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에 관한 고찰

        노지화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The human feeling of happiness is a concept of an individual level of emotion, and it is a temporary state of experiencing a current positive emotional state or an emotional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last long and is also a subjective concept. The definition or perception of happiness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human life, ranging from happiness index to happiness level. Above all, old age can contribute to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hen social and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rust between family and neighbors, and social infrastructure, which is a physical environm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cial infrastructure, abbreviated as social infrastructure, is a concept that broadly covers not only public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schools, and parks, but also facilities that provide a fixed physical space for people to gather. Among them, open and well-maintained parks can help the elderly to form natural human relationships. In addition, if the park can be used within a reasonable walking distance or can be accessed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link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green infrastructure. Leisure activities and rest in well-managed green parks can positively induce a sense of community and citizenship along with a biophilia effect for the elderly in the c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basic role of social infrastructure for happiness in old age. Quantitative research and analysis in the park, a happy space of old age, which is getting longer after retirement, will be carried out in detail in a follow-up study. 인간의 행복감이라고 하는 감정은 개인 차원의 감정에 대한 개념이다. 행복감이란 현재의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경험하는 일시적 상태 혹은 지속성이 길지 않다고 하는 감성적인 특성이며 주관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행복감에 대한 정의나 인식은 행복 지수, 행복도에 이르기까지 인간 삶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됐다. 무엇보다도 인생에서 노년기는 여유 있는 삶의 시기로 그동안 하지 못했던 흥미와 관심 있는 일을 하면서 그 속에서 사회적 교류망과 신뢰할 수 있는 인간관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와 사회적 연결망을 지지해주는 공간으로서의 사회적 인프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 인프라는 공공시설인 도서관, 학교, 공원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고정된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시설을 폭넓게 다루는 개념이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답답한 실내보다는 자연풍경을 포함한 공원 등의 외부 공간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개방되고 자연으로 잘 조성된 공원은 고령자에게 자연스러운 인간관계 형성을 도우며 행복감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연결망과 개인의 네트워크, 가족 이웃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 및 인간관계의 교류가 가능한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인프라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기여에 깊이 관계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합리적 도보거리 내에 이용할 수 있거나 대중교통의 이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공원이라면 녹색 인프라 스트럭쳐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의 연계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녹지가 잘 관리된 공원에서의 여가활동과 휴식은 도시 고령자에게는 바이오필리아 적 효과와 함께 공동체 의식과 시민성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노년기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의 역할은 어때야 하는지 기초적으로 파악해보았다. 은퇴 이후 길어져 가는 노년기의 행복한 공간인 공원에서의 정량적인 조사와 실증적 분석은 추후 후속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노년기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에 관한 고찰

        노지화(Ji Hwa Roh)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인간의 행복감이라고 하는 감정은 개인 차원의 감정에 대한 개념이다. 행복감이란 현재의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경험하는 일시적 상태 혹은 지속성이 길지 않다고 하는 감성적인 특성이며 주관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행복감에 대한 정의나 인식은 행복 지수, 행복도에 이르기까지 인간 삶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됐다. 무엇보다도 인생에서 노년기는 여유 있는 삶의 시기로 그동안 하지 못했던 흥미와 관심 있는 일을 하면서 그 속에서 사회적 교류망과 신뢰할 수 있는 인간관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와 사회적 연결망을 지지해주는 공간으로서의 사회적 인프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 인프라는 공공시설인 도서관, 학교, 공원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고정된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시설을 폭넓게 다루는 개념이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답답한 실내보다는 자연풍경을 포함한 공원 등의 외부 공간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개방되고 자연으로 잘 조성된 공원은 고령자에게 자연스러운 인간관계 형성을 도우며 행복감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연결망과 개인의 네트워크, 가족 이웃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 및 인간관계의 교류가 가능한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인프라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기여에 깊이 관계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합리적 도보거리 내에 이용할 수 있거나 대중교통의 이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공원이라면 녹색 인프라 스트럭쳐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의 연계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녹지가 잘 관리된 공원에서의 여가활동과 휴식은 도시 고령자에게는 바이오필리아 적 효과와 함께 공동체 의식과 시민성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노년기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의 역할은 어때야 하는지 기초적으로 파악해보았다. 은퇴 이후 길어져 가는 노년기의 행복한 공간인 공원에서의 정량적인 조사와 실증적 분석은 추후 후속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The human feeling of happiness is a concept of an individual level of emotion, and it is a temporary state of experiencing a current positive emotional state or an emotional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last long and is also a subjective concept. The definition or perception of happiness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human life, ranging from happiness index to happiness level. Above all, old age can contribute to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hen social and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rust between family and neighbors, and social infrastructure, which is a physical environm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cial infrastructure, abbreviated as social infrastructure, is a concept that broadly covers not only public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schools, and parks, but also facilities that provide a fixed physical space for people to gather. Among them, open and well-maintained parks can help the elderly to form natural human relationships. In addition, if the park can be used within a reasonable walking distance or can be accessed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link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green infrastructure. Leisure activities and rest in well-managed green parks can positively induce a sense of community and citizenship along with a biophilia effect for the elderly in the c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basic role of social infrastructure for happiness in old age. Quantitative research and analysis in the park, a happy space of old age, which is getting longer after retirement, will be carried out in detail in a follow-up study.

