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르노 그룹(Renault S.A.)의 성장전략 : 다이아몬드 모델과 ABCD 모델을 기반으로

        정대훈(Dae-Hoon, Jeong),박상현(Sang-Hyeon, Park)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5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 시대 도래로 사회 전반에 걸쳐 파괴적인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점에 주목, 자동차 산업의 대표적인 기업인 르노 그룹의 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거 내연기관 차량 중심 체제에서 자율주행, 친환경 자동차로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음에 따라, 해당 현안을 바탕으로 르노 그룹이 발전해 나갈 기업 성장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먼저 자동차 산업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르노 그룹이 성장 가능하였던 경쟁우위들을 요인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분석에 기초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들을 바탕으로 르노그룹이 성장해 나갈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ABCD 모델을 적용하여 기업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preading innovation follow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Renault Co., Ltd. which is a primary automobile enterprise in France. Especially, as the car industry has been changing its aim to the eco-friendly cars from the engine cars, this study presented a growth direction of Renault Co., Lt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car industry and the growth background of Renault Co., Ltd. and then analyzes the previous competitive advantage of Renault Co., Ltd. In addition, we analyze the competitive advantage factor of Renault Co., Ltd. based on Diamond model of Porter(1990) and apply the ABCD model to present strategic direction going forward.

      • KCI등재

        일반화된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글로벌 물류기업의 경쟁력 분석 -범한판토스, DHL, 일본통운을 중심으로-

        윤종일 ( Jong Il Yoon ),김용진 ( Yong Jin Kim ) 한국물류학회 2013 물류학회지 Vol.23 No.5

        본 논문은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발전시킨 ‘일반화된 더블다이아몬드모델’을 이용하여 글로벌 물류전문기업인 DHL, 일본통운과 한국의 범한판토스의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 DHL, 일본통운, 범한판토스 순서로 앞선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한판토스의 경쟁력은 국제적 측면의 해외진출 네트워크수를 포함한 요소요인(Factor Condition)과 주거래 기업수(포춘 글로벌 500내)를 포함한 수요요인(demand Condition)이 외국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열세로 나타났다. 따라서 범한판토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1)해외 네트 워크의 확대 2)ICT와 물류와의 융합으로 질적인 성장 3)낮은 브랜드 이미지 향상 4)국내 3PL 활용비중의 제고가 무엇보다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paper, the evolution of Porter`s diamond model, ‘generalized double diamond model’ is applied to analyze global logistics companies` competitiveness of DHL, Nippon Express and Korean Pantos.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Pantos shows weakness in the international aspects of the network elements and number of main customer companies (within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as the demand factor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Pantos 1)The expansion of overseas networks 2)Convergence of ICT and Logistics and qualitative growth 3)A low brand image improvement 4) Increase the proportion of domestic 3PL utilization than what is needed.

      • KCI등재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한 스마트쉘터 서비스 디자인 요소 도출

        유아현 ( Ahyeon Yu ),조운대 ( Un-dae Cho ),하은영 ( Eunyeoung Ha ),김별 ( Byeol Kim ),조광수 ( Kwang 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연구배경 고도화된 산업화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노출된 현대인들은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활 속에서 해소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스마트쉘터라는 새로운 개념의 힐링 공간인 신제품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개발 및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다양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가운데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하는데 유용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에 근거하여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4단계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 방법론들을 적용하여 스마트쉘터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쉘터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으며, 현대인을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쉘터의 스타일 전략, 시스템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쉘터의 프로젝트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한 결과, 사용자인 현대인 중심의 현실적인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유용하였다. 신제품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 도출에 있어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활용의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향후 미래 제품의 서비스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Regarding the modern people who have been exposed to stress due to advanced industrialization, the interests in health and healing have been heightened. And their desire for intending to relieve the stress within life has been heightening. According to such a periodic need, it is intended to develop and formulate a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new product, which is the healing space of the new concept of the 'Smart Shelter'. Methods Among the divers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by being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that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that is centered on the user, by applying the design methodologies that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 of phase 4 of the double diamond process, it is intended to arrive at a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Smart Shelter. Result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the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Smart Shelter could be formulated. And the diverse services that consider the modern people, the style strategy for the Smart Shelter for materializing these, and the specific results regarding the system strategy had been arrived at. Conclusion As a result of having applied suitably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ject of the Smart Shelter by applying the double diamond model, it had been useful in arriving at a realistic service idea that is centered on the modern people, who are the users. With regard to the drawing of a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new product,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proven.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intention to contribute by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for the product in the future.

