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과 북한, 통일의 문화적 조건

        박신의(Park Shin-eui)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남북 통일의 문화적 조건을 논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동질성을 단순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둘 필요가 있다. 차이 자체가 갈등의 요인일 수 있지만, 그 자체의 존중과 이해를 통해 훨씬 새로운 차원의 문화적 자원을 얻어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남북문화의 차이는 단순한 갈등의 관계로만 연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북측의 차이가 남측의 예술언어와 문화적 표현방식에 신선한 자극과 상상력, 창의적인 발상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점에서 남북문화교류의 접근을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로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로 분단으로 인해 야기된 상호 적대적이며 대결적인 분단체제를 해체하고 온존한 상호이해 기반 체제를 이루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한 사회 내부에 여전한 냉전문화라든가, 반쪽의 역사를 통해 훼손된 전통과 언어, 그리고 각종 자본주의적 이윤추구에 의해 상업화된 우리의 민속문화와 문화적 아노미 현상 등을 성찰하게 되는 계기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동시에 남북문화교류를 자국의 구도가 아니라,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세계화 현상은 상호 체제의 이질성으로 인한 문화적 단절감을 새로운 형태로 진전시키게 된다. 가장 비근한 현실은 곧 북한에 불기 시작한 한류의 영향이다. 그 영향력이 매우 크게 드러나자, 북한은 남한 대중문화에 대한 경계심을 더욱 높게 가질 수밖에 없게 되면서 상호교류에 대해 일정하게 장애요소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개혁과 개방이라는 과제는 세계화 현상 속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긴급한 요구로 다가오게 된다. 그런 점에서 세계화와 통일의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요구된다. 개혁과 개방에 의한 남북문화교류는 북한 문화시장에 대한 개방을 의미한다. 이 시장은 남한이 독점할 수 없는 개방된 시장일 것이며, 북한 문화시장을 두고 남한을 비롯하여 중국과 미국, 일본의 대중문화가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문화시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절한 문화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지원체제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남북문화교류와 이를 통한 사회통합이라는 과제는 다시 동북아 문화공동체라는 구도를 갖게 된다. 결국 남북 통일문화는 곧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미래적 제언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세계화 기존에 걸맞는 사고와 행동, 다양성 존중, 공존상생하려는 생명존중과 평화 및 국제협력에 대한 존경을 실현하기 위해 편협한 민족주의 또는 국수주의를 과감히 벗어버리는 일이 될 것이다. 또한 남북문화공동체 형성은 남북의 통일을 위한 과정이면서 동시에 한민족의 정체성을 고리로 한 한민족 문화네트워크의 재구축 과정과 병행될 때 세계적 구도가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일을 위한 문화교류의 새로운 구도를 놓고 이를 실행할 여건을 형성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기본적으로 교류 사업을 동질성에 대한 막연한 가정을 두고 결과물 중심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예술 창작과 향유, 교육 전반에 걸친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서 교류대상을 창작물 형성 과정에 대한 것으로 전환하는 것도 한 빙안이라 본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교류 협력사업이 수월해치야 하는 요구에 따라, 남북문화교류 채널의 제도화와 이와 관련한 법제도 기반 조성을 여건 형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겨레말큰사전』 사업을 통한 언어공동체 형성 작업은 앞서 제안한 구도를 실현할 수 있는 본격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단순 동질성의 회복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로의 방향에 대한 실천이라는 것이다. To discuss the cultural condition of the unification of North-South Korea, we need to approach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re-creation' of new identity not 'restoration' of past identity. The difference itself can be a factor of conflict, but it also can be seen as a new level of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respect and understanding of this difference. In fact, the cultur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oesn't always indicate the feud. Rather, the North Korean culture provides fresh new vivacity and imagination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to South Korean cultural expressions and artistic languages. In this sense, the approach to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Koreas need to be considered as a means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is approach, in fact, is the process to dismantle the hostile and competitive atmosphere to each other caused by the political division and eventually to establish mutual understanding based system. And also this means, for examp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rsisting cold war era attitude in South Korea, the damaged traditional and language by the half split history, commercialized folk culture by the capitalistic interests, and present cultural anomie phenomenon, etc. Meanwhile, we need to redefin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in more wide spectrum of globalization, not in the local and self-centered perspectives. The globalization, above all, leads to a sense of alienation derived from newly faced heterogeneous cultures and political systems. The easiest example is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alled 'Hallyu'. When this Korean Wave appears to be so powerful, North Korean government became even more alert to the South Korean pop culture, and it effects negatively to an extent in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But the reformation and openness to the world of North Korea in the midst of imposing globalization will grow more urgent and concrete. In this sense, we need to have a stereoscopic spectrum to view the globalization and unification issu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led by North Korea's social reformation and openness policy means the openness to the North Korean cultural market. This market is an open market which South Korea cannot hold monopoly, and China, United States, and Japan will be fighting over for North Korean culture market.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on North Korean culture market and the necessary support system to provide the right cultural product based on these studies will be also required. Also the challenge to build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and the social unification enabled by this exchange, will be once again structured in the frame of North-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To establish a unified culture of North and South is after all the futuristic proposal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North-east Asia. To be equipped with the mind and action corresponding to global standards, the respect for diversity, the respect for life for co-existence, and again the respect for the peac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need to discard the narrow mind set of nationalism. Also building the North-South Korean cultural community is a step towards the unific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mposition will be possible when it's accompanied simultaneously by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Korean cultural network anchored in Korean identity.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satisfy necessary conditions in relations with the newly proposed composition of cultural exchange which fundamentally directs the unification. As a method, the cultural exchange needs to be propelled based 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artistic creation and its enjoyment and education. Also the goal of exchange needs to be shifted from the final product which is made based on uncertain hypothesis of Korean homogeneity to the creation process itself. Following the increasing demands to ease the exchange and coope

