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난파물 제거에 관한 나이로비 국제협약 가입과 해사안전법 개정의 법적 검토

        박정국(Park, Jeong-Ku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3

        난파물은 선박의 안전한 통항에 저해요소가 되므로 각국은 선박소유자로 하여금 난파물을 표시 내지 제거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만약 선박이 EEZ에서 난파되어 그 난파선박 및 적재화물이 해양에 표류하는 경우에는 그 난파물에 의해서 다른 해양사고가 유발되거나 그로 인해 해양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 하지만 유엔해양법협약 및 IMO의 협약에 의하면 연안국은 EEZ에서 난파된 선박이 해양환경에 급박하고 심각한 위협요소가 되지 않는 한 선박소유자에게 난파물 제거를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기 때문에 연안국 스스로 해양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국의 비용으로 난파물을 제거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IMO의 법률위원회는 2007년 5월 14일부터 동년 5월 18일까지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열린 외교회의에서 2007년 나이로비 국제난파물 제거협약(WRC)을 채택하였다. 동협약은 난파물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통일된 국제규칙과 절차를 마련하였고, 특히 난파물의 제거비용을 담보하기 위하여 강제보험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우리 현행 상법은 난파물 문제와 관련하여 난파물 제거비용의 책임제한 여부만을 규정하고 있을 뿐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별법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정부가 난파물 제거를 위해 행정대집행을 하고도 그 비용을 회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그 결과 2009년 동협약을 토대로 한 정부의 해상교통안전법 개정법률안이 제출되었고, 2011년 6월 15일 전부개정되어 해사안 전법으로 개명된 이후 동년 12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 본고에서는 해양사고가 점점 증가추세인 점을 고려하여 해사안전법의 통일적 법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동협약의 주요내용을 검토한 이후 동협약에의 가입타당성 여부를 고찰하고자 한다. Because wrecks are inhibited in safe navigation of vessels, their respective countries obligates to ship owners to show and remove wrecks. If the ship was wrecked in the EEZ, the ship wrecked and cargo vessel are stranded in the ocean, the wrecks causes other marine accident and thus cause marine pollution. But, According to the UNCLOS and the IMO's Convention, coastal states have no authority ship owner remove the wrecks, unless ship wrecked become a imminent and serious threat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so, The issue has been raised that coastal states are bound to remove the wrecks at the expense of its. To solve this problem, IMO adopted "NAIROBI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 2007" at the diplomatic conference that held in Nairobi, Kenya in 2007. This Convention provides the uniform international rules and procedures to ensure the prompt and effective removal of wrecks and payment of compensation for the costs therein involved. Our Commercial Code have not special Code to associated with the handling of removal of wrecks, and so it is the problem to fail to recover costs after to spent enforcement costs. As a result, The government submits a bill based on this Convention in 2009. This revised up fully June 15, 2011, transmute the name Maritime Safety Act and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16, 2011. Therefore, Because of a growing number of marine accidents, I would like to review the main content and analyze the validity of joining the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 2007 for the purpose of a unified legal framework of Maritime Safety Act.

