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포의 『페스트 일지』에 나타나 있는 코로나19

        오성록,심상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Corona-19 in The Journal of Plague YearWritten by Daniel DefoeSeongrok Oh & Sangwook Shim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out the factors of Corona-19 in A Journal of Plague Year written by Daniel Defoe in 1722. He was a realist, and his career as a journalist is important for he had learned of reporting techniques. He began the career of novelist in his late fifties and established as the first novelist with his works in English. He replaced the noble sentiments of literature with the common lives of the middle class, and wrote a genuine book of memoirs on a great historical disaster of the Great Plague in 1665.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is a fictional reconstruction based on true accounts. This work is unique in that accepting it as fiction, every generation has also taken it as history, however, its deeper truth belongs to the creative imagination. As corona 19 still goes on now, we can find out almost the same factors of corona 19 in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written 350 years ago. Through this study, we realize yet again that we should try not to repeat negative histories. Key Words: Corona-19, Daniel Defoe, Journalist, Novelist, Plague 디포의 『페스트 일지』에 나타나 있는 코로나19오 성 록*ㆍ심 상 욱** 연구 목적: 이 논문은 1722년에 다니엘 디포에 의해 쓰인 『페스트 일지』에 드러나 있는 코로나19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그는 사실주의자이었고, 보고하는 기술을 배웠다는 점에서 그의 저널 경력은 중요하다. 그는 50대 후반에 소설가로 데뷔했으며, 영어로 작품을 쓴 첫 소설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는 문학의 우아한 감성을 중산층의 일상으로 바꿔 놓았으며 1665년의 거대한 역사적인 역병 재앙에 관해 사실적인 회상록을 썼다. 연구 내용: 『페스트 일지』는 사실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한 허구의 재구성이다. 이 작품은 픽션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동시에 수 세대를 거쳐 역사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작품의 깊은 진실은 창의적인 상상력에 속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결론 및 제언: 지금도 코로나19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우리는 350년 전에 쓰인 이 작품에서 코로나19와 거의 같은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부정적인 역사는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새삼 깨닫는다. 핵심어: 코로나19, 다니엘 디포, 저널리스트, 소설가, 역병 □ 접수일: 2022년 11월 20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동신대학교 대학원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osr@dsu.ac.kr)** 교신저자, 전주대학교 명예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Emeritus, Jeonju Univ., Email: sangwook@jj.ac.kr)

      • KCI등재후보

        다니엘 디포우의 『몰 플랜더즈』와 18세기 여성의 모성적 태도

        송은영 ( Song¸ Eun Young ),정정호 ( Chung¸ Chung Ho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2 영어권문화연구 Vol.5 No.2

        This thesis discusses eighteenth-century’s maternal attitude from social perspective through the Daniel Defoe’s Moll Flanders. The crimes caused by a side effect for growth of economy occurred in the eighteenth-century Britain. Daniel Defoe’s Moll Flanders well reflects a phase of social life at that time. The novel is the story of female protagonist, Moll Flanders, who as a low class woman has a sense of value of middle class. She committed crimes for money too; swindle, prostitute, robbery, thief etc. As well as those crimes, however, infanticide and child abandonment often happened in the eighteenth-century. Those crimes are related to each other because women who committed infanticide or abandonment were low class women, and most abandoned children(or killed children) were bastards or foundlings. Defoe, in Moll Flanders, shows with indirect expression that infanticide and abandonment had happened in the part of the society. Most women in eighteenth-century did not bring up a child with her care but hired a wet nurse instead. Unlike rich women, poor women sent their children to a distant country because they had to hire wet nurses more cheaply. In that process, many children were sick or died due to poor condition. Also, some parents did not bring back their children and often give fostering expenses. Moll also sent her children to a wet nurse, and she did not bring her children back. In this novel, she hardly shows maternal sense and act. For that reason, Moll's maternal attitude has been criticised as immoral and unnatural by critics. However, Defoe’s intention shows that widely spread wet nurse custom in eighteenth-century society was used as a method of infanticide and abandonment. Moll's maternal attitude represents many low class women’s attitude. Moll seemed to give priority to economic aspect rather than maternal instinct and we thus have to discuss Moll Flanders with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in order to get a full picture of maternal attitude in the novel.

