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최혜순(Choi Hye-Soon),김찬숙(Kim Chan-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3~5세 유아 236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학급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평정하였으며, 가정에서의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은 부모용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놀이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부모가 신체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의 참여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역할놀이, 기능놀이 수준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경우 역할놀이의 참여수준이 높은 경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부모의 신체놀이 참여 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와 정서성이, 부모의 역할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기능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정서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자기조절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ied how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affect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236 children at age between 3-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For the study,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were record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different types of play, child showed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when parents show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Moreover, higher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and higher participation of mothers in role play is correlated with higher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In terms of sub categories of self-regulation,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and children’s ability of behavior and emotional control;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role play and behavior control;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functional play and the emotional control are related to each other. 2) Children exhibit higher self-regulation when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Among the sub categories, children show better behavior control when the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 KCI등재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이현지(Lee Hyeonji),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07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1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 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참여는 주말 및 공휴일 놀이시간이 평일에 비해 높 았고, 대체로 부모는 자녀와의 놀이에 종종 참여하며 소극적인 수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만 5세 유아들은 대체로 높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 참여 빈도, 참여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하는 방안 탐 색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 5-year-olds children, and their 107 pairs of fathers and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showed highly, and the weekend and legal holiday play participation time appeared higher tha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time. Most parents often participated in the play with the children passively. The 5-year-olds children tended to feel high happiness. Second, the parents’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frequency, and level of the parents. Especially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had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ird,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child’s happiness. It means that parents’ beliefs are connected with the action and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분석-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차가정,곽승주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유아기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및 놀이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어머니 267명을 대상으로 놀이신념 및 참여도, 자녀의 스마트폰 몰입수준을 알아보고 그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놀이 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높았으며, 놀이신념 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놀이참여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배경변인 중 취업유무, 자녀수, 월 소득, 학력 등에서 놀이신념의 차이가 있었고,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놀이참여 빈도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몰입 수준은 어머니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에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습중심 신념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참여에서 평일과 주말 놀이시간, 놀이참여 빈도,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belief and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and the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use, in order to find desirable roles that can be played by the contemporary parents of children and good play instruc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wo hundred sixty-seven mother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three and five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beliefs and participation in play, as well as the smartphone immersion level of their children; the correlation of these two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mothers’ belief in supporting the play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mothers’ belief in focusing on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despite the high belief in supporting play activities, actual participation of the mothers in their children’s play activities was low. Second,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number of children,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level were variables that caused differences in their belief in supporting play activities. The birth order of the child also had an effect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play. In addition, the levels of children’s smartphone immer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the mothers. Third, the mothers’ belief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play and the smartphone immersion of the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hile the mothers’ belief in focusing on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and children’s immersion in smartphone u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children’s immersion in smartphone use was lower when weekday and weekend playtimes, frequency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ctivities, and intensity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ctivities were higher.

      • KCI등재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김명순 ( Myoung Soon Kim ),조항린 ( Hang Rin Cho ),박영림 ( Young Lim Park ),신혜영 ( Hye Young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 부모의 가정에서의 놀이참여의 실제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유아 총 287명(남아 148명, 여아 139명)과 그 유아의 부모 287쌍으로 하였다.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le과 Mendez(2006)가 제작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이한별(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놀이참여 횟수 및 시간은 연구자들이 직접 고안하여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tevenson, Leavitt, Thompson과 Roach(1988)의 놀이 유형과 이숙재(1984)의 놀이참여 단계를 참고로 원희영(1998)이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유아 부모의 놀이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전 연령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자녀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반면, ‘학습중심’ 신념은 만 3세 보다 만 4세 부모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더 빈번히 놀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더 어린 연령 자녀와의 놀이참여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있어 구성놀이와 기능놀이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고, 교수놀이, 게임놀이와 역할놀이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다. 또한 구성놀이에서는 만 3세 부모가 만 5세 부모보다 놀이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교수놀이에서는 만 3세 아버지가 만 5세 아버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넷째, 부모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의 점수가 높은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많은 시간, 높은 수준의 놀이를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습중심’ 놀이신념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적은 시간, 낮은 수준의 놀이를 하고, 놀이하는 횟수 또한 적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bout play and actu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Study subjects were fathers (N=287) and mothers (N=287) whose children were across 3 years through 5 years. The parent reports were used to investigate parents` beliefs, frequency of playtime as well as playtime with their children per week. Parent beliefs about play was evaluated using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Fogle & Mendez, 2006) and each parent completed the play participation questionaire devised by Stevenson and his colleages(1988). Findings from the study demonstrated as follows; (1) Both par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lay support describing enjoyment of play than academic focus reflecting an emphasis on academic skills. (2) Father-child and mother-child play varied in quantity, hence each parent spent more time with younger children on play. (3) Fathers engaged in physical as well as functional play, whereas mothers took part in instructive play differed by parent gender. (4) Parent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play level of them.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parents should have play belief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with their child.

