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적 요소를 통해 본 다도 관련 디자인

        최경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1

        다도는 찻잎을 따는 것부터 달여 마시는 것까지 그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것으로, 폼과 마음을 수련하여 덕을 쌓는 행위을 말한다. 일본 다도는 ‘와비’사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다도의 절차, 다실, 다기 등이 발달되어 있다. 자연스러움과 균형미는 한국의 미를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한 한국미가 다도에서 또한 잘 드러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 가치, 인식 등의 문화적 요소를 통해 다도와 관련된 디자인을 살펴보았고 한국과 일본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한국의 경우 불가, 유가, 도가 사상의 영향을 받았고 일본의 사상은 ‘화’, ‘경’, ‘청’, ‘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도 process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차가 맛있는 온도를 위해 차를 식히는 과정이 있다. 한국은 균형미, 일본은 불균형미를 추구한다. 한국은 자연의 그대로 조작 없는 아름다움을 균형미라고 일컬었고 일본의 불균형미는 ‘완벽한 형태를 취하지 않은 것’이다. 정리되거나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이것이 다도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불균형미가 되었다. 이는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한 것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더 값지게 여기는 ‘와비’의 정신이기도 하다. 그러한 양국의 미의식은 공간에서도 반영된다. 일본과 한국의 다도에 쓰이는 주요 다도구 역시 그 나라의 process에 따라 달라지며, 미의식을 반영한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의 다도 문화가 지니는 미적(美的) 가치와 디자인적 요소를 더 심도 있게 연구하여 동양의 다도 문화와 관련된 디자인 제반 영역에 활용 및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 tea ceremony is process which is from picking the tea leaves off to making and drinking the tea and cultivating the virtue by practicing how to make mind and body clean.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represented as Wabi and has developed steps of the tea ceremony, a teahouse and tea utensils. The natural and beauty of balance are one of the most often used words which explain the beauty of korea. The beauty of korea appear in the tea ceremony too. At this study, I study a design which is related with the tea ceremony by the culture factors like an ideology, value, recognition and so 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korean and japanese tea ceremony’s design. The Korean tea ceremony is influenced by the Buddhism, a Confucian and Daoist Philosophy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influenced by the Wha, Kyung, Chung and Juck. The Korean tea ceremony has the process of cooling the tea off lor suitable temperature which make tea delicious. The Korea tea ceremony pursues the beauty of balance, but the Japanese tea ceremony pursues the beauty of imbalance. In the Korea, the beauty of natural which is not influenced by artificiality is called the beauty of balance. In the Japan, the beauty of the unfinished situation and imperfect is called the beauty of imbalance. And this is the origin of Wabi. These esthetic senses of Korea and Japan is reflected in space. And the main tea utensils which is used in Korea or Japan are also different by their process. We need the continuous study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d using to a field of design through deep investigate on aesthetic value and design factor of oriental Dado cuIture include Korea and Japan.

      • KCI등재

        중국 茶道의 형성과 변천 고찰

        조기정 중국인문학회 2011 中國人文科學 Vol.0 No.48

        *In the mid term of Tang dynasty, since Gyoyeon(皎然) use the term of tea ceremony(茶道) at first, the term of tea ceremony in China. Until Jeondado(煎茶道) decline, it took about 500 years through out five dynasty and North Song dynasty. *Jeomdado(點茶道) took back of Jeondado(煎茶道), in Darok[茶錄] that Chaeyang(蔡襄) wrote, laid basics, Daegwandaron[大觀茶論] by Jogil(趙佶), Jeomdado(點茶道) was established. Jeomdado(點茶道) was tremendously developed started at the end of Tang dynasty to beginning of Song dynasty and Myung dynasty, but from at the end of Myung dynasty to decay continued about 600years. *Podado(泡茶道) follows up by Jeomdado(點茶道), because Jangwon(張源) wrote Darok[茶錄] and Heochaseo(許次舒) wrote Daso[茶疏], Podado(泡茶道) was established. Podado(泡茶道) was started at the mid term of Tang dynasty, up to the beginning of Myung dynasty mainly used ground tea, and after the beginning of Myung dynasty to now used loose tea. Podado(泡茶道) that was started to decay in modern times, is through mid term of 1980s' the dark ages gradually revives. *The act of drinking tea can be classified by four steps, 喝茶, 品茶, 茶藝, 茶道. In a large sense of tea ceremony all contains four of those, However, in narrow sense of tea ceremony designate only the last step. *The term of 茶藝 was started to use in Taiwan in 1977 and was spread to China in 1988. They wanted to use the term 茶道 but since Japanese 茶道 became well-known so reluctantly choose the term of 茶藝. In that reason there is a identify tendency between 茶道 and 茶藝, so lots of confusions are resulting. *The term of tea culture was started to be used in China in 1984, in Taiwan also started to be used in 1987. In a large sense of tea culture include, material culture, system culture, acting culture, spiritual culture all of them, in a narrow sense of tea culture include system culture, acting culture, spiritual culture, but except for the material culture. *In a large sense of 茶道 and tea culture's category is identical so, the term 茶道 can be used instead of tea culture. In a narrow sense of 茶道 and tea culture, since their category are not identical, so when the term 茶道 used instead of tea culture, attention is needed.

