 상황에서 어떠한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여 대화를 이어가는지, 여덟 종류의 TV 방송 프로그램(총 58편)을 통해 살펴보았다. 상호작용 전략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유형을 수정하고, 방송 프로그램 전사 자료를 통해 귀납적으로 수집하여 분석의 기준을 ‘언어적 자원의 풍부함’으로 새롭게 설정하였다. 언어 자원이 충분한 상황에 나타나는 전략으로는 ‘의미에 따라 언어 선택하기’와 ‘대화상대자에 따라 언어 선택하기’로 세분하였다. 언어 자원이 불충분한 경우의 전략은 크게 언어적 자원의 부족함이 있지만 대화상대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상황과 대화상대자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할 때 활용하는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상황은 화자가 활용하는 언어 자원에 따라 ‘공용어 자원 활용하기, 비공용어 자원 활용하기, 비언어적 자원 활용하기’ 전략으로 분류하였고, 상대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의 전략은 ‘넘어가기’와 ‘의미 협상하기’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의 전략에 해당하는 대화 상황을 사례별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들은 ‘정확한 한국어를 사용해야만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것인가’와 같은 질문에 ‘그렇지 않다’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는 언어 사용자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해 가며,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국어를 변화시킨다. 한국어 사용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만 국한되지 않는 현 사회에서 다양한 언어권의 한국어 사용자들은 한국어에 역동성과 다양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언어주의적 관점에서 다중언어주의로의 관점의 전환을 제안하고, 다중언어사회로서의 한국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를 교정의 대상이나 결핍이 있는 것으로 보던 시선을 각각의 다양한 화자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자원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모습으로 보고자 하는 데 돌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