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녹색운동의 정치제도화의 기회구조에 관한 연구

        정하윤(Jung, Ha Yoon),신두철(Shin, Du Chel)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4

        본 연구는 한국 녹색운동의 정치제도화 과정과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 정치체제 내 녹색정당의 가능성과 한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시민운동은 제도 정치 외부에 존재하지만, 녹색정당으로의 발전은 의사결정과정뿐만 아니라 권력 구조의 변화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한국의 녹색운동은 제도권 외부에서 정치권에 대한 영향력 행사 차원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제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운동 내부의 역동성과 한국의 정치기회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설명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한국 녹색운동의 역사적 발전은 운동 내부의 역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정치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자원을 제공하였다. 외적으로 한국의 사회구조와 정치기회구조는 운동정당의 정치제도화에 제도적 맥락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탈물질주의적 가치는 아직 주변부에 머물러 있고, 특히 폐쇄적인 선거제도와 정당 설립 및 존립 등이 명시된 정당법은 녹색운동의 정당 이행에 있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정치적 동맹의 경우, 진보정당과의 연합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환경운동 내부의 결집 문제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우호적인 조건은 아니었다. 그러나 녹색정당이 주장하는 가치를 대변하는 기존 정당의 부재와 기존 정당의 소극적인 환경에 대한 입장은 한국 정치체제 내 가장 큰 기회구조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political institutionalization of Green Move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t makes possible to answer why green movements transform into political parties instead of putting pressure on decision-making process outside of a political institu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reen movements in Korea isn’t only influenced by the internal dynamics of movements itself but also by the external factors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ncluding post-materialism, electoral system, structure of environmental policy and political coalition. As a result, a historical development of green movements has enhanced capabilities within movements and it becomes the political resources for transforming movements into parties. In case of social structure an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t can act as an institutional context on movement parties. In Korea, the unprevailing values of post-materialism, a closed electoral and party system, and a divergence within green movements constrain movements to be institutionalized. However, the absence and passiveness of existing parties which represent green values as a priority can be the political opportunity for green movement parties.

      • KCI등재

        녹색 운동의 정치 실험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경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3 EU연구 Vol.- No.35

        French Green Party faces two challenges, loss of dynamism of grass-roots civil movement and that of its identity caused by the compromise with traditional politics, though it has gained substantial achievement entering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producing many members of Parliament and decision makers after its foundation. Green Movement, led by the people who led the 68 Movement, could achieve political chances as an alternative political party in critical situation in which the traditional political parties could not keep up with the post-material issues such as women, human rights environment. Political experiment of French Green Movement is still in progress though internal and external throes and policy confusion caused by its change as a political organization. It, however, offers some implications to Korean green political movements which are preparing another leap forward as a alternative political force in the face of mounting ecological and democratic threats. First of all, French Green Party has put all its effort to spread out ideal and vision of green politics with continuous participating in various elections, despite its less-than-expected results since 1974 election. Secondly, it has continuously presented persuasive alternatives and conducted political struggle to create more public awareness. 창당 이래 가장 많은 의원과 정책결정자들을 배출한 프랑스 녹색당 Green Party 이 제도권 정치진입이라는 기대하던 성과에도 불구하고, 풀뿌리 시민운동의 역동성 상실과 기존정치와의 타협으로 인한 독자성 상실 등 이중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68운동을 이끌었던 체제비판적인 ‘사람들’에 의해 주도된 녹색운동 Green Mouvement 은 변화하는 사회 질서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기존 정당에 대한 비판세력으로 등장하여, 지구화의 확산, 시장개방의 확대에 따른 고용 불안정, 이민자의 증가, 사회복지비용 부담의 증가 등의 경제 문제와 더불어 여성, 인권, 환경문제 등 탈 물질적 정치 이슈에 대해 기존 정당들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안 정당으로서의 정치적 기회를 획득한다. 녹색운동 40년의 역사와 정치조직으로서의 30년의 역사를 거치는 동안 프랑스의 생태정치 Eco-Politics 는 좌우 대립의 정치지형 속에서 이념적 독자성과 정책적 차별성을 모색하기 위한 지난한 과정을 경험하며 분열과 통합의 갈등과정을 반복하며 성장한다. 각종 선거를 거치며 때로는 성공적으로, 때로는 참담한 실패를 거듭한 가운데, 2012년 사회당 Socialist Party 과의 연대를 통해 정책결정과정의 주역으로, 의회 내 세력으로서의 발언권을 획득하기에 이른다. 정치조직으로의 변화에 따른 대내외적 진통과 정책적 혼란을 겪으면서도 여전히 진행 중에 있는 프랑스 녹색운동의 정치실험은 탈핵 enucleation 과 탈토건, 생명산업, 생명권, 여성과 소수자, 청년의 삶을 위한 정치 등 생태적, 민주적 위협에 직면하여 대안 정치세력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한국의 녹색정치운동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녹색당이 시도한 1974년 최초의 선거 이후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다양한 선거과정에 참여하여 녹색정치의 이상과 비전을 공유하고자 노력한 점과, 둘째, 다양한 이론적 토대와 사상적 배경을 기초로 여론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설득력 있는 대안 제시와 정치적 투쟁을 벌여왔다는 점이다. 선거의 승리는 과정일 뿐이지, 목표는 생태민주주의 ecological democracy 로의 전환임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득표율 2%를 넘기기 못하는 가운데 창당과 재창당을 거듭하는 한국녹색당 Korean Green Party 이 눈여겨 보아야할 부분이다.