      • KCI등재

        2007년 난파물제거협약의 주요내용 및 채택의의

        정대율(Dae-Yul Chong),정영석(Yeong-Seok Cheong) 한국해사법학회 2007 해사법연구 Vol.19 No.2

          국제해사기구는 제63차 법률위원회에서 난파물제거협약 제정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된 후 거의 20여년에 거쳐 논의된 결과, 2007년 5월 14일부터 5월 18일까지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협약 채택을 위한 외교회의를 개최하여 2007년 나이로비 국제난파물제거 협약을 채택하였다. 이 협약은 현행 채택되어 발효중인 공해개입협약, 공해개입협약 의정서, 해양사고구조협약 및 민사책임협약과 상충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난파물의 보고부터 위태의 결정, 난파물의 위치경고 및 표시 그리고 난파물의 제거조치까지 난파물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거를 보장하기 위한 통일화된 국제규칙 및 절차를 마련하였고, 이에 따른 소요비용의 보상이 보장될 수 있도록 강제보험제도를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협약은 분쟁해결과 관련하여 유엔해양법협약 제15장에 따른 강제적인 분쟁해결수단을 도입하였다.<BR>  본 논문은 이 협약의 주요내용과 채택의의를 살펴보고, 이 협약을 국내 수용하는 경우 우리나라 해운회사 및 정부가 준비하여야 할 내용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s a result of a long discussion from the 63rd session of Legal committe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dopted "NAIROBI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 2007" at the Diplomatic Conference which held from 14 to 18 May, 2007 in Nairobi, Kenya. This Convention filled an existing gap in the present maritime law regime such as Intervention Convention 1969 and its Protocol 1973, the Salvage Convention 1989 or Civil Liability Convention(CLC, Nuclear, HNS or Bunker Convention), and made an uniformed international rules and procedures to ensure the prompt and effective removal of wrecks including reporting wrecks, determination of hazard, locating wrecks, marking of wrecks and measures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wrecks, and also introduced the compulsory insurance system to secure financial security for the costs of locating, marking and removing the wreck. This Convention finally introduced compulsory procedure for the settlement of disputes as set out in Part XV, Section 2 of the UNCLOS, 198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is Convent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be prepared by the shipping company and Government for adopting it into the national maritime law regime because korean merchant ships are to be directly influenced by it.

      • KCI등재

        中國現存的漂海記錄及其特徵

        劉序楓(Liu, Shiuhfe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16세기 중반 이후 해양활동의 증대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난파선에 대한 기록들도 증가하였다. 해양 여행기와 달리 난파기록들은 보통 좀 더 세부적인데, 기록 중에는 불법항해라든지, 밀수, 외교협상과 같은 복잡한 주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시 정부 관리들이 일반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배의 크기 및 승선자 이름과 수, 적재화물, 항해경로, 난파 위치 및 원인, 구조 과정과 재정적 지원 현황 등에 대한 내용들을 기록 보존하였다. 그러나 二十四史에서와 같이, 청 왕조 이전의 위와 관련된 중국의 기록들은 대부분 개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明實錄에서의 기록들도 산만하고 불완전하다. 아울러 청왕조 이전에는 난파선에 대한 구조가 제도화되어 있지 않았던 관계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상태이다. 청 왕조에 접어들자, 지역적 혹은 광역적 수준의 기록체계 수립 및 관련 기록들[특히 건륭(乾隆) 통치기(1736~1795) 이후]의 보존에 힘입어 이러한 주제들이 좀 더 자세히 연구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역사적 자료들이 대중에 공개되고 출간된 덕분에 동아시아 난파사고 및 해상표류에 관한 연구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련 자료들이 대부분 산만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현재 연구의 관심이 상당부분 일본과 류큐의 기록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에서 관련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단계에는 아직 접어들지 못했다. 본 저자는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난파선에 관한 역사학적 자료들의 수집 및 연구에 몰두하여왔으며 현재까지 청 왕조 기록물 속의 난파 기록 목록 : 외국 선박들에 관한 자료들을 출간하였는데, 이 자료들은 공식적인 중국 기록문서들 중 약 3,000개의 부분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다. 위 기록들은 우리로 하여금 청 정부의 난파선 구조 체계의 진화 및 외국 난파선에 대해 취해진 조치에 관해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 자료들이 동아시아에서의 난파선 기록에 대한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난파선과 해상표류를 다룬 현존하는 중국 공식 기록들을 소개하는 한편, 빠른 시일 내에 외국 기록들과의 비교 및 공동연구 추진이라는 희망과 더불어, 해상표류에 관한 일부 비공식적 기록들에 대해 논하고 있다. With the intensification of maritime activities after the mid-16th century, records on shipwrecks in East Asia increased. Different from sea travelogues, shipwreck records are usually more detailed, for they involve a variety of issues, such as illegal voyage, smuggling, and diplomatic negotiation. Government officials typically conducted investigation and kept detailed accounts of the size of ship, the names and the number of the crew, cargo on board, routes, location and the cause of the shipwreck, process of salvage and monetary support rendered. If the wreck involved a foreign ship, there was also the issue of repatriation. However, Chinese accounts in this regard prior to the Qing dynasty, such as in the Twenty Four Dynastic Histories, are mostly sketchy. In addition, the accounts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Ming Dynasty are also scattered and incomplete. Moreover, prior to the Qing, the salvage of shipwrecks had not been institutionalized, hen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ntire picture. Entering the Qing, due to the perfect memorial system at the local and metropolitan levels, plus the preservation of relevant archives(especially after the Qianlong reign 1736~1795), the issue can be explored furth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fact that historical materials are made public and published, research on East Asian shipwreck and drifting on the sea is increasingly flourishing. However, relevant sources are mostly scattered and not systematic, and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mostly on the records in Japan and Ryukyu, hence systematic collection of sources in China and Korea has not been undertaken. This author has devoted to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historical materials on shipwrecks in East Asia in recent years and so far published a Catalogue of Shipwreck Records in the Qing Archives : Materials on Foreign Ships, which contains nearly 3,000 pieces of official Chinese documents. These documents allow us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shipwreck salvage system of the Qing government and the measures taken toward foreign shipwrecks. Also, they will facilitate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shipwrecks in East Asia. Besides introducing the extant Chinese official accounts of shipwrecks and drifting on the sea, this article also discusses several unofficial accounts of drifting on the sea, with the hope of comparing them with foreign accounts and facilitating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난파물제거협약의 국내수용을 위한 법제연구