      • 다도교육이 여대생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 ( Mi Suk Kim ),박화문 ( Hwa Moon Park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2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다도교육이 여대생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도정신은 화(respect), 경(harmony), 검(simpicity), 진(true)의 정신을 근본으로 이루어진 8대 실행정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긍정적 태도를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과 현재 다도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 그리고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에게 있어서 다도정신은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의 다도정신이 점차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대생에게 있어서 자아존중감도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은 점차로 낮았다. 셋째, 여대생들에게 있어서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과의 상호관련성은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의 다도교육 이수는 여대생들의 건전한 다도정신 함양에 의하여 올바른 인격형성의 기반을 형성하도록 하며, 또한 건전한 자아존중감의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influence of Dado education on both Dado spirit and self-esteem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Dado spirit is composed of eight kinds of spirits which are based on respect, harmony, simplicity, and truth. Self-esteem shows having positive attitude about one`s own onesel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do spirit and Self-esteem among those students whom completed Dado education, be taking Dado education, and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st Dado spirit has shown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Secondly, the highest Self-esteem has also shown the group of being completed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Thirdly,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Dado spirit and Self-esteem was shown in the group of being completed a course of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Taking Dado education in University is helpful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formative character by cultivating sound Dado spirit. Besides, we came to know that this is also helpful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und Self-esteem.

      • 동다송 공부법과 한국 다도학의 방향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3

        This study is on the studying methods of Dongdasong and directions of Korean Dado theory. Because Dongdasong reflects Korean spirit and soul, the study on the Dongdasong must be based on the Korean nation, Korean thought and Korean history. Because Dongdasong is a a philosophy book,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based on the method of philosophy. Otherwise, I’m sure that the correc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impossible. On this recognition, I suggests the directions and task of Korean Dado theory. Korean Dado keeps identy unlike Chinese and Japanese Dado. Korean Dado theory must move on to our nation’s identity reflecting Korean soul, Korean thought and Korean philosophy. And Korean Dado theory should be popularized and more established. Dado without the support of the public must be disappeared. Now, Korean Dado and Korean Dado theory must make a decisive opportunity of development and jumping with the correct recognition of Korea, Korean thought and Korean nation. With this, in conjunction with the reality and Korean Dado theory, Dado should be light as impetus to overcome problems. 본 논문은 한국다도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에 대한 공부법과 한국다도학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동다송은 한국의 정신과 얼을 반영한 다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한국민족, 한국사상 및 한국역사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그리고 동다송은 철학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철학이라는 학문과 그 방법론에 준거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다송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해석은 불가하다고 확신한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다도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국다도는 중국다도와 일본다도와 다른 독자성과 고유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다도학은 한국의 정신, 사상 및 철학을 반영한 우리 민족만의 고유성을 지닌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한국다도학은 보다 체계화되어 대중화되어야 한다. 대중과 유리된 다도는 소멸되기 마련이다. 이제 한국다도와 다도학은 한국과 한국사상과 한국민족에 대한 분명한 인식체계를 기초로 하여 발전과 도약의 결정적 기회를 만들어야 할 때이다. 이로써 한국다도학과 현실문제들과 연계하여 현실문제들을 극복하는 추동력으로써 다도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의 제반 위기와 다도를 연계시켜 다도를 위기극복의 방편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다도교육이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희선,이순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ntribution of Dado education to personality development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personality development was measured with the change in emotional stability, consideration, politeness, and temperance before and after a series of Dado education program to 1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ten times (20 hour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udents personality was found. Students perceived their positiv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through this program and their mothers were favorable to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fter the Dado educ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Dado education can be a valuable means for personality development in youth. A suggestion was made for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to apply Dado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본 연구는 체계적인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으로서 다도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되어, 다도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S고등학교의 여학생 16명을 실험집단으로 3월 14일부터 4월 18일 까지 총 10차시 20시간의 특기․적성 다도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도교육은 청소년기에 있는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다도교육 실시 전과 후의 인성발달을, 사전․사후 검사로 비교 분석 한 결과 인성영역 중 정서적 안정성, 배려성, 절제성, 예절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인성교육으로써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둘째, 다도교육을 받은 후 자녀의 인성발달에 어머니가 만족하고 있음을 알았다. 다도교육이 예절바른 생활을 하게 하며,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등 인성발달에 도움을 주므로 자녀들에게 다도교육이 필요하다고 다도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어머니 100%가 응답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학생은 다도교육으로 자신들의 인성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된다고 인식하였다. 다도교육 후 자신들의 행동이 조심스러워지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등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성이 발달함을 스스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다도교육이 필요하며, 친구나 후배에게도 다도교육을 받도록 권유하고 싶다고 하였다. 넷째, 다도교육을 지도한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을 관찰하고 면접한 결과, 교육 시간이 경과되면서 학생들이 정서적으로 차분해지고, 남을 배려 할 줄도 알게 되었다. 행동도 진지해지고, 자세도 바르게 되었으며 인내심도 많아지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려고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다도교육은 우리의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고 배우고 익힐 수 있으며,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태도․행동․예절면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여고생에 대한 연구였지만 남학생들에게도 같은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도철학과 현지(玄旨) -히사마츠 신이치의 다도사상-