      •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

        정상희,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8 벤처혁신연구 Vol.1 No.1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king a big change for our company like the tsunami. The CPS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gital age, is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in the physical domain and is making business that was not imagined in the past through digit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business mode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rends and the issues of business innovation theory research. Then, the business innovation model of the digital age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period. Based on this, we have searched for a business model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existing business models have many difficulties to explain the model of the digital era. Even though more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is most suitable for four cases of business models by applying them. Type A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 is a model that pa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asis of customer performance. Type B Value Chain Digitalization model provides products and services to customers with faster and lower cost by digitalizing products, services and SCM. Type C Digital Platform is the model that brings the biggest ripple effect. It is a model that can secure profitability by creating new market by creat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igital platform. Finally, Type D Sharing Resources is a model for building a competitive advantage model by collaborating with partners in related industries. Th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plement each ot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ir core competencies. Even though numerous Unicorn companies have differentiated digital competitiveness with many digital technologies in their respective industr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pieces to be liste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business model of the digital age through more specific empirical analysis. In addition, since digital business models may be different in each industry,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dustries. 4차 산업혁명이 쓰나미와 같이 우리 기업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디지털시대로 대변되는 CPS시스템은 물리적인 영역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비즈니스를 현실로 만들어 내고 있 다. 이로 인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혁신 이론 연구의 흐름을 시대별 흐름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이전 시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였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들로 는 디지털 시대의 모형을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보다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하겠지만 마 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가장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응용하여 4가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여 해 당 사례를 살펴보았다. Type A :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로 고객 성과 창출 기반에 따라 차등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이며, Type B : Value Chain Digitalization로 제품, 서비스 및 SCM 디지털화로 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 서비스 를 고객에 제공함으로 경쟁우위를 가지는 모델이며, Type C : Digital Platform는 가장 큰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는 모델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공유 경제 창출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더 확실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Type D : Sharing Resources는 관련 산업 내 파트너와 협업으로 경쟁 우위 모델 구축하는 모델로 다른 파트너의 핵심 역량과 자신의 핵심 역량을 서로 보완하는 가장 효과적인 성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수의 요소 기술과 수많은 유니콘, 데카콘 기업들이 자신들이 속해 있는 산업별 차별적 디지털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표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 분석하여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 보다는 단편적으로 나열함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더 구체적인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모델을 더욱더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산업별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산업간 비교분석을 해볼 필요 역시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성락천,김소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1950년 앨런 튜링은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튜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컴퓨터와 인공지능 연구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으며,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 방향성과 목표가 새롭게 정립되었다. 하지만 초기 개발 단계의 인공지능 기술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전 세계적 확산과 대량의 데이터 축적, 알고리즘의 개선으로 인공지능 기술은 실제 적용이 가능한 형태로 급격히 발전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Double Diamond Model)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AI-Generated Content, AIGC)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의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 범위와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공간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가치 창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IGC와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에 관한 문헌조사와 AIGC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실험으로 수행한다. 먼저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AIGC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AIGC 기술, AIGC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주요 AIGC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특징,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AIGC 애플리케이션의 발전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AIGC 기술을 적용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기반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AIGC 기술은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첫째, 디자인 개념 도출 단계에서 AIGC 기술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개념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다양한 이미지 생성을 통해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선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실행 단계에서 AIGC 기술은 스케치의 렌더링 이미지 변환과 설계도면의 심화, 수정, 재설계를 효율적으로 지원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실행을 원활하게 하였다. (결론) AIGC 기술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디자이너들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서 AIGC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AIGC 기술은 디자인 분야에서 더 많은 연구와 응용이 기대되는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1950, Alan Turing conducted the Turing Test to discern whether machines could exhibit intelligence, marking a fundamental shift in compute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establishing new directions and goals for the field. However, ear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aced practical limitations due to technical constraints.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massive data accumulation, and algorithmic advancements have propell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o a form readily applicable in real-world scenario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I-Generated Content (AIGC)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a design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scope and potential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thereby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creating valu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Method)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on AIGC and the Double Diamond Model and performs experiments on spatial design processes using AIGC technology. Firstly, to analyz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IGC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proce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AIGC technology and related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functions, features, and development status of key AIGC applications. Finally, by understanding the Double Diamond Model spatial design process and applying AIGC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spatial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Results) AIGC technology has demonstrated its usefulness in various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Firstly, in the design concept generation stage, AIGC technology provided inspiration to designers and facilitated visualizing concepts by transforming text into images. Secondly, through diverse image generation, designers were able to quickly visualize and select various design ideas. Finally, in the design execution stage, AIGC technology efficiently supported rendering image conversions of sketches and deepening, modifying, and redesigning design drawings, thereby facilitating the execution of the design process. (Conclusions) AIGC technology has been confirmed as a useful tool for performing design processes more efficiently and supporting designers in developing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s. Moreover,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IGC technology in the design field and presents avenues for its active integration into future design processes. Therefore, AIGC technology is identified as a technology with promising prospects for more research and applications in the design field.

