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4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OO전문병원 내의 주간보호센터에 의뢰된 노인들 중 MMSE-K 총점이 19점 이하인 경증치매 노인들 7명으로 남자 2명과 여자 5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 1회기 60분씩 주 2~3회, 총 25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도구인 MMSE-K(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와 SGDS(한국 노인우울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각 회기별로 연구대상들의 행동 및 태도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정신상태 검사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점수(t=-8.87, p<.001)와 하위영역별로 지남력(t=-4.83, p<.01), 기억회상(t=-6.9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의 지남력과 기억회상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인 우울 척도인 SGDS검사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 우울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10.0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6.2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6.57, p<.01).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의 우울수준이 감소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들에게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서적 지지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창작활동을 통해 즐거움과 성취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다양한 미술매체와 기법들이 두뇌활동을 자극시켜 인지기능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 or effects, if any, the group art therapy induces o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udy subjects are 7 elderly people(two male, 5 female) with light dementia symptoms, chosen from the daycare center of the OO hospital in D-city, who scored lower than 19 points in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test. Total 25 sessions of a group art therapy were given to them from May to July of 2005, with 2-3 sessions a week and each lasting 60 minutes. Research tools employed are MMSE-K and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on which a pre-test and a post-test are based. Paired t-test is used for data analysis. In addition, both changes in the study subjects' attitude and behavior are also analyzed during each sess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t-test on the pre- and post-tests based on MMSE-K,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total score(t=-8.87, p<.001) and by the sub-scores of Orientation(t=-4.83, p<.01) and Recall Memory(t=-6.97, p<.001). That is,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cognitive functions on orientation and recall memory have been improv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econ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reduce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t-test on the pre- and post-tests based on SGDS measuring the level of depression, there has been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n average depression score (t=6.57, p<.01) in t-test, which has exhibited the pre-test score(10.0) and the post-test score(6.28). Third, group art therapy appears to bring out some positive influence on the dementia elderly's behavior and attitude. An analysis of the dementia elderly's behavior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program ind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생의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한경아,문리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이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실습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미술치료를 경험한 6명의 미술치료 전공생을 참여자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복잡한 마음으로 치매를 진단 받은 노인과의 실습을 준비함’, ‘단단히 준비했음에도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버거워함’, ‘치매노인 미술치료도 서로 주고받는 관계임을 직접 경험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에게 주는 의미를 경험을 통해 발견함’, ‘자기를 탐색하며 자신과 치매노인을 더 이해하고자 함’,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전문성을 갖춘 미술치료사로서 한 걸음 나아감’ 이다. 이와 같이 미술치료 전공생은 현장과 치매에 대한 깊은 이해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미흡한 부분을 채워나가며 치료사로서의 역량 강화와 개인적인 성찰을 반복하며 성장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 실습생의 경험을 통해 현장실습이 미술치료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치매노인 미술치료가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see what art therapy majors in the master’s course experienced while practicing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o explain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nd to gi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For this study,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appli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ving experienced practicing therapies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he data analysis drew a total of 6 themes and 19 sub-themes, and the essential themes were as follows: ‘With perplexed mind, prepared a session with an elderly who wa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Even though thoroughly prepared, had a hard time because of the mistakes’, ‘Experienced that art therapy treatment of senior with Alzheimer’s disease is also a interacting relationship’, ‘Realized what art therapy treatment means to them’, ‘Tried to understand fully of themselves as well as the diagnosed seniors’, ‘Stepped up a level as an art therapist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dealing with seniors with Alzheimer’s diseas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they lack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field and dementia; they made up for the lack and repeated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as a therapist and make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on-site practice is a crucial part of art therapy education and that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needs to make a specialized,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후보

        노인미술치료에서의 연구대상자 특성과 치료환경에 대한 연구동향

