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최석현(Seok-Hyeon Choi),안동환(Dong-Hwan Ah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7 No.1

        본 연구는 한국신문 노동시장의 변화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신문언론인의 전문성 형성과정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른 신문노동시장은 전형적인 기업내부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언론인은 조직구성원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신문 산업의 위기와 더불어 이러한 모순적인 언론인의 정체성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하고 있는지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신문언론인들의 숙련구조의 변화, 즉, 입직, 숙련, 이직의 과정에서 어떤 노동시장구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언론인들의 전문직 정체성은 어떻게 변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직 신문언론인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생산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언론인들의 숙련구조와 그 과정에서 정체성 형성을 추적했다. 조사 결과는 입직, 사내교육, 이직 과정에서 기업의 숙련에 대한 책임이 점차 언론인들에게로 옮겨가는 과정 중에 있어 기업내부 노동시장적 특성이 완화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동시장이동은 여전히 제한되어 주요 노동시장이동형태는 기업간 이동이 아니라, 기업내 이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업내부노동시장 변화는 그동안 기업내부 노동시장내에서나마 유지되던 언론인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내 숙련기술제도의 약화와 직업군내 이직의 한계는 언론인들의 전문적적 정체성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언론인의 타직업으로의 이동을 강화시켜 전체적 내부노동시장의 특성도 약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exploring labour market transformation in newspaper industry and thereby looking into skill form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journalists. In Korea,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newspaper journalist labour market had been characterized by a low inter-firm mobility of workers and patterns of long-term employment and firm-based skill training. However, over the past few years, as new product strategies of newspaper firms has changed due to management crisis employers pull back from the responsibilities of investment on skill training and securing job stability for journalists. However, in spite of overall weakened firm-based skill formation systems within the market, there still seems to be long way to build alternative systems of skill developments for them. As a result, it will be argued that, in the absence of manifest labor market institutions such as apprenticeships or skill certification system, which are assumed to traditionally certify workers’ professionalizatio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ty of newspaper journalist labour market will be weakened. Labor market data from interviews with journalists in the newspaper industry are used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 KCI등재

        세계화, 유연성,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 스웨덴 사례

        김인춘(Inchoon Kim)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5

        이 논문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 스웨덴 노동시장체제가 규제체제를 지속시켜온 과정과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많은 선진 산업국가들이 노동시장 규제체제를 개혁할 때 스웨덴은 탈규제를 선택하지 않고 임금조정, 교육훈련에의 투자, ‘합의적 재규제’ 등에 기반한 제도 조정을 추진해왔다. 그런 맥락 속에서 진행된 스웨덴 노동시장체제의 구체적 변화와 발전의 내용을 검토하고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가 지속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기왕에 많이 논의되어온 요인들인 법 및 제도적 제약, 선거정치의 한계, 노조의 힘, 사용자의 전략만으로 스웨덴의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의 지속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스웨덴 노동시장의 제도들이 기능적 및 수량적 유연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 같이 중시되어야 한다. 스웨덴은 규제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노사관계의 조정과 인적자본 향상을 통해 노동시장체제의 유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고임금, 고기술, 노사협력에 의한 ‘높은 길’과도 관련되며, 고실업, 금융 및 재정위기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높은 고용수준, 보다 큰 평등, 사회통합의 유지, 기업경쟁력이 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노사간 협력과 조정, 단체협상제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노사관계 시스템의 개혁은 성공적인 노동시장 관리의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를 높이고, 저숙련으로의 평준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기술 및 숙련의 생산에 정부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가 스웨덴 노동시장체제의 경쟁력과 유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의 지속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Social Democratic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Sweden since the 1980s. As well known, Sweden was frequently praised for it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its centralized wage bargaining system with ‘responsible’ unions. The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1990s, however, has forced many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weden to deregulate their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Sweden, unemployment virtually soared from less than 2 percent in 1990 to over 8 percent in 1993 and the pressure for labor market reform increased. The Swedish crisis in the 1990s generated intense discussion on structural labor market reform and the political struggle on such reforms has taken place within the Social Democratic Party. The union representatives in this party have successfully fought against all proposals for such reforms.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Social Democratic labor market model still has gained its vitality with a stronger emphasis on industrial cooperation and active measures for the unemployed. As a substitute for structural reforms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the Swedish government has undertaken the massive expansion of education among both young and adult workers, new rule for wage formation, consensual reregul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cial partners. Social partners have supported these policies. These policies have proved more successful for competitiveness and flexibility for labor market institutions than deregulation reform.