        박성호,임채현 한국해사법학회 2015 해사법연구 Vol.27 No.1

        배타적 경제수역에 존재하는 난파물은 선박의 항행안전 및 해양환경에 위협 이 되지만 난파물 제거에 관한 국제법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해 결하기 위해 2007년 난파물 제거에 관한 나이로비 국제협약이 채택되었고 2015 년 4월 발효될 예정이다. 동 협약은 배타적 경제수역에 존재하는 난파물을 신 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에 따른 비용의 지급을 보장하는 통일된 국제규 칙 및 절차를 제공하기 위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난파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과 우리나라 국적선이 동 협약의 국제적 발효로 인한 선 박 운항상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약의 비준 및 국내 이행을 위한 국내법의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동 협약의 국내법 수용을 위한 법률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wreck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may pose a hazard to ships' navigation or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re is no international law regulating the removal of wreck in the EEZ. For these reasons above, the Nairobi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 2007 was adopted and will enter into force in coming April, 2015. The convention includes the uniform international rules and procedures to ensure the prompt and effective removal of wreck in the EEZ and payment of compensation for the costs therein invol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tify the convention and adopt related national laws, because of the problems happened by the presence of wrecks in our EEZ, and to prevent navigational difficulties of our national ships according to the effectivation of the conven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improving ways of national laws for accepting the convention into our national laws.

      • KCI등재

        난파물제거협약의 국내수용을 위한 법제연구

        박성호(Sung-Ho Park),임채현(Chae-Hyun Lim) 한국해사법학회 2015 해사법연구 Vol.27 No.1

        배타적 경제수역에 존재하는 난파물은 선박의 항행안전 및 해양환경에 위협이 되지만 난파물 제거에 관한 국제법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007년 난파물 제거에 관한 나이로비 국제협약이 채택되었고 2015년 4월 발효될 예정이다. 동 협약은 배타적 경제수역에 존재하는 난파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에 따른 비용의 지급을 보장하는 통일된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하기 위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난파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과 우리나라 국적선이 동 협약의 국제적 발효로 인한 선박 운항상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약의 비준 및 국내 이행을 위한 국내법의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동 협약의 국내법 수용을 위한 법률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wreck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may pose a hazard to ships' navigation or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re is no international law regulating the removal of wreck in the EEZ. For these reasons above, the Nairobi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emoval of Wrecks, 2007 was adopted and will enter into force in coming April, 2015. The convention includes the uniform international rules and procedures to ensure the prompt and effective removal of wreck in the EEZ and payment of compensation for the costs therein invol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tify the convention and adopt related national laws, because of the problems happened by the presence of wrecks in our EEZ, and to prevent navigational difficulties of our national ships according to the effectivation of the conven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improving ways of national laws for accepting the convention into our national laws.