      • KCI등재

        공연예술을 통한 남북한 문화교류 방안

        김수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남북한 공연예술의 특징 및 교류 현황을 살펴보고 지속적인 교류가 가능한 다양한 협력 방 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판문점 회담을 기점으로 형성된 한반도의 평화 국면은 2019년 북측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급속하게 냉각되었다. 그리고 그 여파로 남북한 교류협력 사업은 전면 중 단되었다. 역사적으로 남과 북은 한반도 긴장 해소를 위한 국면 전환이 필요할 때 문화교류를 활용하였 다. 근래에 조성되었던 평화 국면 역시 2017년 우리 정부의 베를린 구상에 북측이 화답하고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선수단 공동입장 및 합동 공연 등 문화적 교류 형태로 가시화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전개된 긴장 국면에서 새로운 문화예술 교류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모색되는 문화예술 교류의 형 태 및 방법은 과거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과거 문화예술 교 류는 첫째, 대부분이 남쪽 주도로 이루어 졌으며 둘째, 일회성 이벤트 위주로 진행되었고 셋째, 정치적 상황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었다는 것을 한계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토대로 남북이 상호 동 등한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진행가능하며 정치적 영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예술 교류의 가능성 을 탐색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문화예술 중 연극, 가극 등 스토리텔링과 연기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공연을 그 대상으로 삼는다. 공연예술 분야는 남북 중 어느 한 쪽이 비교 우위를 점한다고 볼 수 없기에 상호 동등한 입장에서 교류 협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전문 예술가를 중심으로 예술 작품 및 단체 간의 교류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를 통해 남 북 공연 예술 교류 방안을 모색하고 그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극 중심의 공연예술 교류 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목적은 공연예술 교류를 통해 상호 이질성을 수용하고, 다양한 사회문화교류협력 의 대안을 모색하며, 교류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 개발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rts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propose various cooperative measures to enable continuous interchanges. The peace phase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began with the Panmunjom talks in 2018, cooled rapidly after the North's recent bombing of the South-North Joint Liaison Office. In the aftermath of the event, all cultural exchange programs were completely suspended. Historically, South and North Korea have eased the tensions by exchanging arts and culture when they need to. The alleviated tenion created recently had also settl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including the North's response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Berlin initiative in 2017 and the joint entrance of the inter-Korean athletes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joint performances. These examples show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played a vital role in inter-Korean relations.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o seek new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in the middle of the harsh situation South and North Korea have faced now. The newly sought form and method of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should b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ast and ensure sustainability. The newly sought form and method of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should b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ast and ensure sustainability. In the past, most of cultural and artistic interchanges were conducted as one-off events led by the South, and it was easily swayed by a political situation. Based on this perception of reality,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and develop the ways to trade culture and arts, which can continue to be carried out on an equal footing between the two Koreas and are relatively free from political influence. In this study, we will also find the ways to produce works together and cross-produce repertoires by a meeting of South and North Korean performing artists and examine the feasibility.