      • KCI등재

        내부자(Insiders) 노동시장과 외부자(Outsiders) 노동시장의 구조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황수경(Hwang Soo Kyeong) 한국노동연구원 2003 노동정책연구 Vol.3 No.3

        이 글에서는 McDonald & Solow(1985)의 분절노동시장론, Lindbeck & Snower(1986)의 내부자- 외부자 모형 등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우리나라 노동시장 구조와 문제점을 진단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한편에는 지나치게 경직적인 내부자 노동시장과 다른 한편에는 지나치게 유연한 외부자 노동시장이라는 전혀 다른 두 유형의 노동시장이 공존하고 있다. 내부자 노동시장은 대기업 정규직을 중심으로 학력, 연령과 같은 인적 특성에 비중을 두는 보상시스템을 취하는 반면 중소기업, 비정규직과 같은 외부자 노동시장은 직무 특성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지는 직무급 체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시장 유연화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은 기능적 유연성이나 임금 유연성을 통한 내부노동시장 체제의 유연화를 꾀하기보다는 고용조정과 같은 수량적 유연성에 의존하였고 그 결과 내부노동시장의 축소 및 외부자 노동시장의 확대로 귀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and consequent problems of Korea labor market, based on the 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by McDonald & Solow(1985) and the insider-outsider theory by Lindbeck & Snower(1986). According to empirical study, two distinctive market system exist together in Korea labor market. The one is the excessively rigid labor market of insiders and the other is the excessively flexible labor market of outsiders. Insider labor market, composed of regular workers in large businesses, has the wage system that compensates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workers' age and the level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outsider labor market, composed of employees of small businesses or non-regular workers, is seemed to adopt the wage system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job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ocess of flexibilization in Korea, most of firms have attempted numerical flexibility such as employment adjustment, not to seek after the flexibilization of internal labor market through functional flexibility or wage flexibility, and result in the scale-down of insider labor market and the scale-up of outsider labor market over the time.

      • KCI등재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노동시장제도 연구

        김형기(Hyungkee Kim) 한국노동연구원 2008 노동정책연구 Vol.8 No.3

        이 논문은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노동시장제도가 무엇인지를 영국, 독일, 덴마크 3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밝히고자 한다. 우선 노동시장의 유연성, 안전성, 유연안전성이라는 서로 다른 세 가지 노동시장제도 유형을 가진세 나라의 경제적 성과를 비교한다. 나아가 OECD 주요국의 자료에 기초하여 고용보호제도, 실업보호제도,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등의 노동시장제도가 고용률, 실업률, 빈곤율, Gini 계수 등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노동시장제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노동시장을 유연화하면서 실업보호를 강화하고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강도 높게 실시할 때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동시에 실현하는 길이 열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요컨대, 노동시장의 유연안전성을 실현하는 노동시장제도 구축이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동시에 구현하는 길임을 시사해 준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labor market institutions for economic growth and social cohes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countries: United Kingdom, Germany, and Denmark. First, the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different labor market institutions, that is, flexibility in the U.K., security in Germany, and flexicurity in Denmark, are analysed. Next, a regression analysis is made to the effects of labor market institutions such as employment protection, unemployment protection,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the economic performances such as employment rate, unemployment rate, poverty rate, and Gini coefficient.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if flexible labor market is combined with high unemployment protection and high expenditures on active labor market policy, then it is possible to achieve economic growth and social cohesion. In short, institution building for flexicurity of labor market can contribute to realize a sustainable growth.

