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북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남북관광 인식 연구 : 강원도 DMZ관광 중심으로

        이재형(Jae Hyoung Lee)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관광이 침체되어 있는 시기에 남북관광 재개와 교류를 재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언급할 필요없이 좋은 남북관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남북간 교류는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남북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전문가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인식과 DMZ 관광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남북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분석, 요인분석 등이 수행되었다. 결과 총 110 부의 전문가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101 부의 유효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남북관광에 대해 가장 우선시 고려되는 항목은 ‘안전성 확보’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북관광은 긴장완화, 평화정착에 도움에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DMZ 관광 인식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비성과 상징성, 다음으로 자연 생태계 보존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주요 하위요인으로는 3 개의 하위요인(DMZ 역사문화/생태체험, 통일의식 고취, 모험/자극 체험)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남북관계 및 DMZ 관광개발이 활성화되고 남북관광이 재개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tends to offer basic data to contribute to restarting inter-Korean tourism and exchanges. Needless to say, Inter-Korean exchanges would be a starting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on inter-Korea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the perception on inter-Korean tourism, and DMZ tourism. Method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 analysi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to revealed the main sub-factors. Results Total 110 experts of DMZ tourism and inter-Korean tourism were selected for collecting the data, and were used the valid 101 survey data from them. By the data analyzing. The most highest perception of inter-Korean tourism was to be safety assurance, and making the relaxation of tension and establishment of peace. Second, the most highest perception of DMZ tourism were feeling of novelty, and symbolism, and ecological system of nature. Finally, The main sub-factors were yield with three factors: DMZ cultural heritages and experiences, inspiration on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adventure/sensational experience. Conclusion The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he restart of inter-Korean tourism, and increasing the concern about inter-Korean relation, and development for DMZ tourism. The limitation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ies were intentioned.

      • KCI등재후보

        관광협력 관련 남북합의서 검토 및 발전 방향

        정대진 법무부 2020 統一과 法律 Vol.0 No.44

        Tourism is a representative field of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the two Koreas. In order to revitalize tourism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guarantee this in a legal and institutional way, it will be the most reliable way to ultimately sign an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Due to the nature of tourism exchange, if there is a large number of human trafficking rather than simple material movement, and furthermore, if tourism on the Korean peninsula is realized for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jointly led by the two Koreas, comprehensive legal and institutional preparations are required for the entry and exit of foreigners as well as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In the future, the agreement on inter-Korean tourism cooperation needs to reflect the contents of the agreement on personal security, travel, and mutual travel guarantees for the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at the tourist level, which is the subject of tourism coop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greements for sustainable tourism cooperation by applying mutatis mutandis to the nature conservation laws of both sides for tourism resources, which are the objects of tourism coope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greements on the issue of coordination with the UNC, which may arise when the South and North Korea develop joint tourism resources around the Demilitarized Zone unfolded between two Koreas and UNC. Even if the tourism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s stagnant at present, if the existing systems and cases of implementation are reviewed,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re sought and prepared, the tourism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will go beyond mere activation, and it will be a cornerstone for the great development of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s well as for people around the world. 관광은 남북한 간 교류협력사업의 대표적인 분야이다. 남북한 관광교류협력을 활성화하고 이를 법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남북한 상호 간에 합의서를 체결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책이 될 것이다. 관광교류의 성격상 단순한 물자 이동이 아닌 인적 왕래가 다수 이루어지고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으로 주도하는 전 세계인을 상대로 한 한반도 관광이 실현된다면 남북한 주민만이 아닌 외국인들의 남북한 출입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법제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2000년대 이전에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와 교류협력에 관한 부속합의서를 비롯하여 2000년대 이후 체결된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한 주요 시기별 합의서 중 관광협력에 관련된 내용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활용하되 추가적으로 필요 시 남북관광에 관한 기본합의서 등을 체결하여 관광 분야의 남북협력을 촉진하는 방안도 검토가 가능하다. 향후 남북관광협력 관련 합의서는 첫째, 관광협력의 주체인 관광객 차원에서 신변보장과 통행, 남북한 주민의 상호 통행 보장에 대한 합의 내용을 반영해 둘 필요가 있다. 둘째, 관광협력의 객체인 관광자원에 대해 남북 양측의 자연보호에 관한 법률을 준용하여 지속 가능한 관광협력을 위한 합의 내용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셋째, 관광사업의 차원에서 관광사업자의 재산보장과 남북공동의 관광자원을 남북이 개발할 시 발생할 수 있는 UN사와의 협조 문제 등에 대한 합의 사항 역시 준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남북한 관광협력이 정체되어 있다 하더라도 기존의 제도와 실행 사례를 재검토하고 향후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준비해 두면 앞으로 남북한 관광사업은 단순한 활성화를 넘어 전 세계인을 상대로 한 남북의 관광사업으로 크게 발전하는 데도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남북 수변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리버노믹스’ 추진방안

