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政治와 祥瑞, 그리고 復古: 南朝 阿育王像의 形式과 性格

        소현숙 한국미술사학회 2011 美術史學硏究 Vol.271272 No.271272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 to Ashokan statue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discusses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such stylistic characteristics. Ashokan statues are said to have been made by King Ashoka of India (ca. 304-232 BCE). These statues were worshipped in China as auspicious figures(瑞像), over a long period,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to the Tang Dynasty. Many compilations of Ashokan statue-related ancient legends and stories of their supernatural power have survived in China, to this day. In recent years, two sculptures dating from the 6th century,bearing the inscription“King (A)shoka Statue,’have been discovered in Chengdu(成都) in Sichuan(四川) Province. Standing statues and statue heads in an identical style, dating from the same period, have been also discovered in large numbers, in Chengdu. Interestingly, these Ashokan statue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robe covering both shoulders is quite short, baring the ankles, and garment folds, present in the upper and lower bodies, are in the shape of the letter U. All of them have a moustache, but their hair vary somewhat, as there are two different styles. Similar characteristics are, in fact,seen in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period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4th century. In other words, Ashokan statues could have been a fugu (returning to the ancients)-style Buddhist sculptures created in the 4th century. Meanwhile, the emergence of such fugu stylehas to do with the auspicious sign(祥瑞) Ashokan statues took on in the Southern Dynasties. Unlike statues of King Udayana and other auspicious figures of Indian origin, Ashokan statues have no basis in Buddhist scriptures, and have never been discovered in India or in Central Asia. Also, up until the mid-6th century and before the Western Wei conquered Chengdu and Jiangling(江陵), Ashokan statues were neither made nor worshipped in the Northern Dynasties. The iconography of Ashokan statues was, therefore, created in the Southern Dynasties. As a matter of fact, these statues were only worshipped in the Southern Dynasties until the mid-6th century. Ashokan statues of Southern Dynasties were in their nature close to a political sign serving to showcase the Southern Buddhist Dynasties’legitimacy and superiority to the Northern Dynasties which were dynasties founded by nomadic peoples from the north. The Ashokan statue housed in the Changgan Temple(長干寺) in Jiankang(建康), for example, was brought from the political center in the north, when the Southern Dynasties moved down southward. For this reason, this statue was considered a memorabilia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the token of their Buddhist orthodoxy. Starting in the late 5th century, the fortunes of a state were increasingly linked, in China, to Buddhism.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 dynasty was arguably the ruler who most effectively exploited this association for his political gains. Emperor Wu actively used Ashokan pagodas and statues as symbols of legitimacy of his rule and orthodoxy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m, holding massive-scale Buddhist rites. It is thanks to this that the Ashokan statue cult eventually spread all the way to Sichuan. Ashokan statues made in Chengdu, therefore, appear to have been modeled on the Ashokan statue housed in the Changgan Temple. In conclusion, the Ashokan statue of the Changgan Temple was a marker evidencing that the religious tradition of Buddhism continued from the Western Jin to the Southern Dynasties without interruption, serving important political purposes. Continuity, in the traditional Chinese belief system, equaled legitimacy and orthodoxy, and this was the reason why 6thcentury Ashokan statues of Chengdu had to be made in a fugu style, following the style of the 4th century. 이 논문은 중국 南朝 阿育王像의 造形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와 같은 형식이 나타나는 배경을 분석한 글이다. 아육왕상은 일반적으로 인도의 아육왕이 만든 조상으로 알려졌는데, 남북조시대에서 당대까지 중국의 瑞像으로 숭배되었다. 그리하여 아육왕상에 대한 고사와 영험이 다수 집록되어 현존하며, 또한 四川省 成都에서는 ‘(아)육왕상’ 명문을 가진 두 건의 6세기 조상이 출토되었다. 게다가 이와 동일한 형식의 동시기 입상과 頭像도 다수 출토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런 아육왕상은 공통된 조형적 특징을 갖고 있다. 즉 通肩 대의는 발목을 드러낸 채 아주 짧게 입고 상체와 하체에 각각 U자형 옷주름을 묘사했다. 그리고 콧수염이 있으며 두발과 육계는 두 가지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이런 특징은 4세기 오호십육국시대 불상과 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성도 아육왕상은 4세기의 復古風으로 제작된 불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복고풍의 출현은 아육왕상이 남조에서 갖는 특수한 성격과 관련이 있다. 아육왕상은 優塡王像을 비롯한 인도 瑞像들과 달리 경전적 근거가 없고 현재까지 인도나 서역의 발견 사례가 없다. 게다가 6세기 중엽 西魏가 成都와 江陵을 점령하기 이전의 북조에서도 아육왕상 신앙과造像 사례가 없다. 다시 말해 아육왕상은 남조에서 창안된 도상이며, 6세기 중기까지 남조인만의 신앙 대상이었다. 남조의 아육왕상은 유목민족이 건립한 북조 왕조들에 대해 남조 불교의 우월적 지위와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정치적 祥瑞였다. 특히 建康의 長干寺에 봉안된 아육왕상은 4세기 전반 북쪽의 정치 중심지에서 남조 都城으로 이동해온 전승 고사를 가지고 있어 남조 정권과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기념물로 인식되었다. 중국에서는 5세기 말부터 국가의 흥기를 불교와 관련시키는 사상이 출현하는데 이를 가장 잘 활용한 황제는 梁 武帝였다. 무제는 자신의 통치와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아육왕탑과 아육왕상을 적극적으로 이용, 이들에 대해 대대적인 佛事를 한다. 이로 인해 아육왕상 신앙은 四川까지 확대된다. 때문에 성도에서 제작된 아육왕상은 양의 정치적 상서였던 장간사 아육왕상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장간사 아육왕상은 불법이 西晉으로부터 남조로 연면히 이어져왔음을 보여주는 정치적상서, 즉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표지였다. 그러므로 ‘연속성에 의한 정통성의 유지’라는 중국의 전통적 관념의 작용에 의해 6세기 성도 아육왕상은 4세기 형식, 즉 복고풍으로 제작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KCI등재

