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가구 구성원의 주거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으로의 주거이동을 중심으로

        김도연,김현철,진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의 규모 및 유형이 다양해지며 노인 1인가구와 노인 부부가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해 있는 농촌지역 노인들에게 주택의 노후화와 주거환경으로부터 야기되는 복합적 문제들은 주택보장과 정상화의 실현을 포함한 주거보장을 심각한 수준으로 위협하고 있다.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시행으로 일상생활의 수행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주거이동을 선택하고 있다. 주거조절의 한 유형으로서 선택되는 주거이동은 주택 내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욕구충족에 대한 댓가로 다양한 부정적 결과를 감수하더라도 특별한 대안이 없는 농촌지역 거주 노인들에게는 이미 일반화된 현상이다. 본 연구는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지 오래인 농촌지역에서 노인가구 구성원의 노인요양시설을 향한 주거이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 하려고 한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 농촌지역에서 보편화 되어가는 노인 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구성원의 노인요양시설등으로의 주거이동 현상을 고찰하여 주거이동의 동기, 그리고 주거이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노인과 가족관점에서의 변화 및 원 거주 농촌의 지역적 관점에서의 변화를 규명하고저 하였다. 연구의 결과 농촌 노인가구원 주거이동 동기는 확대기에 있는 가구와 달리 주택환경, 보건·의료·복지환경의 구축실태, 가족구조, 신체자립능력, 복지정책등이 주요인이 되고 있었다. 주거이동으로 인한 농촌 주거환경의 변화는 노인을 포함한 가족 측면에서는 첫째, 시설 케어의 수월성과 부양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의 감소 둘째, 인적 교류의 단절 및 가족의 해체와 삶의 연속성 단절 셋째, 주거환경 개선비용의 매몰비용화 넷째, 노인부양에 대한 가족 구성원의 책임의식 약화와 사회적 부양의존성 고착화 다섯째, 거주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의 어려움과 기존 주택의 유지관리 문제였고, 농촌 주거환경 측면에서는 첫째, 주택의 지속가능성 문제 둘째, 마을존립을 위한 최소 자생단위의 파괴와 농촌마을의 주거경쟁력 약화 셋째, 마을 공동체의 약화와 홈 컴잉 계기의 상실로 인한 도농간 교류의 단절로 나타났다.

      • KCI등재

        농촌 고령세대의 주거 특성 및 ‘지역에서 나이 들기’(AIP) 관점의 농촌 주거복지 정책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정문수,심재헌,김민석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6

        노인들은 거동이 불편하여도 병원이나 요양시설이 아니라 자신이 생활하던 지역에서 여생을 보내기를 희망한다.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해외 국가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는 중요한 사회 이슈로 등장하였다. 농촌은 도시에 비해 노인의 주거 실태가 열악하여 주거복지 실현에 대한 수요가 크다. 농촌의 고령화 추세는 도시에 비해 심각하지만, 농촌 노인의 주거환경은 더욱 열악하다. 농촌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은 전통 민가형 노후주택이 많아 주택 내 단차가 심하고 안전시설이 미흡하여 생활하기 불편하다. 농촌 노인이 거주하는 마을과 지역사회 또한 보행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 및 편의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 농촌 노인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어 하지만 불편한 주택과 주변 환경은 이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나이 들기’라는 관점에서 농촌 노인의 주거 실태를 다각도로 파악하여, 농촌 노인의 주거복지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 노인 주거 실태와 관련된 관련 통계 분석과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농촌 노인이 원하는 주거복지 수요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경북 농촌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

