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불교의 다비의식 설행연구 - 성철․법정․고우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인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19

        다비의식은 전통적으로 승가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컸다. 현대 한국불교의 상장례, 즉 다비의식 또한 특정 종교의례를 떠나 전승되는 한국문화의 죽음의례 차원에서도 일반인들의 큰 관심을 끈다. 특히 사회적으로 존경받던 큰스님들의 죽음을 대하는 사부대중들은 그/그녀의 다비의식에 직접 참관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큰스님들의 ‘전통적’ 다비의식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보아도 그 의식들마다 서로 다르게 설행되는 것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그야말로 전통의 전승에 있어서 무엇이, 왜, 그렇게 의례화되고 있는지를 학술적으로 탐색해 볼 만하다고 본다. 본 논고는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설행되었던 다비의식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위와 같은 문제제기가 갖는 현대적 의미를 다비의식의 문화콘텐츠적 시각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본문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에 주안점을 두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불교 다비의식의 정의와 유래, 그리고 그것의 불교철학적 의미를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이 의식을 한국불교의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조선 중 후기 이래 제작된 의문[의식문]를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은 현대 다비의식의 원류를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보았다. 본문의 3장에서는 20세기와 21세기 한국불교계에서 큰 족적을 남긴 성철스님, 법정스님 그리고 최근의 고우스님의 다비의식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문화유산과 현대의 문화콘텐츠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실제 다비의식의 사례를 문화콘텐츠적으로 접근할 경우, 다비의식 설행과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되는 지점에 대한 이해를 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전통 다비의식의 보존과 현대적 다비의식의 고민을 담아 향후 불교 다비의식 문화콘텐츠 연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도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여긴다.