        남조 관음보살상에 대한 연구

        양은경(Yang, Eun Gye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본고는 새로이 발견된 남조 관음보살상들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함으로 인해 기존의 학설과 논쟁점에 대한 再考의 필요성이 제기됨으로 인해 작성하게 되었다. 필자는 우선 명문과 도상을 기준으로 하여 남조 관음보살상을 분류한 결과 시무외인 관음보살상, 양류관음보살상, 봉보주관음보살상으로 구분되었다. 자료의 제한성으로 인해, 연구대상면에서 앞의 두 관음상은 본존상이며, 봉보주상은 협시상이라는 점을 미리 밝혀 두었다. 시무외 · 여원인 관음보살상은 여원인의 다양한 손모양으로 인해 그 명칭을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으로 수정하였다. 이 보살상은 남경일대의 소금동상에서 많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양식은 서로 유사하였다. 남경 소금동상의 특징과 북조, 우리나라 삼국시대 소금동상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번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삼국시대 관음상의 도상은 양류, 봉보주 이외에 시무외인이 존재한다는 것과 양식적으로 시무외인은 양류, 봉보주보다 좀더 시기가 이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적 근거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과 『청관세음소복독해다라니경』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필자는 기존의 학설과는 달리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의 소의경전은 존재하며, 이 수인은 관음상의 개별적이고 독자적인 도상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은 버드나무가지 · 정병 이외에 버드나무가지 · 작은 항아리를 지물로 잡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간적으로는 버드나무 · 작은 항아리의 지물이 버드나무가지 · 정병보다 이르다고 추정하였다. 그리고 작은 항아리, 정병 등의 지물은 소의경전인 『청관음경』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경전에서 언급한 깨끗한 물을 조각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담은 작은 항아리 혹은 정병으로 변화시켜 나타낸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 가지 주목할 내용은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에는 화불, 영락, 정토도, 관세음구제도 등의 도상과 내용이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법화경』,『관무량수경』에서 그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은 당시 남조사회에서 유행한 관음과 관련된 경전들 속에서 그 상징물을 뽑은 후 이들을 복합적으로 모아 하나의 관음상에 표현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기존 학계에서는 남조 관음보살상과 『법화경』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번의 고찰을 통해 『법화경』이외에 청관음경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 경전은 백제에도 전래되었으며 일본에 현존하는 불상을 통해 봉보주보살상과의 관련성을 지적하였다. 지금까지 보살상이 두 손을 위아래로 하여 보주를 감싼 도상은 그 기원처, 지물의 종류, 존상명 등 뜨거운 논쟁점이 되어 왔다. 비록 남조 관음보살상의 신자료는 첨가되었지만 봉보주의 원류는 여전히 남조로 비정되었다. 또한 현존하는 남조 봉보주보살상은 모두 협시보살상이라는 자료의 특수성으로 인해, 그 존명을 관음보살상으로 일률적으로 보기는 힘든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백제 봉보주보살상의 존상명에 대해서는 차후 신자료의 보충을 통해,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남조 보살상은 다양한 형태의 둥근 지물을 두 손으로 잡고 있었지만 백제에서는 크고 둥근 보주로 변화하였거나 혹은 취사선택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변화와 취사선택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에 대해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마한, 백제인들이 큰 구슬을 금은보다 더욱 귀중하고 보배롭게 생각한 전통적인 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는 6세기 전반부터 남북조에서 성행한 전륜성왕신앙의 영향아래에서 백제인들은 보주를 불교적인 상징물로 간주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국 南朝 造像의 제작과 전파