      • KCI등재

        지역노동시장권(LLMAs)의 측정과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상호(Sangho Lee) 한국노동연구원 2008 노동정책연구 Vol.8 No.4

        본 논문은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LLMAs)을 도출하고 이를 주요 경제변수의 분석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서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인구주택총조사」2% 통근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노동수급의 자급률(Self-Containment rate) 70~75% 기준을 적용한 분석 결과 전체 표본에서 122개의 지역노동시장권이 도출되었다. 지역노동시장권의 동태적 추이를 살펴보면 그 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데, 주로 수도권 지역을 비롯한 대도시 노동시장의 확장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별로도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의 노동시장 범위에 현격한 격차를 보였다. 다음으로 지역간 노동이동에 있어서 시군구 지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역노동시장권의 개념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노동시장권은 시군구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간 이동률을 보이고 있어서 독립적인 노동시장권으로서의 적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서 지역노동시장권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도 지역노동시장권은 핵심 변수들의 관계를 보다 더 잘 설명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지역노동시장권 개념 자체가 지역의 기능적 특성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고용률과 같은 경제변수들의 추정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유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교육수준별로 상이한 노동시장의 범위를 가정할 경우 보다 선명하게 드러났다.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stimation of Local Labour Market Areas in Korea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analyses of economic variables. Using commuting matrices of micro-level census data, 122 LLMAs are identified based on a 70~75% self-containment criterion. In Korea, the number of LLMAs has decreased during the period from 1995 to 2005, and has also shown considerable differentials in scope between education level groups. In the next step, we test the conceptual validity of LLMAs through a comparison with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We find that, compared to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LLMAs exhibit relatively lower netmigration rates, thus better satisfying the conceptual description of independent labour markets tha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do. Lastly, we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LLMAs through analyses on the determinants of inner migration. We find that LLMAs explain the relations of key economic variables more appropriately. Particularly, because the definition of an LLMA itself contain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ities, LLMAs are better suited for interpreting the parameters of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rates. We show that these resulting differences become more pronounced if separate labour market areas are defined for each education level group.

      • KCI등재

        노동시장 제도와 미스매치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류기락(Ki Rak Ryu) 한국사회정책학회 2014 한국사회정책 Vol.21 No.4

        노동시장에서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과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상이하면, 인적자원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여 거시경제성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미스매치 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은 주로 인력수급 균형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온 반면, 노동시장의 구조적 속성과 제도적 조건, 특히 노동시장 분절의 성격에 따라 미스매치가 노동 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좌우될 수 있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에 서는 국제 성인역량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의 제도적 성격과 미스매치가 어떠한 양 상으로 상호작용하여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노동시장에서 인적자원의 배치 및 보상과 관련된 성과 지표로서 비전형 근로 가능성과 직무 관련 직업훈련 참여, 임금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이들 변수에 대한 미스매치의 부정적영향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노동시장 분절이 단체교섭이나 노동시장정책의 성격, 실업급여의 관대성의 제도적 성격에 따라 미스매치의 부정적 효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 한 분석 결과는 인적자원의 효과적 배치와 활용을 위한 정책 개입이 비단 노동수급 균형 차 원의 시각뿐만 아니라 노동수요의 구조적 성격, 즉 노동시장 분절을 완화하기 위한 구조개혁 과 병행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t is commonly known that mismatch between human capital embodied by the employee and the demand for skills will lead to an under-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therefore yielding a negative impact on the macro economy. While policy effor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equilibrium of labor demand and supply, it seldom attracts attention that structural properties and institutional features of labor markets can play a role in determining labor market outcomes. This paper has tried to fill this gap by analyzing how the interplay of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mismatch unfolds in generating labor market outcomes using the PIAAC data. Results show that the likelihood of working on atypical contract, job-related training participation, and earnings, when used as measures for human resources placement and rewards, have revealed negative impacts of education and skills mismatches. In addition, labor market segmentation, in conjunction with collective bargaining, nature of labor market policy, and generosity of unemployment insurance, aggravates the negative effects of mismatches on labor market outcomes. These finding attest to the request for balance of policy orientation between the equilibrium and the structural approach to human capital utilization and placement.