      • KCI등재

        한국 환경운동의 성장과 분화

        구도완(Dowan Ku),홍덕화(Deok-hwa H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1

        이 글은 환경운동의 제도화 과정에 초점을 맞춰 1990년대 이후 한국 환경운동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환경운동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제도화과정을 밟아왔다. 먼저 내적 제도화의 측면을 보면 회원수, 자금 등 자원이 2000년대 초반까지 급격히 증가하면서 내적 제도화를 강화할 수 있는 자원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 등 전국적 환경운동조직의 경우, 2000년대 중반 이후 회원수와 회비가 정체되거나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외적 제도화의 측면에서 환경운동은 2000년대 초반까지 운동역량의 확대를 기반으로 국가와의 갈등적 협력을 통해 제도 개혁의 길을 걸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환경운동가들이 개인, 또는 조직 차원에서 정부,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등에 참여하는 일이 증가했다. 이러한 제도화 전략의 결과 환경운동조직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기구의 상설화, 입법화가 이루어졌고 법과 제도의 개혁도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즉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까지는 포섭의 위험성보다는 제도 개혁의 성과를 향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05년을 전후하여 정부는 상대적으로 배제적인 전략을 폈고, 환경운동의 역량도 점차 약화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2008년 이명박 정부의 등장으로 환경운동조직의 제도화는 체계적인 배제로 대체되었다. 정부의 배제 전략에 대항하여 환경운동조직들은 저항 전략을 구사했지만 운동역량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제도화의 장벽에 막힌 환경운동조직들은 전문성과 대중성 강화를 통해 환경운동의 위기를 극복하려고 시도했다. 또한 새로운 환경운동조직들이 설립되어, 환경운동의 분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경운동의 혁신은 지연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focusing on institutionalization.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has been institutionalized since the 1990s. In terms of internal institutionalization, the major nationwide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could increasingly raise membership and funding until the mid-2000s. However, those resources decreased and could not be raised since the mid-2000s. Environmental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policy process since the mid-1990s through the mid-2000s. Lots of temporary and permanent governance agencies in which movement organizations and movement activists could participate in were established from the end of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Environmental policy reform and law legisla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this trend of policy process. However, with the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hey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policy process since the mid-2000s. At last,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bsolutely excluded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hough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ri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institutionalization by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public support, it was not successful.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 resulted to de-radicalization and de-mobilization of public. The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could not re-radicalize environmental movement.

