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생의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한경아,문리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이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실습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미술치료를 경험한 6명의 미술치료 전공생을 참여자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복잡한 마음으로 치매를 진단 받은 노인과의 실습을 준비함’, ‘단단히 준비했음에도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버거워함’, ‘치매노인 미술치료도 서로 주고받는 관계임을 직접 경험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에게 주는 의미를 경험을 통해 발견함’, ‘자기를 탐색하며 자신과 치매노인을 더 이해하고자 함’,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전문성을 갖춘 미술치료사로서 한 걸음 나아감’ 이다. 이와 같이 미술치료 전공생은 현장과 치매에 대한 깊은 이해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미흡한 부분을 채워나가며 치료사로서의 역량 강화와 개인적인 성찰을 반복하며 성장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 실습생의 경험을 통해 현장실습이 미술치료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치매노인 미술치료가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see what art therapy majors in the master’s course experienced while practicing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o explain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nd to gi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For this study,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appli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ving experienced practicing therapies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he data analysis drew a total of 6 themes and 19 sub-themes, and the essential themes were as follows: ‘With perplexed mind, prepared a session with an elderly who wa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Even though thoroughly prepared, had a hard time because of the mistakes’, ‘Experienced that art therapy treatment of senior with Alzheimer’s disease is also a interacting relationship’, ‘Realized what art therapy treatment means to them’, ‘Tried to understand fully of themselves as well as the diagnosed seniors’, ‘Stepped up a level as an art therapist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dealing with seniors with Alzheimer’s diseas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they lack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field and dementia; they made up for the lack and repeated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as a therapist and make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on-site practice is a crucial part of art therapy education and that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needs to make a specialized,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장혜경,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3

        본 연구는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향상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5세 이상 여성노인들 중 GDS-K 총점이 12점에서 24점 사이에 해당하는 우울수준을 가진 노인환자 1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22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 도구는 의사소통 척도와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인 GDS-K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를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각 회기별로 연구 대상자들의 그림 특성들과 의사소통 및 우울 관련 심리 및 행동 변화 등을 기록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척도의 사전 · 사후점수에 대해 항목별로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 의사소통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20.9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30.2점으로 증진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7.5, p〈.001).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인 GDS-K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우울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15.50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12.90점으로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2.46, p〈.05).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전 · 후의 그림 특성,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들에게 사회적, 정서적 지지의 역할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기법임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노인병동에 미술치료와 같은 심리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 elderly patients staying in the elderly health center in D city. O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by 50-60 minutes once a week for 22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4. Holden's Communication Scale & GDS-K(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Test was used as estimating tool, which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patients. 2. Group Art therapy decreases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patients. 3. There ar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on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elderly patient, because group art therapy is a group activity that makes to represent their own desire and emotion, recognition,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lderly patient made a contribution towards improving communication function and to reducing depress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be used in special activity as an effective Psychosocial Programs for elderly patient.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Communication, Depression, The elderly patient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김연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 S시, H시 4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328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함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X²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요구와 관련하여 프로그램필요성과 우울감소에 관한 도움을 기대하는 정도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참여의사는 긍정적인결과를 얻었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기법과 재료에 대한 요구에서 기법은전체적으로 ‘만들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료는 전체적으로 ‘크레파스’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시전략에 관한 요구로는 ‘평일 오후’, ‘1시간 30분 이내’, ‘주 2회’, ‘총 12회기’, ‘교육 ․ 미술활동 ‧ 집단토론’ 중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senior citizen's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through request investigation. For this purpose,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28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who uses4 senior welfare centers at A town, S town, and H town.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an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request on gender and age, request on X²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program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surelyneeded. participate actively, participation rate will be raised over all age withsystematically-developed depression reduce program. Moreover, participants' program satisfactionrate can be improved based on acquired cooperation and resources of related institutes, and thatcould be gained in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depression. Second, related to request on arttechniques and materials, depend on age and gender. but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ing theprogram. Third, related to strategy of enforcement, ‘weekday afternoon’, ‘within 1 1/2 hours’,‘twice a week’, ‘total of 12 sessions’, ‘education․art activity․group discussion’ were the mostcommon, and statistically. Therefore, senior citizen's 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isneed to developed and enforced in full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 KCI등재후보

