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 관련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동향 및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 인식

        윤문정 ( Yoon¸ Moonj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관련된 다문화 음악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예비초등교사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음악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와 관련된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를 학교급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로 분석하였고, 예비초등교사 104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태도 등을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음악교육은 5편으로 그 수가 매우 적었고, 그 중 2편이 초등학교, 2편이 중등학교, 1편이 특정대상이 없는 ‘공통’ 대상 연구였다. 연구 주제는 4편이 다문화에 대한 인식연구였고, 한편이 교사 전문성 연구였다. 예비초등교사들은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음악교육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연구방법과 주제도 다양해지기를 바란다. 또한 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충분한 다문화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finding out the perception of pre-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mul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by searching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research subjects by school level,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104 students at C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of music subject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efficacy of the music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only 5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Among them, two were elementary schools, two were secondary schools, and one was “common” with no specific target. The one was a literature review study method, and the rest were perception survey amo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Most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 music subject is very suitab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y are fully aware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also positive, and the self-confidence and efficacy in multicultural situations were generally high or moderat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rather low compared to others.

      • 한국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대한 고찰

        박지영(Ji-young Park)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철학적 배경이나 이론적 근거에 관한 진지한 연구 없이 교육 현장에서 실시 되어 왔다. 그리하여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선행되지 못하였다. 한국은 다문화 현상이 나타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경험이 짧다고 할 수 있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담론을 충분히 구축하지 못한 면도 있다. 우리와 역사적 실행이 다른 캐나다, 미국, 유럽 등의 국가들의 사례를 통하여 충분히 배울 수 있겠지만, 교육자들의 고민을 거듭한 결과물들이 나와서 그에 대한 적용을 통한 시행착오를 거쳐 한국만의 다문화 음악교육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보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살펴보면서 실제로 다문화 음악교육이 제대로 실행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감상하고, 노래 부르기 등의 고정된 교육을 벗어나서 우리와 다른 음악, 다른 문화에 대한 교육이 아닌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의 기본 방향이나 철학적인 토대, 기본적인 교육의 설계가 포함되어 있는 교육과정부터 변화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문적 배경과 철학적 토대를 굳건히 세운 다음 시대적 요구와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만들 때 연구진 및 교과서 집필자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연구를 담아야 한다.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field without any serious research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r theoretical grounds of multiculturalism, which is why there have been no rich discussions about the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nation, which has a short history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no enough discourse o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ountry will be able to learn fully from the cases of Canad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uropean nations whose practice of history has been different from it, but its educators are required to produce results after repeated contemplations, apply them, and establish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nique to the country through trial and error.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properly provided in reality by looking into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South Korea needs to grow out of the old fixed education of appreciating the music of and singing songs of various cultures and inspire the students to have an open mind to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world instead of focusing on different music and culture from them. It demands changes starting with the curriculums containing in them the basic directions,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basic design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first establish academic backgrounds and philosophical grounds in a solid manner and then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rea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s and textbook authors should have enough contemplations and research efforts with regar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hen writing a textbook according to the curriculum.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태도, 필요성 및 실천

        장근주 ( Jang Gunjo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4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는 1990대 이후부터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으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자세나 학교 교실에서의 실천 정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음악교육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태도, 필요성과 실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태도, 필요성과 실천에 대한 의견은 무엇인가? 둘째, 다문화음악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학교교육에서의 실천과 사용가능한 교육 자료들은 어떠한가? 278명의 교사들에 의한 설문에 따르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음악교육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이 중요성을 깨닫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사는 다문화 음악교육을 가르치는 것에 대하여 준비가 덜 되었다고 느끼고 있으며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충분한 교사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는 다문화 음악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하여 다문화 음악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다문화 관련 학습 자료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및 다양한 교수 학습과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es, needs, and practices of music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ore precise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common attitudes, needs, and practices of music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2) What is the level of training for music teacher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3) What are the common multicultural music practices and available educational resources for music teachers? Based on a survey of 278 music teachers, the present study finds that an overwhelming majority of music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recognize the need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classrooms. However, most of the music teachers felt unprepared, uncomfortable, or lacked sufficient music education in multiculturalism, and expressed interest in attending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refore, developm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 인식 및 효능감 조사연구