        김수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7 No.-

        Tea ceremony are minor in everyday life of human life from the deep, high culture occupies an area ranging from a wide. Furthermore,even in the realm of religion, the tea ceremony is reached. Shinichi Hisamastu’s(1889∼1980), the people with the special history of tea and philosophy. The spirit of Zen Buddhism and tea ceremony philosophy underlies Zen Buddhism saw that he took to be the same. Shinichi Hisamastu’s suggests ‘profound’ said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in the philosophy of the tea ceremony. What is not merely academic or pointing to the essence of the target as a knowledge, but tea can be represented party emerged as the essence of the tea ceremony,he said local is that you need to think. The tea as it simple target knowledge representation of small parties the expressive phenomena that appear in it of any tea performance can not be the subject. Function expressive principals ‘knowledge’ live action can say. It ‘acting’ and ‘knowing’ that acts united state of knowledge that will be. And acted on by the ‘knowing’ to ‘acting’, ‘knowing’ to ‘acting’appear ‘knowing’ should be. Such ‘knowledge’ dimension from the ‘target is’ pointed out, ‘subject’ can be called. Shinichi Hisamastu’s is the idea of ‘knowledge’ or ‘laws’ and ‘subject’ one if you identify as acting principal intellectual profundity of the tea ceremony tea must comply with the law by that exerted. Nirvana-dimensional ‘profundity’ ‘tea ceremony’ ridiculous ‘profundity’nirvana ‘tea ceremony’ to be ridiculous because it should be a two horse eventually becomes synonymous In addition, the dual nature of the profundity true Dine ‘profundity’is based on the person doing the tea ceremony, and must not be based on true human at the same time if not the fact that not. The appearance of the true human meaning of ‘profundity’ of the tea ceremony. To create the true look of the entire human life through creative tea ceremony can be the subject, because it is. Therefore,Shinichi Hisamastu’s a ‘tea ceremony’ profundity-the tea ceremonydrinking tea there is to be one. The core of Zen Buddhism and the spirit of the tea ceremony, tea ceremony Shinichi Hisamastu’s philosophy of thought is clearly linked to building. So maintain the tradition of the tea ceremony, and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of deep thought and should be fully evaluated. Traces such that lifelong love tea and tea as a source of life, and I think the core of Buddhism, and philosopher of contemporary living life will be greater. 다도는 일상생활에서의 사소한 것으로부터 인간생활의 깊고높은 문화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나아가 철학의 영역에까지도 이르고 있다. 히사마츠 신이치(久松眞一,1889∼1980)는 차와 철학이라는 면에서 특별한 이력을 가진 사람이다. 그는 다도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선불교라고 보았으며, 선불교와 차의 정신을 동일한 것으로 여겼다.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오랜 차정신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히사마츠의사상은 주목된다. 히사마츠가 제시한 다도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는 ‘현지(玄旨)’라는 말이다. 그가 말한 다도의 현지란 단지 학문적이거나 대상적 지식이 아니고, 오히려 차(茶)가 능표현자(能表現者)로서 출현된 본질이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본다. 만약 그것이 단순한 대상적 지식으로서의 차를 소표현자(所表現者)라고 하면 그것은 차의 일체 현상에 살아 나타나는 주체는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능표현적 주체란 ‘살아 작용하는앎(知)’이라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작용하는 것’과 ‘작용하는앎’이 일체가 된 상태의 앎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앎’은‘대상적인 지’의 차원에서 볼 때는 ‘주체지(主體知)’라고 할 수있다는 것이 히사마츠의 입장이다. 다도의 현지를 ‘주체지(主體知)’가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할경우에, ‘지(知)’ 또는 ‘법칙’과 ‘주체’가 반드시 일체불이로써차의 법칙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러한 입장에서 볼 때 ‘다도의 현지’라는 것은 ‘다도’와 ‘현지’라는 별개의말로 되어있지만, 다른 차원에서는 ‘다도’가 ‘현지’라는 말도 되어야 하고 ‘현지’가 ‘다도’라는 말도 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 말은 결국은 동의어가 된다는 입장이다. 현지의 이중적 성격은 다도를 행하는 사람은 ‘현지’에 바탕을두어야 하며 동시에 진실한 인간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성립한다. 그러므로 다도의 ‘현지’가 차를 마시는 것을 계기로 하여 인간생활 전체의 참된 모습을창조하는 창조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히사마츠에게 ‘다도의 현지’가 지니는 기본 성격은 현지⋅다도⋅차인의세 가지가 본디 하나가 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히사마츠의 다도철학 사상은 선불교의 핵심과 다도정신을분명하게 연결 짓고 있다는 점에서, 다선일미의 전통을 고수하고 있는 차계에 깊은 사유의 틀을 제공한다. 그러한 점에서 평생 차를 사랑하고 차를 사유하며 삶의 근원으로써 불교를 품으며 현대를 살아간 한 철학자의 자취는 크다 할 것이다.

