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자녀 교육·복지 서비스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배성찬,편성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1

        오늘날 다문화가정에 대한 교육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다양한 기관들에 의해서 실시되 고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한 행정체계로 인하여 대상자들이 관계 기관으로부터의 교육에 대 한 사전정보를 숙지하지 못하거나 중복교육 또는 중복투자가 발생하는 등 다문화가정에 대 한 지역별로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다문화 자녀의 교육 실정에 관한 여러 문헌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문화 자녀 교육이 미래지향적인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체계적이지 못한 관리행정으로 인하여 향 후 대한민국의 소중한 국민으로서 성장하게 될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인재로 나아가는데 상당한 어려움 에 봉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구 성원들에 대한 교육 및 행정이 효율적으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문화자녀 교육 이수자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 및 관 리, 그리고 다문화가정 교육 주체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개 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 시스템개발 전문가,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다 문화자녀 교육·복지 서비스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김윤정(Yun Jeong Kim),배화옥(Hwa-ok B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4 다문화사회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생산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 가운데 2차 연도(초5)부터 6차 연도(중3)까지 아동 데이터와 부모 데이터를 병합하여 활용하여 주요 변인에 결측치가 없는 1,224명을 최종 연구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수준은 2차 연도(초5)에서 3차 연도(초6)에 높아졌다가 중학교 들어 감소하였으나 6차 연도(중3)에 가장 높아졌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반면에 부모효능감은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모 학력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 모두에 집단 간 차이를 만들었다.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초기 양육태도가 좋으면 자녀의 학교적응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많이 변화할수록 자녀의 학교적응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부모효능감 수준이 높으면 자녀 학교적응의 초기 수준이 높고, 부모효능감이 증가하면 학교적응 수준도 같이 증가할 뿐 아니라 부모효능감의 초기 수준이 높은 자녀는 학교적응 증가 폭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문화가정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좋아지고 부모효능감 수준이 높아지면 자녀의 학교적응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이 누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를 통합적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학교적응 증진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부모효능감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 temporal trajectories of these three factors. Analyzing data on 1,224 cases from the second to sixth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child and parent data merged) reveal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ncreased, then decreased, and again increased over five year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an increasing (a decreasing) trend. Mother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main variables. Latent growth modeling revealed that the initial level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level. Furthermore, the rate chang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and parenting self-efficacy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the rate of change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oreover, mothers’ changing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elf-efficacy cumulatively affect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inally, we present som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강원도 다문화가정의 미취학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 조사

