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箱의 文學과 꼴라쥬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李箱의 文學이 갖는 새로움은 조형예술의 창작방법을 차용한 데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이상의 시와 소설, 삽화와 회화에는 표현주의적 아방가르디즘과 조형예술적 구성주의가 근저에 작동하고 있다. 이상의 시 〈易斷〉과 <建樂無限六明面角體〉는 연작시 전체의 구성이 큐비스트들의 회화 기법인 꼴라쥬에 입각해 있다. 서로 다른 재질의 조각들을 덧대거나 겹쳐놓아 하나의 형상을 만들어내는 꼴라쥬는 소설 〈날개〉의 에피그램의 글쓰기방식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에피그램은 연결이 되지 않는 단락들의 병치로 꼴라쥬를 이룬다, 〈날개〉의 서사구성 역시, 실재와 가상현실과 내면, 리얼리티와 자기위조의 세계가 바둑의 포석처럼 교차되어 있다. 이 작품은 삽화와 에피그램, 소설의 본문이 연합되어야 온전한 의미가 판독된다. 특히 소설 〈童骸〉는 6개의 소절이 각각의 情景을 이루어, 이들이 연결된 꼴라쥬를 이루고 있다.〈童骸>의 삽화도 6조각의 담뱃갑의 포장지가 포개어지고 잇대어진 꼴라쥬 형상이다. 〈童骸〉는 나와 姙, 尹 사이의 미끄러지고 어긋나는 관계와, 이제껏 허망한 삶을 살아온 화자의 내면세계가 담뱃갑 포장지들의 어긋나고 찢긴 꼴라쥬 형상을 통해 제시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꼴라쥬는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분열상을 표상한다. 또한 꼴라쥬를 근간으로 하는 큐비스트들은 공간에 시간성을 도입함으로써, 운동하는 주체에 의해 이동하고 구성되는 공간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꼴라쥬를 근간으로 하는 큐비즘이 복수적 시각의 공존을 용인하는 현대성의 근원적인 인식체계를 반영하는 예술기법이 됨을 의미한다. 이상의 문학에 등장하는 겹화자의 존재는 이러한 큐비즘적 시각과 연결된다. 이렇듯 李箱의 文學이 선취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를 넘나드는 현대성의 차원은 조형예술적 미학과 창작기법에 기초해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This article purposed to reveal how to success Lee Sang(李箱)'s literature to get modern specialities those are still useful. The conclusion is that his masterpieces are based on the techniques of creacivities are from the formative arts. Because Lee Sang(李箱) who wrote the famous modernism novel, 〈the Wing〉 and the very famous poem 〈O-Gam-Do(鳥瞰圖)〉 was an architect, painter & book designer, too. So he has borrowed some methods from arts & architecture. For example, collage which is the essential of Cubism in Europe the early 20 century. Lee Sang(李箱) had made some narrative like as collage in painter with several parts joining on a board. The epigram of 〈The Wing〉 was written by style of collage. And his own illustrations in his novels, 〈The Wing〉, 〈Dong-Hae(童骸)〉 were made with same style, too. The 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of 〈The Wing〉 was made from intersecting truth & sham or reality and sub-reality each other. And the narrative of 〈Dong-Hae(童骸)〉 is based on adding 6 scenes, like as collage in Picasso's paintings. His consecutive poems, 〈Ryuk-Dan-destiny or fortune(易斷)〉〈The Cube(建築無限六面角體)〉 are same. Through those things Lee Sang(李箱) would like to express on his literature the fragments of humanities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앙리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의 이미지 특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이정민,김혜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As quality level of life of modern people has raised, interest in various arts and design fields has expanded. On the other hand, along with digital paradigm, trend and demand on integration convergence are accelerating meeting between fashion design with adjoining or other areas. Here,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artistic world of MATISSE as the source of inspiration.This research aimed at expanding artistic expressive area of fashion by applying unique formativeness of line, face, and color at the same time as analyzing image characteristics of cut-out collage works of MATISSE with rhythmic aspect, flatness, simplicity, duality, and fanciness, and applying this to fashion design. This study examined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of this research by analyzing formation background of MATISSE's works and the example that cut-out collage works of MATISSE were applied to modern fashion and viewed change process of collage, the origin, in order to consider cut-out collage. This research works utilized neoprene and pork rind that were determined to be proper to express image characteristic of cut-out collage works of MATISSE. Also, attached various shape parts, derived by developing motif to the surface of costume with simple stitch just as attaching paper. For decorative effect, total 4 works were made and suggested by applying motif to a design of simple silhouette and shape. As the result of applying and reconstituting on three-dimentional image of fashion design,it was determined that varied images were created which appeared due to vollplastic of costume according to view location of appreciators carving and shape image of dynamic and rhythmical cut-out collage work and strong color contrast effect could be highlighted with its decorative aspect through simple silhouette and shape.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is research could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at painting could be abundant source of inspiration and motif of fashion design, also, expects follow-up studies that suggest characterful fashion design through variously interpreting cut-out collage works of MATISSE and new expresssive technique. 현대인들의 삶의 질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예술, 디자인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패러다임에 따라 통합, 통섭의 추세와 요구는 패션디자인이 인접 혹은 타 분야와의 만남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의 영감원으로서 마티스의 예술세계에 주목하여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 작품의 이미지 특성을 율동성, 평면성, 단순성, 중첩성, 장식성으로 분석하고 이를 선, 면, 색채의 조형 요소를 통해 디자인에 접목하여 패션의 예술적 표현영역을확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를 표현하는 모티프를 범위로 하여 마티스의 예술세계 안에서의 형성배경을 살피고, 그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패션에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 작품이 응용된 기존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참고로 본 연구의 디자인에 차별성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은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 작품의이미지 특성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 네오플렌과 돈피의 활용으로, 모티프를 전개하여 도출한 다양한 형상조각들을 종이를 붙인 듯 단순한 스트레이트 스티치로 의상 표면에 부착 시켰다. 모티프의 장식적 효과를 위해 단순한 실루엣과 형태의 디자인에 모티프를 전개했다. 본 연구는 앙리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의 이미지 특성을 디자인에 표출시키고자 한 총 4벌의 작품을 제작, 제시하였다. 모티프를 패션디자인의 3차원 상에 응용, 재구성한 결과 감상자의 시각위치에따라 의상의 환조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다채로운 이미지가 연출됨을 알 수 있었고 역동적이며 율동감있는 컷아웃 꼴라쥬작품의 형상 이미지와 고채도의 강력한 색채대비 효과는 단순한 실루엣과 형태의 의상을 통해 그 장식적 면모가 잘 부각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화가 패션디자인의 풍부한 영감원과 모티프가 됨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며 향후, 마티스의 컷아웃 꼴라쥬 작품을 다각도로 해석하고 새로운 표현기법을 통해 개성 있는 패션디자인을 제안하는 후속연구를기대한다.