      • KCI등재

        녹색성장과 스포츠

        전용배,김영갑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green growth and sports. The era of green growth has launched in earnest in 2009.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f green growth and sports a combination of these two could form a new paradig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ant to. The results of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the green and the benefits of growth are necessary to the formation of discourse. Green growth and the action strategy of the sport bike and the waterfront were set to the activation of the biggest issues, and the green growth and the content of the culture industry as a scalable could also be sought. These government-led growth and the green to an array of sports derivatives is to look at before we will be a matter of value. Green growth and the future of the sport in connection with the convergence of expectations and concerns that will coexist. Green, and our growing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value system in terms of structure, far from the green growth and green in the sports culture of the time gap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the value will exist. Nevertheless, the green growth, a term from the sport since 1990, more than environmental issues raised by the concept of advanced practice is hopeful progress will be done. Sports powerhouse in order to become developed nations in the sport as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olicy rather than the uniform of sports culture as advanced movement the possibility of sports culture should be shared. The implementation of the green value is ultimately realized in the era of the spread of sports culture movement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fusion value. 이 연구는 녹색성장과 스포츠의 관계적 담론을 분석하여 이들의 결합이 새로운 스포츠문화의 패러다임으로 형성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언론재단의 종합일간지 기사를 검색하여 담론을 분석한 결과, 녹색성장의 사회문화적 의미는 녹색성장의 필요성과 효용성이 거대담론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녹색성장의 기본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쟁도 소수담론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녹색성장과 스포츠의 관계적 담론에서는 실천전략으로서 자전거 산업과 수변공간의 활성화가 가장 큰 이슈로 설정되었고, 스포츠 녹색성장의 확장형 또는 문화산업 콘텐츠로서 녹색관광과 스포츠관광의 활성화 방안도 모색되고 있었다. 이러한 정부주도의 녹색성장과 스포츠의 파생상품을 전시하기 전에 우선 살펴볼 일은 가치의 문제일 것이다. 녹색성장과 스포츠의 관계 맺기는 가치융합을 통해 기대와 우려가 공존할 것이다. 녹색가치의 이해부족과 우리의 성장시스템이 녹색성장과 거리가 먼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포츠문화에서의 녹색가치 구현은 시간적 격차가 존재할 것이다. 그럼에도 스포츠문화에서 녹색성장은 환경문제가 보다 발전된 실천개념으로 진보한 점이 희망적이다. 진정한 녹색성장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프로젝트와 더불어 녹색문화운동으로 확산되어야 녹색강국이 되는 것처럼 승리제일주의의 위압감으로 억눌려 왔던 다양한 문제들이 스포츠컬처리즘으로 수용되어 선진화된 스포츠문화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공유되기를 기대한다. 결국 녹색가치의 구현이 실현되고 있는 이 시대에 스포츠컬처리즘의 확산도 융합적 가치의 결과로 이해된다.

      • 시민권, 신사회운동과 지방정치의 변화 : 시민단체의 지방정치 참여를 중심으로

        김상미 한국의회학회 2012 한국의회학회보 Vol.1 No.2

        2차 세계대전 이후 자본주의 국가들은 복지국가를 지향하고 있고, 복지국가에서 시민권의 확대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간 모순에 대한 대답으로 다양한 형태를 띤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상 중 하나는 신사회운동으로 삶의 질과 정체성 확립을 강조하는 시민사회의 대안적 삶, 환경, 여성, 소비자, 반핵이라는 이슈 등의 분야에서 두드러지고 있으 며 이러한 이슈의 지속적인 실현이 시민단체의 참여에 의하여 부활하고 있으며, 자신의 삶의 침해에 저항하는 참여자 자신의 자기인식을 기반으로 한 생활양식을 추구함으로써 구체적 이 슈들을 개혁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신사회운동의 대두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권위주의 정권이 몰락하여 시민사회 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이후에 나타난 현상이다. 시민운동단체를 신사회운동으로 단정하기에 는 무리가 있지만, 이들 시민단체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는 지방 자치의 실시에서 찾을 수 있다. 본고는 지방자치 이후 지역의 자율성과 정체성에 관한 요청과 맞물려 시민단체에 의한 새 로운 형태의 정치 참여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하 였다.

      • KCI우수등재

        사회운동 기반의 정당 등장과 정치적 기회구조

        민병기(Byungki Min)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 이후 사회운동의 분화라는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노동운동과 녹색운동에 기반을 둔 정당의 등장에 관한 정치적 기회구조 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비교하고 함의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 차원에서 정당체계의 특성과 립셋과 로칸의 진입문턱의 결합을 통해 정치적 기회구조를 국가의 수용성, 정치제도의 개방성, 그리고 연대관계를 범주차원으로 재구성했다. 민주노동당과 녹색당을 사례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낮은 국가의 수용성, 정치제도 차원에서 개방성의 확대, 그리고 약한 연대관계의 정치적 기회구조가 작용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민주화 이후 현실정치에서 정치소비자 수준에 머물렀던 시민운동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전망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거대 정당들이 카르텔화 되어 가는 한국의 정당체계에서 정치적 다원성의 확대를 위해 유권자의 의사가 좀 더 정확히 반영될 수 있는 선거제도의 도입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on emergence of new party based on social movement after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Factors are recomposed acceptance of state, openness of political system, and strength of solidarity for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ctually, the parties oriented from or based on social movement have been minority in Korean assembly since the Democratization in 1987.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minority parties is given important significance to explore improvement of democracy under the peculiarity of Korean party politics that is strongly based on localism, centralized, and biased ideologically.