      • KCI등재

        남북방송교류의 헌법적 의의와 과제

        김현귀 (사)한국언론법학회 2018 언론과 법 Vol.17 No.3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June 15 declaration, we briefly exchanged broadcas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which had been suspended by the Panmunjom Declaration in 2018, seems to be revitalized now. However, the situation of broadcasting enviro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also changed a lot. It is time to set a new direction based on past experienc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inter-Korean exchanges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The subjects of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the people who constitute the broadcasting system in the South and North respectively. Inter-Korean exchanges are originally by the people, nor by the state. On the other hand,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re carried out under special leg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lan of unification to the national community assumes that the people of the north and south will be integrated into the social community called ‘the national community’ before the unified nation-stat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national task of peaceful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Korean Agreement,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is part of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Broadcasting is a medium of popular culture. Broadcasting can integrate the inhabitants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to the mass, or share cultural interests. So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ly integrating to a nation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should be formed autonomously in the broadcasting system that will lead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The constitution already guarantees the autonomy in th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 by guaranteeing the principle of culture-state and freedom of broadcasting. For the national task of peaceful unification, the work of the state and the law is to guarantee and appropriately support autonomous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However, the specificity of inter-Korean relations, which is the status of blackout, limits its autonomy. This is also a national task to be overcome for peaceful unification. I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tasks, so that this abnormal situation will be overcome in the future. 6ㆍ15 선언을 전후한 시기, 짧게나마 우리는 남북방송교류를 한 적이 있다. 2018년 판문점선언으로 그동안 중단되었던 남북방송교류는 이제 다시 활성화될 듯하다. 그러나 그사이 방송환경도 북한의 상황도 많이 달라졌다. 이젠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때이다. 남북방송교류는 방송분야에서의 남북교류이다. 남북방송교류의 주체는 남북에서 각각 방송체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이다. 남북교류에서 그 주체는 원래 주민이지 국가가 아니다. 한편 남북방송교류는 법적으로 특수하고 잠정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통일국가이전에 남과 북의 주민들이 민족공동체라는 이름의 사회공동체로 통합될 것을 상정한다. 남북방송교류는 평화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남북합의서에 따르면, 남북방송교류는 사회문화교류의 일환이다. 방송은 대중문화의 매체이다. 방송은 남과 북의 주민을 대중이라는 집단으로 통합할 수도 있고, 문화적 기호를 공유하게도 할 수 있다. 그래서 남북방송교류는 민족공동체를 문화적으로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한편 그 내용은 남북방송교류를 주도하는 방송체계에서 자율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미 헌법은 문화국가원리와 방송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남북방송교류에 있어서도 그 자율성을 보장한다. 평화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위하여 국가와 법이 할 일은 자율적인 남북방송교류를 보장하고 적절히 지원하는 것이다. 다만 정전상황이라는 남북관계의 특수성이 그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다. 이것도 평화통일을 위해 극복해야 할 국가적 과제이다. 앞으로 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극복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남북방송교류의 발전방향과 정책적인 실천과제를 제시해 본다.