      • KCI등재

        만엽 여행가 연구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6

        오늘날 우리들에게 여행이란, 답답한 일상을 벗어나 새로움을 재충전하거나 기분전환을 위해 국・내외로 자유롭게 떠나는 자발적이고도 능동적인 행위이자 창조적인 행위로 인식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과 달리 교통을 비롯해, 열악한 환경 속에 살았던 만엽시대 사람들은 여행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그들이 체험한 여행을 어떻게 시적서정으로 형상화하였는가를 만엽집의 노래를 통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만엽시대는 인류 역사의 발달과정을 보면, 주거지를 옮기면서 생활하던 오랜 수렵・채집의 시대를 지나, 정주생활을 하게 되는 농경시대다. 그러나, 농경시대의 여행은 국가 등의 공권력에 의해서 비일상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만엽시대는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의 전개와 더불어, 관인들의 지방부임, 서민들의 조・용・조 납입을 위한 도・농간의 왕래도 빈번하게 행해지고, 사절단의 해외여행이 행해지던 시대였다. 만엽시대 사람들은 여행을 「다비: 旅」라고 했다. 훈 가나(訓假名)인 「旅, 客, 去家, 羈」를 통해서, 여행의 의미를 알 수 있다. 「去家」의 용자에 의하면, 「다비」는 집(家)을 기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다비는 「자기 집을 떠나, 말을 타고 떠돌거나, 다른 곳에서 머무는 나그네 길」이다. 하지만, 일반백성의 여행은 대부분 걸어야하는 도보여행이고, 말을 이용하는 「羈」의 여행은 일정한 관리이상의 여행에 국한된 것으로 생각된다. 천황의 명령에 의한 다비는 강제적이기에, 「천황의 명령이 지엄하기에」라고 하는 상투적인 표현이 등장한다. 이 「천황의 명령이 지엄하기에」는 지방관으로 파견되는 관인의 심정, 당나라와 신라로 파견되는 견당사와 견신라사인들의 심정, 강제 부역에 동원된 노동자의 심정, 강제로 동원되는 사키모리(防人)들의 심정 등을 노래하는 여행가에 사용되고 있다. 성덕태자의 전설가에서는 여행을 「客」으로, 여행자 즉 나그네를 「旅人」으로 표기하고, 「다비(たび)」와 「다비토(たびと)」라고 읽었다. 이 「客」은 집을 떠난 상태 즉, 「나그네 길」을 의미한다. 특히 집에서는 사랑하는 아내의 팔을 베개 삼아 공침(共寢)하지만, 여행은 「사랑하는 아내의 팔베개를 할 수 없는 나그네 길」이다. 태자의 전설가에는 성덕태자와 나그네가 등장한다. 태자는 출유 중이고, 고향을 떠나와 길가에 쓰러져 죽은 나그네는 여행 중이었다. 태자는 스이코천황(推古天皇) 하에 섭정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천황과 같은 통치자 반열에 있다. 그러므로, 태자는 지방(國)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고, 천하를 다스리는 천황과 같은 통치자이기 때문에, 야마토를 넘어 다른 지방으로 출유를 해도 이를 여행으로는 볼 수 없고, 통치행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태자의 출유에는 고통스럽고 힘든 분위기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軍王의 견산작가(見山作歌)를 비롯해, 만엽집의 행행 종가가(行幸從駕歌)에서 보듯이, 천황의 행행에는 가인(歌人)들이 따르고, 토지랑 천황을 찬미하는 노래를 만드는 것이 통상적이다. 견산작가는 실질적으로 다비라고 하는 詩語를 사용한 萬葉 최초의 旅行歌라고 하는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천황이 야마토를 떠나 다른 지방으로 출타하는 통치행위를 행행이라 하고, 그 행행에 종가하는 신하의 출타를 다비라고 노래하고 있다. 그 구성은 「집(家)」 와 「여행(旅)」이 대비하고 있는 여중비가(旅中悲歌)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지방관으로 떠나보내고 고향에 남은 사람들은 그의 무사귀환을 위하여, 침상에 齊瓮을 꽂는 주술과 임지의 지신(地神)에게 기원하는 풍속을 엿볼 수 있다. 관인의 노래임에서도 다비의 마쿠라코토바인 구사마쿠라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인들의 여행도 일반 백성 못지않게 힘들고 고달픈 여행인 것을 엿볼 수 있다. 筑前의 国守인 야마노 우에노 오쿠라(山上憶良)는 05/0880歌에서 皇都를 떠나 오랜 시골생활에 황도의 풍류를 잊었다고 노래하고, 05/0882歌에서는 자신을 돌봐준 상사에게 황도로 불려줄 것을 간청하는 맘을 노래하고 있다. 「柹本朝臣人麻呂見香具山屍悲慟作歌一首(03/0426歌)」에도 행로사인(行路死人)을 보고 노래를 부른 「가키노 모토노 아소미노 히토마로(柹本朝臣人麻呂)」의 관인으로서의 여행과, 노래 속에 등장하는 행로사인의 여행이 있다. 관인으로서의 가키노 모토노 아소미 히토마로는 행로사인들이 쓰러져 있는 그곳을 무사히 통과하기 위하여 통과의례로서 행로사인가를 부른 것으로 보아, 관인들의 여행도 행로사인 못지않게 고달프고 힘든 여행이었던 것이다. 일본만가(05/0794)에도 세 개의 여행이 있다. 천황의 지엄한 명을 받고 쓰쿠시 지방을 다스리기 위한 다자이후에 온 남편의 여행과, 사랑하는 남편을 찾아온 아내의 여행이다. 그리고, 집을 떠나가 버린 아내의 죽음이라고 하는 여행이 있다. 농사를 짓기 위하여 집을 나와 겪는 고달픈 생활도 힘들고 고된 여행과 같다. 만엽시대의 사람들을 비롯해 수많은 고대인들이 어명을 수행과 생존을 위한 농사일을 위하여 열악한 환경 속에서 얼마나 시달렸던가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釋門家禮抄』茶毘作法節次에 나타난 無常戒에 대한 小考

