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선방안

        윤향희,김경제 한국입법학회 2024 입법학연구 Vol.21 No.2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이후 수많은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의 이혼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고 다문화가족 아동과 청소년들의 한국어 능력은 부족하며 학교생활의 어려움은 여전하다. 이런 결과는 그동안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옳게 계획되지 못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잘못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의 과제명이 명확하지 않고 애매하여 중과제, 실행과제를 통하여 그 내용이 충분히 구현될 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과제명은명확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인구감소문제가 심각한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인 다문화가족의 범위를 확장하여야 한다. 고려인동포의 경우 한국어능력 없이 가족단위로 입국하여 한국에서 생활함으로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격고있다. 또 이들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공적이 인정된다. 그리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에 고려인동포 가족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다. 고려인동포 합법적 체류자격 취득및 정착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2조의 고려인동포로 구성된 가족”이라는 문구를 추가하는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을 제안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다문화가족센터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센터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센터의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보유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다문화가족정책이 선택되었어도 그 정책대로 실행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구성원을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법 시행규칙 제3조 본문을 “법 제1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한다)에는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다문화사회 전문가 2명 이상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인력 1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단체를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6조에 제3항을 신설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단체나 개인이 전문성을 갖추도록 필요한 제도와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하는 법률개정을 제안한다. Despite the fact that numerou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the divorce rate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not decreased,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children an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sufficient, an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remain. This resul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has not been planned properly and was implemented incorrectly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ecause the task titl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was unclear and ambiguous, its contents could not be fully implemented in the next stage. To prevent this, the project nam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and implementation plan must be clearly structured.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s serious, the scope of multicultural families subject to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must be expanded. In the case of Korean ethnic Koreans, they enter Korea as a family and live in Korea without any Korean language skills, so they face many difficulties. Historically,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contributions in the founding proces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we propose to include Korean ethnic Korean families i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o this end, I propose a law amendment to add “Da.” to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such “Families composed of Korean ethnic Koreans as defined in Article 2 of the Special Act on Acquisition of Legal Residence Status and Settlement Support for Korean-Korean People.” In addition, so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must be composed of exper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urrently,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do not have qualifications as experts in multicultural society, so even if a goo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s selected, it cannot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at policy. To this end, the text of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ct, which regulate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be revised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have at least two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at least one expert who falls under any of the following items.” La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private organizations, paragraph 3 should be added to Article 16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follow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must devise necessary systems and policies to ensure tha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arrying ou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expertise.”

      • KCI등재

        다문화가족 외국인 배우자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지 및 이용 결정요인

        손병돈 ( Shon Byong D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외국인배우자들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지 및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함의를 찾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항로짓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발견을 하였다. 첫째 다른 독립변수의 영향이 같을 때, 다문화가족 외국인 배우자의 연령이 적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한국어 능력이 우수할수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국인이나 한국인 지지망이 많을수록, 참여하는 모임이 많을수록 그리고 사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클수록 그리고 도시보다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배우자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족 외국인 배우자의 연령이 적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 외국인 배우자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한국어능력이 떨어질수록, 조선족이나 중국출신보다는 러시아, 태국, 몽골 등 출신의 외국인 배우자 그리고 모국인의 지지망이 강할수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서비스 필요성이 클수록 그리고 미취학 아동이 있는 외국인 배우자가 없는 배우자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지여부와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부분적으로 상이하였다. 특히 거주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잘할수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인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은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한국어를 못할수록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on and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mong foreign spou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s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12` for its analyses. That is analyzed with binary logistic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ge(b=-.015), female(b=.890), status on employing(b=-.102), length of residence(b=.013) and ethnic background(b=.524) were significant social demographical factors influencing the foreign spouses`cogn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MFSC). Among resource factors, language ability(b=.022), relationships with people from home country(b=.060), relationships with Korean people(b=.051) and place of residence were founded to be associated with the cognition of MFSC. Both need factors, perceived need for the services(b=.016) and status on having children(b=.277)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gnition of MFSC. Second, age(b=-.025), female(b=1.638), education levels[high school(b=-.156), college(b=-.295)], length of residence(b=-.016), ethnic background[Korean-Chinese(b=-.814), Chinese (b=-.319), Philippine(b=.486) were significant social demographical factors influencing the foreign spouses`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MFSC). Among resource factors, language ability(b=-.022), relationships with people from home country(b=.072),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s status(b=.463) and place of residence(b=-.436) were founded to be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MFSC. Both need factors, perceived need for the services(b=.033) and status on having children(b=.278)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utilization of MFSC.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을 중심으로