      • KCI등재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위한 교류협력방안 연구

        송민선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0 No.2

        ‘Arirang folk song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as inscribed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14 and ‘Tradition of kimchi-making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llowed in 2015. It is presumed that North Korea was influenced the Republic of Korea inscribing ‘Arirang, lyrical folk song in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list in 2012 as well as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3. These cases show the necessity (or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UNESCO ICH lis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cultural integra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review UNESCO’s ICH policy and examine the ways of cooperation and joint nominations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etween the two Koreas. First, review the amendments to the laws and regulations of the two Koreas and how the two countries applied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cultural exchange is non-political field, given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is influenced by politics. Therefore, we devised a stepwise development plan, divided into four phases: infrastructure development, cooperation and promotion, diversification, and policymaking and alternative development. First a target group will be needed. In this regard, joint nominations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ill be suitable for cooperation. Both countries have already started separate nominations on shared ICH elements to the UNESCO lists. Therefore, I have selected a few elements as examples that can be considered for joint nominations. The selected items are makgeolli (traditional liquor), jang (traditional soybean sauce), gayangju (homebrewed liquor), gudeu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and jasu (traditional embroidery). Cooperation should start with sharing information on ICH elements. A pilot project for joint nomination can be implemented and then a mid-term plan can be established for future implementation. When shared ICH elements are inscribed on UNESCO ICH lists, various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s follow-ups, such as institution visit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joint monitor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tual cooperation of the two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a unique example between the divided countries, so its value will be recognized as a symbol of cultural cooperation. In addition, it will be a foundation for cultur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and it will show the value of our unique ICH to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will become a good example for joint nominations to the Representative List recommended by UNESCO 북한은 ‘조선민요 아리랑(2014년)’과 ‘김치담그기 풍습(2015년)’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하였다. 아마도 남한이 먼저 등재한 ‘아리랑(2012년)’과 ‘김장문화(2013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이로 인해 남북한 공유의 무형문화유산이 별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말았다. ‘아리랑’과 ‘김장문화’의 사례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통한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 글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정책 검토를 기반으로 남북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교류협력 방안과 공동등재 방안을 고찰하여 남북한 문화통합의 단초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협약 체제 적용을 위한 남북한의 법규 개정 내용을 살펴보고, 남북한 간 문화유산 교류협력 사례를 분석하여 실질적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남북한 무형문화유산 교류 협력은 비록 비정치적인 분야이긴 하나 정세변화와 무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단계적 전개 방법을 설계해 보고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기반 조성단계→교류협력 추진 단계→사업 다각화 모색 단계→정책 및 대안 모색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세부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남북한이 상호 협력할 경우 일차적으로 실행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전략적 제안을 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는 적합한 협력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미 공유 무형문화유산이 남북한 별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된 만큼 공동등재를 위한 노력은 필수적이다. 그래서 남북한 모두 국가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공동등재 대상으로는 선정하였다. 막걸리, 장, 가양주, 구들, 전통자수가 그것이다. 남북한 공동등재를 위한 노력은 공유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정보 교류부터 시작한다. 공유된 정보를 중심으로 공동등재를 위한 시범사업(Pilot Projet)을 추진해 본 다음, 중기 계획을 수립하여 공동등재 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한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공동등재 된 후에는 대상 무형문화유산의 상호 방문 전시와 공연, 공동 모니터링 등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남북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상호 협력은 분단된 국가 중 유일무이한 사례로, 그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음은 물론 한민족 문화의 힘을 발현할 상징으로 부각될 수 있다. 또한, 우리 고유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공동등재의 모범 사례가 되어 남북한 문화통합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통일시대 남북한 문화유산 교류와 협력

        최광식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4

        The cooperation and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a fundamental role in restoring the homogeneity of the people and enhancing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its usefulness in drawing national correspondence in case of the hostil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because of its academic and nonpolitical characteristic. Cultural heritage exchanges and cooperation are an undertaking aimed at preserving national heritages. Despite the difficulties of the consultation process, it is a necessary policy to carry out with patience and time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system that South and North Korea can cooperate and exchange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homogeneity and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regardless of political and military circumstances. This is an important task of the times for both the Inter-Korea Historian Association a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s and cooperative projects could be a stepping stone for the day of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develop the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s and cooperation regardless of the political and militaristic affili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 should seek to secure their own space. Therefore, it will be imperative to establish the “Inter-Korea Cultural Heritage Cooperation Committee” to arrange a regular meeting. In order to vitalize exchanges and cooperation, I propose to set up installation of the Inter-Korea Cultural Heritage Exchange Foundation, an exclusive organization which support the overall process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Meanwhile,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by learning the efforts West and East Germany had made to promote cultural heritage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problems they had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heritages, and the solutions they derived. For exampl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ultural Heritage Tax for protecting cultural heritages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South Korea, there is a policy of ‘one company assigned to protect one cultural asse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is policy to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for protecting and managing cultural assets. If this policy is implemented, it will help to protect the nation's cultural properties and achieve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ality, and create an atmosphere conducive to unification. 남북간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은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민족공동체 의식을 확대하는 본질적 역할과 더불어 그 자체의 비정치적이고 학술적인 성격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악화되어 있을 때도 국민적 동의를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문화유산 관련 교류와 협력은 민족 문화유산의 보존이라는 민족의 백년대계를 위한 사업이다. 협의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인내와 시간을 갖고 추진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군사적인 정세와 상관 없이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민족 공동의 문화유산을 보존한다는 대승적 견지에서 상시적으로 남북이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것은 남북역사협의회와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정부의 협력을 얻어 수행해 나가야할 시대적 과제라고 하겠다. 남북간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 사업은 통일의 그날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이 정치군사관계에 상관없이 진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남북관계에서 문화유산 교류가 스스로의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문화유산협력위원회’를 구성하여 정기적으로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 협동기구인 ‘남북문화유산교류재단’을 신설하여 교류와 협력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이미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경우에 서독과 동독이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통일 이후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배우는 것은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우리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방법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통일 이후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문화유산세’를 신설하였다는 것을 참고로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남한에서 실시하고 있는 ‘1회사 1문화재’ 보호정책을 통일 이후 북한지역에 확대하여 여러 기관과 회사들이 한 문화재를 담당하여 보호하고 관리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남한의 문화재에 대한 보호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북한의 문화재에 대한 보호에 관심을 가지면서 민족의 동질성을 확보하며, 결국 통일로 나아가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북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