        이웅규 한국관광연구학회 2021 관광연구저널 Vol.35 No.5

        본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인 임진강과 북한강 수변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리버노믹스(River-nomics)’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고착 상태에 빠져 있는 남북 간의 교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남북 공유하천인 임진강과 북한강은 남북한이 유역을 공유하고 있는데, 임진강수계에서는 북측의 4월5일댐과 황강댐 등이 건설되어 남측 임진강하류의 용수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북한강수계에서는 북한이 안변청년발전소로의 유역변경을 위해 임남댐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어서 남북한 간에는 하천의 이용을 둘러싼 갈등이 상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남북 수변관광교류 활성화를 통해 교착 상태에 있는 남북 관계를 극복하기 위해 창의적인 논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에 보다 혁신적이며 정치적이면서 생태적인 상상력 접근을 위해 수변관광교류 활성화 사업인 ‘리버노믹스’ 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정치적 해결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남북 관계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제시하였다. 결국,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남북 공동조사에 기반한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미래 하천관리 대안마련을 위한 생태적 상상력과 1차적 차원의 관리를 넘어선 남북공유하천 수변관광 추진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정부는 통일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토대를 새롭게 만들고 통일 한반도의 국토균형발전, 일자리 창출, 기후환경변화에 대응, DMZ 및 접경지역의 수변생태계 보전, 경제영토 개척 등 수변관광교류 활성화 및 남북관광교류의 지속가능한 기본 축을 구성할 다양한 남북수변관광교류정책을 결정하고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를 포함하여 차기 정부가 추진해야 할 남북수변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리버노믹스(River-nomics)’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자료수집 방법으로 기존에 본 연구자의 발표 논문과 타 연구자의 관련 연구, 단행본, 신문기사, 각종 문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반복적인 과정으로 게재된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자료 및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과정을 통해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문재인 정부 및 차기 정부의 남북수변관광교류정책을 위한 다소 추상적인 사항도 포괄하여 제시하였다. 남북 수변관광교류정책 등에 관련된 선행연구에 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리버노믹스’라는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차기 정부가 추진해야 할 남북수변관광교류정책의 당위성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리버노믹스 논의의 추진방향은 남북 수변관광교류 활성화, 접경지역 경제 활성화로 국토의 균형발전 효과 극대화, 평화문화예술의 통로 연계로 야외 프로젝트의 메카 조성, 남북 수변관광교류협력의 다각화 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리버노믹스의 골격을 이루는 전략을 남측의 임진강과 북한강 유역의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정부의 전략적 협력 관계 구축, 대북 수변관광교류협력의 심화・확대, 임진강과 북한강 유역 DMZ의 평화문화예술지대화, 남북 수변관광 경제산업 생태계의 조성 등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동·서해공동특구 해양관광 개발 방향 검토 - 전문가의견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윤인주 통일연구원 2020 統一 政策 硏究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policy measures available in the east coast joint special tourism zone and the west coast joint special economic zone, agreed between two leaders of both Koreas, reflecting new issues raised regarding inter-Korean tourism since 2018, passed more than ten years from the moment that it had ceased in 2008. Directions for developing marine and coastal tourism in the both zon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t surveys conducted in 2018 and 2019.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tourism development in both zones appeared to be similar overall, but different in details. For the east, increased interest of foreign investors in the North turned out to be the biggest opportunity, while outflow of tourism revenues was considered as a main threat. For the west, even though increased demand of eco-tourism, adventure-tourism, and cruise tourism was a main opportunity, lack of amenities and other tourism activities, inconsistency of policies, and foreseeable conflicts between industries in terms of spaces for development were considered as weaknesses and threats. In the east zone, the expansion of Mt.Geumgang tourism to the East Sea Rim tourism and overall development of local areas were expected, but several things such as tourism products, personal security, and procedural simplification would have to be addressed. While domestic private capitals and Overseas Development Aids were highly considerable, designation of a marine tourism district connecting both Koreas and support to design related tourism products are required. Priorities are on Wonsan and Goseong, which could be connected and expanded from Goseong-Sokcho, Tongcheon-Yangyang, and Wonsan-Gangneung in phases. In the west zone, necessities of inter-Korean tourism base, its expansion to the West Sea Rim tourism, and new paradigm of inter-Korean tourism cooperation were raised. Amenities, accessibility, and personal security are urgent questions in the region. Whil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and international private capitals were considered to be more applicable, inter-Korean marine tourism districts and inducement of private investment were also emphasized. Priorities are on Nampo- Pyongyang and the Han River estuary-Gaesong, where individual tourism could be realized in terms of cruise, MICE, and industrial tourism, etc. 이 연구는 2008년 남북관광 중단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2018년 이후 한반도 정세 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제기되는 남북관광 이슈를 반영하여 남북한 정상이 합의한 동·서해공동특구 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모색하고자 한다. 주된 연구방법은 2018년과 2019년에 수행된 전문가의견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을 토대로 동·서해공동특구의 해양관광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 동·서해 관광개발 여건은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소가 비슷하지만 정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동해는 북한에 대한 외국인 투자 관심 증대가 가장 큰 기회로 나타났으나 그만큼 외부인 소유권 확대로 인한 관광수익의 외부 유출이 우려되었다. 서해는 생태·모험·크루즈 등관련 관광 수요 증가가 가장 높은 기회로 나타났으나 동해에 비해 편의시설이나 연계관광 등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북한의 정책 추진 일관성 부족과 타 산업 개발과의 공간 갈등·이해관계 충돌이 우려되었다. 동해관광공동특구는 금강산 등 기존사업의 확대와 환동해 관광으로의 확장성, 남북 양측계획과 연계한 지역 개발이 기대되며 관광상품, 신변보장, 절차 간소화,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원조달은 국내 민간자본과 국제 ODA자금이 유력하고 남북한을 연계하는 해양관광지구 지정과 상품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 우선순위는 원산, 고성 순이며 고성-속초, 통천-양양, 원산-강릉 등의 단계적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해경제공동특구에는 남북관광의 거점 마련과 환서해 관광으로의 확장성, 남북 양측 수요에 따른 새로운 관광협력 패러다임 제시가 필요하고 편의시설과 접근성 마련, 신변보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원은 국내 남북협력기금과 국제 민간자본이 유력하고 역시 남북연계 해양관광지구 지정과 민자유치가 강조되었다. 개발우선순위는 남포-평양, 한강하구-개성 순이며 크루즈관광, MICE관광, 산업관광 등에 개별관광을 시범운영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남북관광교류협력에서의 전시·컨벤션산업 역할에 관한 탐색적 고찰