        태경(이선이)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우리나라 다비법 연구는 임진왜란 이전의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18세기 이후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상장례가 정착된 현재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고려시대의 다비법을 파악하기에는 어렵다. 응지의 『오삼란야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또는 오삼집)은 간경도감(刊經都監)의 판각한 목록에 보이는 조선시대의 다비법이다. 『오삼집』은 950년경에 편집되었으며, 다비법에 관한 준비물과 절차를 설명한다. 특히 조선시대 사찰의 장례법을 기술한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는 이 『오삼집』을 기준으로 삼는다. 다비하기 전에 亡者에게 무상계를 수계함으로서, 다비법이 수행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석문가례초』의 무상계는 한국불교의 상례인 다비의 연원과 절차를 연구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된다. 임진왜란 이후 사회 변화를 적극 수용하려는 불교의 자세는 대중화를 이끌고, 불교의 부흥기를 맞는다. 그리고 의례의 정비는 의식에서 불교적인 요소를 강화한다. 비록 중국의 문헌을 저본으로 삼았지만, 절차와 내용에는 무상계와 같이 한국적인 요소를 수행체계로 받아들이며, 한국적인 염불형식도 함께한다. 무상계에는 한국 선종의 수행체계를 바탕으로 염불법, 참선의 선지 등이 함께 들어 있다. 한국불교의 요소가 녹아 있는 무상계를 바르게 알고 수계의식을 진행하는 것이 바른 다비법이라고 생각한다.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studies on the Jhāpeti rite of this country is restricted to the era of after 18th century due to the lack of materials in existence published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trend of studies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ettled Jhāpeti rite of present day but is difficult to grasp the ceremonies of Koryo dynasty. Osamranyasinhakbiyong(『五杉練若新學備用』, Osamjip in short) by Eungji is a literature of Jhāpeti rite in Chosun dynasty which title is shown on wood engraved catalogue published by Gangyungdogam(刊經都監). Osamjip was edited in A.D.950 which explains the preparations and processes of Jhāpeti rite. Seokmungaryecho(釋門家禮抄) which describes the funeral rites of Buddhist temple in Chosun dynasty has its foundation on Osamjip, which rite organizes Buddhist practice system by conferring Impermanent Precept to deceased person before carrying out Jhāpeti rite. The Impermanent Precept of Sungkmoongarecho provides a standard of study in researching the origin and processes of Jhāpeti rite as a funeral ceremony of Korean Buddhism.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 it was Buddhist order's attitude to accept constructively the social changes so that it attempts the popularization of order so that it consequently faced the restoration of Buddhism. The reorganization of Buddhist rites was to enrich the resources of Buddhist factors in those funeral rites. Although those attempts were based on Chinese materials, it shows the Koreans unique factors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ose rites, which accept Impermanent Precept as a way of Buddhist practice and also accept the Korean style of chanting Buddhas. Impermanent Precept maintains the foundation of practice system of Korean Seon along with Chanting Buddha's rite and promoting the spirit of practicing Seon. So it is thought that the right way of carrying out Jhāpeti rite is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execute the spirit of Precept Rite.