        박미경,차용진,이홍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이 이중문화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 분석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 국적이 없을 경우, 외국생활 경험이 있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차별경험이 있을수록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매칭 분석에서도 회귀분석과 동일하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있는 다문화 청소년이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긍정적인 이중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여부가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다만 이중문화 정체성에 대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의 회귀계수 값이 회귀분석과 성향점수매칭 분석에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긍정적인 이중문화 정체성 형성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 the bicultural identity of multicultural youths. For this purpose,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es are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using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surve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s positive for forming a bicultural identity. For women, younger age, no Korean nationality, more foreign life experience, higher self-esteem, and more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formation of bicultural identity is found to be high. Similar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the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indicate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d wit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positive bicultural identities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such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positive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bicultural identitie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in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the u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mong those with a bicultural identity differ between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positive bicultural identity for multicultural youths.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력의 다문화 역량과 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황미경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다문화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의 다문화 역량 및 서비스 질의 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등에 관한 함의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현재 정부의 다문화정책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통합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경기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 157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력은 전문자격증 소지자들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교육 및 종합적인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이 높은 편이다. 특히 다문화 역량의 특성은 일반적 변인, 전문인력 변인, 교육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서비스 질은 학력, 자격증, 다문화 교육 시간 등에 따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력의 교육과 근무기간 등의 특성과 다문화 역량 요인인 지식과 기술이 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 역량 증진과 서비스 질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인력양성체계 등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manpower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order to enhance the general competence of immigrant support centers. This paper targets 157 workers in 37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paper, About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service quality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level that is above average. Also, in the factors regarding multicultural competence, knowledge was the highest. And about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the tangible factor in physical aspects was the greatest. Moreover, about multicultural competen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monthly income, social position, working period, major tasks,specialized license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training, and about service quality, by the academic career, licenses, and hours of multicultural training.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s,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rvice quality,specializ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orking period and training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factors such as knowledge and skills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ereupon, to enhanc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rvice quality of manpower in immigrant support institute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reinforcing expertise accompanied by constant training and working experiences.

      • KCI등재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을 중심으로

        김정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7 다문화교육연구 Vol.10 No.2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사는 한국 다문화정책 10년의 행적과 그 궤도를 같이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의 기조 아래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기관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다문화정책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이대로 포괄적인 가족지원 전달체계로서 통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통해 본 연구는 기획되 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장전문가의 인식을 통해서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다 문화가족통합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제적인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장전문가를 심층면접한 후, Colaizzi 의 6단계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코딩하여 인식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의 불안정한 행정 체계, 통합시범센터의 운영결과 공유 및 논의 필요, 향후 도래할 이민사회를 생각할 때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서 이민자 통합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비롯한 1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현장전문가들의 제언이 정책에 반영되어 성숙한 한국적 다문화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been through the same past and track along with Korea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ir 10 years of history. Presently, under the keynote of integrating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being promoted to be integrated with health &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has been planned with a question of wheth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at have been playing initiative roles in multicultural policies should be really integrated as an inclusive family support delive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field exper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ritically consider multicultural family integration policies being promoted currently and propose practical policies. The study method employed here 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ing to field exper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about their awareness through coding materials with Colaizzi’s 6-step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14 topics have been drawn including the unstable administrative system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needing to share and discuss the results of operating pilot integration centers, and also converting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integration into immigration policies considering immigration society to come along. Reflecting field experts’ suggestions to make policies, it is expected to establish Korean-style multicultural policies that are even maturer soon.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결혼이민자 취업지원서비스 : 현황과 발전방향