        박철환,최영주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8 임상미술심리연구 Vol.8 No.1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삶에 있어서 긍정적 측면을 개발하는 미술치료는 노년기 삶의 질을 높여 주는 데 큰 의미가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노인미술치료 메타분석을 통하여 노인미술치료의 치료 적 환경 및 질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노인미술치료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최근 2012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발표된 노인미술치료 관련 학위논문 총 77편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인원수 분포는 40편인 6-10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성노인에 비해 여성노인의 3배 이상 많은 성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 특성은 34편으로 치매가 가장 높은 분포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주거유형 분포는 15편인 독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료환경 분포는 노인복지시설이 10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 분 포는 47편인 복합기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술치료 총 회기 수 분포는 35편인 11-15회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진행회기는 15.1회기이다. 미술치료 1회기 소요시간 분포는 52편인 50~6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미술치료에 관한 연구는 신체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신체적, 사회적 측면의 치료적 중요성을 확대 할 필요가 있다. Art therapy, which develops positive aspect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is a significant activity in raising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aying the groundwork through meta-analysis of elder art therapy for more effective latter study of elder art therapy which has the purpose as improvement of the therapeutic environment and qua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7 graduate thes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est from the relevant graduate schools in 2012~2016 analysis by a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study was the highest in 6-10 persons, 40 persons, and more than 3 times more than the female elder people In dispersion of the characteristic of research objec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dementia in 34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housing type of subjec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solitude in 15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intervention(therapy) environmen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10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hybrid method in 47 research theses. The distribution of total number of art therapy sessions was the highest at 11 ~ 15 sessions with 35 sessions and the average session duration was 15.1 sessions. In dispersion of the time required a session of art, he highest dispersion was 50-60 minutes in 52 graduate theses. The research on the elderly art therapy was found to lack the physical and social aspects.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herapeutic importance of the physical and social aspects.

      • KCI등재

        학대 받은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이성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trengthening empowerment of abused the aged. This study tried to see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rt therapy to those people analyzing a result from perform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old people referred to elder protection agency in D city and a range of their age is from 66-year-old to 82-year-old. The group art therapy was performed total 10 times every 90 minutes and twice in a week from 23th June in 2008 to 25th July in 2008. An instrument of measurement is a test for the empowerment including spontaneity, physic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ability of self-expression.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which is designed for focusing on experience is modified for purpose of this study and used. To compare a change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is program, SPSS 12.0 program was utili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empowerment of abused the aged. According to t- test(pre, pos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degree of empowerment. Second,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That is, the degree of spontaneity, physic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self-expression of abused the aged has been improv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대받는 노인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대받는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후 이들 대상에 대한 미술치료 접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신고접수된 노인 8명으로 연령은 66세에서 82세까지이며, 집단미술치료는 2008년 6월 23일부터 7월 25일까지 주2회, 회기별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역량에 관한 검사로 자발성,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과 의사표현력을 포함하고 있다. 미술치료 과정중의 경험을 중시하면서 미술치료 결과를 포함하여 개발된 Mohaupt-Luksch(2004)의 평가도구(정여주 역, 2006)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대받는 노인 역량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t-test한 결과에 의하면,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대받은 노인의 역량 하위영역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를 살펴본 결과,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대받는 노인들의 자발성,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 그리고 의사표현력의 정도가 향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장혜경,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3

        본 연구는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향상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5세 이상 여성노인들 중 GDS-K 총점이 12점에서 24점 사이에 해당하는 우울수준을 가진 노인환자 1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22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 도구는 의사소통 척도와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인 GDS-K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를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각 회기별로 연구 대상자들의 그림 특성들과 의사소통 및 우울 관련 심리 및 행동 변화 등을 기록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척도의 사전 · 사후점수에 대해 항목별로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 의사소통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20.9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30.2점으로 증진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7.5, p〈.001).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인 GDS-K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우울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15.50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12.90점으로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2.46, p〈.05).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전 · 후의 그림 특성,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들에게 사회적, 정서적 지지의 역할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기법임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노인병동에 미술치료와 같은 심리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 elderly patients staying in the elderly health center in D city. O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by 50-60 minutes once a week for 22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4. Holden's Communication Scale & GDS-K(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Test was used as estimating tool, which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patients. 