      • KCI등재

        『五杉練若新學備用』이 다비법 『釋門喪儀抄』성립에 미친 영향

        이선이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9

        2006년 고마자와대학에서 발견된 간경도감본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출현은 답보상태에 있던 다비법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오삼난야신학비용』은 상권은 일부 낙질이 있고 하권은 가의 일반의례를 담고 있다. 중권은 동아시아 불교상장례의 시원을 담은 내용으로 편집되어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고에서 중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속례를 따르던 불교의 상례를 수방비니(隨方毗尼)에 따라 새로이 만들었으며, 오복(五服)은 법의(法衣)의 뜻을 따라 오삼(五衫)이라고 한다. 감구효당(龕柩孝堂)은 자체불(自體佛)을 밝히는 일향일등(一香一燈)을 시설하고, 사리(śarīra)인 골신(骨身)의 전신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조위문(吊慰文)은 슬픈 마음과 비통한 용모를 지켜야하고 그 마음을 하얀 종이 위에 글로서 나타내야한다. 제문(祭文)은 죽은 이를 위한 글로서 반드시 고제(告祭)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과 내용은 『석문상의초』상하권에 반영되었다. 특히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저술 의도는 『석문상의초』서문에 반영되고, 이후에 조선시대의 다비법 성립에 영향을 끼친다. 불교상장례의 의미와 절차는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상례에 『석씨요람』의 장례법을 통합하여 『석문상의초』라는 다비의례서로 완성하게 된다. 다비를 한 후에 탑을 세우는 것은 원적(圓寂)을 이룬 상징이며 깨달음의 한 종류이다. 『석문상의초』에서 상례와 장례를 하나로 묶는 편집은 한국불교다비법의 원형을 만들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비 후에 사리를 탑에 안치하는 것은 불교적 삶의 완성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불서를 만들던 간경도감에서 다비법의 원형인 『오삼난야신학비용』을 판각하여 제작․보급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To date, the study of the jhāpeti is small. 『Osamnanyasinhakbiyoung』 was found in the Gumamodo University in 2006, research has gained a new opportunity. The '연약(練若)' of 『Osamyunyaksinhakbiyoung(오삼연약신학비용)』 is an abbreviation of araṇya should be unified in『Osamnanyasinhakbiyoung(五衫練若新學備用)』. The second volume contains the following information. Since the Buddhist ritual of ordinary people, this made according to fit the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隨方毗尼). Obok(五服) is called according to the meaning Osam(五衫) of dressed standard. Gamguhyodangdo is to install one incense and one lanterns to illuminate their own buddha, is where enshrines the relics(śarīra). Back to the article, which should show the face bitter and sad hearts. Over white paper it should represent an article. Posts containing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must necessarily meant to inform heaven as articles for the dead. Such 『Osamnanyasinhakbiyoung』 of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econd volume was reflected in 『Sungmoonsanguicho(釋門喪儀抄)』. 『Osamnanyasinhakbiyoung』 written intent is reflected in the prolegomena of the 『Sungmoonsanguicho』 it influenced Jhāpeti-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Osamnanyasinhakbiyoung』 of prepare after death and 『Sunksiyoram(釋氏要覽)』 of funeral was incorporated as 『Sungmoonsanguicho』. It built the stūpa is a symbol of tranquility achieved a kind of enlightenment. Human life ends with death, and it completed the Jhāpeti-Rites in 『Sungmoonsanguicho』. The significance here is in. Tying the funeral and burial in one enshrine the relics will be shown on the top by the completion of life. In particular, Kankyungdogam(刊經都監) published in the Jhāpeti-Rites 『Osamnanyasinhakbiyoung』 were engraved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That it will have another significance.

      • KCI등재

        한국 다비(茶毘)의식에 나타나고 있는 오방불(五方佛)- 다비의식 문헌의 오방불 귀명례를 중심으로 -

        강대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다비의식에서 오방불은 중방을 비롯한 동ㆍ남ㆍ서ㆍ북방의 비로자나불ㆍ약사유리광불ㆍ보승불ㆍ무량수불ㆍ부동존불이 각 대(臺)의 오방번으로 등장한다. 오방을 주관하는 각 여래가 신원적 영가를 보호하는 공간이 곧 다비가 거행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서 오방불은 ‘나무오방불 … 유리세계 중 (법사와 대중이 함께) 귀명(또는 나무)아미타불 또는 귀명오방불(일부 문헌 생략)’의 정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앞쪽 귀명의 대상은 오방불로 동일하지만 문헌에 따라 뒤쪽 귀명의 대상이 아미타불 혹은 오방불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앞쪽 오방불과 뒤쪽 아미타불 귀명례의 경우와 앞쪽 오방불과 동일한 뒤쪽 오방불 귀명례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뒤쪽 귀명례의 대상만을 통해 신원적에 든 영가의 입장을 고려한다면 서방 아미타불토만이 왕생지가 아니라 오방의 각 여래토도 영가의 왕생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신원적 영가의 귀명례 형식을 문헌별로 비교함으로써, 향후 영가의 원왕생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as five directions patākā of each platform in jhāpeti. They are Vairocana, Bhaiṣajyaguru, Ratnasambhava, Amitāyus, and Amoghasiddhi. They are located in each of the central, eastern, southern, western, and northern directions. Five Directions Buddha symbolize the concept of space, the place where jhāpeti is held a pure land where each Tathagata, who presides over the five directions, protects a spirit. In Korean jhāpeti literature,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in the form, namely ‘Namo Five Directions Buddha … Leads the soul to beryl’s realm (The monks and the public chant together.) Namo Amitābha or Namo Five Directions Buddha(Some documents are omitted.)’. In the former, there is Tathagata as the object of destination to be interpreted as two different destination Buddhas, with Five Directions Buddha in the front and Amitabha Buddha in the back, and in the latter, the front Five Directions Buddha becomes the final destination Buddha. In the former case, they made a petition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so that a spirit can stay in beryl’s realm, and monks and public chant 'Namo Amitabha' or similarly pray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to allow a spiri to stay in beryl’s realm. Two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Amitabha in the back being the place where a spirit resides. In the latter case, both the Tathagata who leads a spirit and the main being where a spirit resides appear as Five Directions Buddha.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Five Directions Buddha and their refuge to the Buddha that appear in Korean jhāpeti by comparing various jhāpeti literatures, it makes us look forward to a follow-up study on the land of vowing rebirth of a spirit.