      • コラ?ジュに見る痴?高齡者の內的世界 : 꼴라쥬에 나타난 치매노인의 내적 세계

        石崎淳一(이시자키 쥰이치),杉浦京子(스기우라 쿄오코),김양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1 한국미술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Vol.8 No.-

        중간부터 중증의 알츠하이머병(AD) 환자의 꼴라쥬 표현을 언급했다. 우선, 8명의 AD환자가 작성한 50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형식ㆍ내용분석을 하여 이전에 보고한 (石崎, 2000) AD의 꼴라쥬 표현의 특징을 검증하였다. 즉, ① 사각으로 자른 여러 장의 조각들이 평행으로 배치된다(형식분석에 의해). ② 각 범주의 항목 출현율에 있어서 일반노인에 비해 인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적고 자연이나 풍경을 사용하는 경우가 높다(내용분석에 의해). ①의 구성상 특성은 AD에게 특이한 시공간성(視空間性) 신경심리학적 장애가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②의 특징에 대해서는 전형적 사례를 제시하여 AD환자가 내적으로는 사회관계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논했다. 게다가 ③ 지속적으로 꼴라쥬 작업시 나타나는 묘화자 고유의 주제에 대해서는 다른 예를 제시하여 묘화자의 생활사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고찰했다. 결론적으로 꼴라쥬는 치매 노인의 내적 세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심리학적 기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꼴라쥬 표현에 대한 학년별 형식특성 분석