        노인미술치료에서의 연구대상자 특성과 치료환경에 대한 연구동향

        박철환,최영주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8 임상미술심리연구 Vol.8 No.1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삶에 있어서 긍정적 측면을 개발하는 미술치료는 노년기 삶의 질을 높여 주는 데 큰 의미가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노인미술치료 메타분석을 통하여 노인미술치료의 치료 적 환경 및 질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노인미술치료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최근 2012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발표된 노인미술치료 관련 학위논문 총 77편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인원수 분포는 40편인 6-10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성노인에 비해 여성노인의 3배 이상 많은 성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 특성은 34편으로 치매가 가장 높은 분포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주거유형 분포는 15편인 독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료환경 분포는 노인복지시설이 10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 분 포는 47편인 복합기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술치료 총 회기 수 분포는 35편인 11-15회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진행회기는 15.1회기이다. 미술치료 1회기 소요시간 분포는 52편인 50~6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미술치료에 관한 연구는 신체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신체적, 사회적 측면의 치료적 중요성을 확대 할 필요가 있다. Art therapy, which develops positive aspect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is a significant activity in raising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aying the groundwork through meta-analysis of elder art therapy for more effective latter study of elder art therapy which has the purpose as improvement of the therapeutic environment and qua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7 graduate thes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est from the relevant graduate schools in 2012~2016 analysis by a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study was the highest in 6-10 persons, 40 persons, and more than 3 times more than the female elder people In dispersion of the characteristic of research objec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dementia in 34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housing type of subjec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solitude in 15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intervention(therapy) environment,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10 research theses, In disper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the highest dispersion was a hybrid method in 47 research theses. The distribution of total number of art therapy sessions was the highest at 11 ~ 15 sessions with 35 sessions and the average session duration was 15.1 sessions. In dispersion of the time required a session of art, he highest dispersion was 50-60 minutes in 52 graduate theses. The research on the elderly art therapy was found to lack the physical and social aspects.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herapeutic importance of the physical and social aspects.

      • KCI등재

        학대 받은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이성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미술치료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trengthening empowerment of abused the aged. This study tried to see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rt therapy to those people analyzing a result from perform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old people referred to elder protection agency in D city and a range of their age is from 66-year-old to 82-year-old. The group art therapy was performed total 10 times every 90 minutes and twice in a week from 23th June in 2008 to 25th July in 2008. An instrument of measurement is a test for the empowerment including spontaneity, physic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ability of self-expression.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which is designed for focusing on experience is modified for purpose of this study and used. To compare a change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is program, SPSS 12.0 program was utili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empowerment of abused the aged. According to t- test(pre, pos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degree of empowerment. Second,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That is, the degree of spontaneity, physic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self-expression of abused the aged has been improv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대받는 노인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대받는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후 이들 대상에 대한 미술치료 접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신고접수된 노인 8명으로 연령은 66세에서 82세까지이며, 집단미술치료는 2008년 6월 23일부터 7월 25일까지 주2회, 회기별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역량에 관한 검사로 자발성,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과 의사표현력을 포함하고 있다. 미술치료 과정중의 경험을 중시하면서 미술치료 결과를 포함하여 개발된 Mohaupt-Luksch(2004)의 평가도구(정여주 역, 2006)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대받는 노인 역량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t-test한 결과에 의하면,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대받은 노인의 역량 하위영역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를 살펴본 결과,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대받는 노인들의 자발성,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 그리고 의사표현력의 정도가 향상되었다.