      • KCI등재

        한국 다비(茶毘)의식에 나타나고 있는 오방불(五方佛) - 다비의식 문헌의 오방불 귀명례를 중심으로 -

        강대현 ( Kang Dae-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다비의식에서 오방불은 중방을 비롯한 동ㆍ남ㆍ서ㆍ북방의 비로자나불ㆍ약사유리광불ㆍ보승불ㆍ무량수불ㆍ부동존불이 각 대(臺)의 오방번으로 등장한다. 오방을 주관하는 각 여래가 신원적 영가를 보호하는 공간이 곧 다비가 거행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서 오방불은 ‘나무오방불 … 유리세계 중 (법사와 대중이 함께) 귀명(또는 나무)아미타불 또는 귀명오방불(일부 문헌 생략)’의 정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앞쪽 귀명의 대상은 오방불로 동일하지만 문헌에 따라 뒤쪽 귀명의 대상이 아미타불 혹은 오방불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앞쪽 오방불과 뒤쪽 아미타불 귀명례의 경우와 앞쪽 오방불과 동일한 뒤쪽 오방불 귀명례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뒤쪽 귀명례의 대상만을 통해 신원적에 든 영가의 입장을 고려한다면 서방 아미타불토만이 왕생지가 아니라 오방의 각 여래토도 영가의 왕생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신원적 영가의 귀명례 형식을 문헌별로 비교함으로써, 향후 영가의 원왕생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as five directions patākā of each platform in jhāpeti. They are Vairocana, Bhaiṣajyaguru, Ratnasambhava, Amitāyus, and Amoghasiddhi. They are located in each of the central, eastern, southern, western, and northern directions. Five Directions Buddha symbolize the concept of space, the place where jhāpeti is held a pure land where each Tathagata, who presides over the five directions, protects a spirit. In Korean jhāpeti literature,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in the form, namely ‘Namo Five Directions Buddha … Leads the soul to beryl’s realm (The monks and the public chant together.) Namo Amitābha or Namo Five Directions Buddha(Some documents are omitted.)’. In the former, there is Tathagata as the object of destination to be interpreted as two different destination Buddhas, with Five Directions Buddha in the front and Amitabha Buddha in the back, and in the latter, the front Five Directions Buddha becomes the final destination Buddha. In the former case, they made a petition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so that a spirit can stay in beryl’s realm, and monks and public chant 'Namo Amitabha' or similarly pray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to allow a spiri to stay in beryl’s realm. Two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Amitabha in the back being the place where a spirit resides. In the latter case, both the Tathagata who leads a spirit and the main being where a spirit resides appear as Five Directions Buddha.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Five Directions Buddha and their refuge to the Buddha that appear in Korean jhāpeti by comparing various jhāpeti literatures, it makes us look forward to a follow-up study on the land of vowing rebirth of a spirit.