        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생 총 587명을 대상으로 꼴라쥬 기법을 실시하여 공간구성, 사진 사용방식, 조화성의 3영역에서 12개의 형식분석의 각 항목을 체크하고 학년별 표현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꼴라쥬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학년간의 큰 차이 없이 여백이 있게 뒷면 사용 없이 7개 이상의 사진조각을 선호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다른 학년에 비해 1학년의 경우 많은 조각을 붙이는 것을 선호하고 도화지 이탈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1, 2학년보다 3, 4, 5, 6학년이 사진조각을 겹쳐서 붙이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진조각 사용방식에 있어서는 학년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초등학생은 부정형이나 복합 형태로 사진 조각을 자르는 것을 선호하고 사진조합은 3학년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아동은 친숙한 문자나 그림을 선호하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의미있는 문자사용의 비율이 높았다.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칼라사진을 선호하고, 많은 수의 학생이 3~6색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색채사용에 대한 일반 아동의 경향성이 드러났다. 셋째, 조화성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의 절반이상이 고루 분포된 공간배치를 사용하고, 2/3이상 아동의 작품이 균형 잡혀있고 종이를 가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학년별에 따른 꼴라쥬의 형식적인 표현특성을 체계화함으로써 꼴라쥬를 통한 아동의 심리진단 평가에 있어 오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vary by students' grades. The present standards of characteristic expressions include worksheet composition, method of using basic materials like photos, and harmony in drawing. The subjects are 587 normal elementary students who range from the first graders to the sixth. After the students carried out collage technique test, I checked 12 items created for this formal analysi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grad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of the collage, all the subjects showed little variation in some items. They usually preferred to use more than 7 pieces of pictures. Also they liked to use most space in their drawing paper, but did not use the other side of it. One third of the subjects pasted photo pieces to overlap with each other or to extrude from the paper. In particular,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rs showed relatively higher rate of using the overlapping technique than the others. Secondly, in all grades, most students preferred to cut pictures into indefinite or complex pieces. Comparatively the subjects from the third graders up to senior students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using the photo-compounding technique. Also, the subjects showed their preference in making familiar letters and shapes. The older the students are, the more frequently they use meaningful letters. Thirdly, almost all the elementary students preferred color photos over black-and-white ones. The fact that many students used more than 3~6 colors would indicate their tendency toward color application. More than a half of all the subjects showed well-distributed space composition in their drawings. And the works of more than two-thirds students were balanced. Two-thirds of them use the drawing paper horizontally.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helpful in systemizing formally characteristics of collage expression and in avoiding the errors that may occur in a children's psychological diagnosis through collage.

      • 꼴라쥬 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김지희 어린이재단 (구 한국복지재단) 2008 동광 Vol.10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꼴라쥬 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선택적 함묵 증상을 보이는 초등학교 1학년의 여학생이며, 20회기에 걸쳐 꼴라쥬를 이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쥬 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는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꼴라쥬 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는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자기표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마친다. 따라서 미술치료에서의 꼴라쥬 기법은 매체의 다양한 재질과 그에 따른 표현 방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선택적 함묵아동에게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자신을 개방시켜 심상을 발견하고 개발시킴으로써 자기표현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선택적 함묵아동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포커싱 꼴라쥬 작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주은선,김주영,신설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포커싱 체험 심리치료 활용을 위해서 특히, 감각느낌을 찾고 표현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자 포커싱 꼴라쥬 작업 경험을 통한 활용방안에 목적을 두었다. 합의적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근거하여 녹음된 면접 자료를 주요개념과 범주로 유목화 하는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보고 내용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는 3개의 중심개념과 각각 3개의 영역, 각 영역에 걸쳐 3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첫 번째 중심개념은 포커싱적 체험으로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1) 명확/확신, 영역2) 재경험, 영역3) 이완/해소. 두 번째 중심개념은 포커싱적 태도로 다음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1) 머무르기, 영역2) 건강한 거리두기, 영역3) 수용. 세 번째 중심개념은 포커싱 꼴라쥬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1) 평가, 영역2) 재료, 영역3) 환경.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싱 꼴라쥬 작업을 통하여 포커싱 체험 심리치료의 감각느낌을 언어적 표현이외의 다른 수단으로 표현하고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방법과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emphasizing on felt sense who attended Focusing collage activities. Acquiring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Focusing-oriented experiential psychotherapy which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Korea. 16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3 main concept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focusing experiences, focusing attitude, characteristics of focusing collage. The first main concept were identified focusing experiences and divided 3 domains.: 1) clarification/confirmation, 2) re-experience, 3) relief. The second main concept were identified focusing attitude and divided 3 domains.: 1) staying, 2) maintaining appropriate distance, 3) acceptance. The third main concept wer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focusing collage and divided 3 domains.: 1) evaluation, 2) materials, 3)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to apply focusing collage, furthermore Focusing-oriented experiential psychotherapy are suggested.

