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노인의 노화 불안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

        양은진(Yang, Eun Jin),김순은(Kim, Soon Eun),김명일(Kim, Myoung-i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2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 불안 유형을 파악하고 하위집단별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의 노화 불안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1,269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노인의 노화 불안은 노화 저불안형(21.20%), 관계상실 저불안형(8.20%), 노화불안 중수준형(38.84%), 노화 고불안형(31.76%)의 네 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노화 불안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 고불안형에 비해 노화 저불안형과 노화불안 중수준형이 높은 삶의 만족 수준을 나타내 노화 불안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자녀와의 애정적결속감이 높을수록, 기능적결속감A가 높을수록, 일치적결속감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이고 노인의 노화 불안 유형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의 삶의 만족의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ging anxiety typ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aging anxiety patterns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from survey data of 1,269 elderly people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distinct aging anxiety type of elderly were identified. They were named here as follows; Low level of aging anxiety type(21.20%), Low anxiety type of loss of relationship(8.20%), Middle level of aging anxiety type(38.84%), High level of aging anxiety type(31.76%). Second, the elderly in the Low level of aging anxiety type or Middle level of aging anxiety type is more likely to have high-level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in High level of aging anxiety type. In addition, older adults with a high affinity solidarity with children, high functional solidarity with their children (helping children as their parents), high consensual solidarity with their children, and high household income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liv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김화선,양정남,최은정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ging anxiety, knowledge about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aging anxiet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Aging Anxiety Scale: AAS from Lasher & Faulkender (1993) and Kyung san scale, knowledge of ag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35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from Gwangju and Junnam area. The data was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knowledge on aging was 58.9% The participants were an adult group whose score was lower than the social workers(65.3%) and nurses group(65.5%).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aging anxiety was 2.80 out of 5.00. The sub score shows that fear of elderly among participants was 2.77, fear of loss was 3.11, fear of psychological instability was 2.2, fear of physical appearance was 2.98.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aging anxie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at sex, age, level of education, education on aging, volunteering experience of working with elderly. Fourth,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ing anxiety and knowledge on aging. This fact implied that the greater ones knowledge on aging the lower the aging anxiety.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knowledge on aging and volunteering experience working with elderly was a most influential factor towards participant's anxiety about aging. In conclusion,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es which included lectures an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anxiety about aging and improve quality of elderly 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노화불안 수준과 노화사실인지정도를 파악하여,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 ․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일반성인 335명으로, 수집된 질문지 중 3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Lasher &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 척도(Aging Anxiety Scale: AAS)의 20문항 중 19문항과 윤진 ․ 조석미(1982)의 경산노화사실인지척도 24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상자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의 정답률은 58.9%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사(65.3%), 간호사(65.0%)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5점 만점 척도에서 2.8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2.77점,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3.11점, 심리적 불안정이 2.20점,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이 2.9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노인복지 관련 과목 이수경험, 향후 노인관련 업무 희망 여부, 노인대상 자원봉사 경험 유무에 따라 총노화불안이나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 사이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를 통해서 노화사실인지정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화사실인지정도와 자원봉사경험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화사실인지 교육의 필요성과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 KCI등재

        한국중년의 노화불안요인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Hak Gene Shi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중년한국인의 노화불안요인인 노화상실불안, 노화외모불안, 노화심리불안의 역동과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검증을 위해 전주시에서 20개 동을 무작위로 선정했고, 선정된 행정구역별로 35세에서 50세 사이의 중년남녀 20명씩 전체 400명을 표본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응답 중에서 결측치, 이상치, 정규분포, 다중공선성의 조건을 만족한 393사례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내적일관성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의 노화상실불안이 심할수록 노화심리불안은 깊어지고, 노인접촉불안도 깊어지지만 그 영향은 간접적이었다. 둘째, 노화외모불안이 심할수록 노화심리불안과 노인접촉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의 노화심리불안이 클수록 노인접촉불안이 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노인접촉불안이 클수록 노인차별이 심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노화불안요인들의 역동과 인과관계는 노화불안 개입계획과 노인차별에 대한 대응전략의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confirmed effects of aging anxiety consisted of fear of losses, fear of losing physical appearance, fear of psychological concerns, and fear of old people on middle-aged Korean`s ageism against the elderly. To investigate causalities of factors, we purposively collected 400 samples from 20 Dongs evenly located in Jeonju and 393 samples, survived the data screening such as missing values, outliers, normality and covariance conditions,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Followed were the selected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study. First, middle-aged Korean`s fear of losses affected fear of psychological concerns and not directly but indirectly affected fear of old people. Second, fear of physical appearance affected fear of psychological concerns and fear of old people. Third, fear of psychological concerns affected fear of old people. Fourth, fear of old people was a predictor of ageism. The contributions suggested the dynamics and causalities of aging anxiety`s factors could be a signpost of intervening plan in aging anxiety and combating strategy against ageism.

