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 피우기’의 실제와 ‘꽃에게 묻기’의 대안적 가능성

        정진희(Jeong, Jin-he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1

        무속 창세 신화에서 누가 인간 세상을 차지할 것인가를 두고 경쟁하는 짝패는 이른바 ‘꽃 피우기’ 내기를 시행한다. ‘꽃 피우기’라는 명명은 짝패가 꽃을 피어나게 하는 능력을 지녔음을 뜻하는바, 본고는 이러한 함의를 지닌 명명이 신화의 실상에 부합하는가를 살펴 보았다. 창세 신화의 내기 장면에서 내기를 지칭하는 실제 어휘를 검토하여, 짝패가 꽃을 피우는 것이 아니라 판단과 선택을 의뢰받은 꽃이 피어남을 통해 승자를 가려주는 것이 내기의 실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짝패의 능력을 강조하는 종래의 명칭 대신 꽃을 선택과 판단의 주체로 의미화하는 ‘꽃에게 묻기’라는 명명을 제안하였다. ‘꽃에게 묻기’는 무속 신화 중의 하나인 <할망본풀이>에서 공시적 유례를, 또 삼국유사 소재 <도솔가>와 그 배경 설화에서 통시적 선례를 찾을 수 있는바, 이것은 한국 신화사에서 하나의 서사적 삽화 혹은화소로 성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논의는 ‘꽃의 신화학’을 위한 개념적정지 작업이자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competition to make a flower bloom” refers to a narrative pattern in Korean shamanistic myths that revolves arou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divine rivals to decide who will dominate the human world. This phrasing implies that those myths are focused on the manifestation of the two rivals’ capability of making a flower bloom. This article asks whether such a title is accurate. By examining the terms and expressions that are used to describe the competition in multiple versions of oral shamanistic creation myths, I argue that the flowers in those texts are in fact understood to bloom by themselves— the flowers are regarded as subjects who have power to decide the winner upon the rivals’ requests. This article, therefore, suggests a new term, “asking a flower” instead of “competition to make a flower bloom.” It demonstrates that a similar episode is recounted in the shamanistic myth, “Halmangbon-puri (shaman songs about Halmang, a goddess of birth and nursing),” and a song of the Silla period, “Tosolga.” It also asks to what extent the term, “asking a flower,” can be generalized as the name of the category. I suggest that such a categorization is crucial as the ground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ies of the “mythology concerning flowers.”

      • KCI등재

        대상별 꽃의 선호 및 소비 유형에 관한 연구

        이미향,김흥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Flowers have historically been used in various cultural fields due to their beauty. Also, they enrich our lives by giving us comfort in our everyday lives. But people's preference for flowers are very subjective, so an objective analysis of verific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actual demand and purchase of the flower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 consumption by the preferences of the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deological perception of flower beauty by quantitative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people's preference of flowers and purchase patterns based on flower gifts. As a research method, general perceptions and purchase patterns of the flower's aesthetic elements are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by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 groups. With thi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ommon flowers are revealed and the possibility to quantify each cluster is predicted by substituting it into a formative corolla analysis module which is deducted from the previous study by the researcher. First, th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ptual beauty of flowers can be measured by the formative element of their shape and colour. Second, as a result of the integrated analysis module of the formative corolla, the rose shape and sunflower shape appeared the most, as clearly confirmed that in general the distinction of the front of flowers is a circle(FC), the side of flowers is a wine cup(SW), and the rachis aspect is a single flower(RO). In terms of colou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ur contrast factor was distinctive. Third, it is confirmed that roses are highly popular not only as a cultural and symbolic meaning but also as a commodity and marketability. Fourth, as products, flowers are only made as bouquets and flower baskets. Therefore, diversification seems to be needed.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and our perception of flowers and will be used as a practical basic quantified data for researching the flower market, and furthermore, diversify the species of flowers in the market. 꽃은 그 아름다움의 속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영역에서 활용되었으며, 일상에서 접하는 꽃은 우리에게 위안과 안식을 주고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 그러나 꽃에 대한 선호는 매우 주관적이어서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실제 꽃의 수요를 예측하는 데는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객관적 분석 가능한 적량적 방법을 통해 꽃의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인지 및 유형에 따른 꽃소비의 군집별 특성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로는 선물용 꽃을 중심으로 일반인과 전문가의 꽃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을 통해 꽃의 미적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구매 패턴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조형적 꽃부리 분석모듈에 대입하여 꽃을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꽃에 대한 관념적 아름다움에 대해 형태와 색채와같은 조형요소의 시각화를 통해 정량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형적 꽃부리 통합분석모듈에 의한 분석 결과, 장미 모양과 해바라기 모양의 꽃부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꽃을 인지하는 정면에서의 형태는 원형이며, 측면에서는 와인잔 형태가, 꽃대에 있어서는 단일꽃의 특징이 매우뚜렷함을 확인하였다. 색채에 있어서는 색상대비의 특징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장미는 문화적, 상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상품성과 시장성에 있어서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꽃 상품에 있어서는 꽃다발, 꽃바구니 형태에 집중되어 상품의 다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차후 본 연구의 결과가 꽃에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실제 꽃소비의 시장조사에 있어 정량화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나아가 소비와 유통과정에서 꽃 상품의 다양화를 기대한다.