      • KCI등재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송영주,이근매,김기보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있는 치매노인에게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치매노인 1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7명씩 나누었다. 실험집단에는 주 2회 총 20회기의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평가(MMSE-KC)와 노인우울측정도구(SGDS)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는 SPSS Window 13.0 program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를 사전, 사후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치매로 인한 우울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노인들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감소에 다양한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observe how group art therapy, especially molding, affects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ia elderly. The target group was 14 elderly with dementia disease at the hospital located in city 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o get art therapy twice a week, 20 times in total. To study the effect, the before-and-after result was analyzed using MMSE-KC and SGDS. Finally,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observed using SPSS Window 13.0 program and t-test was done.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fter examining the result of MMSE-KC on elderly with the age of 65 or older, the difference after the art therap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GDS, after the art therapy, the dementia elderly depression diminished and the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art therapy does have a positive effect for the dementia's patients with psychologically unstable mind, deteriorated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us, group art therapy is a helpful program to enhanc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r the patients. In the future, various group art therapy programs will be developed.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관한 인식조사연구 – 서울 · 경기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강현정,유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미술치료 및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기대치, 미술치료사에 대한 자질,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 사항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매안심센터 실무자의 미술치료 만족도는 자발성, 생활개선, 이해도, 치매 예방 및 증상 지연의 효과성 부분에서 높았으며, 미술치료의 지속적 운영을 원하고 있었다. 참여자 증가 이유는 흥미로움, 사회적 관계, 이전 이용자의 긍정적 평가 등 이었으며, 감소 이유는 미술 활동에 대한 부담, 흥미를 느끼지 못함, 이용자의 건강상 어려움,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 순 이였다. 또한 실무자들의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치는 자기표현 향상, 긍정적 정서 촉진, 소근육 운동 향상, 문제행동 감소 등으로, 인지기능 강화 측면보다는 정서적 측면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정서적인 치료로 인식하고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대 학력으로 학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보다는 임상경험과 공감 능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사항에서는 대상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과 다양한 매체사용을 들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의 고령화에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 내 실무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분석함으로 써 치매안심센터의 미술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and art therapy among practitioners at dementia relief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art therapy at dementia care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method, and the content of the the survey was satisfaction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qualities of being an art therapist, and consid 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 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 therapy among dementia relief center practitioners was high in terms of spontanei ty, improvement in lif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mentia and delaying symptoms, which in turn kept subjects hoping to continue the art therapy. The reasons for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were interests, social relations, and positive evaluation from previous users, while the reasons for the decrea se in participation were the burden of art activities, lack of interest, poor health, and moving on to other programs. In addition, practitioners’ expect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ere higher in emotiona l aspects than in terms of strengthening cognitive function, as they improved self-expression, promoted positive emotions, improved fine motor skills, and reduced problematic behaviors. These results infer that art therapy is recognized as an emot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erapists perceived that the bachelor's degre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ected academic background, and clinical experience and empathy were more important than academic background. Consid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include d specialized programs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for each sub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rt therapy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by conducting and analyzing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s for practitioner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at a time when the role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is increasing in Korea's rapidly progressing aging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윤영옥,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들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시설에 있는 남녀 혼합 6명의 문제 행동을 가진 치매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이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매 회기 50분을 진행하였고, 총 25회기가 진행되었다. 문제행동 설문지가 평가도구로 사용되었으며, 통계 검증은 Paired t-test를 사용했으며 질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이 가진 전체 문제행동의 발생빈도를 현저하게 줄였으며 세부적으로 남을 배려하는 모습이 늘어났고, 화를 내는 모습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불평불만을 표현하는 회수도 줄어들었으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모습도 보였다. 둘째로, 개인별 그림의 변화에 있어서 프로그램 진행에 집중하는 시간이 회기를 거듭하며 늘어났고, 사용하는 색깔도 다양해지고, 표현하고 자신의 작품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변화되었다. 표정도 밝아지고 따라서 문제행동도 감소를 보였다. 셋째로 회기별 변화에는 회기가 거듭되므로 서로 배려하는 모습과 다른 사람의 작품을 칭찬하는 모습도 보이고 서로서로에게 의지가 되는 모습도 보였다. 본 연구는 치매로 인한 이상행동, 인지기능장애, 정서불안 등의 문제행동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자신에 대한 자아 통합과 회상을 통하여 과거의 기억을 되살려 여생을 보내는데 도움을 주고자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행동 감소에 있어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집단 미술치료는 치매노인으로 하여금 미술활동과 상대방과의 대화를 통하여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미술 매체를 이용하여 표현하게 하는 집단 활동이므로, 치매노인의 소외된 감정과 대화의 단절에서 오는 자기비하와 우울증, 불안감, 분노를 다스리기 위한 치료기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group art therapy effects the behavior problems of olds with dementia. 6 old men and women who staying in Medical Treatment Center were selected for study. 50 minutes per each session, the survey has done 25 times with group art therapy program. Survey questionnaire for behavior problems was used as estimating tool, and analysis for test result was based on Paired T-test with qualitative analysis and statistical pro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oup art therapy remarkably reduced the frequency of behavior problem of olds with dementia. They became more concerned each other and lesser angered and displeased. They also showed that they are understanding the other's feeling. 2. In the change of individual paintings, the time concentrating on the program was grew longer, more colors were used, and they turned into a level of expressing about their own works. Their faces brightened up and their behavior problems were reduced. 3. In the change of each session, they became more concerned, praised and turned to each other. This study for problem behavior of old men with abnormal behavior, agnosia and emotional instability caused by dementia have traced back in their own memory through self integration and rumination. On behalf of enjoying the rest of their life, group art therapy was addressed. The above justified the fact that group art therapy had effects on reduce of problem behavior. Group art therapy is a group activity that makes old men with dementia to represent their own desire and emotion through drawing procedure. Therefore, it is useful counseling technique in controlling sense of alienation, loss of self, depression, feeling of uneasiness, and anger of old men with dementia.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Behavior Problems of Old Man, Dementia