      • KCI등재

        한국노동시장의 제도경제학적 분석 : 노동시장제도 변화과정에서 경제와 정치의 역할

        송원섭 한국제도∙경제학회 2022 제도와 경제 Vol.16 No.3

        So far, Korean labour policies have not been evaluated as successful not because they used “microeconomic ineffective method”, but because they made “macroeconomic linkless policies” based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ast.” Therefore, in order to seek the right direction of labour market-related policies in the course of the Korean economy taking off once again, this paper analyzed the labour market system and policies by using the institutional economic analysis frame.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Korean labor market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internal specificity of Korea’s development process and the external institutional specificity of neoliberal hegemony could define the ‘path dependence’ of the Korean labor market. The measures to break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Korean labor system in this paper could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ways: (i) transformation of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ii) overcoming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iii) accurate recognition of the Korean labor market, (iv) normalization of perception for the Korean labor market system, and (v) establishment of inclusive labor relations. 한국 노동시장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정책들이 미시적으로 효과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거시적으로 연결고리를 생각하지 않았고, 기존의 시각에 기초한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경제의 재도약 과정에서 노동시장 관련 정책들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도경제학적 분석틀을 이용해서 노동시장제도와 정책을 분석하였다. 제도경제학적 시각으로 한국 노동시장의 문제점을 분석해보면, 한국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 헤게모니’라는 내·외부적 제도적 특수성이 한국 노동시장의 ‘경로의존성’을 규정할 수 있었는데, 이에 한국 노동시장에서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한국 노동제도가 가지고 있는 경로의존성에서 탈피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한국 노동제도의 경로의존성을 탈피하기 위한 방안은 경제·산업구조의 전환, 발전국가라는 특수성 극복, 한국 노동시장 특수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 노동시장제도에 대한 인식의 정상화, 포용적 노사관계의 정립 등 5가지로 크게 요약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 노동시장이 의존하고 있던 경로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노사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노동과 자본의 관계를 재조정하여, 정책들이 전후 서유럽 국가들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성장을 회복하고 소득 분배를 개선하는 방향이어야 할 것이며, 특히 노동체제, 보다 하위의 개념으로서의 노사관계와 관련해서는 조정(coordination)의 정도를 높이려는 노·사·정의 협조 행동이 요구되며, 이를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와 같은 현실적인 논의도 활발해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노동시장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 : 이행노동시장 이론의 활용

        정병석(Byung-suk Chung)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2

        이 논문은 최근 유럽에서 발달한 이행노동시장 이론을 검토하고 그 토대위에서 한국의 노동시장정책을 평가하며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이행노동시장이론은 노동시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여러 상태 간의 이행에 초점을 맞추어 이행과정에서 개인의 이행을 관리함으로써 사회적 위험을 줄이고 노동시장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접근법이다. 우리나라에도 선진국과 같은 행태의 노동시장의 이행이 증가하여 이러한 이론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행노동시장 이론을 활용할 경우 앞으로의 노동시장정책은 사회 통합을 지향하면서 이행과정에 소득지원제도를 연계하되 활성화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이울러 한국 실정에 맞는 유연안정성 모델을 만들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Schmid의 5개 이행유형에 따라 사회적 위험을 관리할 노동시장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Theory of Transitional Labour Market(TLM) that has recently developed in Europe and, based on it, to evaluate labor market policies of Korea and suggest some ideas for their development. TLM approaches focus on various transitions that frequently take place in the labor market and thus by managing individual transitions, aim to reduce social risks and increase effectiveness of labor market policies. Since Korean labour market has been experiencing rapidly increasing labor market transitions like other advanced countries, TLM approach may be meaningfully applied to Korea. If applying TLM approach to Korea, her labor market policies should aim at pursuing social integration by strengthening activating policies and ‘making work pay’ measures in the transitions as well. In addition, proper Korean flexicurity model should be developed that would fit to the situations of Korea. In this paper, some policy ideas are also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labor market policies of Korea to manage social risks in line with the 5 transition types of Schmid's model.