        정진영(Chung, Jin-Yo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0 觀光硏究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문헌에서 제시되어 왔던 남북관광교류 방안들을 비교, 분석하고, 남북한 관광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전시·컨벤션산업의 역할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북한 자료 접근의 구조적 제약 때문에 국내학술지 및 언론보도를 통해 북한의 전시·컨벤션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도를 확보하였으며, 추가로 각종 보고서, 해외 언론 보도, 북한 매체 등을 편의적으로 조사하는 문헌고찰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의 전시·컨벤션 분야는 관련 인프라, 법·제도 등을 비롯하여 산업 생태계 조성과 전문인력 육성 체계가 아직 미비한 상태로 보이지만, 인적, 물적 교류가 핵심 인컨벤션과 전시산업의 특성상 대외관계 개선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금과 같이 남북 간 국제관광 여건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반 관광객 방문교류보다는 전시·컨벤션 등 비즈니스 관광교류를 먼저 시도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북한 전시·컨벤션 현황 분석을 통해 북한 관광자원 및 남북관광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경색된 남북관계 개선과 함께 궁극적으로 남북관광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models of tourism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at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so far, and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ies in North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role of the industries in promoting tourism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Due to the limited access to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the exploratory data collection process; that is, this study collec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North Korea’s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ies from the academic publications and news media as much as possible, and additionally examined the empirical reports, Internet, and some materials published in North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ies are yet in the initial stage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 North Korea; however, it seemed that the industries could facilitate and promo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given the nature of the industries. It is also suggested that business tourism such as exhibition and co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prior to largely implementing leisure tourism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tates (e.g., individual tourism).