      • KCI등재

        다니엘 디포와 근대 개인주의: 『록사나』를 중심으로

        이혜수 ( Hye Soo Lee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4 근대 영미소설 Vol.21 No.3

        This essay intervenes in and complicates the discussion that a distinguishing aspect of Daniel Defoe`s novels lies in their trenchant grasp of modern individualism by reading Roxana. Defoe`s conception and representation of modern individualism in Roxana are not fully explicated by what has been considered the hallmark of his individualism, that is, economic individualism and Protestant interiority. The eponymous heroine of Roxana is, like most hero/ines of Defoe`s other novels, a survivor of adversities and deprivations through her own resources and personal capacity; she seeks to be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self regardless of the external environments. Yet while Roxana`s hard-acquired autonomy, which is initially predicated on her willful determination to be apart from morality, empowers and enables her to pursue a higher ambition, it also turns out to involve some necessary anxiety, guilty feelings, or self-alienation as the story goes on. The last part of the novel, in which Roxana`s name-sake daughter Susan haunts her and tries to reveal her identity as Roxana, stands as a compelling vignette that shows the nightmarish, repetitive, and unconscious underside of the enlightenment of modern individualism. Defoe`s last novel, the last Susan scene in particular, allows us to see that Defoe`s vision of modern individualism might be much more complex, ambiguous and ambivalent than is usually conceived.

      • KCI등재후보

        로빈소나드로 보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표상

        오은하(Oh, Eun-Ha)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가 낳은 수많은 패러디 작품들, 일명 ‘로빈소나드’들 가운데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호모 에코노미쿠스 주체성 문제와 관련해 『로빈슨 크루소』와 비교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자본주의적 질서가 성립되던 시기의 『로빈슨 크루소』는 생존을 위해 부지런히 노동하고 축적하는 합리적 개인을 그린다. 노동의 윤리화, 이성과 기술에 대한 전적인 믿음, 공동체를 매개로 하지 않은 절대 개인이라는 그의 특성은 근대 부르주아 계급이 발전하는 모습을 반영한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이런 성격이 더 강화되어 자기강요와 강박에 의한 노동과 축적에 골몰하다가도 회의와 무기력에 빠지는 현대의 로빈슨을 그린다. 그는 방드르디라는 모델을 통해 새로운 삶의 모습을 보고 공리주의에 따라 움직이는 사회를 거부하며 무인도에 남기를 선택한다. 무인도에 표류한 일이 아버지로부터의 탈주와 해방을 의미했던 『로빈슨 크루소』와 달리, 무인도에서도 자신에게 부과하는 규율과 심리적 강박은 그대로였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진짜 시작은 사회를 거부하고 무인도에 남는 순간이다. 『로빈슨 크루소』는 ‘새로운 왕국’을 그리지만, 로뱅송의 ‘또 다른 섬’은 작품이 끝난 후 올 것이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끝이 다루고자 했던 것은 새로운 주체성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이며, 이를 위한 단절의 어려움과 절박함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ubjectivity of Homo Economicus through Robinson Crusoe (Daniel Defoe) and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Michel Tournier). Robinson Crusoe, which depicts the birth of Homo Economicus in an era in which the capitalist order was first established, draws a rational individual who works diligently and accumulates to survive. The ethicalization of labor, the full belief in reason and technology, and the personality of an absolute individual not mediated by community: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Robinson Crusoe, who reflects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bourgeois class.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portrays a modern Robinson, who has become obsessed with labor and lethargy, and who is struggling with self-enforcement and compulsive skepticism and helplessness. He chooses to remain on the uninhabited island by rejecting a society that follows the system of utilitarianism, by following a new model of life established by Vendredi. Unlike Robinson Crusoe, for which the uninhabited island meant an escape and liberation from the father, the real start of Vendredi is the decision to remain on the island. The whole of Robinson Crusoe draws a ‘new kingdom’, but for Robinson of Vendredi, his ‘other island’ will come after the end of the novel.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who is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a new subjectivity is possible, represents the difficulty of a disconnection with the past, and the urgency of this request.