        후지오카 유타카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일본의 아스카시대와 한국의 삼국시대의 불상에 관한 연구에서는 중국의 南朝시대 및 隋, 初唐의 불상과 관련성이 중요한 문제로 언급된다. 지금까지 사료나 발굴을 토대로 한 연구 성과는 중국 남조의 불상과의 관계를 특히 주목해 왔다. 그러나 중국 남조시대의 불상은 남아있는 그 수가 적고, 한국과 일본 양국 고대 불상의 관계 연구 또한 어려움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우선 최근 수 년간의 발굴과 연구 성과를 토대로 중국 남조, 특히 梁朝의 불상 조성에 대해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조의 불상을 山東지역이나 한국, 일본의 예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남조 불상이 타 지역으로 전파된 양상을 고찰하거나, 그 대신 이 지역들의 예들을 통해 남조의 불상을 재조명 하고자 한다. 1. 南朝 佛像의 윤곽 1-1. 棲霞山石窟과 新昌 大佛寺 千佛岩 南京 외곽에 위치한 棲霞山石窟은 南朝때 조영된 龕窟로, 이후 明代 중반부터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보수되었다. 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석굴은 본 모습을 거의 잃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차례 이루어진 재복원 작업에서 석굴의 표면을 덮고 있던 모르타르(mortar)가 거의 모두 제거되면서, 남조 때 조성된 감굴이 무려 15개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상은 불두가 결실되었고, 상의 표면은 인간에 의해 혹은 풍화작용으로 인해 훼손되었지만 남조 불상으로서의 가치는 더욱 인정받고 있다. 서하산석굴 중 大佛窟로 불리는 제19굴 조영이 齊나라 혹은 5세기 말에 완성되었다고 보는 설은, 陳의 江總(519~594)이 찬한 〈金陵攝山棲霞寺碑〉(이하 〈江總碑〉)와 당 고종이 上元 3년(676)에 찬한 〈攝山棲霞寺明徵君碑〉(이하 〈明徵君碑〉)가 뒷받침 한다. 그러나 실상 〈강총비〉의 비문은 康定 원년(1040)에 다시 새겨진 것이고, 〈명징군비〉는 建碑된 후 약 200년이 지나 새겨진 비문임을 고려하면, 이들이 반드시 믿을 만한 근거라고 볼 수는 없다. 반면, 梁代 승려인 僧祐이 天監 14년(515)에 기술한 『出三藏記集』에 의하면, 臨川王(梁武帝의 동생)에 대한 설명에서 대불굴 착공이 천감 11년(512) 경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한다. 최근에는 재복원하는 과정 중 제28굴에서 ‘中大通 2년(530)’의 명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제20, 22, 24, 26 각 굴의 불상 양식을 四川省 成都에서 출토된 齊나라에서 梁나라에 이르는 시기의 기년명 상과 비교하면, 梁의 天監年間(502~519) 후반부터 中大通年間(529~534)까지의 예와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흥미로운 남조의 석굴로는 浙江省 新昌縣 大佛寺의 千佛岩이 있다. 사료에 따르면, 대불사 미륵대불은 齊의 建武연간(494~497)에 조상되기 시작하여 梁天監 15년(516)경에 완성되었다. 대불은 모르타르를 입혀 보수했기 때문에 원래의 모습을 조사할 수 없으나, 천불암의 다른 조상들에서 본래 형태를 여전히 관찰할 수 있다. 천불암의 조영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사료는 없으나, 필자는 梁代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천불암의 제 1호 굴의 중앙에는 交脚像이 있고, 상 좌우 벽면에는 양 끝에 금강역사상이 지탱하는 천불도를 배치했다. 마모가 많이 진행되었고 복원작업으로 인해 상이 손상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도 남아 있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금강역사상은 청두에서 출토된 普通 6年(525)명 상과 유사하다. 제 2호 굴은 주존의 불좌상과 좌우에 상하 2단으로 된 34불을 합쳐 35불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하는 주존의 머리는 후대의 것이고 불신의 마멸도 많이 진행되었지만, 주름진 옷과, 박산향로, 사자상의 형태는 上海博物館 소장의 梁代 中大同 원년(546)명 사암제 상과 유사하다. 천불암의 상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특별한 梁대 불상이면서도, 남조 불상의 결정적인 특징들을 보여준다. 1-2. 南京 출토의 금동불과 인도차이나반도 출토의 금동불 2009년 南京 新街口에서 금동불이 발견되었다. 그 중 1구에는 大通 원년(527)의 기년명이 있었고, 2013년에는 형광X선 분석조사 결과도 발표되었다. 금동불은 크기가 작아 운송이 편하기 때문에, 본 상들은 남조 불상의 전파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南京 출토 금동불은 建康에서 금동불 제작이 성행했음을 설명해 주는 한편, 베트남 옥애오(Óc Eo)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불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옥애오는 1세기에서 6세기경까지 인도차이나반도를 다스린 푸난(扶南)왕국의 외항도시였다. 1944년 루이 마에레(Louis Malleret)는 이 유적에서 로마 주화, 後漢의 동경, 현지제작으로 보이는 비슈누상 등과 함께 中國製로 추정되는 여러 금동불상이 발견하였다. 이 유물들은 모두 현재 호찌민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그 후 1975년에 베트남 당국이 주도한 발굴에서 새롭게 출토된 불입상들은 안장성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들 가운데 호찌민역사박물관의 보살입상은 복부를 감싼 반월형의 천의와 다리 사이에 흘러내리는 허리 띠 등의 형태에서 청두 출토 상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안장성박물관의 불입상들은 6세기 전반 남북조시대의 불상 양식을 분명히 반영한다. 청 An important question in research concerning Japanese Asuka 飛鳥 Period and Korean Three Kingdoms Buddhist sculpture is its relation to sculpture from China’s Southern Dynasties, as well as to that of the Sui 隋 and early Tang 唐. So far, research utilizing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findings has led to a particular awareness of the connection to Southern Dynasties Buddhist images. However,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xtant example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just a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ancient Japanese and Korean Buddhist sculpture. The goals of the present essay are, first, to draw from new discoveries and the results of research in recent years to concretely understand as far as possible the image production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especially that of the Liang 梁 Dynasty. Second, by comparing the production of images in the Southern Dynasties with examples from Shandong 山東,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o consider the forms of dissemination through which Southern Dynasties images passed to other regions, or alternatively to use examples from these regions to cast a light back on the images of the Southern Dynasties. 1. The Contour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1-1. Qixiashan Grottoes and Xinchang Great Buddha Temple’s Thousand Buddhas Cliff The Qixiashan 棲霞山 Grottoes, on the outskirts of Nanjing 南京, are rock-cut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but which saw additional repair work from the middle of the Ming 明 through the Republican Period. As a result, their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urmised from their present condition. However, owing to repair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remove much of the mortar that has covered up the surface, as many as 15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have been identified. Many of the statues’ heads have been lost, and the surface has been damaged either by human intervention or through weathering. Nonetheless, their value as Southern Dynasties statues has been further validated. Two sources provide a likely Qi 齊 or late fifth century explanation for the completion of one of the Qixiashan Grottoes caves, Cave 19, the so-called Great Buddha Cave. These are the two anthologies Memorial Tablet for the Qixia Temple at She Mountain in Jinling (C. Jinling Sheshan Qixiasi Bei 金陵摂山棲霞寺碑) by Jiang Zong 江総 (519-594), and the Memorial Tablet for Ming Zhengjun (C. Sheshan Qixiasi Ming-zhengjun Bei摂山棲霞寺明徴君碑) by Gaozong 高宗 from Shangyuan 上元 3 (676). However, the text of the Jiang Zong inscription is actually a re-inscription dating to the first year of Kangding 康定 (1040), and the Ming Zhengjun inscription was inscribed almost 200 years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and so these are not necessarily reliable sources. Instead, according to an entry from the Liang Dynasty monk Sengyou’s 僧祐 compilation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Emanation of the Chinese Tripitaka (C. Chusanzang jiji 出三蔵記集) from Tianjian 天監 14 (515), the Liang Prince of Linchuan’s (Linchuan Wang臨川王; younger brother to Emperor Wu of Liang 梁武帝) description suggests a high likelihood that construction was initiated around Tianjian 11 (512). Repairs in recent years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an inscription dating from Zhongdatong中大通2 (530) in Cave 28. Also, a comparison of the style of Buddhist images in caves 20, 22, 24, and 26 with images excavated from Chengdu 成都 in Sichuan四川 Province that bear inscriptions dating between the Qi and Liang Dynasties shows that they resemble examples of Liang images from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Tianjian Era (502-519) through the Zhongdatong Era (529-534). In other words, Southern Dynasties images from the Qixiashan Grottoes should be viewed as images from the period of Emperor Wu of Liang. Another Southern Dynasties cave site, the Thousand Buddhas Cliff at Xinchang’s 新昌 Great Buddha Temple in Zhejiang 浙江 Province, is also of great interest. According to documentary evidence, construction of the temple’s Maitreya Great Buddha (J. Miroku Daibutsu弥勒大仏) was begun during the Jianwu 建武 Era (494-497) of the Qi Dynasty and completed around Tianjian 15 of the Liang.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mortar for repairs, the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tudied, but the original forms of other sculpture at the Thousand Buddhas Cliff can still be observed. There are no documents that verify a construction date of the Thousand Buddhas Cliff, but my personal opinion is that they seem to be of the Liang Dynasty. In the center of Cave 1 is a cross-legged seated image with legs pendant, flanked on both sides by thousand Buddhas motifs buttressed on each end by images of the two guardian deities. Although advanced abrasion and repair work have affected the images, there are portions where the original forms can be identified. The very well preserved guardian deities resemble images of guardian deities inscribed with the date of Putong 普通 6 (525) excavated from Chengdu. In the center of Cave 2 is a seated Buddha with 34 Buddhas in two levels above and below on its left and right, portraying altogether 35 Buddhas. The head of the central image is a later addition and its body has seen advanced abrasion, but the shape retained in its draping skirt (J. mokake 裳懸け) as well as the Boshan 博山 censer and Chinese lions seen below resemble examples of sandstone Buddha triads from the Shanghai Museum with inscriptions dating to the first year of Zhongdatong 中大同 (546) and from the Liang Dynasty. The Thousand Buddhas Cliff statues exhibit defining characteristics of Southern Dynasties sculpture, even while being of a particular Liang production that is both independent and mutually complementary. 1-2.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Excavated from Nanjing and the Indochina Peninsula In 20