      • 다도교육이 여대생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미숙 ( Mi Suk Kim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3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다도교육을 받은 여대생의 우울의식과 불안의식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도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여대생 103명, 이미 다도교육을 이수한 여대생 105명 그리고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여대생 107명을 대상으로 우울 및 불안의식을 비교 검토하였다. 첫째, 다도교육을 이수한 여대생이 다도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학생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우울의식이 낮으며 그 중에서도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의 우울의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다도교육을 이수한 여대생이 다도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학생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불안의식이 낮으며, 그 중에서도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의 불안의식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도교육을 이수한 여대생과 이수중인 여대생의 우울과 불안은 서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여대생은 우울과 불안의식이 상호 크게 상관을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대학에서 다도교육을 이수한 여대생은 보다 더 학교생활에 있어서 우울과 불안의식이 해소되고 있으며 생활에 적극성과 긍정적인 모습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group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got Tea ceremony (Dado) education .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discomfort was cross-checked in the three groups, 103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aking Tea ceremony education , 105 who already took the class, and 107 who did not take the class. Fir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was lowe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Tea ceremon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Secondly, consciousness of Anxiety was lowe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Tea ceremon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Thirdly,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two groups of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and who are taking its class, was not shown correlation between them, while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 As mentioned above,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shown to be relived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class, and the enthusiastic and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them, in daily life and campus life.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group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got Tea ceremony (Dado) education .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discomfort was cross-checked in the three groups, 103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aking Tea ceremony education , 105 who already took the class, and 107 who did not take the class. Fir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was lowe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Tea ceremon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Secondly, consciousness of Anxiety was lowe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Tea ceremon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consciousness of depression Thirdly,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two groups of who took Tea ceremony education and who are taking its class, was not shown correlation between them, while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 As mentioned above, conscious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shown to be relived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ea ceremony class, and the enthusiastic and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them, in daily life and campus life.