      • KCI등재
      • KCI등재

        『전염병 일지』 혼종 서사 문체 번역의 고려사항들: 인본주의 서사로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서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3 영미연구 Vol.59 No.-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작가 다니엘 디포의 『전염병 일지』가 실증 자료와 그에 대한 가치 평가적 해석, 역사와 허구를 결합한 혼종 서사라는 점에 주목하고 이 서사 양식이 제기하는 번역상 고려사항들을 검토한다. 작품의 화자는 역사적 사실을 왜곡 없이 전달하는 기록자로서의 정체성과 기록의 진위보다 그에 대한 해석과 독자의 정서적 반응을 더 중시하는 논평가/이야기꾼의 정체성을 동시적으로 운용한다. 그리고 그 운용 과정에서 특정한 문체적 특징들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어휘 선택, 대명사 사용, 시제 변화 방식에서 나타나는 『전염병 일지』 특유의 문체적 특징이 서사의 사실성과 정서적 감응력을 전략적으로 결합, 운용해야 할 저자의 필요에서 나왔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이 필요가 궁극적으로 인본주의 서사의 목적, 즉 실증 자료를 독자를 계몽하고 그들을 특정한 인본주의적 실천으로 인도하기 위한 정적(affective) 서사 구성 요소로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기인한 것임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이 지향을 구현하는 작품의 문체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고 도착 언어에 이를 반영하는 것이 『전염병 일지』 번역의 중요 과제임을 주지하는 한편 기출간된 세 종의 번역본이 논의된 문체적 특징을 어떻게 번역했는지 검토하고 평가한다. Daniel Defoe's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hybrid narrative that intertwines history and fiction, merging empirical evidence with evaluative interpretations. This paper posits that the hybrid narrative style utilized in the text serves the author's intention to achieve specific humanitarian narrative objectives: employing empirical evidence to enlighten readers and guide them towards interventionist actions. Furthermore,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the stylistic elements within the work that embody this narrative orientation. Emphasis is placed on the author's deliberate choices in vocabulary, the use of pronouns, and shifts in tense. I argue that these stylistic components play important roles in bringing the central theme of the text to life and, therefore, warrant careful consideration in translation into Korean. Lastly, this research examines three published Korean translations of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to evaluate how effectively they capture these stylistic features in the source language and convey them in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개화계몽기 『로빈슨 크루소』의 번안과 아동 텍스트로의 이행

        오현숙(Oh, Hyun?sook)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근대아동문학은 기존의 성인문학(또는 미분화된 문학)을 아동을 독자적인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다시 쓰기(re?writing) 하는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다. 본고는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의 수용을 중심으로 아동 텍스트로의 이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원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문학에서 아동문학으로 이행한 대표적 작품 가운데 하나이며, 식민 개척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작품으로 비판되기도 한다. 이 소설은 한일합방 이전까지 한국에 활발하게 수용되었다. 구체적으로 김찬의 『(絶世奇談)羅賓孫漂流記』?(義進社, 1908 년), 최남선의?『로빈손無人絶島漂流記』?(?少年? 2권 2호, 1909 .2; 2권 8호, 1909 .9)를 중심으로 두 작품의 번안 전략을 분석하였다. 김찬의 경우 자국화의 번역 전략을 통해서 유교적 관점의 소년 교양물로서 텍스트를 변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최남선의 경우 아동문학의 문법에 따른 번안 전략을 통해서 한편으로는 제국주의를 반영한 식민 개척의 플롯을 그대로 반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사적이윤 추구를 비판하면서 인류의 공익 추구를 내세움으로써 모순된 번안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고는 서구의 근대문학, 성인문학을 받아들이면서 조선의 아동을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재구성하는 수용자의 주체적 의도와 아동문학으로 이행하고자 하는 능동적 기획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는 초기 아동문학사에서 영문학 작품의 번역이 조선의 아동을 독자적인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이행해가면서, 아동문학의 경계와 미학 등을 형성해나가는 중요한 기능을 했음을 규명하는 데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당대 번역이 단순히 서구문학을 도입하거나 서구중심의 이데올로기를 수입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독자적인 문화와 대상 청중에 따른 적극적인 재문맥화 과정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ourse to rewrite existing adult literature (or undivided literature) to be the literature addressing children as its own recei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children’s text mainly dealing with the acceptance of Daniel Defoe’s Robinson Crusoe. The origina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n the world which was transformed from an adult literature to a children’s literature, also which is sometimes criticized since it propagated colonization ideology. The novel was accepted in Korea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To put it concretely, the transition strategies of mainly the two works, (Jeolse?uidam)Nabinsonpyoryugui((絶世奇談)羅賓孫漂流記) of Chan Kim (Uishinsa(義進社), 1908) and Robinson Mooinjeoldopyoryugui (로빈손無人絶島漂流記)(No.2 of Volume 2 Sonyun(少年), 1909.2 ?No.8 of Volume 2, 1909.9) of Choi Namseon were analyzed. In case of Kim Chan, it was confirmed that he modified the text as a juvenile cultural reading in the view of confucian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 strategy of domestication. In case of Choi Namseon, the plot of colonization reflecting Imperialism through the transi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grammar of children"s literature was directly reflected in one aspect and in another aspect, a contradictory transition text was composed by asserting the public interest of human race while criticizing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 of Protestantism. Through this, this study tried to show in depth the accepter"s independent intention who accepted the modern literature and the adult literature of the West and reconstituted them as the literature which takes the childre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s the receivers and the active planning itself to try to transit to children"s literature. Such discussion of this study tried to prepare for a clue that the translation of English literature works in early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functioned a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boundary and esthetics, etc. of children"s literature while it was transferring to be the literature to take the childre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s its own receivers. Also, this study tried to ponder that the translation of that time was not merely the import of the western literature or the western oriented ideology, but it was a process of an active re?creation of context according to the own way of the culture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target audiences.