      •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Zeugodacus) scutellatus Hendel]의 포장피해양상과 실내사육

        김태흥,김양표,전성욱,최낙중,이상계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Zeugodacus) scutellatus Hendel]는 개화 중인 호박 꽃을 뚫고 호박꽃 내부에 산란한다. 부화한 유충은 씨방과 배주를 가해하여 꽃을 낙화시켜 간접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를 유발하는 호박꽃과 실파리에 대한 생태보고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전북 전주, 진안 두 피해지역을 조사하여 지역별 고도에 따른 발생정 도와 호박 암, 수꽃의 피해정도를 규명하였다. 진안지역에서 채집한 270개의 꽃 중 22.25%인 60개의 꽃에서 호박꽃과실파리에 관한 피해가 나타났고, 전주 지역은 채집한 161개 중 27.3%인 44개 꽃 피해를 보였다. 이와같이 전주, 진 안의 피해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비교적 전북지방 고위도지역인 진안 평균 기온이 저위도인 전주보다 낮기 때문이다. 총 431개의 호박꽃 개체 중 104개 꽃에서 피해가 확인되었고, 그 중 수꽃 91개체, 암꽃 13개체로 수꽃에만 가 해한다는 기존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낙화된 꽃에서 채집한 유충은 항 온실(24±2℃, RH 70%)에서 발육기간과 용 기간을 조사하였고, 난부터 유충까 지는 7.88±0.88이였고, 용 기간은 12.49±0.76이였다.

      • KCI등재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의 운용 양상과 의미-신격의 위계에 따른 동아시아권 삽화의 변용에 단서하여-

        이현정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중앙아시아․동아시아 일대의 창세신화와 설화에 차용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를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라는 요소로 분별하여, 경쟁 주체와 신격 위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어 온 삽화의 운용 양상과 변별적 의미들을 살폈다. 창세신과 관련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은 삽화의 본질이 구현되는 이상적인 구조이자 원형에 해당한다. 꽃을 피우는 행위는 창세신의 권능과 직결되며, 꽃을 차지하는 행위는 경쟁 신격 간의 권력과 힘의 완전한 이동을 의미하였다. 창세신화류에서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는 견고한 연결성을 지지고 있었다. 서사에서 두 신격이 공존할 수 없는 관계로 설정되는 정황도 이와 관련이 깊다. 치세신, 산육신, 지역신의 경합담으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가 운용되었을 경우, 천신(창세신)과 경쟁 주체 간의 혈연 관계 혹은 위계, 신격 특성에 따라 서사가 조정되거나, 삽화 가운데 일정 부분만이 수용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치세신은 서사에서 천신과 혈연관계로 설정되어 신성성을 담보받고 있으며, 산육신은 천신과의 관련성이 경합의 승패를 좌우하는 형태로 삽화가 조정되고 있었다. 지역신은 한정된 관장처라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여러 신격들 가운데 천신과의 위계가 가장 많이 벌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꽃 차지하기’ 화소만이 확인될 뿐이며 삽화를 구성하는 화소 중 ‘속임수’만이 상당하게 변형되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특정 신격의 위계에 따른 경합담에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는 각각 ‘꽃 피우고 차지하기(치세신)’, ‘꽃 피우기(산육신)’, ‘꽃 차지하기(지역신)’로 달리 그 양상이 실현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간 학계에서 ‘꽃 피우기 경쟁’으으로 통용되어 온 해당 삽화는 다시금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이라는 결합 구조로서 보다 구체화 된 조명이 요구된다. 이 삽화는 각 전승 권역의 신앙 체계 또는 신화적 사고관을 투영하며 독특한 지역 유형을 생산하는 기제이며, 그 운용 방식은 일종의 서사적 장치이자 미학으로까지 기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꽃다발과 포장지 색채배색 분석