      • 붓다 시대의 다양한 장례법 고찰

        조준호 ( Cho Joon-ho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고는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장례법 가운데 화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불교의 율장과 경장 등에 화장 다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불교 흥기 당시의 장례법은 대체로 화장, 수장, 매장 그리고 초장 또는 야장과 같은 네 가지 장례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례법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에 의해 비구들의 입적 시에 행할 수 있는 장례법으로 제시된다. 그렇지만 화장이 최선으로 권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구가 죽으면 시신을 길가나 시타림 등에 투기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화장을 하라는 것이다. 붓다는 출가비구의 장례를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화장 ⇨ 수장 ⇨ 매장 ⇨ 초장 또는 야장(野葬)과 같은 차선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출가자의 장례법에서 붓다는 화장의 한 가지 장례 방법만을 고집한 것이 아니다. 또한 초기경전에서 탑을 세울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는 첫 번째는 여래(如來), 두 번째는 벽지불(辟支佛), 세 번째는 성문(聲聞)들, 그리고 네 번째는 전륜성왕으로 나온다. 여기서 성문은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 덕 높은 출가자만을 한정하는 경우로 보인다. 이렇듯 장례의식 후 탑을 세울 수 있는 경우는 모든 출가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일반 재가자는 화장의 경우에 기념탑까지 조성했던 사례가 나타난다. 붓다의 장례는 한역 『유행경(遊行經)』과 이에 상응하는 Mahāparinibbāna Sutta의 빠알리 경전에서 화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붓다의 장례는 전륜성왕의 장례법에 준할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장례는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가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다비식은 일종의 공양의식으로 축제처럼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다비 전통은 현재에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 축제처럼 재연되고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비의식의 규모나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행경』과 『대반열반경』에 나타난 부처님의 다비 화장은 불교가 전해진 모든 문화권의 화장 다비와 사리숭배의 근거가 된 것이다. 모든 불교국가에서 다비의식은 입멸자에 대한 최고로 경의를 표하는 장엄한 장례법의 표본이 된 것이다. Throughout huma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ways to dispose of corpses. Among them, cremation is one method. This paper discussed cremation among the funeral methods fou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how cremation appears in the Vinaya Piṭaka and Sutta Piṭaka of early Buddhism. At the time of the rise of Buddhism, funeral method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four types: cremation, burial at river, burial under earth, and burial under grass, or wild funeral. The Buddha suggested this funeral method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death of bhikkhus. However, the Buddha recommends cremation as the best funeral. When a bhikkhu dies, the body should not be dumped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sītavana), but should be cremated if possible. The Buddha suggests the next best methods for the funeral of a bhikkhu, such as cremation(fire funeral) ⇨ burial at river ⇨ burial under earth ⇨ burial under grass and plant or wild funer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funeral methods of monks, the Buddha did not insist on only one funeral method of cremation. Also, in the early scriptures, the first beings qualified to build a stupa(memorial towers) are Tathagata, the second is paccekabuddha(sk. pratyekabuddha), the third is disciples of the Buddha, and the fourth is the Wheel-turning King. Here, it appear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who can build stupas are limited to highly virtuous monks who have achieved ‘complete nirvana.’ As such, the case where a stupa can be erected after a funeral rites does not apply to all mon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laymen/laywomen even built memorial towers(stupa) in case of cremation. The Buddha's funeral appears as a cremation in the Mahāparinibbāna Sutta in the Chinese and Pali versions. Here, The Buddha's funeral is presented as following the funeral rites of the wheel-turning king. And it appears that laymen/laywomen, not monks or monks, are in charge of funerals. Additionally,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s described as a kind of festival-like offering ceremony. For this reason, this cremation tradition is still being reenacted like a festival in Buddhist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ale and content of cremation rituals differ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cremation of Buddha 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the Pali version of the Mahāparinibbāna Sutta has become the basis for funeral rites and worship of sacred relics in all Buddhist cultural areas whe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all Buddhist countri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become a model of solemn funeral practices that show the highest respect for the deceased.

