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년 여론조사로 본 우크라이나 동·남부의 내셔널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

        박지광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3

        The Russia-Ukraine conflict over territory is rekindled by the Russia’s military invasion into Ukraine in February 2022. Russia takes it as the pretext of this invasion to protect the Russian-speaking population in Ukraine which accounts for about one-third of the Ukraine population. Russia has insisted that Ukraine does not have a separate and independent national identity distinct from Russia. Russia further insists that Ukraine was historic allyl a part of Russia and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ussian civilization world. Radical Russian nationalists believe that it is their duty to reclaim the Eastern Ukraine which rightfully belongs to Russia but is mistakenly given to Ukraine. Ukrainian politicians and scholars deny any of these claims made by Russian nationalists. This debate between Russia and Ukraine over Ukraine’s identity largely depends on the definition of national identity. national identity can be defined as ethnical or civic one. Ethnically, Ukraine has a national identity close to Russia’s. However, in terms of civic identity, Ukraine has a distinct identity from Russia’s. Ukrainian scholars emphasize that most residents in Ukraine have Ukraine civic identity and have fortified it in the wake of the Crimean Peninsula annexation and the Donbass war in 2014. On the other hand, Russian nationalists deny this argument. To answer the questions, this article conduct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telephone survey in Ukraine in February, 2022. The survey shows that about 70% of the respondents identify themselves as entirely Ukrainian citizen. Even in the East Ukraine, over 50% of the respondents do so. Thus, the Russian nationalists claim that the Russian-speaking people in the East feel Russian national identity is not empirically supported by our survey. However, the Ukrainization of Russian-speaking people in the East has not occurred as widely as some scholars assert although there is clear evidence for the phenomenon. 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2022년 현재 우크라이나가, 특히 우크라이나 동남부 지역이, 러시아와 내셔널 아이덴티티를 공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혈통적 러시아인들이 점진적으로 러시아인로서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인라는 독특한 이중 정체성을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크림반도 사태 이후 이러한 이중 정체성이 급격하게 순수 우크라이나 정체성으로 변환되고 있다는 주장이 최근에 우크라이나 학자들에 의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에서 실시된 여론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동·남부에서 우크라이나 내셔널 아이덴티티가 증가하였지만 기존의 주장만큼 광범위한 변화는 아님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크라이나에서의 내셔널 아이덴티티 변화는 내셔널 아이덴티티 논쟁에 있어서 한 개인의 내셔널 아이덴티티가 출생으로 정해지고 일생 동안 지속된다는 발생주의적 입장보다는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도구주의적 입장을 지지한다.