      • KCI등재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양육참여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Kim, Kyoung-Hee),김세곤(Kim, Se-G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7

        본 연구는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양육참여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문제행동을 중재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에 K시 소재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 부모 240명과 그들의 자녀 240명을 대상으로 놀이참여, 양육참여, 유아 문제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참여와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자녀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육참여와 놀이참여의 하위변인이 유아 문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어머니의 생활지원참여, 아버지의 게임참여, 어머니의 신체놀이참여, 상상놀이참여가 증가 할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양육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길러주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infant fathers and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nd parenting affects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on 240 parents and 240 infants residing in K city. Participation in play,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ere tested.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reduced the child"s problem behavior. Second, as mother"s participation in life support, father"s participation in games, mother"s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and imaginary play increased, infants" problem behavior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ata can be used to prepare specific methods for infant mothers and father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and play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류희정(Ryu Hee Jeong),이진희(Jin-Hee L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공동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수행이 강조되며 특히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자녀의 발달에 갖는 중요 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발달 및 학습 경험에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D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13곳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34명(남아 116명, 여아, 118명)과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아버지의 놀이참여는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은 교사평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전 체는 유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은 상당히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 째, 남아는 아버지의 놀이참여 하위요인 중 게임, 신체놀이, 구성놀이 참여가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55% 를, 여아는 아버지의 놀이참여 하위요인 중 교수놀이, 기능놀이, 역할놀이가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53% 를 설명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아버지의 놀이참여의 중요성 을 강조하며, 유아의 요구에 민감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As the co-parenting role of father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paternal involvement, particularly in play, on their child's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play involvement and preschoolers' behavioral self-regulation, a critically important construct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later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ed by child gender. The subjects were 234 4- to 5-year-olds (116 boys and 118 girls), enrolled in 13 differen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 city, and their fathers. Paternal play involvement was measured through a self-report type measure,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of preschoolers was measured by a teacher rating measure.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overall play involvement and preschoolers' behavioral self-regulation were not different by child gender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for sub-factor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fathers' play involvement and preschoolers' behavioral self-regulation were considerably high for both groups. Third, fathers’ involvement in games, physical play, and constructive play explained 55% of the boys’ behavioral self-regulation, while the involvement in instructive play, functional play, and pretend play explained 53% of the girls’ behavioral self-reg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paternal play involvement in enhancing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a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sensitive fathering attuned to child’s needs.