      • KCI등재

        우요칠잡에 대한 고찰 - 붓다의 다비식을 중심으로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붓다에 대한 다양한 예경법 중에 요잡(繞匝)이 있다. 이는 예배자가 예배대상인 붓다의 주위를 돌면서 예를 올리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우요삼 잡(右繞三匝)’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전에는 요잡의 대상과 방향, 횟수가 ‘붓다’, ‘우요’, ‘삼잡’으로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잡이라고 하면, ‘우요삼잡’만을 말하며, 나아가 요잡연구는 불교건축, 탑돌이 등에서 일부 내용으로 다루어지는 정 도이며, 전문적인 연구논문은 한편도 없다. 본고에서는 우요삼잡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이는 우요칠잡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특히 붓다의 다비식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우요 삼잡이 생신(生身)의 붓다에 대한 예법이라면, 우요칠잡은 붓다의 다비식 이나 붓다의 광명 등과 관계하기 때문이다. 전륜성왕의 장례법을 그대로 수용한 붓다의 다비식에서 칠잡을 한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 다비장에 도착하여 향나무 주변을 돌 때, 가섭에게 곽시쌍부를 하실 때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인데, 『대반열반경후분』에 나타난 방향성은 우요, 좌요, 직 진 등이 혼재되어 있었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요칠잡’이라고 하지 않 고, ‘칠잡’이라고 하였다. 칠잡은 원래 고대 인도의 국왕에게 올리는 예법이었으며, 이는 전륜성 왕의 7보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한편, 붓다에게 행한 칠잡은 7각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는 『대반열반경후분』에서 설한 3잡과 4잡이라면, 삼계와 사생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 다. 요잡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에서 49재 등의 재의식에서 법당을 돌거 나, 탑돌이 등의 성격을 규명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There is Yojap (繞匝) that is one of the various manners of worship for Buddha. It is the worshiper's practice while walking around the Buddha, who is the object of worship,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U-yo-3-jap (右繞三匝)’. However, in the scriptures, the object, direction, and number of Yojap are not limited to ‘Buddha’, ‘U-yo’, and ‘3jap’, and appear in a wide variety of forms. Nevertheless, when speaking of Yojap, it means that only ‘Uyo3jap’ is spoken, and furthermore, Yojap research is covered in part in Buddhist architecture and Tabdori (Going-round-pagoda), etc., but there are no specialized research pap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U-yo-7-jap, which has a slightly different aspect from U-yo-3-jap, and in particular, it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t is because most of the Uyo3jap is a manner of living flesh (生身) Buddha, whereas Uyo7jap is related to Buddha’s cremation ceremony or Buddha’s light. The 7jap at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which accepted Chakravartin funeral ritual as it is, includes when the Buddha’s brass crown passes the Kusinagara gates, when it arrives at Dabijang (Buddhist funeral ritual) and comes around the juniper, and when Gwakshissangbu (Showing two feet out of the coffin) is shown to Kashyapa. Among these, the most complex aspect is when the Buddha’s golden crown passes through the Kusinagara gate, and the direction shown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was a mixture of Uyo, Gwayo, and Jikjin.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not called ‘Uyo7jap’, but ‘7jap’. 7jap was originally a ritual given to the king of ancient India, and it symbolized the respect and appreciation of Chakravartin’s 7bo. Meanwhile, 7jap conducted to Buddha can be interpreted as 7Gakji, or Or, if it is 3jap and 4jap as preached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it can also be seen as 3 Worlds and 4 Lives. Investigations of Yojap is import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abdori (Going‐round‐pagoda) when visiting the temple hall in Jae ritual such as 49Jae (Jae; Buddhist service for the dead) in Korean Buddhism, and will be a future research task.

      • KCI등재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고승 상장례(喪葬禮)