      • KCI등재후보

        남북한 관광교류 활성화 대비 법제 검토 연구

        윤인주 법무부 2020 統一과 法律 Vol.0 No.42

        This article examines current status and trend of tourism development of North Korea and reviews related legislations in both Koreas to suggest measures to activate inter-Korean tourism exchange. North Korea’s outbound tourists amounted to 0.2 million in 2018, almost equivalent to an average annual South Korean tourists to the North from 1998 to 2008. Geographically, tourism areas are divided into the west region (Pyongyang-Gaesong), the east region (Wonsan-Mt.Geumgang), and the northern region (Sino-North borders). The themes of tourism products have been recently diversified. The designation and legisl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Zones (EDZ) imply that development of tourism and EDZ could be a policy package sharing a common purpose. As a result of analysis on general laws of both Koreas such as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of South Korea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ct of North Korea, and special laws of North Korea related to Special Economic Zones that regulate tourism development and operation, personal safety of South Korean tourists and property protection of South Korean investors are found to be not fully guaranteed. Therefore, suggestions for activating future inter-Korean tourism exchange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regulations or agreements on entrance, sojourn, and residence of South Korean tourists in the whole region of North Korea is required. Second, legislative improvement should be added regarding properties, interests, and rights of South Korean investors, especially articulating more specific conditions and methods of expropriation on the existing agreement. Third, another agreement or legislation between both Koreas fully dedicated to the activation of inter-Korean exchange would be beneficial. Fourth, further legislative review should be conducted for entrance, sojourn, residence, and customs dedicated to the foreigners who participate in inter-Korean tourism in the future. Lastly, Tourism Regulation of Geumgang International Tourism Special Zone Act of North Korea is noteworthy for the legislative preparation of inter-Korean tourism exchange. 이 논문은 북한 관광개발의 현황과 동향을 살펴보고 남북한의 관련 법제를 검토하여 향후 남북관광교류 활성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북한의 외래관광시장은 2018년 기준 외국인관광 20만 명 수준인데 이는 1998-2008년 연평균 남북관광 인원과 비슷하다. 북한의 관광지형은 서부(평양-개성), 동부(원산-금강산), 북부(북·중 접경)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관광 상품의 테마가 다양해지고 있다. 북한의 관광개발은 경제개발구 지정 및 관련법을 검토한 결과, 공통의 목적을 지향하는 패키지 정책으로 해석된다. 이에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양측의 일반법인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과 「북남경제협력법」, 관광개발 및 운영에 관한 개별 법규가 확인되는 북한 특수경제지대 법규를 검토한 결과,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보장과 우리 기업의 재산보호 관련 조항이 미비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남북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 국민의 출입·체류·거주에 관한 규정이나 합의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투자가의 재산과 이익, 권리보호원칙에 관한 조항을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과 북남경제협력법 등에 추가하고 기존 남북 사이의 투자보장에 관한 합의서에서 상대측 자산 수용(收用)에 관한 구체적인 조건과 방법을 명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남북관광교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합의서나 법령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외국인의 남북관광 연계를 위한 출입·체류·거주·관세 등에 관한 법제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남북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제 준비와 관련하여 금강산국제관광특구 관광규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경상논총 : 독일 통일에서의 관광교류 분석을 통한 남북관광교류에 관한 연구