      • KCI등재

        김유정 소설과 비서술적 음악의 꼴라쥬, < 김유정 봄,봄 > : 오태석 극작법 연구

        양세라 ( Sei Ra Yang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40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s in 2012 the "Kim Yu-Jeong bom·bom" and premiered in 1984 the "bombom" difference. The reason is because the original, Kim Yu-Jeong`s an adaptation of a novel by the same title, which was the first concert performances are very different. Traditional music formats to take advantage of the brilliant play by highligh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performances, "bombom"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plays "Kim Yu-Jeong Bom·Bom" different creative techniques. Kim Yu-Jeong`s short stories that appeared in the various figures and in Korea in the 1930s, living their locality utterance type and the scene was inserted. This article live Kim Yu-Jeong`s novel format utilizing language that speaks po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writing noted. Plays "Kim Yu-Jeong Bom·Bom" labor to stage scenes were represented by the fatigue of the body. This reality expressing the complex emotions of the current audience. It was Kim Yu-Jeong`s novel scene to insert in the form of creative. As a result, the audience, Oh Tae-suk familiar from the novel "bombom" theatrical discourse types found researchers from the drama of the "Kim, Yu-Jeong bom·bom" looked communication framework that can be achieved. Director from a novel attempt to insert theatrical discourse types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reason for this was the scene of the novel to symbolize the reality of now-here in the audience. 이 논문은 오태석이 김유정의 소설을 해체하고 인용하며, 소설과 이질적인 연극언어와 조합한 극작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984년 공연된< 봄봄 > 대본과 2012년 < 김유정 봄봄 > 두 대본에서 발견되는 극작법상의 차이점에 주목해 보았다. 두 공연은 모두 오태석의 무대연출 형식과 문학텍스트가 상호텍스트적으로 접합하는 극작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극작 기법을 꼴라쥬적 기법으로 보고, 이 미학적 개념이 드러내는 형식상의 자질들로 오태석의 극작술에 대해 기술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오태석의 극작법이 뚜렷한 기준과 목적으로 구성된 유기체적인 작품구성 원리 대신에 분방한텍스트의 접목과 배열을 수용하는 텍스트의 연행적 구성방식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오태석이 관객 혹은 텍스트 수용자의 예술적지각에 의해 관계 맺음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극작과 연출의 유희성을 대변하는 틀로 활용한 방식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먼저 김유정 소설의 언어를 공연의 물질적인 무대담화로 구성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오태석이 연극언어를 탐구했던 연장선에서 소설텍스트를 인용한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근거로 < 김유정 봄·봄 >이 김유정의 소설에서서사와 인물, 언어형식을 인용하거나 삽입하는 과정에 과감히 극적 행위와 꼴라쥬 하는 기법을 근거로 극작법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 김유정 봄봄 >은 김유정 소설의 들병이라는 여성인물을 매개적 화자로 형상화하였다. 그래서 들병이라는 인물이 공연에서 메타드라마적 형식을 반영하도록 하는 극작 기법을 기술해 보았다. 오태석 연극의 놀이적 특징은 이 연극에서 극적 담화를 구성하는 기법, 즉 극적 언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꼴라쥬 기법은 원작소설과 초연 < 봄봄 >, 그리고 이 이질적인 장르를 해체하고 인용한 < 김유정 봄·봄 >에서 극작법으로 구성되었다. 오태석은 치밀한 언어감각 탐구 결과, 김유정 소설을 소재적이고 기능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그 소설이 담지하고 있는 음악과 연극성을 무대에 인용하였고 이와는 이질적인 연극언어와 조합하였다. 오태석은 김유정이 형상화한 한국적 정서를 주제화하기 위해 들병이의 육체를 빌려 소설과 음악 등의 연극언어가 꼴라쥬 되는 극작법을 구성하였다. 그결과 갈등의 국면과 인물은 초연에서 고정적이고 전형적인 주재로 형상화되었던 것에 비해 이 공연은 관객에게 김유정소설이라는 필터를 가지고 공연을 보도록 유도되었다. 이 극작법은 관객이 무대에서 김유정 소설로 인용된 역사성과 사회성, 장면의 회화성을 떠올리며 공연을 바라보는 상호텍스트적 인식의 틀을 제공하는 기법을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오태석이 관객의 예술적 지각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공연무대에서 문학텍스트를 인용하고 해체하는 지적인 유희로서 극작술의 기법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르 꼬르뷔제 건축에 나타난 꼴라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승구,이병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3