      • KCI등재

        와비의 다도문화론

        김수인(金修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일본에서는 다도에 관한 문화적·철학적 접근이 시도되어 많은 철학자들이 배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히사마츠 신이치(久松眞一, 1889∼1980)는 ‘차와 철학’이라는 면에서 특별한 이력을 가진 사람이다. 그는 동서의 철학에 대한 체계를 세우는 한편 선불교를 중심으로 한 자신의 인생관을 확립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 중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차였다. 선(禪)과 차에 대한 깊은 사유를 통하여 독특한 다도철학을 형성하였으며, 수많은 제자들을 다도의 세계로 인도하였다. 다도의 정신 즉 다도의 창조적 정신은 바로 ‘무(無)’이다. ‘무’는 그저 바라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주체가 된다. 일체의 것을 창조하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무’가 사람 속에 살고 있을 때 사람은 차인이 된다. 이런 차인이 되는 것이 다도의 진수이며, 가장 중요한 인간사의 보물이다. 적어도 차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무’가 살아서 스스로 ‘무’에 의해서 자신만의 특별한 환경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는 다도의 주체적인 도를 파악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하여 다도에 의해 인간의 도를 행해야 한다. 다도문화는 끽다를 계기로 하여 창조된 종합적이고 통일적인 문화체계이다. 히사마츠의 다도문화론 혹은 다도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이른바 ‘와비차(?茶)’라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일본 다도의 정통이었던 ‘와비차’는 빈부귀천의 차별 없이 누구에게나 해방된 높은 문화적 영역이었다. 와비의 다도는 그 선을 선종사원 가운데에 두지 않고 일반서민의 가정 속에 끌어들여, 서민들로 하여금 높은 문화생활을 형성하게 하였다. 선불교를 다도에 끌어들여 형성한 것을 와비차라고 말하여도 무리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와비차가 지닌 일본에서의 문화적 성격을 히사마츠 신이치의 견해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서 와비차의 문화가 지니는 선불교적 성격이 밝혀지는 한편, 와비차의 문화적 성격도 함께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하여 미래 한국의 다도문화의 형성방향을 여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 number of philosophers have been produced as a cultur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on tea culture has been tried in Japan. Hisamatsu Sinich, who is one of them, has his special career in terms of tea and philosophy. He organized the systemized philosophy of East and West. Meanwhile, he defined his view of life based on Zen Buddhism. Tea served as a medium for him to define his view of life. He led a lot of his disciples to the world of tea as well as formed distinctive philosophy of tea through deeply considering zen and tea. The sprit of the way of tea, creative mind is ‘NOTHING-無’. ‘Nothing’ is not just looking, but being main agent which is building. It is the foundation of all entire creative things. When ‘Noting’ is alive in human, He or she becomes a tea master. Being a tea master is the quintessence of the way of tea and the treasure of the most significant history in the affairs of men. At the very least, a person who learns about tea should build his or her own circumstance in particular by ‘nothing personally’, whose ‘nothing’ is alive, To state it differently, we should catch the point which is the independent enlightenment of the way of tea. Thus, the enlightenment of human comes into action by Dado, the way of tea. Tea culture is a comprehensive and unified cultural system created by the custom of drinking tea. It can be said that Wabi-cha formed the groundwork of Hisamatsu’s tea culture(or his philosophy of tea). Wabi-cha, widely regarded as a Japanese traditional tea for a long time, formed a cultural sphere for people of all ranks and classes. The tea ceremony of Wabi was not only practiced in the temple of Zen but also practiced by the general public, allowing them to enjoy high culture of tea.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abi-cha introduced Zen Buddhism to the custom of tea ceremony. This paper aims to analyze cultural attributes of Wabi-cha in Japan from the viewpoint of Hisamatsu Sinich. Thereby, it is expected to unveil what kinds of Zen Buddhistic characteristics Wabi-cha has and its cultural attributes. By means of this way, it is believed to assist Korea in directing ways of forming tea culture in future.