      • KCI등재

        몬느와 로빈슨 텍스트 상호성의 일례-

        이재욱 ( Jae Wook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6

        알랭 푸르니에의 여동생 이자벨이 열거한 그들의 유년기 애독서들 가운데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는 텍스트 상호성 차원에서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푸르니에의 유일한 소설 『르 그랑 몬느』의 1부 3장의 제목, ‘나는 광주리 만드는 곳을 자주 찾았다’는 『로빈슨 크루소』 한 구절의 인용이다. 이는 소설 창작 과정에서 상기된 유년기 독서 기억의 명백한 증거다. 이 장의 제목이 인용부호 안에 들어간 것을 볼 때 저자 역시 이 점을 부인하고 있지 않다. 이 같은 관찰에서 출발한 본고의 텍스트 상호성 연구는 장면 또는 표현의 변환을 고찰하는 비교방법을 지양하고 두 소설이 어떤 동일한 테마에서 만나고 있는지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실 『로빈슨 크루소』의 청소년을 위한 여러 번역 판본 중 푸르니에가 접한 번역본에 관한 기록이 없는 상황에서 변환 차원에서 비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성인이 되어 그가 『로빈슨 크루소』의 완역본을 읽었는지 알 수 없다는 점도 이 같은 비교 방법론의 한 한계다. 비교 대상인 두 소설의 각각의 주인공인 몬느와 로빈슨의 모험을 동기, 과정, 도달점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이 두 여정 사이의 여러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한 예로 로빈슨을 망망대해로 이끈 것은 평범하고 안정된 삶을 강권하며 그를 통해 자신을 닮을 것을 요구하는 소부르조아 아버지에 대한 반발이자 ‘단숨에 출세하여’ 그를 능가하겠다는 아들의 경쟁심이다. 한편, 아버지가 없는 몬느에게는 위탁된 집의 가장이자 그의 선생인 쇠렐씨가 부친의 대리격이다. 교권에 반항하여 솔로뉴의 숲에서 길을 잃으며 시작되는 그의 모험의 동기는 따라서 로빈슨의 경우와 유사성이 있다. 프랑스 내륙지방이 무대인 『르 그랑 몬느』 속에 바다의 이미지가 은유적으로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 또한 두 소설의 텍스트 상호성을 말할 수 있는 근거이다. 몬느의 모험이 항해에 비유되는 것은 한때 해군장교를 열망했던 알랭 푸르니에의 꿈이 소설에 녹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좌절되고 만 이 꿈이 평범한 시골 교사였던 그의 아버지의 삶에 대한 반작용이었다면 그의 소설의 주인공은 이 점에서도 로빈슨의 정신적 형제다. 문학작품의 비교연구는 한 작품이 다른 작품에 끼친 영향, 차용 또는 표절 여부, 같은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 두 작가의 미학의 차이 등, 여러 것을 밝히는 역할을 한다. 『르 그랑 몬느』와 『로빈슨 크루소』의 텍스트 상호성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이 또 다른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두 작품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 작가의 무의식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를 프로이트가 말하는 ‘가족소설’의 한 전형적 현신으로 보는 마르트 로베르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디포의 이 모험소설에 대한 알랭 푸르니에의 특별한 애착과 의식적, 무의식적 차용은 그의 치유되지 않은 외디프스 콤플렉스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로빈슨 크루소>에서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으로의 소리풍경 변화 연구