        허정윤,최순종,박지영 아시아교정포럼 2021 교정담론 Vol.15 No.3

        남북 청소년교류는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청소년에게 상호문화 를 미리 경험하게 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사회통합의 기능을 하 며 장기적으로는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다. 통일 한국의 주 역이 될 남북 청소년 교류는 상호 간의 이질감을 해소하고 공유 된 체험활동을 바탕으로 이해증진과 신뢰 형성을 도모할 수 있 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남북한 청소 년 교류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이는 곧 통일 환경조성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남북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법으로 남북한 청소년 교류ㆍ협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실태 분석을 통하여 남북한 청소년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적 방안을 제언함으로써 통일 공감대 확대 및 통일 이후 사회문화적 통합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inter-Korean youth exchange will directly or indirectly function as a social integration by allowing the youth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era to experience mutual culture in advance, and will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ong run. Inter-Korean youth exchanges, which will become the protagonists of a unified Korea, are important tasks that our society and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ursue in that they can resol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omote understanding and trust-building based on shared experience activities. In response to such demands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find a multi-faceted way to revitalize inter- Korean youth exchanges, which will soo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revitalizing inter-Korean youth exchanges from a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method, which collected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on inter-Korean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s.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method, which collected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on inter-Korean youth exchanges and cooperation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to fi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talizing inter-Korean youth exchanges, and by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nsensus on unification and socio-cultural integration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남북 차(茶) 문화교류를 통한 정서적 공감 형성 연구

        곽미숙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정서적 공감 형성을 위한 교류의 장에서 차(茶)가 게임의 내기물처럼 자본으로서 역할을 하며, 경제자본이자 사회자본이며, 문화자본도 되고, 상징자본도 될 수 있다는 전제 위에서 ‘차문화교류’를 ‘남북 문화교류의 장’에 위치 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으로써 차문화를 통한 민족동질성의 회복과 정서적 공감대 형성, 그리고 남북 차문화 교류⋅협력사업에 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문헌연구와 FGI를 진행하였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공통으로 차문화가 융성했던 시기를 고려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차문화사 연구에서 동일한 근거자료의 인용과 일상의 생활문화 가운데 정서적 공감의 형성이 가능한 실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업으로써 남북 차문화 교류⋅협력을 전망할 수 있었다. 또한 남북 차문화교류라는 장이 교류의 공감장이 되기 위해서 정부와 지자체의 문화정책과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남북한 무형문화재 교류 협력 방안