      • KCI등재

        『녹색평론』의 인간중심주의 생태담론과 정치적 상상

        김예리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3 No.-

        The 1990’s is perceived as a period where individuals that had been suppressed by history, started expressing themselves after dominant discourses of the 1980’s like Marxism fell back. The new individuals of the 1990’s were consuming individuals inherently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capital, and, in the sense, the basis of the capitalistic orders now dominating our world was formed in the 1990’s. Greenview, the magazine mainly dealing with humanistic topics related to environmental ecology, star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criticizes the capitalistic way of life and thinking, and imagines different ways of life from that of capitalistic development. Thus, it explores the external of capitalism. The discourses in Greenview is based on anthropocentrism; it argues that we have to protect environment based in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not on compassion for Nature. In the argument, destroyed Nature and environment are like symptoms that tell we humans are sick. Part of me is the others, and the others form me. Through this, I become a being of change and creation. Co-existence of Nature and mankind sounds like the goal of ecological movement. At the moment humans start to take back the right of pursuing their desire, they discover themselves living with Nature. Depending on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that Greenview is based on, individuals and community, and being public and being private are not conflictual but complementary, so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pursuing the community spirit and enjoying the freedom of privacy. Greenview imagines the community where the voices of separate individuals communicate one another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things are created and change. Revitalizing local community that Greenview proposes means helping public relations in the level of actual lives, not merely developing economically underdeveloped areas. Adopting local currency and basic income system is the political experiments by Greenview that dreams of different movements from those based on capitalistic desire.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meaning of Greenview that explores possibilities of new life different from modern life based on capitalistic logic of development. 1990년대는 1980년대를 지배하던 마르크시즘과 같은 거대 담론이 물러나면서 역사에 억눌렸던 개인 주체가 자신을 표출하기 시작한 시대로 인식된다. 그러나 새롭게 등장한 1990년대의 개인 주체는 자본의 운동에 내속된 소비 주체이며, 그런 점에서 1990년대는 자본의 명령이 절대적으로 기능하기 시작한 현재를 정초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 속에서 등장한 『녹색평론』은 환경생태학에 관련된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인문교양잡지로서, 자본주의적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에 대해 비판하는 동시에 자본주의 성장논리에 기반하고 있는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고 이를 통해 자본의 논리의 바깥을 탐색한다. 『녹색평론』의 생태담론은 기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이다. 『녹색평론』의 주장은 인간이 동정심을 베풀어 자연을 보호하자는 것이 아니라 자기보존충동에 따라 인간을 보호하자는 것이다. 파괴된 자연과 환경은 인간인 우리가 아프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상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나의 일부는 타자이고, 타자는 나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나는 변화와 생성의 존재가 된다. 그런 점에서 생태주의 운동의 목표처럼 들리는 자연과의 공생은 인간이 자기보존충동에 따라 자신의 욕망의 주체적 권리를 되찾으려 시도하는 순간 이미 공생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수행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녹색평론』의 생성에 기초한 인간중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개인과 공동체,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은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것이며, 공동체 정신을 추구하는 것과 사생활의 자유를 갖는 것 사이에는 아무런 모순도 없게 된다. 『녹색평론』은 단독적인 인간으로서의 개인의 목소리가 서로 소통할 수 있고, 그러한 소통을 통해 끊임없이 무엇인가 변화하고 생성하는 공동체를 상상한다. 『녹색평론』이 주장하는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는 단순히 경제적으로 낙후한 지방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공적 관계를 활성화시키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역화폐제도, 기본소득운동 역시 자본의 충동과는 다른 운동을 상상하는 『녹색평론』의 정치적 실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는 자본주의 성장논리에 기반하고 있는 근대적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녹색평론』의 주장과 그것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낭만시의 녹색 읽기: 워즈워스의 「여자 부랑자」를 중심으로

