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지역별 내부통행비율과 대중교통수단분담율이 평균통행거리에 미치는 영향

        김기중,안영수,이승일 한국도시부동산학회(구 도시정책학회) 2014 도시부동산연구 Vol.5 No.1

        Travel managemen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olicy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a city. Previous studies to reduce this level have aimed at decreasing the Vehicle Kilometer Traveled (VKT) per passenger, through constructing jog-housing balance and shifting modes of transportation. However, previous literature suggested that when these two methods were applied in conjunction, the energy consumption levels would not decrease as proje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energy consumption by combining the difference in inner-travel ratio and public transit model in VKT per passenger using O/D data. The data was preliminarily clustered for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public transit modal split and inner-travel ratio,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the VKT by each cluster. The results showed a variance between each cluster.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establishment of policies aimed at reducing the VKT per passenger by region.

      • KCI등재

        존 체계 구축이 교통수요 추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명주,성홍모,백승한,임용택,이영인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critical errors influencing travel demand estimation in Korea Transportation Data Base (KTDB), and through this investigation reasonable traffic analysis zone (TAZ) size and internal trips ratio are analyzed. With varying zone size, the accuracy of travel demand estimation is studied and appropriate level of zone size in KTDB is also presented. For this purpose zonal structure consisting of location of zone centroid, number of centroid connecters has been constructed by social economic index, and then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t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are performed. From the results, this paper shows that the optimum levels of zone system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order and capacity of roads, and also shows that the smaller TAZ, the less error in this research.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of traffic demand estim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zone size smaller.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분석의 중요한 오차요인 가운데 하나인 존 체계 구축에 따른 교통수요 추정 결과의 영향을 국가교통DB 전국 지역 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현재 배포되는 Network 수준 및 해당사업(고속도로, 국도, 국지도 및 지방도 / 차로수)에 따른 적정 존 체계 수준, 내부 통행비율 수준 등에 대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더불어, 존 체계 수준에 따라 교통수요 추정 결과의 정확도가 도로위계, 도로용량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교통DB의 전국 지역 간 자료의 적정한 존 체계 수준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변수를 고려한 적정 Centroid의 위치와 Connector 연결지점 및 개수 등 존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존 체계 구축이 교통수요 추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F-test와 상관계수 분석, 평균통행거리 및 통행시간분석, 오차율 분석, 총 주행거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로위계, 도로용량에 따라 적정 존체계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즉, 현재의 시군구 단위 존 수준에서 추가적인 존 세분화를 수행할수록 국도, 국지도 및 지방도 / 편도 1차로 도로의 교통수요 추정 결과 신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뢰성 높은 교통수요 추정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읍면동 단위의 존 수준까지 존 세분화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