        박인옥(Park In-Oc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방문교육사업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미취학자녀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지원 실태를 조사 한 것이다. 강원도의 도시와 농촌 4개 지역을 사례로 그 실태를 조사한 결과, 먼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정 미취학자녀의 교육지원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매우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또한 운영기관에 따른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전시적이거나 일회성 프로그램이 많고, 육아정보 나눔터 운영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부실 운영으로 나타났다. 다음 방문교육사첩의 아동양육지원 서비스는 전문성 약화로 아동양육지원서비스 중단 가정이 증가하고 불만족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적과 평가 위주의 관리 시스템과 실효성 낮은 보수교육 그리고 지도사들의 불안정한 고용 등의 문제가 나타났으며,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서비스 내용의 방대한 범위, 서비스 기간과 교육 시간의 문제, 다문화가정 접근성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1세대에 편중된 지원사업 정책을 2세대를 위한 교육지원 사업으로 일부 전환하고 지역별, 대상자별로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마련,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인지적 · 정의적 발달을 고려하여 지속적이고 연계적인 교육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미취학자녀들의 한국어교육과 이에 대한 검사 및 교정교육, 놀이방 및 육아정보나눔터의 내실있는 운영,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방문교육 사업에 대한 지원 시스템 방식의 변화즉, 전문성 강화를 담보로 하는 운영방식, 명확한 지침 및 교재의 개발, 지역특성 및 대상자 요구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결장 · 운영할 수 있는 자율권 부여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러 정부기관 및 단체에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1세대를 위한 지원은 과다한 반면, 그들의 자녀 특히 미취학아동에 대한 교육지원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유아기가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사회성과 정체성 등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서 이들에게 적절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이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al assistance provided to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ckground,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and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of the education project through visitation in Gangwon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performed field work and case study. Using four regions in Gangwon Province as sample, the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al assistance projec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following are result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assistance provided by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to preschool children coming trom a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was determined to be severly lacking in a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respect. Secondly, there appeared to be a wide range of differences in operating projects and programs depending on the operating organization, which is not based on beneficiary demand but on the center's convenience. Thirdly, there appeared to be a great number of programs that merely provided normal or superficial educational assistance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operated by each center. Moreover,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show that the importance of beneficiary families declined, whereas the number of families who did not have access to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increased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officers-in-charge of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Secondly, an analysis of the operating system shows that there was a lack in expertise in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management systems centering on performances and evaluation, compensation education with low effectiveness and job insecurity of officers-in- charge. Thirdly, an analysis of the service assistance system shows that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s seem to have problems arising from having too broad a range of services, issues associated with the period of the service offered and education duration and access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response to such issue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ly, to improve the educational assistance policy, assistance policies for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must be enhanced. Secondly, such assistance policies should be offered in careful consideration of Gangwon Province's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as well 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beneficiaries. Thirdly, projec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and education project through visitation require an introduc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decision-making proces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ppropriateness of planning and completeness degree of implementation. The assistance system must also be modified operation-wise to guarantee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of visiting officers-in-charge. Fourthly, in the study, an introduction of a monitoring system was proposed due to the need for consistent management such as monitoring and consulting on the operation of the center during normal times. The proposed measures require universal implementation, which means that isolated improvement, efforts by a single organization or a region cannot address the issues associated with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thus leading to the policy improvement accompanying the efforts made by the center.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3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되어 인터넷 중독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인터넷 중독의 일반적인 원인에 비해 다문화가정 자녀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해 오게 되는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하였기에 기존의 연구 와 비교하는데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알아보는 데 문헌연구와 더불어 연구와 관련되어진 중요사례들을 분석하였고 이에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의 원인은 첫째, 개인적 관련 중독 원인으로는 문화적 정체성의 혼란, 또래집 단의 따돌림과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 열악한 경제사정 등이 인터넷 중독의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둘째, 사 회적·가정적 관련 중독원인으로는 가족과의 언어문제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주변 또래와 이웃과의 사회유 대관계약화, 사회적인 인식의 차별과 편견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교 및 또래 관련 중독요인으로는 교사와 친구 의 차별로 인한 학교생활의 부적응 등이 인터넷 중독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 독의 대응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멘토링 사업을 실시 하여 인터넷 중독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는 한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방과 후 아이들이 인터넷이나 게임 이외에 장기적으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여 인터넷 중독을 예방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 한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이다. 이러한 인식개선을 위하여 그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장소로써 광고홍보와 메스미디어를 활용하고, 이를 통하여 긍정적인 시각으로써의 다문화에 대한 생각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넷 중독방지를 위한 사회안전망의 구축이다. 사회적 유대관계가 약한 다문화가정 자녀 에게 일반 가정과의 연계를 통하여 인터넷 중독에 대한 통제의 역할과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심어주고, 지역 민간단체와 지방정부의 유기적인 협조아래 보다 전문적인 인터넷 중독예방을 위한 역할이 이루어져야 한다.

      •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현황과 과제

        권명희 한국미래행정학회 2013 한국미래행정학회보 Vol.2 No.2

        다문화가정 자녀를 올바르게 키우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시각을 바 꾸어야 한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문제아가 아니라 미래 한국의 글로벌 인재라는 시 각이다. 정부는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하여 이중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고, 나아가 국 내아동과 어울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한국사회는 글로벌화 하고 국제적 휴먼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It requires to change our viewpoints for the right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hey are the future global talented people in Korea rather than the problem children. Government has to teach them through the bilingual-bicultural method, and make the system to harmonize them with other children. Thereby Korean society could construct the global human networks.

      • KCI등재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박지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3 다문화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national identity and to identify the se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immigrant women by intermarriag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tribution that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make to national identity. Therefore, data of 1,704 people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the PLS-SEM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direct effect of lowering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wh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d a lot of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re was a direct effect that the higher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er their national identity. Third, when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the attitude of accepting bicultural identity decreases, which lowers 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receiv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policy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creased. 이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국내 출생 자녀인 다문화가정자녀가 겪는 문화적응스트레 스, 이중문화수용태도, 국가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의미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여부 차이 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 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sents Panel Study) 2기 2차(2021) 데이터 1,704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패널테이터의 특성과 다변량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 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판단된 PLS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 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 쳤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졌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국가정체성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이중문화수 용태도가 높을수록 국가정체성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이중문화수 용태도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커지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 져 국가정체성이 낮아진다. 넷째, 다문화가정자녀에 관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유무 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드러난 경로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국가정 체성 구간이었다. 즉,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받은 경 험이 있는 집단의 국가정체성이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의 국가정체성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가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국가정체성을 확 립하기 위해서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정책지원 단계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가치를 함의한다.