        정회훈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There are various projec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such as rural housing repair and rehabilitation projects. However, the project results have been unsatisfactory due to aging population and low income. Without supports for housing repair, the quality of life get worse for the elderly and at the same time this will hinder return to farm and rural. Therefore this could be a threatening fa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upports to repair and improve their housing conditions at the regional level.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housing conditions of rural villages in Gyeong-Buk province and to suggest policies for housing improv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 that systematic surveys of housing status need to be conducted and principles of policy, and minimum standard of housing services be set up. Moreover, it is necessary that each project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a differentiated approach. 현재 경북의 농촌은 인구 및 소득 감소, 고령화 및 마을 과소화, 이에 따른 자부심 결여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된 지 오래이다. 특히 농촌마을의 정주여건은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농촌주택(50.2만 호) 중 건축된 지 30년을 초과한 노후주택이 약 12만 호로 전체의 24.5%를 차지하고 있다. 농촌 빈집은 약 75천 호로 총 농촌 주택수의 1.4%(2010년 기준) 수준이다. 또한, 농촌 지역의 슬레이트 건축물은 약 86천 동으로 이 중 주거용 건축물이 대다수(64천 동)를 차지하고 있다. 정주 여건 개선과 관련하여 농촌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다양한 정책 사업들이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주민의 노령화 및 저소득 등과 맞물려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의 노후한 주택의 개량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초고령화된 농촌주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뒤를 이을 귀농귀촌 인구의 진입장벽이 될 수 있는 등,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주택개량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북 농촌주택의 실태와 주택개량정책의 현황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도출했다. 문제점 해소를 위해서는 경북 농촌마을 주택상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정책 원칙 및 최저 주거지원서비스 기준을 마련하고 정책대상을 구분하여 차별화된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철원군 양지마을 농업인력지원공간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

        김승희,임혜순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4

        이 연구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농업 이주노동자의 주거문제와 관련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지원방향성 탐색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와 농장주 등 당사자는 물론 지역사회 구성원과 관계기관 담당자와의 초점집단 토론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주노동자 인력에 의존하는 농촌사회는 이들의 주거환경 개선이 주요한 정책적 이슈가 되었다. 사례지역은 계절근로자나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이주노동자를 매년 고용하여 농업을 영위하는데, 최근 강화된 외국인 이주노동자 숙소 제공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인력수급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농업생산력으로 직결되어 이들의 주거문제는 장기적으로 농업 영위 자체의 문제로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포스트코로나를 거치면서 실질적으로 주거환경 개선 및 숙소제공에 대한 비용부담이 농장주에게 모두 전가되는 현실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정책적으로 강화된 이주노동자 주거시설 기준에 농장주차원에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지역사회차원의 대안모색이 절실한 상황으로 이어졌다. 현재 이주 노동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숙소는 건축법, 농지법 등 관련 법적인 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불법적 시설이 대부분으로, 이를 양성화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례 제정 등의 절차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 제도하에서 법상 규정에 적합한 이주노동자 주거시설을 단기간 내에 제공하는 것은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철원군의 경우 대규모 농지가 군사시설보호구역, 농업진흥지역에 속하여 주거시설의 양성화마저도 근본적으로 어려운 상황임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지역 내 농가가 공통으로 직면한 이주노동자 주거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공동으로 조성․운영하는 숙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도출되었고, 농장주-이주노동자-관계기관 등 지역사회에서의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농장주에게 전가되고 부담이 높아지는 주거시설 개선이 지역사회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긍적으로 그동안 간과되었던 농업이주노동자의 주거문제 논의를 지역사회차원으로 확장하여, 이주노동자가 농촌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관계성이 확대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사례지역의 이주노동자 공동숙소 조성이 이주노동자와 함께하는 농촌마을의 지속가능 상생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원활한 운영을 위한 조직구성과 프로그램 운영 등의 세부적과제가 필요할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Tanya를 통해 본 헝가리 전통 농촌 주거 구조의 특성 연구