      • KCI등재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이동훈(Lee, Dong-Hon)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남조의 조공품의 구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조공품의 구성과 일맥상통한다. 남조의 사서에 기록된 다양한 조공품의 구성은 바로 중화문명의 본거지인 황하유역을 상실하고 장강 이남의 남방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겨우 명맥을 이어갔던 남조가 과거 한제국이 보유했던 천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바랐던 염원의 반영이었다. 그렇지만 북조의 사서는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북위는 물론이고 그 후에 등장한 북제, 북주, 수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전통은 정관 21년 당태종이 특별히 조서를 내려 이민족이 보낸 방물에 특이한 점이 있으면 이를 자세히 기록하게 하도록 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북조가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유목적 전통을 계승한 것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는 북위와 총 80여 차례의 조공을 진행했는데, 공물의 품목으로 확인되는 것은 양마, 황금, 백은, 마노뿐이다. 그런데 이 중에서 적어도 황금과 마노는 고구려의 土産物이 아니었다. 그 밖에 위진남북조시기에 고구려가 보낸 조공품으로는 담비가죽, 천리마, 인삼 등 몇 가지 품목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고구려의 특산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조달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고구려가 외부에서 조달한 물품을 조공품이라는 명칭으로 남북조에 공급한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 첫째 정치적인 목적이다. 고구려는 자체에서 생산되는 물품뿐만 아니라 그 영향권에 있었던 지역의 특산물을 공급함으로써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역내 세계에서 중심국가라는 것을 중원왕조에 과시했다. 그런데 중국정사를 살펴보면 숙신이 호시석노를 바쳤음에도 불구하고, 조공의 주체를 고구려로 기록했다. 숙신이 이역만리까지 와서 호시석노를 바치도록 한 고구려의 실질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한 결과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공의 주체를 바꾸어 기록한 사례가 몇 몇 국가에서 더 확인된다. 중국은 고구려와 같은 역내 패권 국가의 조공 사실을 기록함으로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고, 이와 함께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 강국이 갖는 해당 권역에서의 실질적인 정치적 지위를 인정했던 것이다. 둘째, 경제적인 이득이다. 고구려가 중국에 공급한 물품을 보면 대부분 중국에서 높은 가격에 소비되는 물품이었다. 예를 들어 인삼의 경우 고구려는 인삼의 주요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인삼이 더 높은 평가를 받자 고구려의 인삼과 함께 공급하였다. 이렇게 고구려는 중국에서 선호하는 물품의 조달을 통해 중간에서 막대한 차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요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가라는 점을 과시함으로써, 더 많은 경제 교역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했던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f diverse items such as various jewels and luxuries. The composition of tributes to the Southern Dynasties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tributes in China. The composition of diverse tributes recor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outhern Dynasties reflects the wish of the Southern Dynasties, which barely maintained existence occupying an area south of Yangtze River after losing the Yellow River areas, the birth place of Chinese civilization, for restoring the status as a center of China that Han Empire(漢帝國) held in the past. However, such tendency does not appear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Northern Dynasties. This applies to Northern Qi(北齊), Northern Zhou Dynasty(北周) and Sui Dynasty(隋), which appeared later, as well as Northern Wei Dynasty(北魏).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Emperor Taizong of Tang(唐太宗) ordered to record any extraodinary items in local products sent by foreign peoples in detail by a special empirial edict in 647.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nomadic tradition inherited by the Northern Dynasties(北朝), which emphasizes practical aspects. Goguryeo offered 80 tributes in total to Northern Wei Dynasty(北魏). Tribute items confirmed are good horses, gold, silver and jade(珂). Among them, gold and jade were not local products(土産物) of Goguryeo.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offered several items including mink(貂皮), swift horse(千里馬) and ginseng as tributes in the period of Wei Dynasty, Qin Dynasty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local products of Goguryeo but procured from outside. Then, why did Goguryeo offer products procured from outside as tributes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irst, Goguryeo had a political purpose. Goguryeo showed off to China the fact that it was a central state in the region by presenting special products of the areas under its influence as well its own local products. Looking into Chinese Official History, even when Sushen(肅愼) offered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楛矢石砮), they were recorded being offered by Goguryeo. It was a result of recognizing Goguryeo’s political influence which could make Su Jie come a long way and offer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 There are more such cases found with respect to several other states, in which who offered tributes were changed when making records. China recognized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powerful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while enahncing its own status by recording the tributes made by dominating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Second, Goguryeo pursued economic gains. Most items provided by Goguryeo to China were item consumed at high prices in China. For example, in case of ginseng, Goguryeo was a main producer of ginseng, but when Baekje’s ginseng received a higher review, Goguryeo provided Baekje’s ginseng along with its own. Like this, Goguryeo raised huge profits by providing items prefered by China as an intermediary, and induced more trade and earned economic gains by showing off its ability to supply such main products.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남조의 조공품의 구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조공품의 구성과 일맥상통한다. 남조의 사서에 기록된 다양한 조공품의 구성은 바로 중화문명의 본거지인 황하유역을 상실하고 장강 이남의 남방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겨우 명맥을 이어갔던 남조가 과거 한제국이 보유했던 천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바랐던 염원의 반영이었다. 그렇지만 북조의 사서는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북위는 물론이고 그 후에 등장한 북제, 북주, 수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전통은 정관 21년 당태종이 특별히 조서를 내려 이민족이 보낸 방물에 특이한 점이 있으면 이를 자세히 기록하게 하도록 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북조가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유목적 전통을 계승한 것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는 북위와 총 80여 차례의 조공을 진행했는데, 공물의 품목으로 확인되는 것은 양마, 황금, 백은, 마노뿐이다. 그런데 이 중에서 적어도 황금과 마노는 고구려의 土産物이 아니었다. 그 밖에 위진남북조시기에 고구려가 보낸 조공품으로는 담비가죽, 천리마, 인삼 등 몇 가지 품목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고구려의 특산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조달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고구려가 외부에서 조달한 물품을 조공품이라는 명칭으로 남북조에 공급한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 첫째 정치적인 목적이다. 고구려는 자체에서 생산되는 물품뿐만 아니라 그 영향권에 있었던 지역의 특산물을 공급함으로써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역내 세계에서 중심국가라는 것을 중원왕조에 과시했다. 그런데 중국정사를 살펴보면 숙신이 호시석노를 바쳤음에도 불구하고, 조공의 주체를 고구려로 기록했다. 숙신이 이역만리까지 와서 호시석노를 바치도록 한 고구려의 실질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한 결과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공의 주체를 바꾸어 기록한 사례가 몇 몇 국가에서 더 확인된다. 중국은 고구려와 같은 역내 패권 국가의 조공 사실을 기록함으로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고, 이와 함께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 강국이 갖는 해당 권역에서의 실질적인 정치적 지위를 인정했던 것이다. 둘째, 경제적인 이득이다. 고구려가 중국에 공급한 물품을 보면 대부분 중국에서 높은 가격에 소비되는 물품이었다. 예를 들어 인삼의 경우 고구려는 인삼의 주요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인삼이 더 높은 평가를 받자 고구려의 인삼과 함께 공급하였다. 이렇게 고구려는 중국에서 선호하는 물품의 조달을 통해 중간에서 막대한 차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요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가라는 점을 과시함으로써, 더 많은 경제 교역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했던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f diverse items such as various jewels and luxuries. The composition of tributes to the Southern Dynasties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tributes in China. The composition of diverse tributes recor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outhern Dynasties reflects the wish of the Southern Dynasties, which barely maintained existence occupying an area south of Yangtze River after losing the Yellow River areas, the birth place of Chinese civilization, for restoring the status as a center of China that Han Empire(漢帝國) held in the past. However, such tendency does not appear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Northern Dynasties. This applies to Northern Qi(北齊), Northern Zhou Dynasty(北周) and Sui Dynasty(隋), which appeared later, as well as Northern Wei Dynasty(北魏).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Emperor Taizong of Tang(唐太宗) ordered to record any extraodinary items in local products sent by foreign peoples in detail by a special empirial edict in 647.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nomadic tradition inherited by the Northern Dynasties(北朝), which emphasizes practical aspects. Goguryeo offered 80 tributes in total to Northern Wei Dynasty(北魏). Tribute items confirmed are good horses, gold, silver and jade(珂). Among them, gold and jade were not local products(土産物) of Goguryeo.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offered several items including mink(貂皮), swift horse(千里馬) and ginseng as tributes in the period of Wei Dynasty, Qin Dynasty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local products of Goguryeo but procured from outside. Then, why did Goguryeo offer products procured from outside as tributes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irst, Goguryeo had a political purpose. Goguryeo showed off to China the fact that it was a central state in the region by presenting special products of the areas under its influence as well its own local products. Looking into Chinese Official History, even when Sushen(肅愼) offered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楛矢石砮), they were recorded being offered by Goguryeo. It was a result of recognizing Goguryeo’s political influence which could make Su Jie come a long way and offer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 There are more such cases found with respect to several other states, in which who offered tributes were changed when making records. China recognized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powerful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while enahncing its own status by recording the tributes made by dominating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Second, Goguryeo pursued economic gains. Most items provided by Goguryeo to China were item consumed at high prices in China. For example, in case of ginseng, Goguryeo was a main producer of ginseng, but when Baekje’s ginseng received a higher review, Goguryeo provided Baekje’s ginseng along with its own. Like this, Goguryeo raised huge profits by providing items prefered by China as an intermediary, and induced more trade and earned economic gains by showing off its ability to supply such main products.