      • KCI등재

        제로 연대 일본 영화 속 ‘전후’ 담론

        신하경(Shin, Ha-kyou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본고에서는 1990년대 냉전 이후 현재까지의 일본영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가운데에서 일본이 패전 후 GHQ의 지배를 포함하는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문제, 즉 ‘전후’ 문제가 현재까지도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을 ‘전후’ 담론으로 부르고, 그에 해당하는 일본영화들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전후’ 담론 영화에는 몇 가지 특징이 보여지는데, 그것은 현재의 필요에 의하여 과거 역사를 소환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영화들은 과거나 현재의 원작 소설, 영화들에 기반하고 있으며, ‘역사 회상’ 내러티브가 현저히 나타난다. 그리고 그들 영화를 소재 및 모티브 별로 구별하여, ‘전범재판’ 영화, ‘특공대’ 영화, ‘후쿠이 하루토시 원작’ 영화, ‘반전’ 영화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전후’ 영화들에서는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 일본군 지도자상을 재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것은 미국의 ‘전쟁책임’을 물으면서, 자국민과 자국영토, 군인을 끝까지 보호하는 ‘지도자’를 그려내려는 욕망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미군과 북핵 문제 등 현실 정세에 대해 일본 사회가 강한 리더쉽을 가진 지도자의 모습을 욕망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욕망은 ‘조선인 가미카제 특공대’, ‘종군위안부’ 등 ‘혐오스런 타자’를 제외하고, 현실의 모습을 ‘미화’, 혹은 ‘신화화’한 결과 도출된 ‘내셔널 아이덴티티’로서, 이러한 모습은 타자와의 진정한 화해를 저해하는 ‘책임의 자페구조’를 보여줄 뿐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물론 ‘전후’ 담론 영화 내에는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의 영화가 제작되고 있으며,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하여 일괄적으로 정리할 수는 없으나, 주된 흐름으로 보여지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신화화, 혹은 재창조의 방향은 타자와의 진정한 화해를 저해할 뿐일 것이다. In this paper, Japanese films were studied since the 1990s the Cold War ended to the present. That films deal with ‘Post-war discourse’ that is made of the fundamental problem of Japan after the defeat of the World War Ⅱ, and that discourse has had significant effect until now. Such a discourse has been represented in various ways in Japanese films. There are a few features in such post-war discourse films. First of all they summon the past history by the current need. Therefore they are based on the past novels, or movies, and have ‘history recalling’ narrative. These films are categorized by materials and motifs, which are ‘War-Tribunal’ movies, ‘Tokko’(suicidal raider) movies, Fukui Harutoshi novels based movies, and ‘anti-war’ movies. In such films, a strong tendency appears that is to re-evaluate the Japanese leaders of war in the relations with U.S, and that means the representation of the social desire of Japan which question the war responsibility of the United States, and which yearn the Japanese leaders who protect its citizens, its territory, and its army. But such desire assumes that ‘abject others’ are excluded such as ‘Koreans Kamikaze’ and ‘comfort women’. As a result of that, ‘national identity’ expressed in those films should be called as the ‘mythicization’ of history, and questioned as ‘autism structure of responsibility’ that inhibit the true reconciliation with others.

      • KCI등재

        『(신・)고질라』 담론에 나타나는 국민국가론의 자폐성 비판

        신하경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8

        Shin Godzilla has given rise to widespread discourse in Japan since its release. They have shown the Japanese people's views on disasters and national defense. Among them, the argument for “Godzilla = Japanese military spirit” is strongly expressed, from which we can see the impact of Norihiro Gato's argument in the 1990s. This paper reviewed hi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In the discourse of Godzilla in the 1990s, Saburo Kawamoto represented most of the public opinion at the time, which was based on the perpetrator’s view of history including that of victims of the Japanese. Norio Akasaka offered his opinion on the contradictions of post-war Japan in the Ten'nōsei. Kenji Sato's argument could be considered as a response to the voice of “others.” Unlike these claims, Norihiro Kato's claim settled the meaning of Godzilla in the form of the national identity of Japan. Kato says Shin Godzilla challenges contemporary taboos in “Dentsu(電通)” culture, which means the limitations of popular culture in capitalism. This paper argued that such an idea was flattery to the current prevailing nationalism. Based on the review of Kato's discussions, we can say it shows the process of narrow convergence of interpretations from Godzilla’s being a multi-layered cultural symbol to national identity of Japan; in the desire of forming national identity,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deleted, and only remains as a cognitive autistic structure between America and Japan. 『신고질라』는 개봉 이후 하나의 거대한 담론장을 형성해 왔으며, 이것은 ‘재해와 자국방위’에 대한 일본인들의 의견을 정리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중에서 ‘고질라=일본군영령’설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에는 1990년대 가토 노리히로의 영향력을 볼 수 있다. 이를 ‘외부자의 시선’으로 검토하였다. 이 영화는 서사적으로 볼 때, 재해, 전후 일본과 미국의 관계 및 자위대 문제, 일본정부의 위기극복 시스템, 해결되지 않는 결론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간다. 그에 따라 담론도, 재해와 전쟁, 재해와 자위대, 고질라=영령설, 일본정부에 대한 환상, 본토결전의 욕망, 미완의 파시즘이 구현된 영화 등으로 전개된다. 이 현재적 담론은 1990년대 『고질라』 담론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1990년대 담론에서 가와모토 사부로가 가해의식을 바탕으로 피해의식도 포함하는 당시의 가장 공적인 의견을 대변했다면, 아카사카 노리오는 일본 전후의 모순을 천황제에서 보는 의견을 투사한다. 그리고 사토 겐지의 주장은 타자의 목소리에 대한 응답이라는 맥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들과는 다르게 가장 영향력이 컸던 가토 노리히로의 주장은 고질라를 ‘내셔널 아이덴티티’ 논의로 귀결시키는 것이었다. 가토 노리히로는 『신고질라』에 대해 ‘덴츠’ 문화 속에서 당대의 금기에 도전하는 영화로 규정하는 데, 그것은 현재 횡행하고 있는 배타적 내셔널리즘에 대한 영합이라고 생각된다. 가토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고질라가 다층적 문화 표상이라는 해석에서 내셔널 아이덴티티 구축이라는 협소한 방향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국민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자에 대한 인식이 삭제되고, 미국과 일본 만의 관계로 닫혀지는 ‘내셔널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의 자폐구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분리독립