      • KCI등재

        대학생의 노화불안과 효 의식 연구 - 한ㆍ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

        장현숙,김진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논문은 한․일간 대학생의 노화불안과 효 의식에 대한 인식조사 및 분석결과와 그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분석방법을 활용한 비교연구이다. 설문조사는 2014년 7월부터 약 4개월에 거쳐 거주지역인 대전 및 충남지역과 일본의 구마모토현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수집된 자료 중 총588부에 대해 SPSS PC+(Ver. 22)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사용한 분석도구는 Lasher & Faulkender(1993)가 개발한 Anxiety about Aging Scale(AAS) 노화불안척도와 Ho.D(1994)가 개발하고 Unger, Ritt-Olson, Teran, Huang, Hoffman & Palmer(2002)에 의해 수정된 Filial Piety Scale로 효 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일 대학생의 노화불안은 5점 척도 기준으로 2.89점과 2.87점으로 양국 대학생들은 전체적으로 노화불안을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은 여학생과 나이가 어릴수록 노화불안을 더 느꼈지만 일본은 인구사회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노화불안의 하위요인 중에서 양국 대학생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 요인점수가 높았다. 둘째, 한일간 효 의식은 3.47점과 2.97점에서 차이를 보여 한국대학생들이 중간 값 이상으로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국은 나이가 많은 학생과 형제자매의 수가 많은 학생이 효의식이 높았지만, 일본은 상대적으로 어릴수록 효 의식이 높았다. 셋째, 노화불안과 효 의식 간 상관관계는 일본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화불안 영향변인으로 한국은 주관적 경제수준 하나인 반면에, 일본은 주관적 경제수준과 효 의식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한․일간 노화불안과 효 의식에 대해 최초로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지만, 노화불안의 해소와 효 의식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and filial piety between the Korean and Japan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and filial piety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as the population ages. Th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339 undergraduate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Do. The Japan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undergraduate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Kumamotohyun.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f SPSS 22.0.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nxiety about Aging Scale developed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and Filial Piety Scale developed by Ho(1994) and modified by Umger, Ritt-Olson, Teran, Huang, Hoffman & Palmer(2002).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nxiety about aging for Korean students was 2.89/5 and for Japanese students was 2.87/5.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anxiety about aging was sex and age, that is anxiety about aging is higher female student who are younger. Second, the level of filial piety for Korean students was 3.47/5 and for Japan students was 2.97/5, resulting that the filial piety level of the Korean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student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filial piety was age and brothers and sisters.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strongest predictor influencing aging anxiety was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 and filial piety i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은아,박기환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aging anxiety scale for Korean middle-aged adults to determine whether existing known factors could affect their aging anxiety and to see how the pattern of the aging anxiety in Korean middle-aged might vary depending on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iddle-aged aging anxiety scale, the aging knowledge scale,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scale, the age stereotypes scale, and the death anxiety scale for 246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total aging anxiety score, aging anxiety of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for the following sub-factors of aging anxiety: 'loss of economic power', 'loss of physical health', and 'loss of attractiveness'. In addition, gende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aging anxiety. However, knowledge of aging,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elderly (frequency and quality), and stereotypes of the elderly did not affect aging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를 활용해 기존에 알려진 노화불안 요인들이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 성별에 따라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만 40세 이상 ∼ 59세 이하의 중년 남녀 246명을 대상으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 노화지식 척도, 노인접촉경험 척도, 노인고정관념 척도, 죽음불안 척도를 사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노화불안 총점 및 하위 요인인 ‘경제력 상실’, ‘신체건강 상실’, ‘신체매력 상실’에서 여성의 노화불안이 남성의 노화불안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 노화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빈도, 질), 노인고정관념은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조정옥,허정무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가 어떠한가를 분석함에 있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 하고 6회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노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여성노 인의 노화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의 차이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노화 불안 인식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검사의 평균 보다 사후검사의 평균이 낮게 나타나서 노인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전체적인 노화불안 감소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노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노화 불안을 구성하는 네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노화불안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로 하여금 노화에 따른 불안감을 감소시 켜 줌으로써 성공적인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정서적 개입을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확대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하며, 남성노인들에게도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을 적용하여 노화에 따른 불안감 감소 및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본 논문은 노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노화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성공적 인 노후를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 연구는 노인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on the reduction of aging anxiety among elderly women. A pre-test was conducted on 20 elderly women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six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omplete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has on the reduction of aging anxiety among elderly wome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level of aging anxiety among the elderly women before and after. Since the average of the post-tests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 pre-tests, it can be seen that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overall reduction of aging anxiety among the elder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has the effect of reducing aging anxiety in all four sub-factors that constitute aging anxie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can be seen as having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provided emotional interventions for successful elderly life by reducing the anxiety of elderly wome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distributed, an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s of reducing anxiety caused by ag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by apply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o male elderly people.