      • KCI등재

        이중언어사회화가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아버지의 자녀를 중심으로-

        송채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8 No.-

        The bilingual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defined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speak the mother to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among bilingual socializatio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2) how bilingual socialization or bilingual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government’s panel survey data, the data of 436 multicultural children, aged from 9 to 17, born to SE Asian immigrant women was analyzed. And the scientific control has conducted to find changes in the self-esteem after 6 month bilingual education for 30 multicultural children whose mothers are Vietnamese or Cambodian immigrant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Bilingual socialization affec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as well as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also fou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 tongu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is not simp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n important mediator of cultural identity and family coh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teaching the mother tong and supporting parent-led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한국인 아버지 등 가족이 협력해 외국 출신 어머니 모국어를 자녀에게 전수하고 사용하도록 격려·권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이중언어사회화, 자녀의 자존감, 부모자녀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역동을 밝히며, 2)이중언어교육 참여로 자존감의 변화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전국의 동남아출신 어머니 다문화가족중 만 9〜17세 자녀 4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 성남시 거주 다문화자녀중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어머니의 만 6〜14세 자녀 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6개월간 실시, 교육받은 집단(실험군)과 받지 않은 집단(대조군)간 자존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자녀의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와 자존감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가 주도하는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6개월간 교육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는 단순한 소통수단이 아니며, 문화정체성과 가족응집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따라서 주류언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정책을 어머니 모국어 중심으로 전환하고, 다문화가정내에서 부모 주도의 이중언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부부 간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일상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검증

        손유자 ( Yu-ja Son ),조춘범 ( Choon-bum Cho ),김정화 ( Jung-hwa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다문화부부 간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일상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중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04개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부부 간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자녀의 일상생활적응이 높아지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둘째, 다문화부부 간의 의사소통이 높아질수록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일상생활적응이 높아지는 정(+)적인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넷째, 다문화부부 간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일상생활적응에 미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과 배우자, 자녀들을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사회복지적 함의, 국가정책적인 차원에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multi-cultural marital communication on their children’s daily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multi-cultural parents at Ansan, Gyeounggi-Province. Among the 220 multi-cultural day care center children, 204 valid survey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marital communication, the better the children’s daily adaptation. Second, it was verified that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when the marital communication enhanc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self-esteem between multi-cultural marital communication and the children’s daily adaptation was valid. In short, the positive communication of the marital influenced mothers’ self-esteem leading to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daily adaptation The study suggests an implication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 husbands, immigrated females, and their children, and an implication for social work and national policy.

      • 연구논문 :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 차별문제 -수도권 거주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조민식 ( Min Sik Cho ),송시형 ( Shi Hyeong Song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 No.1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그동안 한국사회의 전통적인 가족의 형태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새로운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의 형태를 보면 한국 남성과 동남아시아 여성과의 결혼을 통해 이루어진 가정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근간에 언론 등을 통해 익숙하게 듣고 있는 이른바 ``코시안``(아시아계 다문화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 같은 다문화가정 특히 아시아계 다문화가정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문화가정에서 출생하여 자라고 있는 이들 자녀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 차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초등학생) 1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낙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은 앞으로 향후 한국사회에 큰 사회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이 받고 있는 낙인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causes various new social problems which start with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ies. Especially, the families that Korean men marry East asian women rapidly increase in the social form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cluding ``Kosian`` that you are recently and familiarly hearing through the media. Therefore, several studies on multicultural families like this and especially Kosian have been done. In-depth studies on children who are born and growing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10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o study on their social discrimination. The research result has found tha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eel various stigmas in their daily life.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s increasing every year is most likely to be a big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Now, you should listen to voic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plans to reduce their stigmas should be sought.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을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경험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은 1단계: 부여된 정체성, 2단계: 정체성 갈등, 3단계: 정체성 선택과 그 결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는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와 또래 친구의 지지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일 축복 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다문화정책의 발전적 논의를 위해 첫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배려와 존중의 다문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연구를 위해서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categorizes their experiences into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stage 1: given identity, stage 2: identity conflict, and stage 3: identity selection and its results. Secondly, the children’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upport from their peers had a crucial effect in their cultural identity formation. Thirdly, their cultural identity was foun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ir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ill be necessary to have developmental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carried out in school for the proper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come mutually harmonious. Secondly, a multi-cultural policy promoting respect and regar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needed. Thirdly, research on religious identity must be vitalized to enable elaborate studies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