      • KCI등재

        법륭사헌납보물(法隆寺獻納寶物) 갑인명금동광배(甲寅銘金銅光背) 명문(銘文) 연구

        소현숙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1 No.44

        일본 東京博物館소장의 法隆寺獻納寶物196호 금동 광배는 광배 뒤에 ``갑인년(594년 추정)에 王延孫이 현재 부모를 위해 제작한다``는 명문이 있어 이른바 ``甲寅銘光背``로 불린다. 이 광배는 조형적으로 남조의 영향이 농후한 점, 명문에 年號가 사용되지 않은 점 등으로 보아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갑인명 광배는 조형적 특징 이외에 명문에서도 남조의 영향을 강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광배의 명문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중국 남북조시대의 일반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 남조와 북조의 지역적 차이는 출현하지 않는다. 그러나 명문에 사용된 몇 개의 특징적인 자구를 분석해보면 남조와 북조의 지역적 차이가 아주 분명하게 반영되어 있다. 본고는 삼국시대 다른 조상 명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이 광배 명문에서만 나타나는 ``奉爲`` ``乘`` ``金銅`` ``佛`` 등을 중국 남북조시대와 수대 및 7세기 당대 조상기 및 발원문 등과 비교 분석하여 갑인명 광배 명문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갑인명 광배 명문의 가장 큰 특징은 ``奉爲``와 ``乘``의 사례에서 보이는, 남조에서 유행한 언어의 사용이다. 발원 대상을 언급할 때 쓰인 ``봉위``는 1800건에 이르는 북조 조상 명문과 조상기 가운데 겨우 서너 건만 발견된다. 반면 30건 정도 현존하는 남조 조상 명문에서는 6건의 사례를 찾을 수 있다. 게다가 문헌기록으로 전하는 남조의 發願文과 懺悔文등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봉위``가 남조에서 유행하던 자구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을 만든 공덕으로 인한 발원을 하면서 ``乘``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북조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데 비해 남조에서는 조상의 명문과 발원문 등에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갑인명 금동 광배는 조형적 특징 이외에 명문에서도 중국 남조의 영향이 농후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日本法隆寺獻納寶物第196號金銅背光,現藏於東京博物館,在背光的背面上刻著"甲寅年(推定爲公元594年) 三月卄六日,弟子王延孫,奉爲現在父母,敬造金銅釋迦像一軀。願父母乘此功德,現身安穩, 生生世世不經三塗遠離八難,速生淨土見佛聞法"等59字。因此, 將타泛稱爲"甲寅銘背光"。由於在造型方面上,타受到中國南朝的影響,而且銘文上沒有出現年號等的原因,一般被認爲是在南朝的影響下百濟制作。饒有興趣的是,除了造型上的諸特點之外,從甲寅銘背光之銘文本身上可以看到南朝的影響。在銘文的形式和內容上,타흔好地反映著中國南北朝時期造像記的特征,却不出現南朝和北朝之地區性差別。但從銘文上之諸字句,可以發現타反映了南朝和北朝使用字句上的差異。因此本文選擇銘文上的一些字句,如"奉爲" "乘" "金銅" "佛" 等在三國時期造像記中無出現,通過與南北朝時期,隋唐時期的造像記和發願文等作比較分析,梳理甲寅銘背光銘文上的特征。幷歸納出타所反映的南朝的影響。甲寅銘背光銘文之最大特點爲,使用"奉爲" "乘" 等,타們在三國時期諸造像記當中無出現,還在中國北朝內不流行,但却在南朝特別愛用。北朝現存1800餘件的造像記中用"奉爲"的例子只有三、四件。反而在南朝現存30件造像銘文中用"奉爲"的已達到六件,可知在南朝尤其四川地區較爲流行。而且還在現存南朝的發願文和懺悔文中"奉爲"頻繁地出現,타們的作者大部分爲在建康所住的王公和高官文人,因此可知"奉爲"在南朝領域內廣泛地使用。在造像記和發願文中,爲了發願用"乘"的例子也與"奉爲"同樣, 在北朝幾乎沒能發現其例子,但在南朝造像記和發願文中發現其用例,可推定用"乘"的寫法也是南朝文章之特點。總之,除了背光之造型方面之外,甲寅銘背光還在銘文上也反映了中國南朝的影響。