      • KCI등재

        노화불안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기옥(Kioc Kim),조현철(Hyunchul Cho) 대한사고개발학회 2024 사고개발 Vol.20 No.1

        본 연구는 노화에 대한 노인들의 실제적인 불안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노화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 노화불안 척도의 분석, 노화 및 노화불안에 관련된 문헌의 분석, 그리고 “노인문화여가토탈 서비스 프로그램”의 참여노인 15명의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얻어진 노화불안 요인들을 토대로, 5개 영역, 11개 요인으로 구성되는 45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D시, G시, I시에 살고 있는 50~59세의 예비노인과 60세 이상의 216명 노인을 대상으로 일대일 대면 및 온라인 검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200명을 조사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자료에 대해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련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실존적 영역에 해당하는 건강 상실, 매력 상실, 인지기능 상실, 정서 변화, 물적 상실, 관계 상실, 역할 상실, 삶의 의미 상실, 죽음 불안, 환경 부적응 등 10개의 노화불안 요인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노화불안 요인들은 공인타당도 검증의 준거로 선정된 ‘생활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해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렇게 개발 검증된 본 연구의 ‘노년기 노화불안 종합검사’는 노년층의 심리적 불안의 요인들을 보다 세밀히 진단하고, 이에 기반하여 노년층에 대한 적응력 높은 상담 지원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tual contents of elderly people's anxiety about aging, develop a tool to measure aging anxiety based on this analysis, and validate it. Based on the factors of aging anxiety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scales for aging anxiety,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aging and aging anxiet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5 elderly participants in the "Senior Culture Leisure Total Service Program," 45 preliminary items consisting of 5 domains and 11 factor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conducting face-to-face and online surveys targeting 50 to 59-year-old pre-elderly individuals and 216 elderly individuals aged 60 and older living in D, G, and I cities, the final sample of 200 respondents was selected. To validate the obtained data,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a concurrent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10 aging anxiety factors corresponding to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existential domains were identified, including health loss, attractiveness loss, cognitive function loss, emotional changes, material loss, relationship loss, role loss, loss of meaning in life, death anxiety, and contextual maladjustment. Furthermore, these aging anxiety factors showe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of "life stress" selected as criteria for concurrent validity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ging anxiety assessment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diagnose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anxiety in the elderly more precisely and contribute to providing adaptive counseling support for the elderly.

      • 한·일 대학생들의 노화지식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장현숙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15 지역복지정책 Vol.26 No.-

        본 연구는 한·일 간 대학생의 노화지식과 노화불안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였다. 특히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하여 선 고령사회를 경험한 일본과 동일 유교문화권인 한국 대학생들의 노화지식과 노화불안 수준을 비교하고, 노화지식과 노화불안 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는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표집과정에서 총 646명의 설문지를 배포, 수거하였고, 이중 유효설문지는 한국이 350명에서 339명, 일본이 296명 중 249명으로, 총 588명의 설문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일본대학생의 노화지식 점수는 한국 대학생의 경우 정답률이 51.5점이고 일본 대학생은 정답률이 58.7점으로 일본 대학생이 노화지식이 더 많았다. 둘째,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노화불안 점수는 한국 대학생의 경우 5점 척도에서 2.89점(sd=553)이며, 일본 대학생의 경우는 2.87점(sd=.419)으로 한국 대학생의 노화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노화지식과 노화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양국 대학생의 경우 노화지식과 노화불안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202, r=-.179, p<.01). 즉 노화지식이 낮을수록 노화불안은 높았다.

      • KCI등재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재희(Kim, Jaehee),김욱(Kim, W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4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61 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우울은 Kroenke 등 (2001)의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노화불안은 Lasher와 Faulkender(1993)의 Anxiety about Aging Scale(AAS), 자아통제감은 Pearlin 등(1981)이 개발한 Sense of Mastery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상실과 외모에 대한 두려움’이나 ‘노년기에 대한 걱정’이 높을 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자아통제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노년기에 대한 걱정’,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이 높을수록 자아통제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노년기에 대한 걱정’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노화불안을 낮추고 자아통제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depression and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mastery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261 elderly and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by Kroenke et al.(2001), Anxiety about Aging Scale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and Sense of Mastery Scale by Pearlin et al.(1981).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ging anxie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fear of losses and physical appearance’ and ‘concern of old a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Second, aging anxie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nse of mastery.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concern of old age’, ‘fear of old people’ and ‘psychological concer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nse of mastery. Third, sense of master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concern of old ag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y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bout aging and increasing sense of mastery were further discussed. Also,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남석인(Seok In Nam),김준표(Jun Pyo Kim),이다지(Daji Lee),신지민(Jimin Shi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70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화불안의 비교분석과 유배우자의 부부간 대화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30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Macro Program을 사용하여 부부 간의 대화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와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불안의 정도는 배우자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낮은 수준의 성공적 노화 정도를 보였다. 셋째, 노화불안이 높아질수록 부부간의 대화만족도 역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부간의 대화만족도는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고 이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겪게 되는 노화불안을 극복하고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으로서 만족스러운 부부간 대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conversational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pop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nd suggesting intervention methods for successful aging. The survey is targeted to elderly people whose age is over 65, and currently using elderly community center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urvey, 303 case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In data analysis process, we used SPSS Macro program for the mediation effect of conversational satisfaction and its significance,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more aging anxiety of respondents, the lower level of successful aging is shown. Second, when respondents’ aging anxiety goes higher, their conversational satisfaction between spouses goes lower. Third, conversational satisfaction between spouses is significant part-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se outcomes, we sugges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atisfactory conversation between elderly couple, and proposed social work-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enhancing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