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visiting Regional Security Mechanisms in Southern Africa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2 No.-

        본 논문은 1998년부터 2004년 기간 동안 발생한 콩고민주공화국의 분쟁과 역내 지역기구인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의 지역안보 및 분쟁관리 메커니즘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 있다. 또한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에 전선국가체제(FLS), 남부아프리카개발조정회의(SADCC)로 출발하여 진화 발전한 지역안보체제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남부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의 정치방위안보기구(SADC Organ on Politics, Defence and Security: OPDS) 설립과 이 기구의 지역안보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의미 및 한계점을 다루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역사적 변화의 상황 속에서 새롭게 발전해온 남부아프리카 지역안보 메커니즘을 살펴 보기 위해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가 어떠한 방식과 성격 및 양상으로 콩고민주공화국 분쟁을 접근하여 다루고 있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gional security mechanism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mergence of SADC Organ and conflict management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C) crisis (1998-2004). In fact, one year after the regional involvement in the DRC in 1998 a SADC intervention demonstrated the inability of the SADC Organ to fulfil its functions. In this context, the article illuminates how conflict management in the DRC crisis has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terms of the regional level, with the purpose to understand the type and nature of eclectic security cooperation/integration in the region. In doing so, the article attempts to emphasize the historical evolvement of regional security structures such as the FLS, SADC(C) and the OPDS(C) showing that the ‘regional states’ are concerned with seeking structural stability to enhance the regional security community in Southern Africa. Given the haphazard and ad hoc SADC interventions in the DRC, the restructuring of the OPD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development in setting out the primary goals for SADC security integration.

      • KCI등재

        남부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문남철(Moon, Nam Cheo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초 국경평화공원의 세계적 확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남부아프리카의 초 국경평화공원을 사례로 지정학적 관점에서 (초) 국경공원의 역할과 기능, 형태가 시대적 정치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현재 초 국경평화공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부아프리카의 국경공원은 식민지 시대와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냉전 및 내전시기에 유럽열강의 충돌을 완화하고 광역 식민지를 분리・통치하고 공산주의와 흑인해방운동의 공간적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냉전과 내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 이후 국경공원을 통합한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국가 간, 지역 간, 인종 간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아프리카의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대립과 갈등의 해소와 평화체계의 구축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국가 간 인적,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불균형과 백인과 흑인 간의 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경제적 지배와 인종집단 간 사회-공간적 갈등이 재생산될 수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geopolitical analysis on the role, function and problem of (trans) frontier park in Southern Africa. Frontier parks in Southern Africa had been used as a buffer zone between colonial empires and British colonial administr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s an interdiction zone of communism and black liberation movement during the apartheid regime, the cold war and the civil war. The ecological transfrontier peace parks in Southern Africa which is integrating the adjacent Frontier parks is utilized as a means of a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building after the end of cold war, civil war and apartheid regime, The ecological transfrontier peace parks in Southern Africa is very highly regarded as an effective means for a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building. But it is also being criticized for a reproduction of South Africa"s politico-economic domination and of a socio-spatial division between racial groups.

      • KCI등재

        1990년대 이전 중국의 대 남부아프리카 외교정책 고찰

        김광수(Kwang Su Kim) 한국아시아학회 2015 아시아연구 Vol.18 No.1

        식민지배시기 이후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진출은 1955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회의(Asian-African Conference)라고 불리는 반둥회의(Bandung Conference)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55년 반둥회의는 아프리카와 중국의 관계가 변화한 전환점이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출범이후 중국은 국제체제 안에서 자신의 지위와 역할을 인정받기 위해 서구의 ‘패권주의’의 확산을 막고 제한하는 상당히 일관된 외교정책을 펼쳤다. 이는 제3세계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확대하여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변화하는 국제체제에 대비하려는 목적이었다. 중국의 대아프리카 외교정책의 기본방향은 초강대국인 미국과 구소련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생존전략이었지만 과거 식민지배국가나 미국과 다름없는 패권국가, 초강대국가를 향한 포석이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현재 아프리카에 집중하고 있는 중국의 대아프리카 전략은 일시적으로 나온 전략이라기보다는 1949년 이후 냉전의 시기에 수많은 외교적 노력과 기다림을 통한 세계화의 전략이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대아프리카 외교정책이 전적으로 이데올로기에서 출발했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 중국은 생존을 위해, 외교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그리고 대국으로서 패권국가가 되기 위해 대아프리카 외교정책을 집중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China’s full-scale involvement in African states began after the Bandung Conference, an Asian-African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Indonesia in 1955. The Bandung Conference was the turning point for Sino-African rel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in 1949, China has consistently carried on diplomatic policies that would block and limit the spread of Western hegemonies to have its status and role recognized within the international system. It was to expand its diplomatic ties with the Third World, to enhance its international standing and to prepare for the changing international system. Chinese foreign policies towards Africa were chiefly for its survival, against superpowe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ut they were also the groundwork to become just like former colonizers, or a hegemon like the United States, as a new superpow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urrent Chinese strategies towards Africa are not temporary but permanent for globalization that has been prepared through countless diplomatic efforts and waiting during the Cold War since 1949. It is not much correct that China’s African policies are entirely based on ideology. Rather it might be said that China has concentrated on its African diplomacy for its rise of a new hegemonic superpower by enhancing national capacity, as well as for its survival.