      •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에 근거한 한국과 미국 영화의 경쟁력 분석 - ‘왕의 남자’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중심으로 -

        정진섭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08 專門經營人硏究 Vol.11 No.2

        최근 한국에서는 관객 1000만을 돌파하는 영화들이 속출하고, 영화의 작품성에 있어서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 영화로서 ‘왕의 남자’와 미국의 대표 영화로서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종합적인 경쟁력을 평가해 보았다. 종합적 경쟁력 비교를 위해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발전시킨 일반화된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영화의 경쟁우위 강화를 위한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이아몬드 모델"을 바탕으로 한 티베트 문화산업 경쟁력 연구 분석

        라안성(Luo, Yancheng),윤준성(Yoon, Joons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최근 몇 년간 티베트 문화산업 발전 성장률은 중국 평균을 웃도는 15%에 머물며 티베트 경제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바탕으로 티베트 문화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관광을 선도 산업으로 민족적 특성을 지닌 전통산업 혁신과 고도화를 제안한다. 티베트의 "일대일로"를 국가 전반의 경제발전 패턴으로 통합하는 등 티베트 문화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대응책과 건의사항 등이 제시됐다. 비록 티베트의 문화산업이 최근 몇 년간 빠르게 발전했지만, 티베트는 여전히 중국의 다른 지방과 지역들에 비해 훨씬 뒤쳐져 있다. 최근 "12차 5년 국가문화개혁발전계획 개요"와 "12차 5년 문화산업 증식계획"이 공포되면서 티베트 문화산업 발전의 역사적 계기가 마련됐다. 티베트의 문화산업 현황에 대한 SWOT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전략개발을 위한 대응책과 제언 등을 제시했다. 티베트의 문화 산업의 발전은 자원 이점을 충분히 발휘하고, 그것의 병목 현상을 돌파하고, 역사적인 기회를 포착하고, 고급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개발하며, 독특한 문화 브랜드의 창조적 발전의 길을 택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growth rate of the development of Tibet"s cultural industry has remained at 15%, exceeding the national average, and has become a new engine for Tibet"s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this, based on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it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ibet’s cultural industry, and proposes to transform and upgrade traditional industries with ethnic characteristics, with tourism as the leading industry,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ibet"s cultural industry, such as integrating the country’s “One Belt, One Road” into the country’s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pattern. Although Tibet"s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it is still far behind other provinces and regions in China. The recent promulgation of the "Outline of the National Cultural Reform and Development Plan in the Twelfth Five-Year Period" and the "Plan for the Multiplication of Cultural Industries in the "Twelfth Five-Year" Period of the Ministry of Culture" have brought a rare historical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in Tibet. Combining the conditions of Tibet, based on SWOT analysis of the status quo of Tibet"s cultural industry and put forward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rategic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ibet"s cultural industry must give full play to its resource advantages, break through its own bottlenecks, seize historical opportunities, cultivate and develop high-end creative talents, and take the path of creative development of distinctive cultural brands.