        강성순(Kang Sung-Soon),김정민(Kim Joung Min),왕경희(Wang Kyung-Hee)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2

        꽃다발 배색의 가장 큰 특징은 꽃을 묶어서 포장한 다음 꽃 상품으로 파는 디자인 과정의 색채계획 단계에서 식물이라는 자연소재의 특성으로 자유로운 배색의 한계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포장지를 비롯한 다양한 부자재 색채를 활용하고 있다. 꽃다발의 포장배색은 기능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차별화된 표현이며 소비자의 시각적이고 심미적인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플라워 상품 중 꽃다발의 포장지 색채배색연구를 위해 첫째, 플라워디자이너의 선호도가 높은 Flod지를 실험대상 포장지로 선정하였다. 둘째, 꽃다발에 적용할 형용사이미지언어 7개 (고급스러운, 우아한, 화려한, 낭만적인, 순수한, 환영하는)를 선정하고 이미지언어에 부합하는 꽃다발을 제작한 후, 전문가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미지 일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꽃다발 포장지배색은 무채색 배색과 유채색 배색(동일·유사색상/색조) 두 가지로 나누어 비교했으며, 꽃다발은 주조색 영역, 포장지는 보조색 영역, 리본은 강조색 영역으로 배색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꽃다발포장 전?후 배색결과 7개의 꽃다발 형용사이미지언어를 각각 3개씩 자연줄기(A) 색채포장(B)무채색포장(C)21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꽃다발 포장지 색채분석 결과 보조색 영역으로 적용된 포장지배색은 대부분 동일?유사색상과 동일?유사색조로 주조색의 영역인 자연줄기 꽃다발 이미지에 맞춰 배색하였으며 강조영역인 리본은 유사?반대색상으로 배색하여 설문한 결과 자연줄기(A)와 무채색포장(C)배색보다 색채포장(B)배색 선호도 평균값이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꽃다발 형용사이미지효과는 포장을 하기 전 보다 포장을 하고나서의 이미지효과가 뛰어나도록 하는 것이 포장배색의 주된 목적으로 동일?유사색상, 동일?유사색조배색방법으로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는 배색 이미지를 일관되게 표현하였고, 이러한 꽃다발의 포장지색채배색의 이미지를 디자이너가 적극적으로 반영할 때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어진다는 장점과 플라워 상품의 가치가 증대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for the hand tie bouquet design process that sells to flower commodities after characteristics of a nature material for problem to bump against at a limit of a color harmony to be free from color step of planning. so utilizing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color derived from wrapping paper in this solution ways in question. It is the sensible expression that it was discriminated visual of a consumer, and a wrapping color harmony of a bouquet plays a vital role to plans to be able to satisfy symbol. Flod, a kind of wrapping papers which is high in preference among flower designers in this study was chosen for color harmony of the wrapping papers which are used for the flower products. Seven adjective image words (Luxury, Elegant, Fresh, Gorgeous, Romantic, Pure, Welcoming) were chosen to apply bouquets, and images about bouquets In the wrapping papers" color harmony for the bouquets, the bouquets were wrapped with the color harmony of similar hue, the color harmony of similar tone and neutral color scheme. Also, the bouquets were matched with domain of dominant colors, domain of serve colors for wrapping papers, and domain of accent colors for ribb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the color harmony before and after wrapping the bouquets, the adjective image words for the 7 bouquets showed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21 bouquets-3 bouquets on each natural stem(A), colored wrapping(B), achromatic colored wrapping(C). As a result of the color analysis of the wrapping papers for bouquets, the color harmony used as a domain of serve color arranged with image of natural stem bouquets with most similar hues and tones in the domain of dominant color. As an accent domain, as a result of ribbons which arranged with similar and opponent colors, the average value of preferenc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the colored wrapping(B) than the natural stem(A) and achromatic colored wrapping(C).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e color harmony for wrapping is to have excellent visual effect after wrapping. Accordingly, for the effect of the adjective images for the bouquets, the image of color harmony was neatly expressed with the way of color harmony for similar hue and similar tone. When designers actively reflect the image of wrapping color harmony for these flower products (bouquets),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would have advantages to select from a wide range of products. Furthermore, the value of flower products would increase.