        김병곤(Byung Kon Kim),우윤민(Yoon Min Woo)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4

        스페인은 다민족 국가로, 카탈루냐는 스페인의 하나의 자치주로서 존재해왔다. 그러나 최근 카탈루냐의 분리독립 움직임이 강해졌는데, 이것은 2006년 카탈루냐 자치법 개정안에 대한 2010년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내려지고 난 시점을 기점으로 카탈루냐의 태도가 전환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치주로서의 지위를 갖고 스페인의 제도내에서 머물던 카탈루냐가 왜 분리독립의 주장으로 그 태도를 변화시켰는가에 대해 분석한다. 개정안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결 내용을 중심으로 카탈루냐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그것의 카탈루냐어에의 반영, 재정 적자 문제와 관련한 자유주의적 민족주의 관점에서의 사회정의 실현, 이렇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원인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 후, 본연구가 스페인 및 EU의 향후 미래에 제시할 수 있는 함의를 밝힌다. Spain is a multinational state in which Catalonia has been as one of the 17 autonomous communities. After the verdict of Constitutional Court of Spain in 2010 on 2006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the secessionist movements have started to grow strong in Catalonia. Catalonia, as one of the 17 autonomous communities, has sought the way to increase its autonomy within the institutions of Spain. However, it suddenly changed its position from increasing its autonomy to secessionist movemen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of Catalonia’s sudden change. This paper suggests 2 reasons, one is Catalonia's national identity and its reflection on Catalan language. The other is Catalonia's will to realize soci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nationalism with reference to Catalonia's fiscal deficit. With this analysis of reasons for secessionism, this paper can provide implications on the future of Spain and Catalonia and the trial of EU's political integration.

      • KCI등재

        서재필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상극

        김봉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1 No.-

        This article clarifi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friction of Suh Jaepil’s national identity. First, I will shed light on the inter-relations among self, other(s) and the internal-external context of Chosŏn, with its chang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uh’s national identity. Next, to understand the friction of Suh’s national identity, I will examine the articles of the newspaper “The Independence” published by him. This examination is divided into two subjects of the ‘viewpoint of Chosŏn-self-esteem and contempt for Chosŏn’ and the ‘sovereignty-independence-national right(s) and power of nation-state.’ Finally, I will critically reflect the modernity of Suh’s national identity.

      • 오키나와코코로(沖縄の心)의 형성 및 변용과정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과정을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0