        신혜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5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entral foc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140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multicultural attitudes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Second, what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understand by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fficacy in a multicultural teaching environment? Fourth,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on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showed a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overall. Regard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views, there were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daily interest groups deal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teachers understood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Third, the teachers showed a generally high level of multicultural efficacy; they tended to show a greater teaching efficacy level in multicultural attitude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factors than nurtu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bilities, and developing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urth,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human relation-centered.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music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lso provided.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와 인식, 교수효능감에 관한 다면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2)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3)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4)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음악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중등예비음악교사 140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러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다문화태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다문화교육 이해도에 관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 대상의 범위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습성취도에 대해서는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 다문화교육에 의한 역차별 현상과 다문화교육의 초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태도, 관점, 인간관계 항목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의 발견 및 해결, 교재개발 관련 내용의 문항의 효능감이 낮았다.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태도에 의한 다문화교수효능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모두 조화로운 현 사회유지 및 발전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관점에 우선순위를 두었으나 하위 순서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 유아음악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민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유아음악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완점을 알아보고 다문화 유아음악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54명이며 우편과 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1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 유아음악교육의 내용인 문화와 다양성에 대한 이해, 정체감 발달, 평등정신, 편견, 협력이 음악을 통해 전달가능하리라는 기대 가치와 교육적 효과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교사교육의 부족으로 인한 다문화 유아음악교육이 잘 실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유치원 현장의 물리적 교수 환경, 교재, 교구의 부족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다문화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교재, 교구의 개발 등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유치원의 교사를 위한 다문화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al value, efficiency, difficulties and complement for the fulfillment of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the preschools, and then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54 preschool teachers in B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was analyzed utilizing SPSS 14.0. As a result, the teachers highly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diversity, identity development, the spirit of equality, anti-bias, cooperation which is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possibly delivered through music. In addi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high. In practice, however, due to the lack of teacher training,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ell in the field. Also the physical teaching environment, textbooks, educational materials are insuffici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stematic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re necessary to develop teacher workshops, textbooks, teaching aids for the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y also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s urgent.

      • KCI등재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은식 ( Choi Eunshi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1992년 ~ 2019년까지 지난 약 3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06편의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연구의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많은 음악교육 연구자가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국외 문헌자료와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 질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학습자의 주권 교육, 주류 한민족 학생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전 연령대 대상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구주제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국내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형의 타당성을 검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다문화 음악 교육 방법과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past 30 years from 1992 to 2019, and to suggest future task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first, publication time, second, subjects, third, research methods, fourth, titles of the published journal, fifth, research topics, and sixth,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2010s. Second, the subject of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48 academic journals in 13 academic fields. Fifth,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us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pic. And sixth, the type of amalgamation among Elliott’s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which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r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Second, literature materials of other multicultural nations and learners of various ages should be included as research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s of formerly develop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th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include sovereignty education for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r mainstream Korean ethnic student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easi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ype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and methodological studies to realize them.