      • KCI등재

        시설 고추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 효능의 한계성

        김철영,권기면,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4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량유살 기술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 해충에 적용되는 상용유인제 의 효능을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총채벌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점착트랩의 경우 청색과 황색 색상에 따른 유인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트랩의 위치는 큰 변수로서 기주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포획 밀도가 높았다. 또한 상하 위치도 중요한 변수로서 기주 작물 수관 부위에서 가장 높은 포획 밀 도를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황색 점착 트랩을 설치한 경우 전체 총채벌레 밀도의 약 1%를 유살하였다. 이러한 낮은 유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유인제를 황색트랩에 추가하였다. 집합페로몬 또는 식물 휘발성 유인제(4-methoxybenzaldehyde) 성분의 두 가지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는 황색트랩 단독 처리에 비해 크게 유인력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Y-튜브 실내 행동분석은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methyl isonicotinate)들이 각각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높은 유인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이들 유인물질은 기주 고추 꽃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이는 꽃이 없는 시설 대파(Allium fistulosum) 재배지에서는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가 황색트랩 단독 처리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하여 높은 유인력을 가지는 것을 미뤄 이 곤충의 꽃에 대한 높은 선호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에 사용되는 상용유인제들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추후 고추 꽃을 중심으로 새로운 유인물질의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Mass trapping of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has been considered as an option to control this pest. This study applied the commercial lures to the hot pepper-cultivating greenhouses and assessed the enhancement of the attracting efficiency by adding to sticky traps.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in the attracting efficiency between blue and yellow sticky traps.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raps was crucial in the greenhouses. The more thrips were captured within host cropping area than outside areas of the crop. In vertical trap position, it was the most optimal to install the traps at the crop crown. Using these installation parameters, the yellow sticky traps captured approximately 1% population of the thrips. To enhance the trapping efficiency, the commercial lures containing aggregation pheromone or 4-methoxybenzaldehyde were added to the yellow sticky traps. However, these commercial lures did not significantly enhance the trapping efficiency compared to the yellow sticky trap alone. In contrast, Y-tube olfactometry assays confirmed the high efficiency of the aggregation pheromone or another plant volatile (methyl isonicotinate) to attract the thrips. Interestingly, these lure components had lower attracting efficiencies compared to the hot pepper flowers. The high attractive efficiency of the flowers was supported by the observation that the commercial lure was effective to enhance the trapping efficiency of the yellow sticky trap against F. occidentalis in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field without any flowers. This study indicates the limitation of the commercial lures in application to hot pepper fields for the mass trapping of F. occidentalis. It also suggests active volatile component(s) from hot pepper flowers to attract F. occidentalis.

      • KCI등재

        조선후기 산문(散文)에 나타난 꽃에 대한 인식과 심미의식 - 리옥(李鈺)의 산문과 신문체(新文體) 작가들의 꽃에 대한 비유를 중심으로 -

        박수밀 ( Su Mil Park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 논문은 꽃에 대한 탐구의 하나로써, 조선후기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심미의식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이옥의 산문과 신문체 작가들에게 나타나는 꽃에 대한 의식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는 고전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기록들과 꽃을 대하는 유학자들의 보편적인 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심미 태도를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는 산문 작가 가운데 꽃을 가장 미적으로 바라보았다고 판단되는 이옥의 꽃에 대한 심미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을 관습적이고 윤리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지않았다. 이옥이 꽃에서 주목한 것은 꽃의 운치와 향기가 아닌 꽃의 변화와 사라짐이었다. 그는 꽃의 사라짐에서 무상성과 두려움을 느꼈는데, 이는 다른 문인들에게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이옥 고유의 감수성이었다. 이 지점에 문학이 도덕에서 분리되는 유미주의 정신이 있다고 보았다. 또 하나는 조선후기 신문체 작가들에게서 보이는 꽃의 비유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글의 독자적 개성, 문체의 다양성을 주장하는 글에는 꽃을 비유로 든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들 신문체 작가들은 글의 다양성에 대한 정당함을 주장하기 위해 꽃의 생태를 끌어들였다. 이들은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고 상대방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꽃을 선택했다. 신문체 작가들이 꽃을 핵심적인 비유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당시 꽃 애호 풍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한편으로 같은 신문체 작가들일지라도 각기 성향에 따라 꽃에 대한 취향이 다르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꽃에 대한 비유가 인간과 삶이 아닌 글쓰기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은 꽃이 윤리와 도덕의 영역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a kind of observation of flowers, to reveal the esthetical awareness shown in the pro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cognition of flowers presented in the prose of Ok-Lee and the new style wri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rds of flowers in classics prose and the common understanding of Confucian scholars for flowers. On the basis of these, it approaches the aesthetical attitude toward flowers in the pro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with two aspects. First, it focuses on the aesthetical awareness of Ok-Lee who among all writers is considered as the best writer looking into flowers in an aesthetical way. Ok-Lee did not look into flowers in a habitual and ethical way. His point of viewing flowers is not on the picturesque or perfume of them, but on the change and evanishment of them. In consideration of evanishment of flowers, Ok-Lee felt fear and frailty, which are not usually the characteristic views from any other writers, but they are very unique in Ok-Lee`s sensitivity. In this point, an aestheticism has been initiated, which departs the literature from ethics. Another point of view comes from the metaphor aspects of flowers shown among the new style wri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writings in the late Chosun searching for the unique personality and the variety of writing style had the common point that they contained the metaphor of flowers. These new style writers attracted the ecology of flowers in order to urge the legitimacy of variety in writing. They chose flowers to increase the power of persuasion to their opinion and to make others understood more effectively. The fact that prose writers used flowers as the main object of metaphor is deeply related with the trend of loving flowers. Meanwhile, even the same prose writers had different tast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liking. The fact that the metaphor of flowers was made in a level of writing, not of human or life, reveals that flowers was getting out from the domain of ethics and morality.