        김복태 한국이민정책학회 2020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3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취업지원서비스 실태분석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환 경분석을 통해 결혼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다문화가족지 원센터의 취업지원서비스 분석을 통해 취업기초소양교육 이후 취업까지 단계별로 이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이 용자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취업이후 사후서비스 프로그램의 수요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 문화가족지원센터의 환경분석을 통해서는 우리사회의 다문화가족 증가에 따른 정부의 양적/질적 지원수준이 매 년 확대되고 있었으나, 여전히 다문화지원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의 부재로 인하여 지역간 다문화정책의 질 적 수준의 차이, 정책의 사각지대 등을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족의 역량이 높아짐에도 불구 하고, 다문화지원정책의 기조가 여전히 초기 정착이나, 한국어 교육, 2차 및 3차 산업 중심의 취업알선 등에 머 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다문화가족관련 유사정책을 통합하고 추진주체를 재편함과 동시에 범정부 차원의 통합, 다문화 인구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맞춤형 지원을 통해 우리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제도 및 정책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on plan for strengthening the employment capacity of marriage immigrants by an analysis of various 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programs that can lead from basic employment training to employment programs customized to user, and post-employment service programs. Second, with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government support has been expanding every year, but the absence of a control tower of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has led to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level and the blind spots of policy. In particular, despite of the increasing capac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level of multicultural support policy remained in the initial settlem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job placement in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Since multicultural families is become necessary human resources of our society, we suggested integrating similar multicultural families policies, reorganization of the promotion system, customized support through segmentation of multicultural population.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족 사회통합 지원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이혁수,강복정 한국장애인개발원 2016 장애인복지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at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the future.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creasing in Korea. But all that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include to a member of Korea society. Many married immigra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Korea society. The rol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necessary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public service area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performed approximately 23% of the 2nd Multi-cultural Family-Support-Policy-Action-Plan. Program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focused on limited targets and specific time. Subjects to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are concentrated in the initial period adaptation process. There is a need to support a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difficulties of marriage immigrants.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developing a plan to expand the rol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s a complex space for the promotion of social acceptability index. The second proposal is a strengthening of the linkage program. Depending on the period of settl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changing social needs. To reflect this by strengthening the interfaces between the program and the program for the new needs for adaptation to provide continuous service to the us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성과를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다문화가족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들 모두가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적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변화하는 다문화가족의 욕구와 인구사회적 변화에 부합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이 필요하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사업범위는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내 정책과제의 약 23%를 수행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정책과제의 경향을 살펴보면, 대상자와 시기적 측면에서 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에 편중된 경향을 보인다. 대상자는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에 한정되며, 시기적으로 초기적응과정에 사업이 집중되어 있다. 사업실적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과 관련된 수요는 정체 또는 감소인 반면, 문화의 다양성과 성평등과 같은 다문화주의적 사업의 수요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결혼이민자의 안정적인 정착과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융합 등의 사회적 욕구와 다문화 수용성과 같은 다문화증진을 위한 역할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문화주의 관점의 사업성격을 강화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다문화가족과 지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복합공간의 역할로서 확대하는 방안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초점을 사회구성원의 다문화이해증진을 위한 공간으로써 확대하는 것이다. 둘째, 지원센터내 프로그램 간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다문화가족은 정착기간에 따라서 한국사회 적응의 정도와 욕구가 변화한다. 이를 반영하여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과 새로운 욕구를 위한 프로그램간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이용자에게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강기정,이무영,강복정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workers in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in order to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difficulties they face in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field. For this, We used focusing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workers in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was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bed, and four themes, twelve categories and sixteen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irst, four themes are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identification, quality of counselor, perception of counseling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Network. Second, twelve categories are the area of counseling, the purpose of counseling, the limit of one's counseling ability, the having a special ability as a counselor,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in career role, the assignment of workers, the perception of one's duty, the need of new counseling background, the need of local area network, the restructuring of the gap between towns and farm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s findings are discussed and direction is offered for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Model.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상담 현장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상담경험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상담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주제, 12개의 범주,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다문화가족상담의 정의, 다문화가족상담가 자질,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상담환경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이며, 12개의 범주는 상담의 영역상담의 목적, 상담가로서의 한계, 특수한 역량 갖추기, 직급에 따른 상이한 역할 인식, 업무의 비중인력의 배정, 현재 업무에 대한 인식, 새로운 상담환경의 필요네트워크의 필요, 도농간 지역격차관계의 재조정 이며, 16개의 하위범주로 모호함 - 같은 출발, 다른 방향, 특수한 영역으로서의 다문화, 개인측면-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찾기, 가족측면-한국생활적응, 기본적인 상담역량 갖추기, 다문화 역량 갖추기, 가족상담 능력 갖추기, 상담관련 실무에 따른 차이, 기본업무 중심, 인력배치의 부익부 빈익빈, 전담인력의 추가배치, 업무 소진, 사례관리, 자조모임의 활성화, 기존 종사자들의 양성화, 수직에서 수평으로가 나왔으며, 이를 중심으로 다문화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논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다문화정책서비스 질의 영향요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문정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1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grown and expanded along with Korea's multicultural polic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2006, is the main contact point of multicultural policy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enforcement systems of multicultural field. This study focused 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orkers as a policy actor who executes policy at the edge of multicultural policy.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wanted to verify whether their perception (value of racism, multicultural capacity) affected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public servic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that is,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group, is high.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was high.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double standard of discrimination against marriage immigrants apart from the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the individual's cultural diversity.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of racial discrimination of the employees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the quality of service of multicultural policy.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knowledge sk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multicultural policy service quality was found. Therefore,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to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of worker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o narrow the gap of recognition in the actual field.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함께 성장 및 확대되어왔다. 2006년부터 설치・운영되어 온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정책의 주요한 접촉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문화정책의 대표적인 집행체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그 중 다문화정책의 최접점에서 정책을 집행하는 정책행위자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이 갖는 인식(인종에 대한 가치관, 다문화역량)이 다문화정책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종사자의 사회지배태도, 즉 집단의 위계질서에 대한 인지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사자의 다문화인식 수준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 개인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공감능력과 별개로 결혼이민자에 대한 차별태도를 보이는 이중적 잣대가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종사자의 인종차별태도가 다문화역량 및 다문화정책서비스 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인종차별태도와 다문화정책서비스 질과의 관계에 있어 다문화지식기술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지식기술 수준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인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차별화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충청남도의 결혼이민자 현황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문성은,방은령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본 연구는 충청남도내 결혼이민자 현황과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다문화가족의 인식과 요구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법무부와 충남넷 및 도내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한 문헌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면접조사는 S시의 다문화가정 부모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도시지역과 결혼이민자수가 많은 곳에서 활발하고, 군지역이나 결혼이민자수가 적은 곳에서는 취약하였다. 둘째, 충청남도내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결혼이민자에게 집중되고 한국인 가족이 결혼이민자(배우자)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청남도 다문화가족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에 대해 체험효과를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다문화가족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지원정책을 개발해야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