      • KCI등재후보

        法隆寺獻納寶物 甲寅銘金銅光背 銘文 연구

        소현숙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1 No.44

        일본 東京博物館 소장의 法隆寺獻納寶物 196호 금동 광배는 광배 뒤에 ‘갑인년(594년 추정)에 王延孫이 현재 부모를 위해 제작한다’는 명문이 있어 이른바 ‘甲寅銘 光背’로 불린다. 이 광배는 조형적으로 남조의 영향이 농후한 점, 명문에 年號가 사용되지 않은 점 등으로 보아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갑인명 광배는 조형적 특징 이외에 명문에서도 남조의 영향을 강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광배의 명문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중국 남북조시대의 일반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 남조와 북조의 지역적 차이는 출현하지 않는다. 그러나 명문에 사용된 몇 개의 특징적인 자구를 분석해보면 남조와 북조의 지역적 차이가 아주 분명하게 반영되어 있다. 본고는 삼국시대 다른 조상 명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이 광배 명문에서만 나타나는 ‘奉爲’ ‘乘’ ‘金銅’ ‘仏’ 등을 중국 남북조시대와 수대 및 7세기 당대 조상기 및 발원문 등과 비교 분석하여 갑인명 광배 명문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갑인명 광배 명문의 가장 큰 특징은 ‘奉爲’와 ‘乘’의 사례에서 보이는, 남조에서 유행한 언어의 사용이다. 발원 대상을 언급할 때 쓰인 ‘봉위’는 1800건에 이르는 북조 조상 명문과 조상기 가운데 겨우 서너 건만 발견된다. 반면 30건 정도 현존하는 남조 조상 명문에서는 6건의 사례를 찾을 수 있다. 게다가 문헌기록으로 전하는 남조의 發願文과 懺悔文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봉위’가 남조에서 유행하던 자구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을 만든 공덕으로 인한 발원을 하면서 ‘乘’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북조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데 비해 남조에서는 조상의 명문과 발원문 등에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갑인명 금동 광배는 조형적 특징 이외에 명문에서도 중국 남조의 영향이 농후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法隆寺 獻納寶物 甲寅銘金銅光背 硏究

        蘇鉉淑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法隆寺 獻納寶物 196호 금동광배는 광배 뒤에 “갑인년(594년 추정)에 王延孫이 현재 부모를 위해 제작한다”는 명문이 있어 이른바 ‘甲寅銘光背’로 불리는데, 일본 法隆寺 금당 삼존불 광배의 원류로 인식되어 일찍부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광배의 연원과 제작국에 대해서 대체로 북조 영향을 받은 고구려 제작설과 남조 영향을 받은 백제 제작설로 양분되어 있었으며, 고구려 계통의 제작으로 보는 게 일반적인 흐름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갑인명광배에 표현된 단층탑과 천인을 6세기 중국 조상의 그것들과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현존하는 삼국시대 단층탑을 고찰함으로써 이 광배가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백제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갑인명광배에 표현된 방형 단층탑의 특징은 ‘평지붕’이라는 지붕의 형태, 세 개의 찰이 나란히 수직으로 선 ‘병렬형 多刹’, 그리고 찰이 塔身보다 더 길게 강조되는 점 등 세 가지다. 중국 남북조시대에는 단층탑 표현이 매우 유행하여 조상의 광배, 석굴사원의 벽면 등에 다수 출현하는데, 상술한 특징이 공통적으로, 그리고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남조 梁나라 조상에서다. 현존하는 양대 조상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형식의 탑은 7건 정도 알려졌으며, 반면 북조에는 백여 건에 이르는 단층탑 표현에도 불구하고 평지붕에 병렬형 다찰을 가진 예는 두세 건에 불과하다. 게다가 북조의 대다수 조상들은 광배에 표현된 천인의 지물 및 배치 등에서 갑인명광배와의 친연성이 거의 없다. 갑인명광배 탑 좌우에는 빼곡히 천인들이 배치되었는데, 광배의 연원과 관련해 주목할 만한 것은 깃털형 지물을 든 천인이다. 동일한 형태의 물건을 든 천인은 북조 조상에서는 극소수에 불과하나 남조에서는 다수 출현한다. 이 물건은 남조 궁중에서 歌舞樂을 행할 때 들었던 것으로 추정되어 기악천의 배치 또한 실제 행하던 가무악에 맞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인지 깃털형 물건을 든 천인이 나타나는 남조 조상의 천인 배치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지물을 든 천인이 앞쪽에 서서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들을 이끄는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형태는 바로 갑인명광배 천인의 배치순서이기도 하다. 이처럼 갑인명광배의 장엄의장은 탑의 형태, 천인의 지물, 그리고 천인의 배치 등에서 모두 북조 조상과는 친연성이 없으며, 남조 조상과 매우 유사하여 남조의 직접적 영향 아래 제작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삼국시대에 갑인명광배와 동일한 형태의 보탑이 출현하는 것은 백제지역이 유일하다. 부여 규암면 신리에서 출토된 6세기의 소형 단층탑 청동파편은 평지붕, 병렬형 다찰, 탑신보다 강조된 찰의 표현 등에서 갑인명광배와 일치한다. 게다가 7세기 중엽 충남 연기군 지역의 백제 유민이 만든 백제계 조상에서도 탑의 형태, 천인의 지물과 배치가 갑인명광배와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갑인명광배는 梁과 문화교류가 활발했던 백제에서 제작되었음이 거의 확실하다.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점은 백제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일본에 현존하는 7세기의 소형 단층탑 모두 남조 및 백제 단층탑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백제에서 제작된 갑인명광배는 남조→백제→일본으로 이어지는 고대 동아시아 문화교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로서도 커다란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中國南朝都城과 百濟

        하운고(He Yun Ao)(賀云翺)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0 馬韓, 百濟文化 Vol.19 No.-