        본 연구는 대다수 오키나와인이 오키나와전투의 쓰라린 경험에도 불구하고 ‘독립’이나 미국으로의 완전한 ‘귀속’이 아닌 ‘일본 복귀’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하는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과정에서 나타난 ‘오키나와 코코로’를 통해 오키나와인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형성 및 변용의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오키나와코코로는 ‘반전평화(反戰平和)’, ‘인권회복(人權回復)’, ‘자치확립(自治確立)’이라는 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오타 마사히데(大田昌秀)에 의해 하나의 정치적·학문적 용어로 자리 잡았다. 오키나와전투의 경험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오키나와코코로는 ‘전쟁포기’ 조항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평화헌법을 통해 ‘일본 복귀=인간다운 삶의 보장’이라는 환상을 불러왔다. 즉, 오키나와 내에서 자발적인 일본복귀운동이 가능했던 것은 ‘반전평화’, ‘인간존중’, ‘자치확립’을 바라는 마음인 오키나와코코로가 일본 전후민주주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평화헌법’에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키나와코코로가 무시된 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됨으로써 오키나와는 표면적으로는 일본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오키나와인은 무엇인가’라는 자문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오키나와문제’로 치부되는 미군기지문제는 여전히 오키나와 사회에서 가장 큰 사회적 문제이자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y most Okinawans chose “returning to Japan” instead of “independence” or a complete “administration” by the U.S. despite the bitter experience of the Battle of Okinawa.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Okinawa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Okinawa Kokoro,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islands to Japan. Okinawa Kokoro is a political and academic term that was used by Masahide Ota, which contains the words “anti-war and peace”, “recovery of human rights” and “establishment of autonomy”. Okinawa Kokoro, which started from the “heart to live a human life” through the Battle of Okinawa, invited the fantasy of “return to Japan = assurance of human life” through Japan’s peace treaty that contained the clause to “give up war”.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Okinawa’s voluntary return to Japan was possible in Okinawa is reflected in the “Peace Constitution”, a symbol of postwar democracy in Okinawa Kokoro, which is a desire for “anti- peace” and “respect for humanity.” However, Okinawa was “returned” to Japan, ignoring Okinawa Kokoro. Even though Okinawa had gained the same rights as Japanese citizens on the surface, they were forced to ask again who the Okinawan people were. The presence of U.S. military bases regarded as the “Okinawa problem” is still the most significant social challenge in Okinawan society and remains a problem to be solved.

      • KCI등재

        불교경전의 제작과 위경

        서정원(Jung Won Seo)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2

        No subject in religious research is as ambiguous as Apocrypha(僞經). In most religions, Apocrypha is viewed negatively, but this is not the case in Buddhism. In fact, before the modern era, Apocrypha was regarded even more highly than canonical writings. However, as modern Buddhism developed, Apocrypha produced in China literally came to be considered false scripture. The problem with this is that it is philologically unsound to regard the Sutras produced in India as canonical because they originated in India, and to regard the Sutras produced in China as Apocrypha simply because they originated in China.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Indian Sutras and Chinese Apocrypha in terms of their premise, structure, and form. Indee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y Apocrypha is being devalued in modern Buddhist study, which is philologically sophistica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reason for this devaluation lies in the national identity generated in the modern era.

      • KCI등재

        제로 연대 일본 영화 속 ‘전후’ 담론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P>&nbsp;&nbsp;본고에서는 1990년대 냉전 이후 현재까지의 일본영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가운데에서 일본이 패전 후 GHQ의 지배를 포함하는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문제, 즉 ‘전후’ 문제가 현재까지도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을 ‘전후’ 담론으로 부르고, 그에 해당하는 일본영화들을 분류하였다.</P><P>&nbsp;&nbsp;이러한 ‘전후’ 담론 영화에는 몇 가지 특징이 보여지는데, 그것은 현재의 필요에 의하여 과거 역사를 소환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영화들은 과거나 현재의 원작 소설, 영화들에 기반하고 있으며, ‘역사 회상’ 내러티브가 현저히 나타난다. 그리고 그들 영화를 소재 및 모티브 별로 구별하여, ‘전범재판’ 영화, ‘특공대’ 영화, ‘후쿠이 하루토시 원작’ 영화, ‘반전’ 영화로 나누어 설명하였다.</P><P>&nbsp;&nbsp;그 결과 이러한 ‘전후’ 영화들에서는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 일본군 지도자상을 재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것은 미국의 ‘전쟁책임’을 물으면서, 자국민과 자국영토, 군인을 끝까지 보호하는 ‘지도자’를 그려내려는 욕망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미군과 북핵 문제 등 현실 정세에 대해 일본 사회가 강한 리더쉽을 가진 지도자의 모습을 욕망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욕망은 ‘조선인 가미카제 특공대’, ‘종군위안부’ 등 ‘혐오스런 타자’를 제외하고, 현실의 모습을 ‘미화’, 혹은 ‘신화화’한 결과 도출된 ‘내셔널 아이덴티티’로서, 이러한 모습은 타자와의 진정한 화해를 저해하는 ‘책임의 자페구조’를 보여줄 뿐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물론 ‘전후’ 담론 영화 내에는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의 영화가 제작되고 있으며,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하여 일괄적으로 정리할 수는 없으나, 주된 흐름으로 보여지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신화화, 혹은 재창조의 방향은 타자와의 진정한 화해를 저해할 뿐일 것이다.</P>