        이상협(Lee, Sang-Hyup)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본 논문은 외형적으로는 산재주거형태이지만 본질적으로 밀집주거형태의 한 변형으로서 이원적 주거 형태인 “떠녀"(tanya) 와 “떠녀"(tanya) 체계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헝가리 전통 농촌 주거 구조의 특성을 조사 연구해 본 것이다. 이“떠녀”와 “떠녀” 체계는 헝가리 대평원(Alfo1d) 이라는 지역의 지정학적 특성에 따라 발전된 농민층의 독특한 주거 형태로서만 그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헝가리 사회 특히 농민 사회의 발전 과정과 그 궤적을 같이하며 변화하고 발전하여, 물질적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전통 문화와 민속 형성에도 깊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먼저 ”떠녀”라는 독특한 주거 형태의 의미와 본질 그리고 기능을 조사하여,"떠녀”는 고립 농가나 외딴 농가와 같은 산재주거 형태가 아니라 밀집 주거지와 유기적 관계를 긴밀히 유지하고 있는 부속주거형태로서, 이 지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과 상황에 헝가리인의 고대 유목 문화에 나타난 이중 주거 방식을 접목시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주거 형태로 발전시킨 사실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 ”떠녀”가 산발적인 개별 주거 방식이 아니라, 이 지역 거주 농민층의 전형적 거주 형태로서 “떠녀” 체계를 형성해가는 과정과 흐름을 조사하였으며, 이 과정은 헝가리 사회의 시민화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 조사는 “떠녀” 및 “떠녀” 체계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세기에 발생한 많은 시대 상황과 역사 변동에 따라 급변한“떠녀” 체계와 ‘떠녀”의 여러 유형에 관하여도 조사가 이루어져, 전통 주거 구조로서의 특정과 함께 최근 현재의 모습도 기술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떠녀”와“떠녀” 체계의경제적, 사회적, 역사적 가치와 의미에 대한 평가도 행하였다. 본 연구 논문 주제의 핵심인 헝가리 대평원 농민층의 전통 주거 형태 ”떠녀”와..떠녀”의 유형적 특성 및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헝가리 전통 농촌 주거 구조의 특성을 밝혀 보았고, 동시에 헝가리 전통 농민 사회와 문화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ungarian rural settlement pattern through research on "tanya" and "tanya" system which are seemingly a scattered settlement type but in fact a variant of clustered settlement. Tanya is not just a unique settlement type of Hungarian rural community resulting from a pragmatic adjustment to distinctive geography of the Hungarian Great Plain (Alfold). “Tanya" system has mirrored the development of Hungarian society, especially rural community, thus it has close bearing on the formation of traditions and folk customs spiritually as well as physically.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significance. nature , and functions of "tany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anya is not a scattered settlement type like the lonely farmstead or isolated farming household but an affiliated settlement closely connected with clustered settlements‘ Tanya is also a rational and economical settlement which applied the dual settlement pattern of ancient Hungarian nomadic culture to geographic and historical peculiarities of the region. Secondly, this paper puts forward an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of "tanya" system not as a scattered individual settlement type but as a typical settlement pattern of rural dwellers and finds out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any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Hungarian civilization.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on rapid changes in "tanya" system following historical ups and downs in the 20th century and many different types of "tanya". Lastly. in this paper. economic. social. and historical values of "tanya" were evaluated. Through research on the typical settlement type of rural dwellers in the Hungarian Great Plain (Alfold), “tanya." and its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ungarian rural community and culture as well as the peculiarities of traditional rural settlement type.

      • KCI등재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지역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진희(Bae, Jin-He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써 주거 보장의 의의를 확인하고 농촌 노인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702명과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면접법과 관찰법에 의해 수집되었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거 형태, 건강 상태, 경제 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욕실 형태, 화장실 형태, 주거비부담, 주택 내 사고 경험, 집수리 경험, 주택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가 농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농촌 노인의 Aging-in-place 실현을 위한 주택 및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dent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For the purpose, interview and observation were performed to 702 rural elderly and their houses by trained interviewe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 shows that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were bathroom condition, toilet condition, housing expenses, experience of accidents in house, experience of repairing house, housing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mprovement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rural elders.

      • KCI등재

        농촌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Changsu Lim,Seung-chul Lee,Eun-Ja Kim,Mi-Jung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실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 하여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전국의 이재민 임 시주거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의 지정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이 농 촌지역보다 시설면적이 크고 수용능력이 높은 시설 위주임을 추정 할 수 있으므로 농촌지 역 역시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새로운 시설 지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다. 또한 농촌지역 대표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분석결과 지자체마다 이재민 임시주거시 설 종류가 상이하게 지정 되었으며, 개소수 역시 지자체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지 자체에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을 지정하는 절차와 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country and cit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nd urban areas. As a result,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urban areas are bigger and have higher capacity, implying the necessity to designate facilities in rural areas that can accommodate larger number of people. As to th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reas, different regions had different types of designated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also showed big difference depending on regions. So it is believ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improve the process and system of designating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 귀농귀촌 정주지원을 위한 농촌형 임대주택 계획 시 적정주거면적에 관한 연구

        박미란 한국농촌건축학회 2016 한국농촌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6 No.05

        This study is about a planning standard of rural rental housing in order for housing stability of urban to rural returners .The study analyze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the house function and area as a standard when planning new construction of Rural rental housing. First, a number of households for urban to rural returners is composed of 2 people as a couple, or 3~4 people as to 1~2 children and couple. Second, it was analyzed room configuration and area of rural housing standard design. Room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consists of a dwelling space and service space. Dwelling space in the housing accounts for ratio of 65~ 75%, the service space occupies 25 to 35%. Third, Area of rural rental house is calculated on a scale from 40~8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