        백제와 중국에 있어 가장 왕래가 왕성한 시기의 하나인 梁代시기는 백제의 한성기 후기에서 시작하여 웅진시 기와 사비시기의 초중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백제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중개역할을 하였던 지리 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당시 동아시아지역의 서로 다른 국가의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는 백제 도성문화로써 특수한 의의와 위치가 존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특히 궁성유적에 있어 익산 왕궁성 유적은 현재 유일한 백제 도성왕궁의 자료로, 백제 도성이 발전하던 최고수준에서 출현된 것으로 백제도성 건설의 훌륭 한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익산 왕궁성 건축의 완성이 무왕시기이지만, 이 시기는 남조의 가장 마지막 왕조가 수나라에 의해 이미 멸망 한 후이다. 그러나 익산 왕궁리의 설계는 오히려 남조도성의 건강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남조의 태성(台城) 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왕궁성의 평지는 남북으로 된 장방형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고 있는 정치영역, 생 활영역, 궁원(宮苑)영역 등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남조 태성(台城)기능의 공간적 구조를 모방한 것으로 이는 남조의 태성궁(台城宮)의 금원(禁苑)인 화림원(華林園)의 방법과 일치한다. 또한 익산 왕궁성에서는 대관사(大官寺)건축 유적지가 발굴되었는데, 이 사찰은 아마도 백제 무왕과 왕비의 능묘에 사용된 능사(겓寺) 로 추정된다. 이러한 능(陵)과 사(寺)가 한 곳에 모여 있는 능사합일(陵寺合一) 제도는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우리는 익산 왕궁성과 불사유적에서 두 가지의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익산 왕궁성은 백제 도성의 핵심 건축군 즉, 궁 건축의 최상의 작품이며, 동아시아지역의 다른 문명과 교류 융화하면서 특히 백제의 변혁기에 창조된 문화의 결정체이다. 그 구조를 보면 전반적으로 보존과 재현이 잘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은 백제 한성기와 웅진기, 사비시기 도성과 중국 남조도성 건강(建康)도성 유적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매우 독특하고 귀중한 가치가 있다. 둘째. 동아시아 3-7세기의 제왕의 능묘와 불교 사찰이 결합된 능사합일(陵寺合一) 제도의 전형적인 표본이 며, 불교가 중국 남북조시기에 완성되면서 다시 한국 백제왕조에 전해지면서 더 진보된 발전을 가져 왔다. 비록 중국문헌에 남조 양대에도 겓寺合一 제도를 기록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아직 실제 사례가 발굴된 바가 없다. 한국 익산의 陵寺合一 제도의 범례가 발굴됨에 따라 그 가치는 매우 크다 하겠다. The age of Liang Dynasty , a period when transactions were most bustling between Baekje Kingdom and China, is thought to correspond to the one that started from the latter era of Hanseong ranging to the beginning or middle part of Ungjin and Sabi time. Baekje Kingdom, particularly, was placed in a geographically favorable location as a mediator for China and Japan, performing thus an additional role as a bridge between other countries in the then East Asian region, a fact evidencing that the kingdom featured a special significance as well as a position with its culture of castle walls. The relics of Wanggung Castle excavated in Iksan are, among others, the only proof as of today to reveal information about the royal palace in the castle wall of Baekje Kingdom, demonstrating the peak level of technology and wisdom employed for building the castle walls during the kingdom era. The construction of Wanggung Castle in Iksan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 equivalent to the period when the last regime of the South Dynasty was already destroyed by Sui (隋). The plan of Wanggung-ri, Iksan was, however, influenced rather more by the Jiankang Palace (健康宮) of the South Dynasty s castle walls and may therefore be better called as Taicheng (台城) or outer wall of the South Dynasty. The plain land of Wanggung Castle, shaped in rectangle that stretches from south to north, was divided into the quarters for politics, living and palace garden (宮苑) from south toward north. This structure is a mimic of spatial make-up of Taicheng , South Dynasty, equivalent to the way Hualinyuan (華林園), forbidden garden (禁苑) of Taicheng Palace (台城宮), was constructed. From the site of Wanggung Castle in Iksan, the relics of building of Daegwan Temple (大官寺) was unearthed, a fact leading to assumption that the temple was likely to have functioned as such for royal tombs of King Mu and his queen of Baekje Kingdom. This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is believed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South Dynasty. Two important significances could be detected from the relics of the Wanggung Castle and the Buddhist temple in Iksan as follows: First, the Wanggung Castle of Iksan was a masterpiece of palace found among the key structures of castle wall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era. It could be said to be a product of culture create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revolution in Baekje following the transactions and fusion with other civilizations in East Asian region. Their structure has been generally well preserved and reproduced, extremely unique and valuable features which could hardly be found either in the relics of castle walls during the eras of Hanseong, Ungjin and Sabi in Baekje Kingdom or in the remains of Jiankang Castle of the South Dynasty, China. Second, it is a typical example for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that united tombs of emperors and Buddhist temples in the East Asia in the 3-7th centuries and has made further progress in line with flourishing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in China as well as its transfer to Baekje Kingdom in Korea. Although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was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in China, no excavation has been actually performed in this regard so far. This is why it is so significant that a type of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was unearthed in Iksan, Korea.