      • KCI등재

        難破朝廷의 宮殿과 朝參·朝儀

        서보경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4 百濟硏究 Vol.60 No.-

        The Naniwa-Court(難波朝廷) in the mid 7th century needed externally to preserve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country in the situation that confrontation with neighbor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was worsening, and internally to promote the reinforcement of the emperor’s power through establishing order between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With the enthronement of Kotoku‐Tenno(孝德天皇) after the Isshi-Incident(壬申의 亂) in 645 an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Naniwa(難波), governmental organizations were concentrated on the imperial palace. As the basic conditions for daily performance of chousan(朝參), the proprieties of Ogohori‐no‐Palace(小郡宮) was established. At the Naniwa-Court, moreover, Riturei(立禮) and Saibai(再拜) were settled as the nori of chousei, and the riturei in the Naniwa-Court was revived in the age of Emperor Tenmu(天武天皇). Besides, they tried to consolidate and maintain the sovereign‐subject order by accepting Chinese rituals such as Gannjitu‐Chouga(元日朝賀) in which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had an audience with the emperor on the New Year, and jyarai(射禮) that was an archery contest in the middle of January. Accordingly, the Naniwa-Court consolidated the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not through laws and regulations but through the acceptance and refinement of Kanisei(冠位制) and propriety systems and, based on it, promoted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national status. Therefore, the Naniwa-Court was in need of a palace equipped with a large court for the chousan of ranked officials the number of which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revision of Kanisei and for the assembly of prominent clans from localities. Ogohori‐no‐Palace, which was built on existing Naniwa Ogohori, was a palace constructed as needed after the new government waslaunched,butNagara‐Toyosaki‐no‐Pala(難波長柄豊碕宮),Early-Naniwa-Palace(前期難波宮)constructed during the era of Hakuchi(白雉) based on experiences obtained from policies executed during the era of Taika was born as a palace with a huge choutei(朝庭). 7세기 중반의 고대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대립이 심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자국의 국제적인 지위를 보존하면서 국내에서 군신 간의 질서를 구축해 나가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 정변을 통해 정권을 잡은 難波朝廷에서는 飛鳥時代와 달리 皇居에 정무기관을 집중시킴으로써 推古朝 이래의 정치 과제였던 유위자를 대상으로 한 매일 朝參을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元日朝賀와 射禮 등 중국적인 의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천황 중심의 관인화를 촉진하고 국가의 威儀를 정비하였다. 그리고 매일 조참과 연 초의 의례의 場에서는 立禮와 再拜 등을 예법으로 확립하였다. 따라서 난파조정은 律令法的 차원이 아니라, 관위제와 예제 그리고 의례의 수용과 정비를 통해 군신관계를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내외적인 입지 강화를 도모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 수행의 場으로 거대한 조정과 전사를 구비한 長柄豊碕宮을 조영한 것이다.