        The practice of collage was taken up in various art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questions posed by collagists have begun to asked by architects. Collage embraces lateral and associational thinking, symbolic and iconic form; it accommodates the full complexity of the human mind, admitting not only the rational, deductive and scientific, but also, the irrational, inductive, emotive and romantic. Le Corbusier has described his architecture as being based, like colla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ngs more than on the things themselves. After exploring architecture’s semantic dimension and its means of representation, Le Corbusier relied on meaning, image, and the order of both form and concept to involve the viewer in the creative process. The methods of composition and assemblage in Le Corbusier’s architecture become a subject of the work itself. This paper aims to identify how the idea of collage has been applied in Le Corbusier’s works. I shall conclude that the drawing of an analogy between architecture and other art forms which have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llage idea may serve as a valuable tool in understanding the changes which architecture is undergoing today.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회화의 꼴라쥬 기법과 표현에 관한 연구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1

        이 논문에서는 초현실주의 회화의 다양한 기법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 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초현실주의의 꼴라쥬는 아무 관련성 없는 사물과 기법을 재배치함으로써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환상의 세계를 일깨우며 매체의 변화와 더불어 그것은 전혀 다른 물질이나 형상끼리의 우연한 만남에서 오는 새로운 이미지의 형성한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기법의 확장을 라울 세르베의 작품〈밤의 나비들〉에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라울 세르베는 〈밤의 나비들〉에서 기존의 가치를 전복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인간의 인식 구조에 보다 다차원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age of animated film is able to build up total embodiment of thought. Surrealism Collage intend to combination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new attempts and pluralistic features. In particular, the fantastic, irration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extravagant and unfamiliar artistic technique of Surrealism Collage are actively introduced and explored as elements to make new image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nother reality. This image has been connected Raoul Servais animation film called〈Nocturnal Butterflies〉. The use of this film technique gives a touch that is sensibly different from the digital encrustation technique which justifies it. Representative animator of Surrealism Raoul Servais expands the domain of his own creative works by succeeding to Surrealistic movement.

      • KCI등재

        미스의 건축에서 재현된 꼴라쥬의 개념 - 바르셀로나 파빌리온과 투겐타트를 중심으로 -

        조승구,이병욱,Jo, Seung-Koo,Lee, Byung-Wook 한국주거학회 200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6 No.4

        The cubist collagists proposed radically different ideas about the nature of order, and about the nature of artistic space. The collage substitutes an order which is constructed on relationships for the more rigid order of traditional art. Collage presents new theories of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of relationships and of signs.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of these ideas and how they have been applied to Mies Van der Rohe's making of architecture: Barcelona Pavilion and Tugendhat house. Collage in Mies' works has been executed in a limited manner. In Mies' works, one can begin to recognize some basic traits of collage. Textures, forms, and fragments begin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exploit those principles of contrast and juxtaposition that give collage a value as an expressive medium. Many of the formal aspects of collage are readily apparent in much of the work which we see around use today, but we should look at the attitudes and beliefs upon which collage is built for a further understanding of how its principles can be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