      • KCI우수등재

        노동시장 공간의 이중구조화와 불평등

        최석현(Choi, Seok Hyeon),이병호(Lee, Byung Ho)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이 글은 한국의 고용지위에 따른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임금근로자의 공간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것이 노동시장 결과와 어떤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공간적 미스매치 이론과 균형실업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수도권 지역 노동시장 공간 구성의 특징을 2014년 17차 한국노동패널조사 원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수도권 거주 정규직 임금근로자들은 비정규직에 비해 통근시간이 길고 직장과 주거 불일치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시장이 각각 다른 공간적 구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정규직 노동시장에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인 성별, 연령별 분절화에 기반을 둔 노동시장 공간 분절화가 나타나며, 소득과 직업지위에 따른 공간적 분절화 현상도 보인다. 하지만 비정규직 노동시장은 이런 분절화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수도권 노동시장 공간은 노동시장에서의 고용지위와 직업지위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공간의 분절성은 다시 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동성을 제한하여 근로자 사이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동시장 안에서의 불평등 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사회인구적 배경뿐만 아니라 구직범위와 통근환경 등의 요인이 작용하는 지역노동시장 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not only the impacts of dual labour market in Korea upon spatial structuration of local labour market, but also the responses to such relationship among wage-workers. We first construct our research model based chiefly on spatial mismatch theory and equilibrium unemployment theory. We then analyse commuting time of workers whose residence located in the Seoul Capital Area, using the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e results suggest that local labour market of the Seoul Capital Area is made up of subdivided labour market spaces shaped by segmented features of the Korean labour market. Given that decent jobs have spatially sprawled within the local labour market, opportunities for attaining those position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ho can tolerate lengthy commuting time and succeed in dealing with demographic differences such as age and gender in barriers to commuting. Meanwhile precarious workers are more likely to find jobs nearby their residences and consequently spend less time on commuting.

      • KCI등재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

        지은정(Ji Eun-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3

        본 연구는 내부노동시장 및 외부노동시장과 분절된 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이 취업과 취업의 질에 누적적인 영향을 미쳐, 장기간 근로빈곤노동시장에 머물게 함으로써 근로빈곤탈출을 저해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3~7차이고, 분석방법은 Markov 이행확률과 이산시간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 그리고 근로빈곤노동시장의 삼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근로빈곤유형은 최근으로 올수록 취업빈곤층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비경활 빈곤층은 점점 증가하여 근로빈곤층의 주된 유형이 되었다. 근본적으로 빈곤층에 대한 노동수요가 부족하며, 빈곤층의 취업자체를 저해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벽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회귀분석에서는 근로빈곤노동시장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근로빈곤 이탈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한번 근로빈곤노동시장에 편입되면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근로빈곤노동시장 내에서 폐쇄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빈곤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근로조건을 보장하는 노동수요 활성화정책과, 근본적인 노동시장구조 개혁 및 빈곤층 노동에 대한 부정적 사회인식과 차별완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of working poor labor market segmented fro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labor market affects employ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ing poor. It Further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makes working poor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scape from a vicious poverty cycle. Data is based on the 3~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Markov's transition probability and discrete-time hazard analysis a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Korea labor marke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primary labor market,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the working poor labor market. The proportion of employed poor has been reduced, but the proportion of non economically-active working poor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come the main group among the working poor. This shows that labor demand of working poor is fundamentally lacking and there are structural barriers that block working poor's employment itsel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onger working poor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the lower poverty-exit rate. This is an evidence of vicious poverty cycle that the poor have little chance to exit from working poor labor market, once they step into it. Therefore, the longer their participation in poor labor market, the more likely they would move only within the closed working poor labor marke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orm labor market structure and to alleviate negative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poor labor while activating labor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