      • 17∼19세기 서양회화에 나타난 두발장식화

        채수미 한국꽃예술학회 2008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1

        인류가 자신의 신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치장하거나 장식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또한 사회적 신분의 상징이기도 하며, 시대적 미의식의 표현이기도 하다. 두발장식화(頭髮裝飾花)는 인간이 머리에 장식하는 꽃을 일컫는 말로,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을 꽃과 함께 조화시켜 두발을 아름답게 치장함으로써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한 것을 말한다. 17∼19세기 서양회화에 나타난 두발장식화는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그 형태는 꽃줄형, 꽃모음형, 한송이형이다. 꽃줄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이 가장 길게 연결된 형태이다. 꽃줄형의 두발장식화는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17세기, 18세기, 19세기의 역사화나 신화 그리고 이야기 전체가 하나의 총제적인 은유인 알레고리화에 등장하고 있다. 꽃모음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이 두발(頭髮)의 부분에 사용된 형태이다. 꽃모음형 역시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17세기 바로크와 18세기 로코코미술에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8세기 낭만주의미술과 19세기 인상주의 회화에서 인물의 성격과 그림의 주제에 어울리는 꽃모음형 두발장식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상류층과 사교계 여성들을 주로 그렸던 인상주의 회화에서 여성의 개성과 복식에 어울리는 꽃모음형 두발장식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송이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을 사용하여 두발(頭髮)을 장식하는 것으로 커다란 한 송이의 꽃을 중심으로 하는 형태이다. 작은 꽃과 잎 등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한 것이다. 한송이형의 두발장식화는 18∼19세기의 로코코와 낭만주의 그리고 인상주의 회화에서 나타나며, 여성의 아름다움이나 여성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다 더 아름다워 보이고자 하는 여성의 본능과 의지 그리고 사회적 신분을 나타나고 있다. 서양의 회화작품에 나타난 두발장식화를 연구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킴과 동시에 꽃 문화와 꽃 예술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자기성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화작품과 문헌을 통한 이와 같은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human being's basic desire for mankind to decorate or ornament part or all of its body. In addition, it is a symbol of social status and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of the times. Floral Hairdressing which means human being's ornament with flowers on head is to expres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by harmonizing flowers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plant stems, leaves etc. to decorate hair beautifully. Floral Hairdressing shown in the western paintings in the 17th to 19th century was categorized into 3 types and the types are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nd One Floral Hairdressing.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is a type linked the longest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as a Floral Hairdressing expresse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and appears in the historical paintings or myth and allegorical paintings in which a story is the general metaphor.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s a Floral Hairdressing is a type which is used for part of hair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lso expres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and was used as a tool to emphasize women's beauty in baroque art of the 17th century and rococo art of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there was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d Floral Hairdressing which became the subjects of person's personality and paintings in romantic art of the 18th century and impressionistic art of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d Floral Hairdressing which matches women's personality and style of a dress was shown in impressionistic art which draw the upper middle class and society women. One Floral Hairdressing is a type to decorate hair with emphasis on a big flower by using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Small flowers and leaves are used and person's status and aestheticism are expressed. The Floral Hairdressing of One Floral Hairdressing appears in impressionistic as well as rococo and romantic arts ranging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and implies the emphasis of women's beauty and womanliness. In addition, it expresses women's instinct and willingness to show more beauty of women and their social status. Studying the Floral Hairdressing shown in the western painting works can be considered to be meanings of not only uplift of recognition to history but also much deeper self-reflection about flower culture and art.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painting works and literatur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전북지역에서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의 발생소장과 피해