        김천봉(Kim, Chunbong)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윌리엄 워즈워스는 자신의 시에서 시골 사람들의 아픈 삶들을 동정어린 시선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그는 그들을 아프게 만든 특정한 역사적 사건들이나 사실들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고 어렴풋이 암시했을 뿐이다. 그런데 그의 「여자 부랑자」는 시 속의 부랑자 여인을 인클로저 운동의 한 희생자로 분명하게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그 역사적 과정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는 점에서 매우 예외적인 작품이다. 하여, 이 연구는 워즈워스의 「여자 부랑자」에서 언급되거나 암시되는 18세기 후반 인클로저 운동의 과정, 속성과 결과 등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들을 「틴턴애비」, 「열매따기」, 「사이먼 리」, 「마지막 양」, 「여행하는 노인」, 「구디 블레이크와 해리 길」 같은 다른 시들과 연계하여, 그 작품들에 표현되고 암시된 시인의 생지역주의와 야생의 자연 또는 풍경이 인클로저 운동에 대한 반응의 산물, 다시 말해서, 바로 자신의 눈앞에서 인클로저 운동에 의해 파괴되고 있던 시골의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야생의 상상적인 재건 내지는 녹색 글쓰기였음을 보여준다. William Wordsworth in his poems expressed the sad lives of rural people with sympathetic eyes. However, he rarely revealed, but dimly suggested, specific historical events or facts that had made them sad. Yet his “Female Vagrant” is a very exceptional work, for he described evidently the vagrant woman of the poem as a victim of the enclosure movement and criticised plainly the historical process. Hence, this study examines historically the process, properties and consequences of the enclosure movement of the late 18th century expressed and implied in Wordsworth’s “Female Vagrant,” connecting the results with his other works, such as “Tintern Abbey,” “Nutting,” “Simon Lee, The Old Huntsman,” “The Last of the Flock,” “Old Man Travelling” and “Goody Blake, and Harry Gill,” and shows that the poet’s bioregionalism and wild nature or landscape expressed and implied in those works are products of his reaction to the enclosure movement, that is, his imaginative reconstruction or green writing of the traditional country lifestyles and wilderness, which had been destroyed by the movement before his very eyes. 윌리엄 워즈워스는 자신의 시에서 시골 사람들의 아픈 삶들을 동정어린 시선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그는 그들을 아프게 만든 특정한 역사적 사건들이나 사실들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고 어렴풋이 암시했을 뿐이다. 그런데 그의 「여자 부랑자」는 시 속의 부랑자 여인을 인클로저 운동의 한 희생자로 분명하게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그 역사적 과정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는 점에서 매우 예외적인 작품이다. 하여, 이 연구는 워즈워스의 「여자 부랑자」에서 언급되거나 암시되는 18세기 후반 인클로저 운동의 과정, 속성과 결과 등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들을 「틴턴애비」, 「열매따기」, 「사이먼 리」, 「마지막 양」, 「여행하는 노인」, 「구디 블레이크와 해리 길」 같은 다른 시들과 연계하여, 그 작품들에 표현되고 암시된 시인의 생지역주의와 야생의 자연 또는 풍경이 인클로저 운동에 대한 반응의 산물, 다시 말해서, 바로 자신의 눈앞에서 인클로저 운동에 의해 파괴되고 있던 시골의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야생의 상상적인 재건 내지는 녹색 글쓰기였음을 보여준다. William Wordsworth in his poems expressed the sad lives of rural people with sympathetic eyes. However, he rarely revealed, but dimly suggested, specific historical events or facts that had made them sad. Yet his “Female Vagrant” is a very exceptional work, for he described evidently the vagrant woman of the poem as a victim of the enclosure movement and criticised plainly the historical process. Hence, this study examines historically the process, properties and consequences of the enclosure movement of the late 18th century expressed and implied in Wordsworth’s “Female Vagrant,” connecting the results with his other works, such as “Tintern Abbey,” “Nutting,” “Simon Lee, The Old Huntsman,” “The Last of the Flock,” “Old Man Travelling” and “Goody Blake, and Harry Gill,” and shows that the poet’s bioregionalism and wild nature or landscape expressed and implied in those works are products of his reaction to the enclosure movement, that is, his imaginative reconstruction or green writing of the traditional country lifestyles and wilderness, which had been destroyed by the movement before his very eyes.