      • KCI등재

        터너의 <난파선>과 낭만주의적 해양재난

        전동호 한국미술이론학회 2012 미술이론과 현장 Vol.14 No.-

        Joseph Mallord William Turner (1775-1851) has been widely regarded as the most original and brilliant English landscape painter in the 19th century. Admitted to the Royal Academy Schools in 1789, Turner was a precocious artist and gained the full membership of the prestigious Royal Academy in 1802 at the age of 27. Already in the 1800s he was recognised as a pioneer in taking a new and revolutionary approach to the art of landscape painting. Among his early works made in this period, The Shipwreck, painted in 1805, epitomizes the sense of sublime Romanticism in terms of its dramatic subject-matter and the masterly display of technical innovations. Of course, the subject of shipwreck has a long standing history. Ever since human beings first began seafaring, they have been fascinated as much as haunted by shipwrecks. For maritime societies, such as England, shipwreck has been the source of endless nightmares, representing a constant threat not only to individual sailors but also to the nation as a whole. Unsurprisingly, therefore, shipwreck is one of the most popular motifs in art and literature, particularly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Yet accounts, images and metaphors of shipwreck have taken diverse forms and served different purposes, varying significantly across time and between authors. As such, Turner’s painting registers a panoply of diverse but interconnected contemporary discourses. First of all, since shipwreck was an everyday occurrence in this period, it is more than likely that Turner’s painting depicted the actual sinking in 1805 of the East India Company’s ship ‘The Earl of Abergavenny’ off the coast of Weymouth. 263 souls were lost and the news of the wreck made headlines in major English newspapers at the time. Turner’s painting may well have been his visual response to this tragedy, eyewitness accounts of which were given in great quantity in every contemporary newspaper. But the painting is not a documentary visual record of the incident as Turner was not present at the site and newspaper reports were not detailed enough for him to pictorially reconstruct the entire scene. Rather, Turner’s painting is indebted to the iconographical tradition of depicting tempest and shipwreck, bearing a strong visual resemblance to some 17th-century Dutch marine paintings with which he was familiar through gallery visits and engravings. Lastly, Turner’s Shipwreck is to be located in the contexts of burgeoning contemporary travel literature, especially shipwreck narratives.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saw a drastic increase in the publication of shipwreck narratives and Turner’s painting was inspired by the re-publication in 1804 of William Falconer’s enormously successful epic poem of the same title. Thus, in the final analysis, Turner’s painting is a splendid signifier leading the beholder to the heart of Romantic abyss conjoing nightmarish everyday experience, high art, and popular literature.

      • KCI등재

        김우진 희곡 「난파」에 나타난 ‘이름의 부재’ 연구

        서보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용봉인문논총 Vol.- No.64

        이 논문은 김우진의 희곡 「난파」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Caro Nome’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물이 겪고 있는 ‘이름의 부재’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현주의극으로서 「난파」는 실험적인 방식과 난해함이 부각되는 작품이지만, 비교적 일관된 방식으로 이름의 부재를 겪는 근대적 개인의 문제를 드러낸다. 인물은 전근대적 가치관에 의해 내몰리며 어려움을 겪는데, 그러한 어려움의 기저에는 어머니의 수수께끼와도 같은 욕망이 존재한다. 그러한 욕망 안에서 어떤 일관된 의미도 찾을 수 없는 인물의 모습은 부정적인 양상으로 표현되었다. 기존에는 이러한 텍스트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문제적인 결말에 대해 논의할 때 퇴행적인 현실회피나 낭만적 이상화를 부각하였다. 이러한 접근들은 죽은 자로서 돌아오는 ‘어머니’와 상징적 죽음을 맞이하려는 ‘시인’의 차이를 온전히 살피지 못했다. 하지만 본고는 ‘Caro Nome’와 ‘소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죽음’의 실제적이고 상징적인 두 차원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시인’의 상징적 죽음은 ‘모’의 상징화 되지 않는 죽음에 대응되는 귀결이자, 이름이라는 의미를 찾기 위해 나아가는 인물이 도달하는 지점으로 무의미의 측면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텍스트는 전근대적인 가치관과 근대적 의식이 충돌하는 시기에 인물이 놓인 고통스러운 현실을 「난파」 속 ‘이름’의 문제를 중심으로 말하고 있는 셈이며, 이를 통해 난파하는 주체에 대한 비관보다는 난파라는 상징적 죽음을 통해서만 드러낼 수 있는 주체의 돌파구를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Caro Nome’, which appears repeatedly in Kim Woo-jin’s play ‘Nanpa’, and through this, discuss the ‘absence of name’ that the character experiences. As an expressionist play, “Nanpa” is a work that highlights experimental methods and intricacies, but it reveals the problem of modern individuals experiencing the absence of a name in a relatively consistent way. The character experiences difficulties as he is driven by pre-modern values, and at the base of those difficulties lies the mother's enigmatic desire. The character who cannot find any consistent meaning within such desire is expressed in a negative way. Previously, when discussing the problematic ending through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se texts, regressive avoidance of reality or romantic idealization was highlighted. These approaches failed to fully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ther’ who returns from the dead and the ‘poet’ who tries to face a symbolic death. However, this paper discussed ‘death’ in two dimensions, actual and symbolic, through discussions on ‘Caro Nome’ and ‘sound’.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poet's symbolic death is an ending that corresponds to the mother's non-symbolized death.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an explain the aspect of meaninglessness as the point reached by the character who goes on to find the meaning of his name. This text talks about the painful reality of the character in a time when pre-modern values and modern consciousness collide, focusing on the issue of ‘name’ in ‘Nanpa.’ And through this, rather than pessimism about the subject being shipwrecked, he ultimately tried to express the breakthrough of the subject that can only be revealed through the symbolic death of shipwreck.