        김양표,전성욱,이상계,김광호,최낙중,황창연,Kim, Yang-Pyo,Jeon, Sung-Wook,Lee, Sang-Guei,Kim, Kwang-Ho,Choi, Nak-Jung,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2008년 6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전북 전주시 및 인근의 진안군에서 호박꽃과실파리(Batrocera scutellata(Hendel))의 연중 발생소장, 호박꽃의 피해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호박꽃과실파리 성충 유인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6가지 재료를 대상으로 유인시험을 수행하였다.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은 6가지의 유인물질(Cue-lure, Eugenol, GF-120, Cucurbita sp., Protein, Water) 중 GF-120와 Cue-lure에 수컷 성충(male)이 유인되었고, 유인효과는 Cue-lure가 가장 좋았다.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의 발생최성기 조사에서는 Cue-lure를 사용한 텔타트랩에서 첫 우화 성충(male)이 포획되었고, 7월 중순에서 8월 초순 사이에 한 번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고, 9월 초순에 다시 한번 발생피크를 보였다. 발생소장 조사시 사용되었던 PETE트랩과 델타트랩에서 모두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이 포획되었으며 트랩 형태상 좌우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델타트랩에서 조금 더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다. 특이한 점은 호박꽃과실파리가 호박의 수꽃만을 가해한다는 기존 보고와는 다르게 암꽃과 줄기에서도 유충이 발견되었다. 호박꽃의 피해는 암꽃이 30.7%, 수꽃이 53.8%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총 51.9%의 피해율을 보였다. 월별로 보면 피해받은 호박꽃 중에서 8월과 9월에 피해받은 꽃이 72.7%로, 호박꽃과실파리의 발생최성기와 일치하였다. 한편으로는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꽃에서도 호박꽃과실파리 유충이 채집되었다. The striped fruit fly, Baetrocera scutellata (Diptera: Tephrit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in Cucurbitaceae plants. Among 6 attractants for B. scutellata used, Cue-lure was shown better effect than the others. Newly emerged adult of B. scutellata had been occurred early June of the year tested. There were two peaks of occurrences of B. scutellata, one was from mid-July to early August and the other was early September suggesting that B. scutellata has two generation a year. The larva of B. seutellata damaging the female flower and stem of the pumpkin was found for the frist time on Korea. The blossoms were damaged and fallen by B. scutellata which were 53.8% of male flower and 30.7% of female flower in the 6 pumpkins. The pumpkin flowers were damaged 51.9% by B. scutellata. Especially thc pumpkin flowers damaged were shown 72.7% (1015/1397 individuals)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larva of B. scutellata was found from the Trichosanthes kirilowii on 24 June 2009 in Jinan-gun Jeollabuk-do.

      • KCI등재후보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박원경,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수공예적인 오트쿠튀르 패션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수공예적인 요소와 어우러질 수 있는 모티브로 자연 중에서 꽃을 선정하였으며, 종이접기를 표현기법으로 하여 섬세하고 독창적인 꽃 모티브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먼저 꽃의 조형성과 꽃 종이접기 기법, 그리고 꽃의 조형성과 종이접기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디자인 테마는 수공예적인 섬세함과 고급스러움, 입체적이고 화사한 꽃 모티브의 조형미를 강조한 파티웨어로 설정하였다. 꽃 종이접기의 단순한 부착보다는 실루엣과 연결되어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의상에 적용시켰을 때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완성도가 높은 꽃 종이접기 기법들을 선정한 후, 디자인을 구체화시켰다. 달리아, 모란, 창포, 나팔꽃 접기를 응용하여 총 4점의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디자인에서의 꽃의 조형적 표현영역을 확대하고, 종이접기기법에서의 종이 소재를 패션디자인에 맞게 변용함으로써 새로운 소재기법의 적용에 의한 표현가능성을 확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