      • KCI등재

        청각장애 노인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우울과 자기표현 중심으로

        홍승현,임나영,송양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of deaf elderly individuals. The thre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mong senior citizens aged sixty-five or above with hearing disabilities and depression at S city’s G elderly welfare center. The standard examinations used were KGDS and ASEA and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Furth Symbol. and Conversation and interview content during sessions were collected to proceed with the content analysis. Also,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behavior and analysis of the artwork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s and depression of deaf elderly individuals.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subjects participated more enthusiastically in activities, gradually showed feelings in their conversations, and demonstrated an increased amount of conversation. The artworks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brighter colors and stable composition compared to the art works from earlier stages. This shows These results demonstrate how artworks have been used as a positive vehicle for the deaf elderly who may normally be intimidated due to communication limitations. The research utilized a qualitative approach to studying deaf elderly individuals, an approach that has rarely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us, the study also supports the use of art therapy for deaf elderly individual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청각장애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의 G노인복지관에 다니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노인 3명이었다. 척도검사는 한국형노인우울척도(KGDS)와 미술자기표현평정척도(ASEA)이며, Furth상징에 따른 이미지분석과 단계별 행동 및 그림의 변화와 회기당시의 대화내용과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청각장애노인의 정서와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인 모습으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대화내용도 점차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바뀌었고, 대화량 또한 증가하였다. 그림에서는 초기보다 밝은 색채와 안정적인 화면구성을 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 제한으로 위축되어 있는 청각장애노인에게 미술이 긍정적인 매개체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 분야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청각장애노인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였고, 청각장애 노인에 대한 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Seon-Young Kim),이모영(Mo-Young L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6 예술과 인간 Vol.2 No.2

        본 연구는 지승공예를 이용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표현한 독거노인 18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한국판 노인 우울검사(GDS-K)와 노인 생활 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원 개인별 행동 변화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 및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회기별 진행 과정과 집단의 역동, 집단원 개인의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와 삶의 만족도 향상을 돕는 효과적인 미술치료 기법으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노인복지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using Ji-seung Craf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tudy subjects were 18 elderly living alone using a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Y city, Gyeonggi-do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GDS-K and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were utiliz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anges in individual behavior was also analyzed qualitatively, dividing the program into the initial stage, the middle stage, and the final stag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group behavior and individual behavior of study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s expected to provide basis for clinical settings of welfare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