      • KCI등재

        선사시대 교역에 대한 연구사례 검토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난파선 자료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조대연 ( Dae Youn Cho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9 No.-

        한국고고학에서는 물품의 교역양상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한 사회성격의 규명 작업이 이제 막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면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적절한 사례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후기 청동기시대 동지중해에서 일어난 물품의 교역양상에 대한 최근의 연구현황을 난파선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지역에서는 인류문명사에서 최초로 본격적인 장거리 교역망이 성립된 시기라고 간주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정치, 사회집단들의 교역활동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특히 겔리도냐와 울루부룬 난파선 자료는 이러한 교역양상을 밝혀줄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지역 난파선 자료의 현황을 개괄한 다음, 난파선에서 출토된 금속, 유리, 및 토기 자료들을 중심으로 그것들의 유통 경로에 대한 최근의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동지중해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교역양상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선사시대 교역체계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검토하였다. During the Late Bronze Age, Inter-regional trad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flourished.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 Uluburun shipwreck and the Gelidonya shipwreck have the potential to shed light on the nature the contact between the Mediterranean polities, as thousands of archaeological remains were found on these shipwrecks.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se shipwrecks. Then, by presenting the findings of recent studies on the exchange network of copper, pottery, and glass that have been carried out using a variety of scientific methods, the movement of those materials in the region is highlighted. Through this attempt, the several different line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exchange network were assessed and compared. Finally, the complicated picture of the inter-regional trade in this region, in which commercial trade co-existed with palace sponsored trade, is discussed.

      • KCI등재

        18세기 영국 우스터 자기와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관계 : 청화백자 풍경문 다호를 중심으로