2. Group Art therapy decreases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patients. 3. There ar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on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elderly patient, because group art therapy is a group activity that makes to represent their own desire and emotion, recognition,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lderly patient made a contribution towards improving communication function and to reducing depress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be used in special activity as an effective Psychosocial Programs for elderly patient.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Communication, Depression, The elderly patient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김연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 S시, H시 4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328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함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X²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요구와 관련하여 프로그램필요성과 우울감소에 관한 도움을 기대하는 정도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참여의사는 긍정적인결과를 얻었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기법과 재료에 대한 요구에서 기법은전체적으로 ‘만들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료는 전체적으로 ‘크레파스’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시전략에 관한 요구로는 ‘평일 오후’, ‘1시간 30분 이내’, ‘주 2회’, ‘총 12회기’, ‘교육 ․ 미술활동 ‧ 집단토론’ 중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senior citizen's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through request investigation. For this purpose,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28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who uses4 senior welfare centers at A town, S town, and H town.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an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request on gender and age, request on X²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program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surelyneeded. participate actively, participation rate will be raised over all age withsystematically-developed depression reduce program. Moreover, participants' program satisfactionrate can be improved based on acquired cooperation and resources of related institutes, and thatcould be gained in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depression. Second, related to request on arttechniques and materials, depend on age and gender. but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ing theprogram. Third, related to strategy of enforcement, ‘weekday afternoon’, ‘within 1 1/2 hours’,‘twice a week’, ‘total of 12 sessions’, ‘education․art activity․group discussion’ were the mostcommon, and statistically. Therefore, senior citizen's 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isneed to developed and enforced in full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 KCI등재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류은석,전영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D시 소재 S노인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알츠하이머형 치매(AD)환자 24명으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를, 비교집단에게는 집단미술치료를 매주 1회 약 60분씩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노인우울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1.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The subjects were 24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dmitted to S geriatric hospital in D city,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or control group with eight pati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only group art therapy. Each had 10 sessions of a 60-minute program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an interpersonal scale were used as the study tools. The SAS 9.1.3 program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wo-way ANOVA with the test period as the repeated measure variable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dementia patien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group art therapy alone both decreased the depression of the dementia patients. Third,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group art therapy alone improv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dementia patients.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COVID-19 시기 노인의 우울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홍희송,박민자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4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기에 노인 집단미술치료를 실 시하여 우울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 주하며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9명이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9회기 이며, 각 회기는 80분씩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노인우울척도와 노인생활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해 양적분석을 하였으며, 활동 관찰 보 고서를 작성하여 회기과정에서 나타난 변화양상을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은 비모수검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시기의 집단미술 치료는 노인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회기과정에서도 불행과 무력감의 표현은 감 소한 반면, 표정이 밝아지고 삶의 기대감이 나타나 우울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집단미술치료는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회기과정에서 긍정적 태도 로 삶에 대한 의지와 수용의 자세가 증가하여 생활만족도의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elderl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period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nine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who live in City A and use the welfare center. There are a total of 9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and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the Geriatric Life Satisfaction Scale, and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and the Wilcoxon sign rank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 activity observation report was prepared to describe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s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he course of the session, the expression of unhappiness and helplessness decreased, while the expression of facial expressions brightened and the anticipation of life appeared, which showed a decrease in depression. Second,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course of the session, the willingness to live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increased with a positive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in life satisfaction was see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윤영옥,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들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시설에 있는 남녀 혼합 6명의 문제 행동을 가진 치매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이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매 회기 50분을 진행하였고, 총 25회기가 진행되었다. 