      • KCI등재후보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of Korean music graduates (n=60).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MASQUE)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Survey Inventory(MMPSI) were administered to 30 graduate music education majors (Group A) and 30 graduate general music majors (Group B).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of Korean music graduates?" and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MASQUE) score and muticultural music preference(MMPSI) score (r=.54, p<.01).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attitudes (F(1, 58)=4.58, p<.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education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는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60명(N=60)의 음악교육 전공생들과 일반음악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태도(Multicultural Attitudes)와 다문화 음악선호도(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를 측정한 후,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 두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54,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음악 선호도가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의 두 집단인 음악교육 전공(그룹 A)과 일반음악 전공(그룹 B)간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ANOVA)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 음악선호도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 58)=4.58, p<.05).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국의 음악교육을 책임질 음악교육 전공생들을 위해 한국의 대학들이 교과과정에서 더욱 다양한 다문화 음악과 관련된 과목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음악교육 전공생들에게 다문화 음악에 대한 다양한 배움의 방법과 기회들을 제공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악교육지도안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을 음악교육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고, 교육의 방법으로 베트남의 민요와 악기, 한국의 민요와 악기를 배움으로써 자연스럽게 두 나라의 문화적 차이점과 공통점을 익히게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지도방법으로 달크로즈와 코다이, 고든의 교수법을 활용하여 지도안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연구 하였다. 교육대상은 다문화가정 중에서 베트남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한 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를 생각하여 5인 이하의 소그룹으로 한정하여 음악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3차시에 걸쳐 한국과 베트남의 민요와 선율악기인 양금과 단땀탑룩(đan tam th?p l?c), 타악기인 장구와 까이봉(Cai B?ng)을 배우고, 듣고, 연주해 보면서 두 나라 음악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고, 배우고난 느낌을 몸과 손동작, 그림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음악을 배우는 과정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두 나라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을 거친 연구가 아니므로 현재 재직 중인 초등 교사를 통해 검증단계를 거쳤고 음악적인 형평성을 위하여 음악을 전공한 교사와 아닌 교사를 반씩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다수의 나라에서 온 다문화 가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악기의 생김새와 재료, 소리의 공통점이 많은 베트남으로 한정지었고, 민요와 선율악기 타악기도 두 종류로 제한하여 실제 수업에 가능한 활동들을 제시하는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1차시에는 한국과 베트남의 위치, 역사, 음악 등을 알아보고 한국의 민요와 베트남의 민요를 배우고 익히게 하였는데, 진도아리랑과 Cay Truc Xinh의 박자, 리듬, 장단, 가사를 설명하고 따라 부르게 하였다. 민요를 쉽고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방법으로 진도아리랑은 달크로즈의 손기호를 활용하여 손으로 표현하며 부르게 하였고, Cay Truc Xinh는 코다이의 손 기호를 활용하여 손으로 표현하며 노래를 부르도록 하였다. 세마치장단인 진도아리랑과 굿거리장단으로 편곡한 Cay Truc Xinh를 부르도록 하여 다음시간에 배울 장단도 듣고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에는 한국타악기인 장구와 베트남 타악기인 까이봉에 대해 소개하고 소리를 들려준 후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해 보게 하였다. 우리나라 장단인 굿거리장단과 세마치장단을 장구와 까이봉으로 연주해보고, 달크로즈의 몸 표현 교수법을 활용하여 몸으로 표현하며 장단을 익히게 하였다. 3차시에는 한국악기 양금과 베트남악기 단땀탑룩으로 전 시간에 배운 민요를 장구와 까이봉으로 반주해주고, 반주에 맞춰 부르게 하여 각 나라의 전통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들려주었다. 또한 그동안 배운 진도아리랑과 Cay Truc Xinh의 가사를 고든의 교수법 오디에이션을 이용하여 그림으로 표현해보도록 하였다. 이 지도안을 현장에 적용 하였을 때의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다른 부모의 나라를 동등한 시선에서 비교하고 관찰하여 보는 시간을 가져 문화적인 적대심이나 비하하는 시선을 교정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학습의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이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신체나 악기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음악적 대화를 통한 만족감과 사회적 수용감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표현 활동을 통하여 음악으로 심리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의 민요와 베트남의 민요를 각 나라의 악기로만 듣는 것이 아니고 한국의 악기로 베트남의 민요를, 베트남 악기로 한국의 민요를 연주해 보면서 문화적인 동질감을 느끼고 각 나라의 음악의 가치를 배울 수 있다. 넷째,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이 자신에 대한 올바른 정체성을 가지며, 더 나아가 다른 문화의 사람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다섯째, 서양의 음악교수법들을 활용하여 아동들의 음악적 창의성을 높이고,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익히게 한다. 여섯째, 교사들의 설문검증을 거친 결과 충분한 시간배분을 통하면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을 지도하는데 알맞은 지도안이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화 되어 가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 소외감과 충돌을 줄여주기 위한 지도법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베트남으로 한정 지었지만 다문화 가정에 폭 넓게 쓰일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다양한 교육방법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음악교육의 성립 배경과 향후 과제

        정진원,정주연 미래음악교육학회 2019 미래음악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hich is facing a new phase in order to accommodate diversity in a diversified society and to communicate posi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various cultural individualities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among groups, modern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zes the ability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complexity of society, its culture and its compositi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also aimed at understanding others and establishing one's own identity by emphasizing the cultural individuality of music rather than the universality of music and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unique nature of individual culture in music. In the study, the theories for practice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extended meaning.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need to balance the essential nature and diversity of music in educational context; enhance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expand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in our society; secure legitimacy of ethnic music in practical context; and develop teachers' capacity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다변화 사회의 다양성 수용과 긍정적 상호소통을 위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대의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문화 개별성을 인정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사회의 복잡성과 문화, 사회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한다. 다문화 음악교육 역시 음악의 보편성보다는 음악의 문화적 개별성을 강조하면서 음악에 내재한 개별 문화의 삶과 문화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성찰함으로써 타인을 이해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긍정적 차원의 사회적 실천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성립과정 및 확장된 의미와 함께 실천을 위한 이론들을 비교 제시하고, 우리나라 다문화 음악교육의 향후 과제로 음악의 본질과 다양성 수용의 균형, 국악교육에서의 다문화 음악교육 의미 제고,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 확대, 종족 음악의 정통성 확보,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