        이정민(Lee, Jungm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18세기 영국동인도회사를 통한 중국과의 차와 도자무역은 조지안 사회에 새로운 취향과 소비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 내 급증하는 차 소비량과 더불어 이에 적합한 다도구의 필요성은 영국자기회사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자본주의와 기술발전의 핵심인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1740년대부터 수도인 런던 주변 지역,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벨리(Severn Valley), 중부의 스테퍼드셔(Staffordshire)와 더비셔(Derbyshire), 북서부의 리버풀(Liverpool) 그리고 동부의 서폭(Suffolk) 지역의 중심으로 영국 자기회사들이 설립되었다. 각 지역별 원료의 확보 및 운반 그리고 완성된 자기의 운송이 용이하도록 항구도시나 큰 강 부근에 형성되었다. 반세기에 걸쳐 30여 곳이 넘는 영국 자기회사가 설립, 합병, 폐업 되는 과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안정적으로 자기개발을 이룩한 독일이나 프랑스와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영국자기의 발전은 지역별 다양하게 채택된 태토의 구성만큼이나 다채롭고 장식요소 역시 회사별로 동일한 주제 속에서도 개별적이고 독특한 취향이 반영되어 영국만의 고유한 특수성이 드러나는 측면이 흥미롭다.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는 설립이래 40년간 청화백자 생산량이 총 75%에 달했다. 동시기 영국자기회사들 중 가장 오랜 시간동안 제일 많은 청화백자를 생산하여 경매나 소매업에서 거래되는 비율이 25%를 차지한다. 본고에서는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의 풍경문이 시문된 청화백자 다호를 중심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과 영국도자의 독자적 양식과 제작기술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화백자는 중국수출자기로서 가장 많이 수출된 스타일이며 난파선 출수품의 기록을 분석할 때 수량적으로나 보존 상태에서 유행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영국의 동인도회사의 수출입 기록은 부분적으로 유실되고 상세한 주문 목록 또한 구체적인 스타일이 명시 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연구방법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양상과 유행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영국동인도회사의 난파선 및 기타 유럽지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난파선 출수품 양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예테보리(Göteborg, 1745), 겔더말슨(Geldermalsen, 1752) 등 기타 유럽지역으로 항해하고 있었던 선박의 출수품들은 영국으로 수출된 것과 비교분석적인자료에서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동인도회사 선박이었던 그리핀(Griffin, 1761)은 영국으로 수출된 중국자기 분석에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1797년에 난파된 시드니 코브(Sydney Cove)의 경우 영국 식민지로의 중국자기수출 활동에 관한 기존 수출품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난파선출수품의 스타일 변화와 동시기 제작된 영국자기와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출수품 분석은 용도 및 종류의 구분 없이 풍경화의 장식 요소를 중심으로 집중 비교 분석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기술적, 지역적인 맥락에서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강(River Severn) 부근에 설립된 우스터 자기회사의 청화백자 제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751년 존 월 박사(Dr John Wall, 1708-76)를 비롯해 그 외 14명의 투자자들을 기반으로 설립된 우스터 회사의 강점은 자체적인 원료 개발에 있었다. 동석을 첨가해 연질자기의 기능적인 한계를 극복한 것은 동시기 기타 자기회사, 런던의 첼시, 스테퍼드셔의 롱턴, 그리고 더비회사가 극복하지 못한 문제를 넘어서 중국수출자기에 견줄 만한 내구성을 갖춘 획기적인 일이었다. 또한 장식적인 면에서도 중국수출자기의 단순 모방을 넘어 전사기법을 적극 도입하여 영국식 취향과 시대적인 미감을 반영하여 영국자기 발전사에서 독창적이고 경쟁력 있는 회사로 자리매김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tea and porcelain trade with China brought new tastes and consumer revolutions to Georgian society. The demand of suitable tea wares coupled with the soaring consumption of tea in England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English porcelain factories. The socio-economic features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reflected on formation of English manufactures from around 1740s in London, Severn Valley, Staffordshire, Derbyshire, Liverpool and Suffolk region. It was formed in the port city or near large river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raw materials and shipping ready goods. There were more than thirty English porcelain factories active over half a century which merged, closed, and became successful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faced. The English porcelain manufacturing context was relatively unpromising compared to Germany or France where they had supports on a national level. However, variations on style and technology were the strength of the English ceramic industry. The Worcester porcelain factory produced blue and white porcelains a total of 75% of its overall porcelain production in the forty years of its establishment. At the same time, Worcester produced the most blue and white porcelain for the longest period in England and now almost 25% of transactions are covered with Worcester porcelains at auctions or reta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n Worcester blue and white landscape decorated teapots and how Worcester developed its own stylistic features and decorating techniques.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the most popular exported style among Chinese export porcelains and this clearly illustrate the changes in export trend. As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s records are partly lost and detailed orders are not recorded, there ar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back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Chinese export porcelain, I have analyzed the shipwreck founds of Göteborg(1745) and Geldermalsen(1752) in comparison to Griffin(1761) which was owned by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Sydney Cove(1797). The shipwreck data is studied with the focus on stylistic changes in landscape decoration. In this paper, I have looked into Worcester blue and white porcelains from economic, technical and regional perspective. Founded in 1751 by Dr. John Wall (1708-76) and 14 other investors, the company"s strength was in developing its own raw materials. Overcoming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soft-paste porcelain with the addition of soapstone was a critical breakthrough that seemed to be difficult by Chelsea in London, Longton Hall, Derby, and other factories. Worcester also adopted the transfer decoration technique and this is regarded as a very significant move to stop mimicking Chinese export decorations and manifest the true British taste and the aesthetics of the time, which marked Worcester as a very revolutionary and competitive porcelain factory in English porcela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