      • KCI등재

        茶山 丁若鏞과 艸衣意恂의 茶道 工夫論 비교 연구

        김종용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San's Tea Tao view and cultivation theory, and Cho-Ui's Tea Tao view and performance theory. To this end, in this study, a chapte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Da-S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ea Tao [茶道] view, and a chapte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Cho-Ui's theory of performance and Tea Tao [茶道] view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fterwards,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e above two studies were analyzed. The abbreviated explanation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Da-San spoke of thoughtful cultivation, and Cho-Ui spoke of the practice of Wei xian jian ze [唯嫌揀擇]. Therefore, to Da-San,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promoting clarity of thought on the premise of not moving emotions. On the other hand, for Cho-Ui,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self-discover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ea Tao[茶道] of these two characters is due to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ea. For Da-San, tea is a substance that is distinct from that of people, and is a substance that clears the mind and body. On the other hand, for Cho-Ui, tea was interpreted as nothing other than Buddha-nature. For this reason, for Da-San, the entire process of Tea Tao [茶道] is a process of cultivation to protect Zhong Yong [中庸] through perception. For Cho-Ui, the act of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oneself. 본 연구는 17세기 한국 다도 철학과 공부론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한국 철학의 양 기둥이라 할 수 있는 유‧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를 수행하였으며, 유교에서는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을, 불교에서는 초의 의순(艸衣意恂, 1786-1866)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결과를 축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다산은 ‘사려’ 중심적 공부를 말하고, 초의는 무수이수(無修而修)를 기반으로 한 분별 망상을 내려놓는 수행을 말하였다. 이에 다산에게 음다(飮茶)는 감정을 동하지 않음을 전제로 ‘사려’의 또렷함을 도모하는 도구로써의 의미가 있었다. 반면 초의에게 음다 및 행다는 그 행위 안에서 삼매에 들어감[茶禪三昧]과 동시에 차의 신묘함을 통해 불성을 엿보고 발견해 나가는 과정[茶禪一如]이었다. 이와 같은 두 인물의 다도를 대하는 인식의 차이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차(茶)에 대한 개념적 이해 때문이다. 다산에게 차(茶)는 사람과는 구별되는 물(物)로, 양약과 정신을 맑게 해주는 기질을 지닌 물(物)이지만, 초의에게 차(茶)는 곧 자성(自性)과 다름 아닌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때문에 다산의 공부에서 다도(茶道)는 성성한 사려를 도모하여 이를 기반으로 성리(性理)를 지켜나가는 공부였다면, 초의에게 행다(行茶)‧음다(飮茶)의 전반의 과정은 그 자체에서 스스로의 불성을 발견하고 깨닫는 것이었다.

      • KCI등재

        한·일 다도문화에 나타난 조화의 미학 - 중용과 현지를 중심으로 -

        김수진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다도문화에 나타난 조화의 미(美)를 다도사상의 정수인 중용(中庸)과 현지(玄旨)로 사유의 공간을 재조명하려는 것이다. 한·일 다도문화는 본질적으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일 다도는 인간이 자연과의 소통 속에서 실재적 자아를 완성하는 수단이자 목적으로 활용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한·일 다도는 차별적인 문화적 행위와 동시에 동질적인 정신적 지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한·일 다도문화는 상이성과 동질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한국의 다도는 문화적 행위를 강조하기 보다는 정신적 완성인 ‘중정(中正)’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일본의 다도는 엄격한 형식과 절차를 강조하는 문화적 행위를 바탕으로 동시에 ‘와비(侘)’라는 정신적 지향을 추구하고 있다. 실제 한·일 다도 정신은 중정과 와비라는 다선일여(茶禪一如)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이러한 한·일 다도는 인간과 자연 간의 조화를 다도 철학의 핵심인 중용과 현지가 지닌 의미망으로 확장해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다도에서 중용(中庸)은 모든 자연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이며, 이는 성(誠)에 기반하고 있다. 여기서 중용은 중정과 중화(中和)의 실천적 도(道)의 길을 의미하고 있다. 중용이 자신과 타인 및 만물 간의 상호 조화 속에서 본성을 찾는 것이라면, 한국의 다도는 바로 중용의 실천지가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다도는 조화의 미학을 중용에서 파생된 중정이 지닌 지향 가치인 ‘치우침이 없는 알맞은 상태’를 실천하는 것이라는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의 다도에서 현지(玄旨)는 창조적 무(無)를 주체지(主體知)를 통해 알아가는 정신적 와비라고 할 수 있다. 현지는 와비를 확대 적용한 것으로, 와비가 지닌 문화적 행위의 조화와 더불어 정신적 완성을 의미하고 있다. 현지는 형식과 격식이 지닌 문화적 행위에서 자연스러움을 창조적 무(無)로 창출하며 다도의 미학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현지는 인간과 자연 그리고 다도가 처음에 존재하는 상태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인(茶人)의 선적 깨달음을 위한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지의 조화는 주어진 와비의 상태를 인정하고, 이를 극복하기보다는 이 속에서 자신의 주체적 미를 창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한·일 다도문화는 문화적 양태는 달리하고 있지만, 다도를 통해 자신과 타인 및 자연 간 정신적 차원의 조화를 창조하는 종합예술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