        김철원 ( Chul Won Kim ),이태숙 ( Tae Sook Lee ) 한독경상학회 2014 經商論叢 Vol.32 No.3

        본 연구는 과거 동독과 서독의 교류과정 및 관광교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 관광교류 협력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동독과 서독의 관계는 그 역사적 배경이나 교류의 형태가 현재의 남북 관계와는 다르다. 따라서 분단 국가로서의 공통적 경험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교류의 시작과 진행되었던 과정, 그 속도 등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남북한은 동서독과 달리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적대적 군사대결 구도가 존재하였고, 전쟁 이후 이데올로 기적 대립 또한 전쟁 직후의 적대감과 불신이 유지되어 교류와 협력의 기회가 봉쇄되었다. 남북한의 관광교류는 남한이 북한을 일방적으로 오고 가는 매우 편향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아웃바운드 시장만이 존재하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서독 정부가 인도주의를 내세워 인적 교류의 당위성을 강조하였고, 동·서독 간 정치적 관계가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인도적 차원의 교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남긴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북관광교류 협력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북한의 경제특구 정책에 대한 적극적 지지 표명과 함께 관광지 개발 및 인재 양성 지원을 남북경협 차원이 추진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남북한 간의 관광교류는 남북한 주민의 이질성을 극복하는 데 그 목표를 두어야 한다. 셋째, 국제기구를 통한 협력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지속가능한 협력 및 교류의 틀을 도출할 수 있도록 북한 관광특구 개발과 연계하여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동서독은 내부 갈등을 겪으면서도 20년 동안 꾸준히 교류협력을 유지하였으며, 거의 모든 분야에서 교류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교류에는 필연적으로 인적교류가 이루어졌으며, 관광교류는 인적교류에 기초한 단계적 접근을 시도 하였다. 이처럼 인적교류가 독일 통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만큼 남북관광교류 협력의 기본방향 또한 인적교류가 중요한 전제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le collaborative tourism busines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vestigating practices and processes in tourism between past West and East Germanies. Even though the past West and East Germanies showed the different phenomena in tourism exchange businesses from South and North Koreas` practices due to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and types of exchange, there may be common experiences in establishing the base of unification through mutual tourism exchange. Korean president proposed a set of plans to lay the groundwork for unification, expand humanitarian aid and hold reunions of separate families in Dresden, Germany. The city of Dresden is a symbolic city for Unified Germany. The Dresden proposal would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ursuing the tourism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f North Korea would accept South Korea`s proposal. The past West german government focused on people exchange through the humanitarian principle. This process would be the most valuable lesson for facilitating tourism exchange between two Koreas in the future.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guideline for tourism exchange business: 1) South Korea should announce the positive political support for developing the economic special districts, in line with development of tourism attractions and support for fostering tourism professionals; 2) the policy should focus on overcoming heterogeneous cultu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Koreas` residents; 3) both Koreas should take advantage of inter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i.e., UNWTO, PATA); 4) both Koreas should conduct joint research for developing tourism special districts in order to derive sustainable collaboration and exchange framework. Despite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in-depth analysis for the contents, the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tenets for facilitating the research as well as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producing the windfalls of unification.

      • KCI우수등재

        남북교류활동으로 본 금강산 관광과 한반도 평화의 쌍방적 관계

        고동완,이상훈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3

        Recently, tourism and peace a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in many preceding studies. However there have been limited research efforts undertaken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basis and empirical research in this field. Data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ere u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ace and Mt. Kumgang Tourism on the Korean Peninsula.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Koreas' exchanges and the Mt. Geumgang tourism through the status of the two Koreas‘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since 1970. Tourism and peace were key variables in this study which were assessed by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Mt. Kumgang and eight indicators for two Koreas exchanges and trade projects. The Mt. Kumgang tourism is highly correlated with four out of eight indicators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are strained, it appeared that the impact on the tourism appeared immediately. We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nd peace is bilateral. 관광은 단일 최대의 평화적 인간 이동 현상으로 평화와 관련성이 높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관광과 평화는 관련성이 높다는 것이 규명되고 있지만 이 분야의 이론적 토대와 경험적 연구가 부족해 연구 성과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 연구는 한반도 평화와 관광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통일부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1970년 이후 남북교류협력 주요사업 추진현황을 통해 남북 교류특성과 금강산 관광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활용한 관광변수는 금강산 관광객 수를 활용했고, 평화변수는 남북한 교류 및 교역사업 분야 8개 지표로 구성했다. 금강산 관광은 한반도 평화의 8개 지표 중 4개 지표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북 간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화되는 상황에서는 남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상황에 비해 금강산 관광에 미치는 영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관광과 평화의 관계는 동행성이 높은 쌍방적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남북한 관광개발정책 접근요인에 관한 우선순위 비교분석