        이귀영 ( Lee Gwiyo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남한과 북한의 무형문화재 개념은 대동소이하다. 남한의 무형문화재는 북한에서는 비물질유산으로 칭해진다. 남과 북은 모두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개념을 담고 있다. 남한의 무형문화재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에서 법제화되기 시작하여 2015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로 분법화되었으며 전형보존 원칙을 지향하고 있다. 북한은 201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유산보호법>에서 ‘비물질유산’을 규정하고 있으며, 2019년 「사회주의 헌법」을 개정하여 원형보존 원칙 등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남한은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로 전통공연·예술, 전통기술, 전통생활관습, 의례·의식, 전통놀이·무예, 전통지식, 구전전통 및 표현 등 7개 범주 146종을 지정하였다. 북한은 구전전통과 표현, 전통예술, 사회적관습과 례식 및 명절행사, 자연과 우주와 관련한 지식과 관습, 전통수공예 등 5개범주 112종목의 ‘국가비물질유산’을 등록하였다. 남북 무형문화유산 교류 협력 실행을 위한 기본 방향으로 ①무형유산의 전형이 보존되는 방향으로 교류 협력 진행, ②남북 상호 간 신뢰와 존중, ③무형유산의 교류 협력을 인도적 차원으로 격상, ④남북관계의 발전에 따라 단계별로 접근, ⑤남북 상호 상생하는 교류 협력, ⑥남과 북간국력 차이에 따른 남북 주도의 현실 고려, ⑦국민적 지지와 공감대 형성의 교류 협력, ⑧미래지향적 교류 협력 등의 기본 방향이 필요하다. 이를 기본 방향으로, 보다 구체적 교류 협력 실행방안으로서 ①조사 연구와 연구자의 교류, ②자료의 축적, 정보화, ③무형문화유산의 원형(전형) 탐색과 보존, ④전시, 공연과 남북 기능보유자의 교류, ⑤민관협력의 강화, ⑥국제 사회에서의 남북 공조 강화, ⑦무형유산을 위한 상시평화공간 조성, ⑧미래지향적이고 지속적인 법, 제도의 정비, ⑨교류 협력의 단계적, 지속적 추진방안 등의 추진이 필요하다. The concept of intangible properties of North Korea is almost same as that of intangible properties of South Korea, which is called immaterial heritage in North Korea. South and North Korea follows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outh Korea’s intangible properties aim for the principle of the prototype preservation, which were enacted from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of 1962 and divided to the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2015. North Korea stipulated ‘immaterial heritage’ in 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2015 and presents a direction on the principle of the original state preserv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Socialist Constitution’ in 2019. South Korea designated seven categories such as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traditional technology, traditional living practices, rituals․ceremonies, traditional plays․martial arts, traditional knowledge, and oral tradition․ expressions and about 150 items as the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North Korea registered five categories such as oral tradition․expressions, traditional arts, social practices․ceremonies․seasonal customs events, knowledge and practices regarding nature and space and traditional handcrafts and about 110 items as ‘National Immaterial Heritage’. The fundamental direction to execute the exchange collabo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outh and North Korea is needed as follows : 1) execution of the exchange collaboration to lead the preservation of prototype of intangible heritage, 2) mutual trust and respect of South and North Korea, 3) elevation to the humanitarian level for the exchange collabo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4) a gradual approach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outh and North Korea’s relations, 5) the exchange collaboration to co-exist South and North Korea mutually, 6) consideration on reality leading by South and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power difference of two nations, 7) the exchange collaboration to form a national support and a bond of sympathy, 8) the future-oriented exchange collaboration. The more concrete executing plans for the exchange collaboration based on the above is also needed as follows : 1) exchange of research and study and researchers, 2) accumulation of materials and informatization, 3) search and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state of Intangible heritage, 4) exchange of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artisans of South and North Korea, 5) reinforcement of the cooper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6) reinforcement of the coop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7) creation of everyday peaceful space for intangible heritage, 8) organization of the law and system for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promotion, 9) gradual and sustainable promotion plans of the exchange collaboration.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활용 방안(案)