      • KCI등재

        남조 관음보살상에 대한 연구 – 수인과 지물을 중심으로

        양은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본고는 새로이 발견된 남조 관음보살상들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함으로 인해 기존의 학설과 논쟁점에 대한 再考의 필요성이 제기됨으로 인해 작성하게 되었다. 필자는 우선 명문과 도상을 기준으로 하여 남조 관음보살상을 분류한 결과 시무외인 관음보살상, 양류관음보살상, 봉보주관음보살상으로 구분되었다. 자료의 제한성으로 인해, 연구대상면에서 앞의 두 관음상은 본존상이며, 봉보주상은 협시상이라는 점을 미리 밝혀 두었다. 시무외ᆞ여원인 관음보살상은 여원인의 다양한 손모양으로 인해 그 명칭을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으로 수정하였다. 이 보살상은 남경일대의 소금동상에서 많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양식은 서로 유사하였다. 남경 소금동상의 특징과 북조, 우리나라 삼국 시대 소금동상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번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삼국시대 관음상의 도상은 양류, 봉보주 이외에 시무외인이 존재한다는 것과 양식적으로 시무외인은 양류, 봉보주보다 좀더 시기가 이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적 근거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과 『청관세음소복독해다라니경』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필자는 기존의 학설과는 달리 시무외인 관음보살상의 소의경전은 존재하며, 이 수인은 관음상의 개별적이고 독자 적인도상중하나로볼수있는것으로보았다.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은 버드나무가지ᆞ정병 이외에 버드나무가지ᆞ작은 항아리를 지물로 잡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간적으로는 버드나무ᆞ작은 항아리의 지물이 버드나무가지ᆞ정병보다 이르다고 추정하였다. 그리고 작은 항아리, 정병 등의 지물은 소의경전인 『청관음경』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경전에서 언급한 깨끗한 물을 조각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담은 작은 항아리 혹은 정병으로 변화 시켜 나타낸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 가지 주목할 내용은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에는 화불, 영락, 정토도, 관세음구제도 등의 도상과 내용이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법화경』, 『관무량수경』에서 그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남조 양류관음보살상은 당시 남조사회에서 유행한 관음과 관련된 경전들 속에서 그 상징물을 뽑은 후 이들을 복합적으로 모아 하나의 관음상에 표현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기존 학계에서는 남조 관음보살상과 『법화경』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번의 고찰을 통해 『법화경』 이외에 『청관음경』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 경전은 백제에도 전래되었으며 일본에 현존하는 불상을 통해 봉보주보살상과의 관련성을 지적하였다. 지금까지 보살상이 두 손을 위아래로 하여 보주를 감싼 도상은 그 기원처, 지물의 종류, 존상명 등 뜨거운 논쟁점이 되어 왔다. 비록 남조 관음보살상의 신자료는 첨가되었지만 봉보주의 원류는 여전히 남조로 비정되었다. 또한 현존하는 남조 봉보주보살상은 모두 협시보살상이라는 자료의 특수성으로 인해, 그 존명을 관음보살상으로 일률적으로 보기는 힘든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백제 봉보주보살상의 존상명에 대해서는 차후 신자료의 보충을 통해,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남조 보살상은 다양한 형태의 둥근 지물을 두 손으로 잡고 있었지만 백제에서는 크고 둥근 보주로 변화하였거나 혹은 취사선택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필자는 이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view of the need to reconsider existing theories and controversial points upon the inclusion of the newly fou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 dynasties. This paper classifie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based on their appearance and the letters inscrib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 dynasties abhaya mudra (a hand gesture signifying the act of relieving people of their fears, worries and hardships), and hold a willow twig and a rod of magic beads in the hands. Though the relevant materials are scarce, the first two were statues of the main Buddha, while the third was a statue of the attendant Buddha. Statues that were once thought to b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making the aforementioned abhaya mudra or the vara mudra were corrected as statues making the abhaya mudra based on their appearance. Many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the abhaya mudra were identified among the miniature gilt-bronze statues found in Nanjing. They look similar to each other. Such is also the case with their counterparts dating from the Nothern dynasties. Based on the observations made at this time, it is conjectured th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a willow twig or a rod of magic beads in their hands and forming the abhaya mudra; and that those forming the abhaya mudra were made before those with a willow twig or arod of magic bead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basis for the depiction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the abhaya mudra is the Cheonggwanseeumsobokdokhae Dharani Sutra, Lotus Sutra Chapter 25. Thus, it is thought that, contrary to the theory held by researchers, the main text of Buddhist Schools abou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the abhaya mudra did exist, and that this hand gesture is a unique featur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It has also been ascertained tha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 dynasties a willow twig, a kundika bottle, and a small jug in some cases. It is assumed that those holding a willow twig and a small jug were made before those with a willow twig and a kundika bottle. The basis for the inclusion of a small jug or a kundika bottle in the hand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as found in the Cheonggwaneumgyeong Sutra, the main text of Buddhist schools. A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portray the pure water stated in the scripture in a sculpture, it is possible that the craftsmen used a small jug or a kundika bottle to symbolize it . One noteworthy thing is th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willow twig dating from the Southern metamorphosed Buddha, hanging accessories, Pure Land, and an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a savior. It is thought that the Lotus Sutra and Gwan Muryangsugyeong Sutra indicate a connection between them. It is possible that the sai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willow twig were the result of an attempt to portray the symbols contained in Kuanyin-related scriptures prevalent in that society. Researchers have long held the view that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 the Lotus Sutra, but this study shows that the Cheonggwaneum Sutra also influenced those statues. This scripture was also introduced to the Baekje Dynasty. Buddha statues in Japan indicate a connection with bodhisattva statues holding a rod of magic beads. The images of bodhisattva statues holding magic beads in their hands have been the subject of heated controversy concerning their origin, the types of objects held in their hands, and their name. New materials have been found concerning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 rod of magic beads held by bodhisattva statues originated from the the Southern dynasties. It is hard to say whether such bodhisattva statue...

      • KCI등재

        5~6세기 백제의 남조(南朝) 중심 외교정책과 그 의미

        정재윤 ( Jae Yun Chu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백제의 대중국 외교 정책의 전개와 의미를 밝혀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대순으로 그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백제의 南朝 중심 외교정책의 의미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백제는 372년 처음으로 동진과 교류한 이후 남조 중심의 외교 정책을 펴나갔다. 이는 정통성 있는 남조로부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인정받은 효과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백제의 성장에 필요한 선진문물과 제도를 수입하려는 목적이 강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구려의 군사적 압박이 강해지자 北魏에 조공을 함으로써 군사적 현안을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실패로 돌아가고 이후 南齊가 들어서자 內屬을 자처하는 등 남조 위주의 정책을 분명히 하였다. 양나라 때는 백제와 남조와의 관계가 가장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백제는 양의 발달된 문화를 전수받아 이를 신라·가야·왜에 전파해주면서 이들을 백제 편에 서게 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다. 반면 양은 백제를 통해 주변 국가들을 끌어들여 북위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두 나라의 특수한 관계는 동아시아 공유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지만 양의 몰락으로 백제는 대외정책의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다. 남조의 陳과 북조의 北齊에 동시에 조공하는 등거리 외교로 전환한 것이다. 이는 점차 북중국의 힘이 강대해지면서 고구려·신라의 군사적 압박에서 벗어나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백제의 대중국 외교는 백제가 그 시점에서 무엇이 더 필요한가 하는 현실론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evelopments and the significance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which was at the center of Beakje`s foreign policy. At first it reviews the process of Baekje`s diplomatic policies with China, then examines the meaning of the policy, in which the relations with Southern Dynasties was the most important. Since the time when Baekje established the first contact with Eastern Jin in 372, its diplomatic policy concentrated on Southern Dynasties. The policy aimed not only at the intentions of Baekje to make these countries recognize the legitimacy of its royal succession, but also at the import of the high culture and institutions of Southern Dynasties. Sometimes Baekje took military issues into consideration by paying tribute to Northern Wei with the increasing military pressure of Goguryeo. However, as it failed and Southern Qi came into existence, it became evident that Southern Dynasties played a major role in Baekje`s diplomatic policies. Under Liang Dynasty the friendship between two countries reached the height. Baekje rolled back Goguryeo by sending the high culthe imported h to Silla, Kaya and Wa, which stood by Baekje`s side, while Liang could have the advantage over Northern Qui by keeping the good relationships with Baekje and its allies. After the fall of Liang Baekje had to change to an equidistance diplomacy between Chen of Southern Dynasties and Northern Qui of Northern Dynasties. It was necessary for Baekje to liberate from the military pressure of Goguryeo and Silla in the face of the increasingly powerful Northern Dynasties. Baekje`s diplomacy with China resulted from the primacy of the real politics, with which it was confronted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