        노시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experiences of Robins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nove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capes of Robinson Crusoe of Daniel Defoe and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of Michel Tournier. First, if we analyze the soundscape elements of the two novels, the sounds clearly perceived by the characters in both cases occurred 79 times and 112 times, respectively. As the former changes to the latter, it can be seen that natural sounds dominate and the character's sensory perception of silence stands out. Next, in Robinson Crusoe, there are often no modifiers for soundscape, many are related to the loudness, and all of the positively modified sounds are human voices. On the other hand, in Vendredi, the number of modifiers for sound is noticeably increased, and various properties of sound are expressed in addition to loudness, and all positive sounds are wind sounds as natural sounds. The fact that the change of soundscape from Robinson Crusoe to Vendredi i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valuation of hypertextuality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cannon sounds and gunshots, example of devaluation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through the dominance of natural sounds and silence and the positive modifier for the sound of wind, example of the contradictory value of ecologism.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world experience of the characters in Tournier's novel is full of sound, unlike in Defoe's novel, and changes in valuation are expressed through changes in soundscape. 본 연구의 목적은 <로빈슨 크루소>와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소리풍경의 비교 분석을 통해 소설의 다시 쓰기 과정에서 발생한 로빈슨과 로뱅송의 세계 체험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었다. 먼저, 두 소설의 소리풍경 요소를 분석해보면 양자에서 등장인물에 의해 명확하게 지각된 소리는 각각 79번과 112번 발생하였는데, 전자에서 후자로 변화하면서 자연음이 우세해지고 침묵에 대한 등장인물의 감각적 인식이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소리풍경 요소의 수식어와 관련하여 <로빈슨 크루소>에서는 그 수식어가 없는 경우가 많고, 소리의 크기와 관련된 것이 다수이며, 긍정적으로 수식하는 소리가 모두 인간음인 음성인 반면, <방드르디>에서는 소리풍경 요소에 대한 수식어가 눈에 띄게 늘고, 크기 외에도 소리의 다양한 성질을 나타내며, 긍정적인 소리가 모두 자연음인 바람 소리이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방드르디>로의 소리풍경 변화가 파생텍스트성의 가치평가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은 제국주의․식민주의에 대한 평가절하의 예인 대포․총소리의 사라짐, 그리고 생태주의라는 상반 가치 부여의 예인 자연음과 침묵의 우세, 바람 소리에 대한 긍정적 수식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투르니에의 소설에서 등장인물의 세계 체험은 디포의 소설에서와 달리 소리로 충만해 있으며, 가치평가 변화가 소리풍경 변화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전염병의 비극: 디포의 『전염병 연대기』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 및 적대/환대

        오봉희 ( Bong Hee Oh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6 근대 영미소설 Vol.23 No.1

        This paper explores anxiety, fear, hostility and hospitality in Defoe’s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It first looks at people’s anxiety and fear of the plague that imperceptibly infects people, focusing on the shutting up of victims’ houses and the mass burials of dead victims. Then it examines the entanglement of hostility and hospitality. People’s anxiety and fear force them to turn against strangers. Their hostility can be called “passive” in that they are obliged to be hostile by the anxious concern for self-preservation. Hospitality seems impossible because it may amount to a fatal act of inviting the plague and death. Moreover, the entanglement of hostility and hospitality cannot be resolved because everybody’s self-preservation is just as important as everybody else’s. In the last part,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 of burial and mourning. Dead victims are literally dumped into burial pits promiscuously. They are objects of disposal, not of mourning. Even worse, they are dug up again when their burying grounds are hastily converted into other uses. It is people’s passive hostility and inability to mourn that makes the plague year one of the most tragic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