        하문식(Ha Moon-Sig)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7

        Since the declaration of Panmunjom in April 2018,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expecting the activation of inter-Korean exchanges. There will be a sweeping improvement in relations in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other areas. Some of the ways to utilize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s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have been examined. The recently enacted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specifically explains the details of the provisions of the law and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is law. Since Kim Jong Un s inauguration, the emphasis on the global trend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has been related not only to international exchanges but also to inter-Korean exchanges. Specific opinions on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are divided into stages of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plan of the Korean community. During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exchange and utilization projects include regular academic conferences held by South and North Korea,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Koryo Palace, excavation of the Koguryo tomb, excavation of relics related to the Daedong River culture, and South-North joint investigation on the remains of South Korea. The steps of the inter-Korean alliance include a joint investigation of the inter-Korean Demilitarized Zone, excavation of Paleolithic sites in Pyongyang and Whanghae areas, and excavation of ruins related to the Namgang(Daedong River). 2018년 4월 남북한은 판문점선언 이후 많은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남북교류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더불어 민족문화유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면적으로 획기적인 관계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글은 이러한남북교류와 협력에 따른 민족문화유산의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북한의 매장문화재에 대한 관련 법규를 시대별로 언급하면서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에 제정된 ‘민족유산보호법’은법 조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법의 시행 규정에 대한세부내용을소개하였다. 이러한법조항의변화배경은김정은시대의민족문화 유산정책의기본방향과관계가있는것으로밝혀졌다. 김정은 체제출범후민족문화유산의 세계적 추세와 과학화를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국제교류는 물론 남북교류와도 관련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활용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의견은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따라 화해 협력 단계와 남북연합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화해 협력 단계에서는 남북한의 교류와 활용을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남북 민족문화유산 교류 협력에 대한 전담기구의 설치를 제안하였는데 전문성과 효율성의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화해 협력 단계에서의 실질적인 교류와 활용 사업은 남북한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정기 학술토론회를 비롯하여 고려 궁성 발굴조사와 보존·정비, 고구려 고분 발굴조사, 대동강문화 관련 유적의 발굴, 남한 소재 유적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 등을 대표적으로 제시하였다. 남북연합 단계는 화해 협력 단계에서 제시된 여러 사업의 지속적이고 확대 추진을 위한 수월성 문제를적극적으로검토하였다. 관련중요사업으로는궁예 도성을비롯한비무장지대남북한공동조사, 평양·황해지역구석기유적발굴조사, 남강(대동강) 유역관련유적발굴조사 등이 있다.

      • KCI등재

        남북정상회담과 사회문화교류

        이우영 통일연구원 2018 統一 政策 硏究 Vol.27 No.1

        The exchange of visits by the performing arts groups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took place in 10 years after the PyeongChang Olympic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a large-scale socio-cultural exchange project. In the inter-Korean summit, th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includi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re mentioned as the main agenda. A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settled and the Panmunjom Declaration is agre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nter-Korean summit will be activated from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with relatively little political burden. However, if there is no reflection o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in the past, the problems will be repeated and the meaning of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can be discarded. More than ever, it is more necessary to establish a road map for concrete analysis of past cases and developmental exchanges. In this context, several basic direction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socio - cultural exchang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ation-wide community by securing common elements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through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Second,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should be promoted in terms of accumulation of understanding and trust formation process. Third,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exchange of socio-cultural cultur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ourth, it should be a process of expanding democracy and establishing a peace cultur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while leading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nter-Korean society culture. Fifth, the public and the government should cooperate under the gradual and gradual direction to realize integration in all areas. 평창 올림픽 이후 개최된 남북 공연 예술단 방문은 10여 년 만에 이루어진 대규모 사회문화교류 사업으로 각광을 받았다. 그리고 남북정상회담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문화교류가 주요 과제로 다루어졌다. 북한 핵 문제가 해결되고 판문점 선언이 합의되면 정치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회 및 문화 교류를 통해 남북 정상 회담이 활성화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과거 사회문화교류에 대한 반성이 없다면 문제는 반복 될 것이며 사회문화적 교류의 의미는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사회문화교류의 사례에 대한 성찰과 앞으로의 교류의 구체적인 분석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문화 발전적인 교류를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방향이 정립하여야 한다. 첫째, 사회문화교류를 통해 남북한의 차이를 인식하여 공통의 요소를 확보하여 국가 차원의 공동체를 구축해야한다. 둘째, 이해와 신뢰 형성 과정의 축적이라는 측면에서 사회문화적 교류와 협력이 촉진되어야한다. 셋째, 남북 관계 발전과 사회문화교류가 제도화되어야한다. 넷째, 남한 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을 이끌면서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를 확대하고 평화 문화를 수립하는 과정으로 사회문화교류를 추진하여야 한다. 다섯째, 민간과 정부는 모든 분야에서 통합을 실현하기 위해 점진적인 방향으로 협력해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