        문상련 ( Moon Sang-le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승려 묘지명을 대상으로 임종의례와 다비를 통한 산골 형식, 입탑(入塔)과 고승 장법(葬法) 등 승려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승려 임종의례의 경우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내지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 등 율장 및 청규에 영향을 받았음을 말하였다. 또한 다비와 관련해 중승(衆僧) 장법(葬法)의 경우 『선원청규』 「망승」 항목에 의거해 다비 후 유골을 수습해 물속에 뿌리는 예가 행해졌음을 『고려사』 내용과 결부해 설명하였다. 한편 고승 장법(葬法)의 경우 『선원청규』의 「존숙천화」 항목에 의거해 분화(焚火)를 통한 다비와, 입탑(入塔)을 위한 매장 등 2종의 장법(葬法)이 행해 졌음을 말하였다. 이 가운데 입탑(入塔)의 경우 탑 밑 석실에 널[柩] 그대로를 안치한 장법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영탑비」의 예와 같이 통일신라 이래의 전통을 답습한 것임을 말하였다. 또한 입탑의 경우 대각국사 의천의 예와 같이, 매장이 아닌 화장 후 수골(收骨)을 통한 입탑이 행해졌음을 말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묘지명 기록을 통해 상장례의 요소로서 창의(唱衣)의 전통 또한 행해졌음을 말하였다.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overall funeral and burial rituals for Buddhist monks including the scattering forms of ashes through deathbed rites and cremation and burial rituals for high priests based on the epitaphs for Buddhist monks during Goryeo. It was found that the deathbed rites for Buddhist monks were influenced by Vinaya-pitaka and Qinggui such as Mu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kavastu and Sbunyulsanbeonboguel- haengsacho. The burial rituals for common Buddhist monks in relation to cremation were explained based on the items of "Dead Monks" in Chanyuan Qinggui that the ashes were collected and scattered into water after cremation in connection to the content of History of Goryeo, Goryeosa. In the cases of burial rituals for high priests, two burial methods were practiced, which were cremation and enshrinement in a pagoda after entombment, based on the items of “Deathbed of Exalted Monks” in Chanyuan Qinggui. In the practice of enshrinement in a pagoda, the burial method of putting a sarcophagus in a stone chamber under a pagoda follow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like the example of the tombstone in Jingamkuksa at the Ssanggye Buddhist Temple. Like the example of Uicheon the Daegakguksa, there was the other method of putting ashes in a pagoda after crem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tradition of relic auction as an element of funeral and burial rituals.

      • KCI등재

        붓다의 다비의식에 담긴 공동체의 변화

        원혜영(Won Hye-You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2

        초기 열반경 텍스트가 역사적인 사실의 기술로 전개되었다는 종전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이들 텍스트에서는 선명한 사례로부터 일반적인 이론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는 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붓다의 입멸을 주 내용으로 다룬 초기 열반경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은 권력의 이행 또는 재구성을 드라마틱하게 다루고 있다. 권력의 이행은 붓다 옆에서 오랫동안 시봉한 아난이 아니라, 가섭에 의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가섭이 참석하지 못해서 붓다 유해에 불이 붙지 않았다가 가섭의 등장으로 다비의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경전의 서술을 통해서, 가섭의 입지는 분명하게 드러났다.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가섭이 지닌 위상은 아난이 여성에게 호의적이고 개방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온건적 입장에 정면으로 승부하는 엄격성을 띠었다고 본다. 상가 공동체의 지위체계는 붓다의 다비의식을 무사하게 치를 수 있도록 진행한 가섭에 의해 주도되었다. 가섭은 공동체의 핵심 인물인 붓다의 장례에 깊이 관여하면서, 후대 제 1차 결집을 이끌었다. 가섭은 유행하는 비구와 정주하는 비구 사이에서 상가 공동체를 확대시키고 발전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한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This paper remains to be said about the Venerable Mah?kassapa’s relation to ?nanda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leading role in the Sa?gha after the Buddha’s passing away. We shall see later, Mah?kassapa referred to this very incident shortly after the Buddha’s cremation when he spoke of the need to convene a council of elders to preserve the Dhamma and Vinaya for posterity. When Mah?kassapa arrived, he walked around the pyre tree times, reverently, with clasped hands, and then with bowed head paid his homage at the feet of the Buddha. When his group of monks had done likewise, the pyre burst into flames by itself. With that suggestion, he turned the monks gathered at R?jagaha. The monk’s community agreed, and their request Mah?kassapa selected five hundred elders all but one of whom were arahants. The one exception was ?nanda, whose position was ambivalent. After the holding of the First Council, the high regard in which the Venerable Mah?kassapa was held grew still greater, and he was seen as the de facto head of the Buddhist Sa?gha. Thus Mah?kassapa, who had been generally recognized in the Order as the worthiest in succession. Taking about Mah?kassapa as a cipher for larger trends, we find a tension between forest and settled monastic points of view. The contrast between these two different ways of viewing the relation of settled monastic and forest Buddhism evident in Mah?kassapa’s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