      • KCI등재후보

        Linking Human Security and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 Some Conceptual Approaches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06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20 No.-

        탈냉전과 후기아파르트헤이트 시대가 도래한 이후 남부아프리카 지역은 소위 세계화 또는 지구화(globalization)라 일컫는 세계정치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맞물려 ‘안보(Security)’와 ‘지역주의(Regionalism)’에 대한 포괄적 개념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대표적으로 이 글에서는 최근 국제정치경제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인간안보(Human Security)와 지역주의(Regionalism)가 남부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어떻게 적용 가능한 가를 살펴본다. 먼저 남부아프리카의 지역적 맥락에서 재해석된 인간안보와 지역주의의 개념적 접근을 시도한 후에 두 개념의 연결점을 찾아보도록 한다. 남부아프리카 지역은 냉전의 유산과 그보다 앞선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인 식민주의의 유산으로 인해 ‘인간 비안보(Human Insecurity)’적인 측면이 현실적으로 더 우세하다. 이 글에서는 탈냉전기에도 남부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안보와 지역주의가 국가중심적인 제한된 접근방식에 매몰된 점을 지적하면서 보다 통합되고 다층적(multi-layered)이며 포괄적(comprehensive)인 이론-실재의 변화 가능성에 도전해 본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문학과 현대적 전유의 가능성

        이석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3 비평과이론 Vol.18 No.1

        Southern Africa is characterised by complex intersections of orality and literacy. Almost all oral cultures on the subcontinent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contact with the literate cultures of the colonial settlers. Further, oral texts which have survived, such as the songs and stories of the /Xam or the izibongo of Shaka and Dingane, have undergone significant modifications through the processes of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As regards the twentieth-century poets and story-tellers, many of them can and do write, and the threads of orality and literacy intertwine in their work. Theorists as diverse as Frantz Fanon, Aime Cesaire, and Spivak have all written about the silencing, whether actual or effective, of the colonized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While aLmost all coLonial occupation involved the physical and discursive subjection of indigenous peopLes, the destruction of social orders, and the ruthless suppression of dissent, even a cursory acquaintance with oral and popular performance genres from colonial and postcoloniaL societies suggests that the attempts to silence the other were far from successful: the colonized have continued to speak, often in unofficial ways and from unofficial spaces, but also from the centres of their societies. Oral literature played a great role in it.

      • KCI등재후보

        Globalization and the New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7 No.-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남부아프리카의 지역적 역동성과 역내 개발과 안보 지역주의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 및 접근하기 위해서는 세계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신지역주의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제체제 속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변형적 지역주의(transformative regionalism)와 비결정론적 또는 개방적 지역주의(open-ended regionalism)의 흐름과 추세에 따라 역동적인 변화와 새로운 지역 환경 및 구성요소들에 주안점을 두면서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인 세계화와 신지역주의의 특성을 살펴본다. 주요한 개념적 특성을 살펴 본 후, 본 논문은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첫 10 년 기간 동안 신지역주의의 맥락하에서 남부아프리카의 개발과 안보 지역주의가 어떠한 과정과 양상으로 발전하였는지를 고찰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post-Apartheid Southern Africa’s regional dynamics and specifically how it has approached the conundrum of the various features of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orces of the new regionalism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Thus, this paper deals with the various concepts of the two important forces characterized by globalization and the new regionalism with outlining the dramatically changed situation and content of the renewed trend towards transformative and open-ended regionalism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reafter, it will try to examine the processes and patterns of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within the context of the new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with a focus on the first decade of post-Apartheid era.

      • KCI등재후보

        Globalization and the New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in the First Decade of Post-Apartheid Era

        황규득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7 No.-

        In order to understand post-Apartheid Southern Africa’s regional dynamics and specifically how it has approached the conundrum of the various features of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orces of the new regionalism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Thus, this paper deals with the various concepts of the two important forces characterized by globalization and the new regionalism with outlining the dramatically changed situation and content of the renewed trend towards transformative and open-ended regionalism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reafter, it will try to examine the processes and patterns of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within the context of the new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with a focus on the first decade of post-Apartheid era.

      • KCI등재

        A Perspective on Systems Design in the Digit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Kasper Rodil 국립민속박물관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2 No.-

        My ambition for this shorter article is to add to an earlier discussion (see Rodil and Rehm, 2015) about the interplay of digital systems and the digitisation of intangible heritage. In particular, I wish to sketch some conceptualisations of what and how we can look at the digital systems (I refer to these as artefacts) as having certain inscribed perspectives. Meanwhile, providing some related literature, I show one possible road out of the complexity (with a co-responsible design known as Participatory Design), which emerges when certain cultures design and build artifacts together with the purpose of containing other cultures’ intangible heritage. At the end I provide some questions for reflection, if one is considering digitising intangible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