        김사영,장준복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2

        남북한 관광개발정책 접근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목표는 국내ㆍ외 관광개발정책 영역별 접근기준을 설정하고, 접근기준별 평가대상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우편조사, 전화조사, 직접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크기는 250부이었고, 회수된 설문지 203부 가운데 부적절한 설문지 25부를 제외한 1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남북한 관광개발정책 접근영역들의 접근기준과 각 평가대상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프로그램은 Expert Choice 11.5를 사용하였다. 국내 관광개발정책 접근영역들에서는 남북한 모두 삶의 질 향상이 우선순위 1위였다. 우선순위 2위는 관광경제성이었고, 복지ㆍ환경개선이 우선순위 3위였으며, 마지막은 정보교환으로 분석되었다. 국외 관광개발정책 접근영역들에서는 남북한 모두 국민경제 향상이 우선순위 1위였고, 우선순위 2위는 외래관광수용능력 향상이었다. 우선순위 3위는 남한이 관광정보체계 확립이었고, 북한은 국제친선 증진이었다. 우선순위 4위는 남한이 국제친선 증진이었고, 북한은 관광정보체계 확립으로 분석되었다. 관광개발정책 접근영역에서 북한은 지금까지 관광이라 하면 다른 지방이나 다른 나라의 자연풍경, 명승고적, 역사유적, 인민경제의 발전면모 등을 구경하고 지식을 넓히는 것으로 인식하였지, 관광활동을 경제활동이나 산업활동으로 인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최근 북한에서도 금강산관광과 개성관광을 비롯한 외국인대상 국내 관광사업개발들이 활발해지면서부터 관광개발정책에 대한 인식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변화들은 남북한 관광개발정책 접근기준 및 평가대상별 우선순위 분석결과와도 일치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orities with respect to approach factor of tourism development polic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As a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s the approach background, the approach domain, and the assessment system in the tourism development policy. The data used in thesis is collected from the tourism development policy specialists. Through a preliminary investigation 203 lists of questions were distributed from August 3, 2009 to November 13, 2009 and from among them 178 lists were used Expert Choice 11.5 was used to do pairwise comparisons and priorities assessment. Based up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priority order sets of domestic tourism development policy factor should b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the tourism economic efficiency, the improvement of welfare and environment,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i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The priority order sets of the abroad tourism development policy factor should b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y, the improvement of foreign tourism receptive capacity, the establishment of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friendship in the South Korea. The priority order sets of the abroad tourism development policy factor should b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y, the improvement of foreign tourism receptive capacity,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friendship, and the establishment of tourism information system in the North Korea.

      • KCI등재

        금강산관광의 의미와 재개 해법

        전일욱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2

        If North Korea considers Mt. Kumgang Tour as a source of hard currency in order to reinforce nuclear weapons and build up its armament,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a solution to reopen Mt. Kumgang Tour. However, if Mt. Kumgang Tour is taken as a task with immense significance, it can be solved more easily. Mt. Kumgang Tour is not only simple tour, but also a channel of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inter-Korean family reunion. Therefore, to link Mt. Kumgang Tour with inter-Korean family reunion and Mt. Seorak tour belt can be a way to solve Mt. Kumgang Tour issue. Also, if Mt. Kumgang is provided as a free travel pla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Mt. Kumgang issue can unfold in constructive direction. 2008년 7월 11일 남한 관광객이 피격되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금강산관광사업이 중단되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남북한은 2014년 2월 20일부터 25일까지 금강산에서 이산가족상봉을 진행하면서 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한 희망을 가지게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금강산관광 재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해 북한이 벌어들이는 외화가 상당히 많고, 이 많은 외화가 북핵과 군비강화 등으로 쓰인다는 점”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 따라서 현재 금강산관광 재개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금강산관광사업이 가지는 남북한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금강산관광 재개의 해법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금강산관광사업의 의미에서 찾아진 주요한 요소로는 첫째, 정치·외교적 요소; 둘째, 경제적 요소; 셋째, 사회·문화·관광 차원의 요소 그리고 넷째, 인도주의적 요소인 이산가족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들을 통해 금강산관광의 재개를 위한 해법으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하나는 인도주의의 차원의 해법이고 두 번째는 남북한 관광지대와 상호연계 방안이었다. 마지막으로 위 두 가지 방안 모두는 남북관계에 있어서 교류협력을 규제하고 있는 5·24 조치를 어떻게 할 것이냐가 관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금강산관광은 남북한 관계에서 상당히 특별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고, 금강산관광은 단순한 관광뿐만 아니라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의 창구 역할을 하고, 인적교류확대와 이산가족의 상봉을 확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금강산관광을 남북한관광벨트와 이산가족상봉과 연계해서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를 푼다면 이미 금강산관광지구가 금강산국제관광특구로 변화된 상황이라도 우리에게도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중요한 경제특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금강산관광을 이산가족에게 자유롭게 왕래하는 장소로 제공한다면 이것이 계기가 되어 금강산관광 문제는 발전적으로 전개될 가능성 또한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