      • KCI등재

        냉전 이데올로기의 구조화와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형성의 상관관계: 한일비교

        남기정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1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old War ideology o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then trace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Cold War realities in Northeast Asia. The structuralization processes of Cold War ideology in the two countries were very different; the results, too, were very different. While ‘bulwark against communism’ primarily became South Korea’s self-image, a fairly large segment of the Japanese citizenry accepted pacifism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national identity despite their actual situation as a logistic base for the South Korean bulwark. Geopolitical and other situational factors may well account for the divergence.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each of the two countries constructed an inter-subjective reality of its own. South Korea, as a staunch anticommunist state, appropriated the Cold War exigency and volatilized it in dealing with a host of issues. Japan, on the other hand, tended to mitigate the tensions of the Cold War by invoking pacifist ideals. In recent years, especially since the North-South Korea Summit of 2000, South Korea’s national identity has been moving from anticommunism to pacifism. By contrast, amid the rising tide of anti-North Koreanism (and anticommunism) since the Japan-North Korea Summit of 2002, Japan has shown less and less pacifism. This contrast means that there had been two different Cold War realities in Northeast Asia in the pas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old War ideology o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then trace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Cold War realities in Northeast Asia. The structuralization processes of Cold War ideology in the two countries were very different; the results, too, were very different. While ‘bulwark against communism’ primarily became South Korea’s self-image, a fairly large segment of the Japanese citizenry accepted pacifism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national identity despite their actual situation as a logistic base for the South Korean bulwark. Geopolitical and other situational factors may well account for the divergence.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each of the two countries constructed an inter-subjective reality of its own. South Korea, as a staunch anticommunist state, appropriated the Cold War exigency and volatilized it in dealing with a host of issues. Japan, on the other hand, tended to mitigate the tensions of the Cold War by invoking pacifist ideals. In recent years, especially since the North-South Korea Summit of 2000, South Korea’s national identity has been moving from anticommunism to pacifism. By contrast, amid the rising tide of anti-North Koreanism (and anticommunism) since the Japan-North Korea Summit of 2002, Japan has shown less and less pacifism. This contrast means that there had been two different Cold War realities in Northeast Asia in the past.

      • KCI등재

        고도성장기 소설에 나타난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재구축 - 쇼노 준조(庄野潤三)의 『해질녘 구름(夕べの雲)』을 중심으로 -

        오미정 일본어문학회 2018 일본어문학 Vol.80 No.-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blem of re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which appeared in The Evening Clouds written by Junzo Shono. Junzo Shono expressed the change of Postwar Japan in his novel. The style was a form of “home fiction” that represents the daily lives of middle-class families in the suburbs of Tokyo in 1960’s. He created the new head of a family after the war. Oura built a house, took care of his children, and managed to run a household. It was the process of discovering “Japan’s mind” from its repeated nature, and he realized that the history and traditio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though Oura undertook the daily life of the American lifestyles, it was an effort to establish a Japanese tradition and identity. The novel also erased memories of defeat, drew the ideal home, and recalled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Japan, which led to the paternal blood line. In this regard, it may be said that the novel is a prelude to the closing of the Japanese society in the high-growth period. In conclusion, this article analyzed reconstruction of the new national identity of The Evening Clou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