      • KCI등재후보

        분기형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서윤정 ( Seo Yoon-jung ),이철기 ( Lee Choul-ki ),이상수 ( Lee Sang-soo ),윤일수 ( Yun Ilsoo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7 교통안전연구 Vol.36 No.-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고속화도로의 건설이 증대되면서 기존 도로와의 원활한 연결 및 접속을 위한 인터체인지의 설계가 교통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결정하고 있다. 도시부에서는 교통소통을 위하여 입체 형태의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기존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는 인접한 두 개의 평면교차로가 수반됨에 따라 교통용량 감소 및 교통의 연속성을 저하하여 운영 및 안전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의 한계를 보완한 대안 교차로로서 최근 미국에서 그 효과를 인정하고 설치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분기형 다이아몬드교차로(Diverging Diamond Interchange, 이하 DDI)의 개념과 설계기법을 소개하였으며, 미시교통시뮬레이션 모형인 VISSIM과 Surrogate Safety Assesment Model(SSAM)을 활용하여 국내 운영 중인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를 대상으로 DDI 적용에 따른 이동 및 안전상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of high speed roads has been increased in Korea, the design of the interchange for smooth connection with existing roads has produced the important influence on the traffic operation. In the urban area, the three-dimensional diamond interchange is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oder to improve the mobility. However, the traditional diamond interchange may reduce traffic capacity and reduce traffic safety because it needs two adjacent at-grade interse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iamond Interchange, this study effort was initiat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iverging Diamond Interchange(DDI), which is recognized as a alternative intersection against the conventional diamond interchange in USA. In addition, the effects of DDI on the mobility and safety in Korea was verified using the VISSIM and SSAM model in depth.

      • KCI등재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에 관한 실증연구 : 다이아몬드 모델과 9-팩터 모델을 중심으로

        최수형(Su-Heyong Choi),조영상(Young-Sang Jo)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경쟁우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와의 면담을 실시한 후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및 조동성의 9-팩터 모델을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에 근거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조선해양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가격, 기술, 비가격, 인적자원, 정부정책 등의 독립변수가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의 종속변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격경쟁력, 기술경쟁력, 비가격경쟁력, 인적자원경쟁력, 정부정책이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에 지역클러스터 정책 및 산학연정책이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mpetitive edges of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ies of Korea. Based on Porter"s Diamond Model and 9-factors model, the factors of competitive edges of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orean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workers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price, technology, non-price factors, human resources and government policy on the dependent variable or the competitive edge of the Korean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The results are that the Korean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had comparative edge in terms of price, technology, non-price factors, human resources and government policy. Also, it was founded that the Korean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was not properly supported by regional cluster policies and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Last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제품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제안

        하은영 ( Eunyeoung Ha ),유아현 ( A Hyeon Yu ),김별 ( Byeol Kim ),조광수 ( Kwang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제품디자인의 역할이 확장됨에 따라 변화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맞춰 제품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디자인 프로세스와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융합하여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재구성한다. 둘째, 재구성한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제품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3개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한 후 문제점을 찾아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다. 셋째, 유·무형의 디자인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의 3STP 방법론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정보의 양을 기준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의 Discover와 Define단계 그리고 디자인 프로세스의 Planning, Research, Strategy 단계는 활동 영역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트리플 다이아몬드 모델의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더불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 내용을 디자인으로 유형화하여 전달하기 위해 3STP를 방법론을 제안한다. 결론 3번의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재구성하고 그에 따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실증적으로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Background As the role of product designs expanded, a new product design process is being proposed to educate students majoring in product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design paradigm. Method First, the product design process is re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design process and double diamond model. Second, after applying the reconstructed product design process to three design projects for students majoring in product design, issues are verified to complete an editing and supplementation process. Third, a 3STP methodology is proposed to effectively convey the values and contents that the tangible or intangible design outcomes according to the new product design process intends to convey to users. Results In terms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differences in activity fields were found in the Discover and Define stages of the double diamond model and the Planning, Research and Strategy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Therefore, the triple diamond model process is proposed. Furthermore, the 3STP is proposed as a methodology to categorize the values and contents to be delivered to users as design and to deliver it.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tructed the product design process through three project case studies and presented methodologies accordingly, thus holding empirical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