      • KCI등재

        참여연극의 놀이전개구성

        권보연(Kwon, Boh-You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2

        본고는 관객의 능동적 관객 개입이 중시되는 참여연극을 연극의 게임화 현상으로 접근하여 관객 참여 행위에 나타난 일정하고 공통된 놀이 경험 전개 구조와 양상을 통합체적으로 분석했다. 이에 전통연극을 기준으로 참여연극과 게임의 경험 층위유비를 고찰하고, 관객들의 일관된 놀이 경험을 판별할 수 있는 참여연극 <쉬어매드니스>의 놀이전개구성을 사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관객 참여를 중심으로 연극이 게임과 결합하는 전이 체계와 계열적 차이를 초월하여 단일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통합체적 놀이 구성의 판독 근거가 마련된다. 참여연극에서 관객은 공연에 직접개입하여 행동하는 자이다. 이들의 경험은 능동성과 직접성을 교점으로 게임과 유사 속성을 공유하며 관객들은 플레이어로의 역할 전환을 겪는다. 즉, 전통연극에서 참여연극을 향한 진화는 게임과 유사한 놀이 구조 이식을 통해 새로운 관객 경험을 출현시키며, 하나의 작품을 통해 관객 모두에게 일관서어 있는 놀이 공급 구조를 마련한다. 게임화는 연극 관람의 전통적 즐거움에 서술과 마임, 기호작용, 기억과 지각, 수용과 행동 요소를 강화하여 관객 행동이 공연에 개입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힌다. 참여연극의 낯선 경험이 기존 연극 관람과 차별적 즐거움을 발생시키는 원리가 여기에 있다. 참여를 통한 연극의 게임화 사례로 <쉬어매드니스> 놀이전개구성(Composition of unfolding play, CUP)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퀘스트로 구성되어 살인사건 수사에 참여하는 모든 관객에게 공통적이며, 고유의 규칙성으로 작용하는 통합체적 놀이 구조를 도출하였다. 작가와 연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퀘스트의 순차 배치를 통해 일정한 놀이가 전개되며, 등장인물인 경찰은 공연 시간 내에 관객들이 진범 투표라는 최종 퀘스트에 도달하도록 게임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매회 관객 투표를 통해 정해지는 결말은 공연 내외부의 복합적 대결 및 승리조건과 조합되어 관객 경험을 시리즈 플레이로 연결하는 멀티엔딩 구조의 놀이 구조로 기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relations between the participant theatre and the game. And to find out unified composition of play structure in specific participant theatre to decipher media phenomena as the gamification in theatre. Ground hypothetical approach is game has influenced on the structural forms of the participant theatre to switch types of interaction from traditional audiences to game players. In this study, there are 2 analytical steps to prove it. The first one is to compare with the experiential structure among participant theatre, traditional theatre and games. And the next is to find out composition of unfolding play, CUP, in <ShearMadness> as a typical case of the participant theatre. After CUP Analysis, audiences play a role to do something directly like gamers in the whol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 theatre. It means games make participant play enhance narrative, mime, semiotic process, memory, cognition and the action field. As the early gamified models of theatre, <ShearMadness> has unique quests arrangement and it creates unified play for all the audience. The police officer is also act as a playing master to progress the games by time control. Audience’s voting is able to make 4 different endings which include internal, external conflict and complex victory condition. It also induce audiences not to play once but to play again like a series games. Collectively, the study finds out participant theatre which applied unified playing structure as unique CUP(composition of unfolding play) by the director and it has been evolved to be affected by games since the early stage. According to results, participant theatre is included gamification cases which arise in traditional theatre.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문성영 ( Moon Sungyoung ),심성경 ( Shim Seo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7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만5세 유아 188명과 아버지,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평정을 실시하고, 유아 회복탄력성을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모두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아버지의 경우 신체놀이, 게임, 기능놀이에의 참여도가, 그리고 어머니의 경우 역할놀이, 기능놀이, 신체놀이에의 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놀이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부모교육 방안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188 children who are aged in five, who currently attend 7 different kindergartens in G-city, South Korea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layfulness of parent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Especially, fathers’ play participation related to physical playing, games and functional playing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Mothers’ play participation related to role playing, functional playing and physical playing also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hese reults could be significant data to increase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continued interest and effort to improve parent’s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 연구

        이소연 ( Lee So-yean ),위영희 ( Wui Yeong-hee ),유재령 ( Yoo Jae-ryoung ),정윤주 ( Chyung Yun-joo ),이영애 ( Lee Young-ae ),김리진 ( Kim Lee-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문지는 영유아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참여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한 33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가독성과 의미전달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및 인천 지역에 위치한 9곳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44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민감하게 놀기(7문항),’ ‘반응적으로 놀기(6문항),’ 그리고 ‘즐겁게 놀기(7문항)’의 3개 요인 총 20문항으로 정리되었고, 3요인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내적일관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본 척도와 부모의 놀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예측하는 준거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화된 영유아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자녀의 놀이에 참여하는데 있어 부모의 어떠한 태도가 적합한지를 제안하는 부모교육자료로 활용되거나 자녀와의 놀이 참여 태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which was developed by the Delphi survey. 447 parents of 9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finally, data from 339 parents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global fit of the sensitively play (7 items), responsively play (6 items), and delightfully play(7 items) three-factor model was good.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was goo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scale and the parents’ playfulness scale, indicating concurrent validity. Finally, higher scores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and its thre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lower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d higher scores of the preschoolers’ self-control ability.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is new measure to be both valid and reliable and specifically suggests what kind of attitude is appropriate for parents to adopt when participating in preschoolers’ play.

      • KCI등재후보

        유아의 놀이 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따른 창의적 성격 간 차이

        염연옥,김진희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7 Global Creative Leader Vol.7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parents’play participation level. The study samples were 81 parents of day care center children. Parent involvement was most actively involved in physical play, followed by role play, functional play, teaching play, and composition pl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level of pl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physical playing by play typ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roviding a chance to experience many activities and behaviors to children and parents' high playing involvement can be a factor improves children's creativity. Suggesting that parents' perception of play involvement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crea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참여 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어린이집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8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따른 창의적 성격 간 평균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놀이참여는 신체놀이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그 다음으로 역할놀이, 기능놀이, 교수놀이, 구성놀이의 순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부모의 놀이참여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성격과의 평균차이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놀이가 유아의 발달과 창의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체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모의 놀이참여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창의성의 발달에 중요할 것이라는 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