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생명윤리의식, 낙태관련 교육정책지지가 낙태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Kyung-ah Ki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생명윤리의식, 낙태관련 교육정책지지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전공계열, 학년, 종교, 성태도, 성관계)이 낙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충남, 충북,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10일부터 2022년 1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명존중의식, 생명윤리의식, 낙태관련 교육정책지지 및 낙태인식의 정도는 SPSS 23.0 프로그램의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Sdheffé로 사후검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생명존중중의식, 생명윤리의식, 낙태관련 교육정책지지와 낙태인식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스 상관분석으로, 낙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낙태인식은 전공계열, 학년, 종교, 성지식획득경로, 성태도, 성관계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명존중의식, 생명윤리의식, 전공계열, 종교, 성태도는 낙태인식과 양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낙태관련 교육정책지지, 학년 및 성경험은 낙태인식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낙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명윤리의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태인식 변량의 49.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낙태를 예방하기 위해 생명윤리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방법이 모색되어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respect for life, bioethics, support for abortion-related polici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jor, grade, religion, sexual attitude, sexual intercourse) on abortion awarenes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0, 2021 to January 30, 2022, targeting 116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Incheon, Chungnam, Chungbuk, and Gyeongbuk. With the SPSS 23.0 program, the degree of respect for life, bioethics, support for abortion-related policy, and awareness of abortion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ost-test by Sdheffe. The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pect for life, bioethics, support for abortion-related policy and awareness of abortion was analyzed by Pierc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abor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rtion awar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grade, religion, sexual knowledge acquisition path, sexual attitude, and sexual experience. Awareness of respect for life, consciousness of bioethics, major, religion, and sexual attitude showed a quantitative correlation with abortion awareness, and abortion-related policy support, grade and sexual exper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bortion awarenes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abortion was the awareness of bioethics, and it was found to account for 49.1% of the variance in the perception of abor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various education and methods should be explored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bioethics in order to prevent abor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죽음의 위기에 처한 태아와 레비나스의 타자성(他者性) 윤리

        우재명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神學展望 Vol.- No.167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보게 된다. 그래서 내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는 올바른 윤리 생활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본고에서 필자는 우리 사회의 낙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식의 전환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의식 전환의 대안으로 레비나스의 타자성 윤리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근본적인 의식의 전환은 타자의 절대적 ‘다름’인 타자성(alterity)에 대한 인식이다. 타자는 결코 자아 안으로 흡수, 동화될 수 없는 무한자이다. 따라서 타자와의 윤리적 관계는 타자의 절대적 다름을 자아 안으로 동화시키지 않으면서 관계를 맺는 것이다. 필자는 태아를 레비나스의 타자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태아는 비록 보이지 않지만, 인간 개체이며 산모와의 감각 경험을 통해 관계를 맺고 있는 존재이다. 레비나스는 타자와 관계 맺음을 ‘타자에로의 초월’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타자에로의 초월은 타자의 입장에서 주어진 사건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태아는 생명을 지닌 존재이면서 스스로는 최소한의 방어 수단조차도 가지고 있지 못한 존재이다. 따라서 태아와 산모가 가지는 관계는 ‘비대칭적’이다.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태아의 무저항성과 상처받을 가능성은 ‘벌거벗은’ 얼굴을 통해 윤리적 호소를 전해온다. 그래서 얼굴의 벌거벗음을 통해 보여주는 태아의 무저항성, 상처받을 가능성은 나에게 도덕적 호소로 전해진다. 이는 곧 ‘나를 살해하지 말라’는 도덕적 명령이 된다. 타자에 대한 책임이 나의 자유를 선행한다는 의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타자의 벌거벗은 얼굴에 대하여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지게 되는 책임이 ‘대속’이며, 이는 자신을 비우고 내어주는 것이다. 설사 ‘원치 않는’ 임신의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의 입장을 떠나서 태아의 생명 존중과 보호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대속적 책임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낙태의식과 태도에 관한 복지적 접근 : 사이버 대학생을 중심으로

        도미향,김영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04 청소년복지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issue of the attitude on abortion of Cyber student and to search the matter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attitude of abortion from the aspects of welfare. The number of 403 questionnaire were reflected to this study, which was searched from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course of marriage and family during March in 2004 and August in 2004.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for the percentage, average and cross analysis by means of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bortion was regarded as murder at the most students' consciousness, but the attitude of abortion was allowed. Second, the reason of the disagreement between abortion consciousness and the attitude was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sex was not performed properly at our society and that married women with job are reluctant to give birth partly because of the negative viewpoint in society and partly because of the poor child care policy. Third, the alternative approach ways from the aspect of welfare to decrease the number of abortion in society are suggested to protect abortion as follows. The education of sex should be carried out in school with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ay. The room of play culture has to be expanded for the youth. The turn of consciousness is required for the unmarried mother.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raised for the unmarried mother from the aspect of further management. The regime of reservation on adoption is to be systemized. The policy of child care is also asked to be established so that the married mother with job might not have difficulty in child education.