      • KCI등재

        사회운동의 의회정치 진입과 전략:독일 녹색당 사례

        유진숙 한국유럽학회 2013 유럽연구 Vol.31 No.1

        The transition from environmental movement to Green Party could be explained through two factors, namely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ies and actors'strategy. With respect to political opportunities, this article focuses especially on German mixed electoral system, which institutionally guarantees relative high representation of minorities, and political vacuum on the left spectrum caused by the right-turning of Social Democratic Party. As to factors of actors' strategy this article focuses on internal power relations and coalition strategy within the party. The German Green Party maintained integration and unification in spite of intensive conflicts between diverse Factions. The active coalition strategy also contributed to successful transition to a political party. The combination of the active actors' strategy and the positive opportunities have made a successful adaptation of German Green Party to the current party system possible. 본 논문은 독일 환경운동의 성공적인 녹색당이행을 정치적 기회구조와 행위자 전략 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한다. 독일의 혼합제와 온건다당제는 군소정당의 진출과 소수집단의대표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유리한 정치적 기회구조로 파악될 수 있다. 더욱이 사민당의 우경화로 인하여 형성된 정당경쟁체계의 공백은 녹색당의 정당체제 진입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정당이행 성공의 결정적 변수는 이러한 정치적 기회구조를 능동적으로 활용한 전략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행위자 전략으로서 연정전략 외에특히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당내 역학관계에 주목하였다. 독일 환경운동 내에는 광범위한 이념적 스펙트럼이 포괄되었으며 분파 간 이념적 대립과정에서도 통합정당의 구축과유지라는 지점에서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하였다. 통합에 관한 광범위한 합의는 몇 차례에걸친 당내 노선투쟁에도 불구하고 단일한 정당세력으로서의 녹색당 존립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녹색당의 정당체제 안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사민당과의 적극적인 연정및 ‘동맹 90(Bündnis 90)과의 통합 역시 녹색당의 성공적인 정당이행을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전략 요인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정치문화와 집단행동: 1987년 한국 민주화 운동과 2009년 이란 녹색운동 비교분석

        고로사 ( Ro Sa K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1 No.2

        본 논문에서는 2009년 이란의 녹색 혁명을 둘러싸고 발생했던 사회정치적 사건들의 발생 과정을 내부사례분석과 과정추적방법을 통해 추적하고 이를 1987년 한국의 민주화 과정과 비교한다. 저항운동 참여자들과 정권 사이의 역학 관계를 지배하는 정치적 맥락상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민주화 운동은 야당 지도자들과 학생 시위자들 사이의 연합 패턴에 있어서 이란의 녹색 혁명과 크게 상이하였다. 한국의 저항 세력은 반정부 연합 세력이 헌법 개정이라는 주제를 둘러싸고 학생 조직들을 포함한 다양한 시민 그룹들을 동원하는 데 있어 성공을 거두게 하는 단일한 정치 문화를 창출해 내었다. 이와는 반대로, 이란의 반정부 세력은 서로 상반되는 저항의 주제와 전술이라는 다면적인 문화를 창출하였으나 파편화되고 구심력을 결핍하였다. Why did Iran`s Green Movement in 2009 and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7 led to divergent outcomes? This paper utilizes the within-case study analysis methodology called process-tracing to examine socio-political events that underlied these two movements. The analysis shows that both movements shared several conditions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capital, yet this paper argues that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wo vastly different political cultures. Compared to Iran, South Korea`s political culture was homogenized, although a temporary one, with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 (NKDP)`s successful consolidation of the nation`s various civic groups, including radical student groups, for the purpose of eliciting support from the middle-class. South Korea`s dissident politicians formed a united opposition front and a consolidated protest theme.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NKDP and its electoral alignment with civil-society groups led to a mass mobilization, which was focused and targeted with centripetal momentum. In contrast, Iran`s opposition forces were fragmented and lacked synchronized protest themes. While the Guardian Council`s enormous influence vetted the number of reform-minded candidates, Iran`s political culture witnessed a wide spectrum of differing political ideals and attitudes. Mir Hossein Mousavi, Mohammad Khatami, and Mehdi Karroubi advocat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Islamic Republic while many of Iran`s young men and women aimed to bring down the very system of which the Green Movement leaders were a part. In addition, Iran`s constitution is viewed to lack the democratic notions that are understood in the western sense of the political culture framework. In the end, Mousavi was criticized for failing to co-opt the support of civic-society groups in Iran, including ordinary Iranian citizens. Nevertheless, the Green Movement represented Iran`s poly-vocal culture in which a plethora of diverse political ideals and attitudes was embedded and which Iran`s opposition politicians can attempt to accommodate by moderating and splintering their 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