      • KCI등재

        노년기 개인적 관계적 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조명현 한국생활과학회 2024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개인적 관계적 참여활동이 행복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노인의 기본심리욕구를 토대로 확인해보는 데 있었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65세 이상 노년층을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발활동, 적극적 사교활동, 행복감, 기본심리욕구로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개발활동과 적극적 사교활동은 모두 행복감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매개분석 결과, 자기개발활동과 행복감 간의 관계는 유능성과 관계성에 의해 매개되었고, 적극적 사교활동과 행복감 간의 관계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의해 매개되었다. 이 결과는 노년기 개인적 활동은 개인을 유능하게 느끼게 하고 관계욕구를 부족하지 않게 지각하게 하고, 관계적 활동은 개인을 자율적이고 유능하게 지각하게 만들고 관계성을 충족시켜 행복감에 이르게 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 결과의 함의와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이 함께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h through which personal and relation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old age could lead to happiness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older adul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regarding their self-development activities, active social interaction, happines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active social interaction positively predicted happiness. Second,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appiness was mediated b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ocial activities and happiness was mediated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personal activities in old age can make individuals feel competent and perceive their relationship needs as sufficient, while relational activities make individuals perceive themselves as autonomous and competent with satisfying relationships, leading to a sense of happines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 1인가구의 연령대별 행복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가원(Kim Kawon),황혜신(Hwang Hyeshin)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노인복지연구 Vol.7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1인가구의 연령 집단별 행복감을 파악하고, 연령대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노인 1인가구 4,830명을 지역별 성, 연령에 따라 층화표집 하였으며, 연령대별로 65세~69세 730명, 70~74세 981명, 75~79세 1,405명, 80~84세 1,134명, 85세 이상 58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1인가구의 행복감은 연령대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행복감 영향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대별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영양상태가 양호할수록, 자살생각 경험이 없는 경우, 경제상태 만족도가 높은 경우, 이웃과의 교류수준이 높은 경우 모든 연령대의 행복감을 높이는 공통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인 경우, 복지관 및 종교시설 참여 빈도가 높은 경우 80세 이상 고령 노인의 행복감을 높이고 있었으며, 가족과의 교류 수준이 높을수록, 친목모임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60~70대 노인의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을 고려하여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each age group.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30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nationwide based on their gender and age, and 65 years old by age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for 730 people aged 65-69, 981 people aged 70-74, 1,405 people aged 75-79, 1,134 people aged 80-84, and 580 people aged 85 and olde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group,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better nutrition conditions, the more suicidal you hav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economic condition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xchange with neighbors, the more happy you are. On the other hand, the more frequently women participated in welfare centers and religious facilitie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their familie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ocial gatherings, the higher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their 60s and 70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for social welfare should be sought to promote happi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 KCI등재

        노년기 사회참여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표정민 ( Jungmin Pyo ),조준 ( Joon Cho ),김설화 ( Seol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고령자를 위한 라이프코칭 및 재무설계서비스」가 이용자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노인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18.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첫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참여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년기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넷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참여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행복감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고, 추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건강증진과 실질적 개입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ife Coaching and Financial Planning Service for Seniors” among Jeollanam-do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s affects user happin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8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18.0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an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in old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self-esteem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happi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self-esteem. This study propos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happiness in old age, and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promotion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노년기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활동 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Kim, Jung-Hyun),전미애(Chun, Mia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연령집단별로 사회활동 참여유형이 다른지와 연령집단별로 행복감에 미치는 사회 활동 유형은 무엇인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고령화패널연구(KLoSA), 5차(2014)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5차 시점에서 65세 이상이면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3,273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제활동 참여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여가활동은 연소노인이 중고령노인이나 초고령노인집단에 비해 참여수준이 높았다. 가족활동은 연소노인에 비해 중고령노인이나 초고령노인 집단에서 참여수준이 높았고, 그 외의 친목활동과 종교활동은 연령 집단 간 참여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집단별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사회활동 유형을 회귀분석 한 결과, 연소노인 집단에서는 경제활동을 제외한 여가활동, 친목활동, 종교활동, 가족활동이 노인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고령노인 집단에서는 친목활동과 가족활동이, 초고령집단에서는 가족활동만이 노인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집단에 따라서 참여하는 사회활동 유형과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화되어가는 노인 인구의 욕구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types on the levels of happiness of the Korean older adults by age groups. The 5th wave(2014)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used and a total of 3,273 elderly were selected from the 5th wave, who were 65 years old and older and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offsprings. Chi-square 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declined with age and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young-old group in comparison to the middle- and the oldest- old groups.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family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the oldest-old groups in comparison to the young-old group. Socializing activities and religious activities measured by the frequencies of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f social activity types and their effects on happiness by age groups are the followings: 1) Leisure, socializing, religious, and family activities all (with the exception of economic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happiness of older persons in the young-old group. 2) However, only socializing and family activities in the middle-old age group, and only family activities in oldest-old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s of happines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 the five types of social activities and their effects on the levels of happiness were different by age group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at needs and the interests of older individuals are different by age groups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 KCI등재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인이 느끼는 삶의 행복감

        김영범(KIM Young-Bum)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3 No.2

        Based on the continuity theory and the social role theory of sex difference,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shows the differen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depending on gender. For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author separated data by gender, and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in each gender, using Hallym Aging Panel Data(2 to 4 wave). The results are in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support exchange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s expected, female exchanges more than male does. Second, the female exchanges more in the care support and male exchanges more in the economic support. Third, in the female sample, level of support receive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in the male sample, level of support give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학 이론 중 하나인 지속이론과 성 차이에 대한 사회적 역할이론을 결합하여 노년기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성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림 고령자 패널 2∼4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년기 삶의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성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횡단면 결합자료의 특성에 주목하여 고정효과 모델(fixed effect model)을 활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과 자녀와의 관계는 한 쪽이 일방적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을 상호 교환하는 관계이다. 둘째, 자녀와의 교환은 성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자녀와 도움을 더 많이 교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움 교환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는 남성의 경우는 도움주기가 삶의 행복감과 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는 도움받기가 삶의 만족과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에도 여전히 성에 따른 역할의 차이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