      • KCI등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숙희(Lee, Suk H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2

        The Government is concerned about this all-time low birthrate and busy implementing new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the childbirth'. The former population related policies were geared toward keeping down the population by encouraging people to use contraceptive methods, to be sterilized as well as by tolerating open abortions thereby promoting the attitude of undervaluing the life. The current policies promoting childbirth are geared toward increasing the birthrate by promoting and supporting artificial fertilization to the sterile couples leading to another type of threats to life. This is nothing but a threat against the life. The dignity of life itself has been plummeted, influenced by the pretence of pro-choice which is just a cover-up of people's selfishness. The science, especially the bioscience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However, unfortunately, these policies and researches have achieved a lot about the ways on how to control and use the procreation ability but not the ways to preserve the embedded value of the fertility and to maintain the procreative power in a balanced manner. The bioethical consciousness begins from valuing our own life. We can value the other's life only when we do recognize the value of our own life. The fertile women are ignorant of their procreative power. Therefore, the women do not value their ability for procreation. On the procreation ability as well as the process on how the women can accept the value of life by themselves. When a woman can recognize the value of the fertility, she would learn the way to preserve the life, and would become open-minded about a new life. This is because her ethical sense on life will be strengthen as she experiences the mystery of her body. 우리나라는 현재 출산율이 저하됨에 위기감을 느끼며 '출산장려'를 위한 정책이 분주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출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정책들은 국민의 건강을 해하거나 인간생명이 경시되고 위협하고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과거의 인구정책은 인구를 줄이기 위해서 피임보급과 불임시술을 권장하고 낙태를 묵인함으로써 생명 경시현상을 조장했으며, 현재의 출산장려정책은 출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불임부부에게 인공수정을 권유하고 지원함으로써 또 다시 생명에 대한 위협들이 일어나고 있다. 인간 생명에 대한 존엄성은 인간의 이기주의로 선택의 권리(pro-choice)라는 허울 뒤에서 점차 약해지고 있다. 오늘날 생명과학의 발달은 급진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정책들과 연구들은 인간의 성과 생식력을 통제하고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활발한 성과 보고가 있지만 정작 생식력이 지니고 있는 가치나 생식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법에 대해서는 알려 주지 않고 있다. 생명윤리의식은 자신의 몸을 소중하게 여기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내 몸이 소중하다는 것을 먼저 인정할 수 있어야 타인의 생명까지도 소중하게 여길 수 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자신의 몸이 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거룩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에 크게 가치를 두고 있지 않으며, 또한 여성들은 자신의 생식력을 소중히 여기지도 않는다. 생식력을 자각하고 있는 여성은 올바른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을 가지게 될 것이다. 사회의 반생명의 물결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생명과 관련한 어떠한 결정과 판단을 해야 할 사회적 강요나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게 될 경우 보다 자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다형적 페르소나로서 법 -낙태의 자유와 잊혀질 권리를 예로 하여-

        민윤영 ( Yoon Young Mi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고려법학 Vol.0 No.61

        This article introduces Jung`s analytic psychology as a new referential point for analyzing legal issues. Among Jung`s analytic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especially on his theor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 which is the outer personality presented to others socially by an individual, and inner personality. This theory is expected to be relevant when applied to jurisprudence, as the law of ``person`s can be understood as the law of ``persona`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human life is created through the performance of diverse personas. Therefore, it claims that as a human right, plural and even mutually contradicting personas should be recognized by law. As persona, which originally means the mask worn by Greek actors, has an intrinsic power to induce narrative and storytelling, permitting diverse personas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dition for guaranteeing human rights. Furthermore, this article insists that guaranteeing diverse and contradictory, yet balancing personas will form a basis from which new justice, which restores the primordial Archetypus of human kind, will be produce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justice which is achieved through unified and coherent legal order. From these theoretical points of view, the need to recognize the persona of prostitution and that of abortion is claimed. However, it is not without limit to recognize diverse personas. The work of guaranteeing personas should be performed in harmony with existing legal principles. Lastly, bearing in mind Jung`s warning that identifying with one`s persona is symbolically the same as death, this article suggests an analysis that law functions as pharmakon in regards to the identification with persona. Law has an essential attribute of causing the individual to identify with his persona, while it also works to prevent identification with one`s past personas. This preventive aspect of law is discussed more with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n example which is appearing as an important right in this digitalized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