문제행동 설문지가 평가도구로 사용되었으며, 통계 검증은 Paired t-test를 사용했으며 질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이 가진 전체 문제행동의 발생빈도를 현저하게 줄였으며 세부적으로 남을 배려하는 모습이 늘어났고, 화를 내는 모습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불평불만을 표현하는 회수도 줄어들었으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모습도 보였다. 둘째로, 개인별 그림의 변화에 있어서 프로그램 진행에 집중하는 시간이 회기를 거듭하며 늘어났고, 사용하는 색깔도 다양해지고, 표현하고 자신의 작품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변화되었다. 표정도 밝아지고 따라서 문제행동도 감소를 보였다. 셋째로 회기별 변화에는 회기가 거듭되므로 서로 배려하는 모습과 다른 사람의 작품을 칭찬하는 모습도 보이고 서로서로에게 의지가 되는 모습도 보였다. 본 연구는 치매로 인한 이상행동, 인지기능장애, 정서불안 등의 문제행동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자신에 대한 자아 통합과 회상을 통하여 과거의 기억을 되살려 여생을 보내는데 도움을 주고자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행동 감소에 있어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집단 미술치료는 치매노인으로 하여금 미술활동과 상대방과의 대화를 통하여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미술 매체를 이용하여 표현하게 하는 집단 활동이므로, 치매노인의 소외된 감정과 대화의 단절에서 오는 자기비하와 우울증, 불안감, 분노를 다스리기 위한 치료기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group art therapy effects the behavior problems of olds with dementia. 6 old men and women who staying in Medical Treatment Center were selected for study. 50 minutes per each session, the survey has done 25 times with group art therapy program. Survey questionnaire for behavior problems was used as estimating tool, and analysis for test result was based on Paired T-test with qualitative analysis and statistical pro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oup art therapy remarkably reduced the frequency of behavior problem of olds with dementia. They became more concerned each other and lesser angered and displeased. They also showed that they are understanding the other's feeling. 2. In the change of individual paintings, the time concentrating on the program was grew longer, more colors were used, and they turned into a level of expressing about their own works. Their faces brightened up and their behavior problems were reduced. 3. In the change of each session, they became more concerned, praised and turned to each other. This study for problem behavior of old men with abnormal behavior, agnosia and emotional instability caused by dementia have traced back in their own memory through self integration and rumination. On behalf of enjoying the rest of their life, group art therapy was addressed. The above justified the fact that group art therapy had effects on reduce of problem behavior. Group art therapy is a group activity that makes old men with dementia to represent their own desire and emotion through drawing procedure. Therefore, it is useful counseling technique in controlling sense of alienation, loss of self, depression, feeling of uneasiness, and anger of old men with dementia.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Behavior Problems of Old Man, Dementia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양한연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2

        This is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The purpose of the art therapy was to help them recover mental health and concentr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ories of senile dementia, Yalom's theory of group art therapy, and Rogers' humanistic theory. Study subjects were eight elderly people in a day-care facility of a welfare center in Seoul.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once a week for 24 weeks. Throughout the period their activities and behavior chang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every sessio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as composed of five phases:introduction, early, middle, late, and termination phase. Activities of each session were planned and organized to induce reciprocal interest and encourage interaction among the group members. Twenty-four sessions of the therapy were analyzed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depression and iso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were compared. Behavioral changes were found to have occurred.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had suffered from depression, isolation, and low self-esteem, and had had the opportunity of identifying and expressing their own feelings and of being supported and encouraged by others, gradually acquired a positive attitud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group. 본 연구는 주간보호소를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초기치매를 겪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사례연구이다. 신체적으로는 편마비증상 및 기억력저하, 언어소통의 어려움 등을 갖고 있으며 심리적으로는 상실감, 소외감, 우울감, 절망감, 고립감, 분노 등을 품고 있으므로 항상 자기 자신을 보며 우울하며 좌절하는 치매노인들에게 미술치료를 제공하여 정신건강 및 집중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M 복지관 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남녀 노인 총 8명(남자 6명, 여자 2명)이며 연구방법은 주1회 24회기동안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회기별 활동과정 및 행동변화를 분석하였다. 경증치매 노인대상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도입, 초기, 중기, 말기, 종결 총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활동은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갖고,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과정 중 연구대상자들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24회기의 치료과정을 분석하여 정리하였고 이들이 갖고 있는 고립감, 상실감, 우울감이 감소되므로 동료들과의 대화의 빈도수가 늘어나며 또한 자기표현의 적극성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전․후 연구대상자들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8명의 미술치료 초기의 행동과 미술치료 종결시 행동특성을 비교 제시하여 행동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사례에 나타나는 경증치매노인들의 고립감, 우울감, 낮은 자아존중감 등이 집단미술치료과정의 역동을 통하여 자기감정을 찾아보며 표현하며 또한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통하여 지지 격려를 받으므로 변화되어지는 긍정적 의식을 통해 집단미술치료 이전보다 집단원들의 상호작용 및 관계개선에 현저한 변화를 보여주므로 자기표현의 빈도가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