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에서 자아올린 生의 기억-생신제시문(生辰祭詩文)에 대한 연구-

        강민구 ( Kang Min-gu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0

        亡子의 생일에 제사를 진설하는 生辰祭는 퇴계가 ‘예가 아닌 예’라고 규정한 이래로 진설해서는 안 되는 제사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朴世采는 생신제 진설을 옹호하였으니, 본원적 감정의 표출이 문헌적 근거에 예속될 수 없다는 견해라고 하겠다. 조선의 학계에서 생신제는 부모의 생신이 季秋에 들어 있을 때 禰祭와 겸하는 정도에서 허용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모뿐 아니라 거의 모든 가족에게 생신제가 행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전란의 와중에서 순절한 여인들이 있으니, 鄭希得의 모친은 정유재란 때 왜적을 피해 두 명의 며느리, 딸과 함께 모두 절의를 지켜 바다에 투신하여 목숨을 끊었다. 정희득이 지은 「母親晬辰, 奠罷有感」에는 자신도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신세이기에 어머니의 생신제를 제대로 진설하기 못하는 죄책감과 어머니를 지키지 못한 자책감이 착잡하게 표출되어 있다. 李昭漢의 아내는 병자호란 때 청나라 병사의 핍박을 당하자 자결하였다. 이소한의 「亡室生辰祭文」에서는 같은 현장에서 자신은 살아남고 아내가 죽은 충격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조선 시대의 끊임없는 정쟁 역시 무수한 비극을 만들었으니, 李匡師가 정치적 사건으로 체포되었을 때, 그의 아내는 자결하고 말았다. 그런 아내를 위해 지은 「孺人生日祭文」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작품으로 즐거웠던 아내의 생일 광경이 잘 묘사되어 있다. 이광사의 「孺人生日祭文」은 생신제문의 백미로 꼽을만하다. 李植은 마마로 어린 아들을 잃었는데, 광해군 시절 廢母論의 광풍으로 아들을 제때 구완하지 못하여 평생의 한이 되었다. 그는 「農兒生日, 悼念」이라는 10편의 연작 추모시로 아들을 잃은 심경과 회한을 토로하였다. 金昌協은 전도양양한 아들을 잃고 망연자실하다가 마음을 추슬러 「亡兒生日祭文」을 지었다. 이들 아들의 생일제 시문에는 아들의 뛰어난 자품과 생일에 장수를 축원하던 기억의 술회가 주를 이루고 있다. 金壽恒은 늘그막의 유일한 낙이었던 막내딸을 잃고 「亡女生日祭文」을 지었고 金昌緝은 자신의 불행을 보상해주기 위해 하늘이 보내 주었다고 믿었던 무남독녀를 잃고 「亡女生日祭文」을 지었다. 딸의 생일제 시문은 아들의 생일제 시문과 달리 부녀간의 사랑이 구체적으로 술회되어 있다. 한문학 작품 중 부녀간의 사랑이 이토록 핍진하고 진솔하게 표현된 것은 찾기 힘들다. 부모나 아내의 생일제 시문과 달리 자식의 생일제 시문에서 哀傷의 정서가 강하게 표출되는 이유는 부모로서 자식의 출생과 성장 과정을 지켜보았기 때문이다. 생일제 시문에는 죽음과 삶에 대한 통찰, 생에 대한 희열과 죽음에 대한 고통이 착잡하게 표현되어 있다. 생일제 시문에는 대체로 생일의 즐거웠던 광경이 술회되어 있다. 생일의 즐거웠던 기억이 강할수록 슬픔은 더욱더 처참하게 부각된다는 점에서 생일제 시문은 비극의 미학적 특질이 농후한 갈래라고 할 수 있다.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that arranges the memorial service on birthday of the deceased son is the one of them. Since Toegye prescribed “It is not Li(禮)”, it has been judged to be a memorial service that should not be arranged. However, Park Se-chae(朴世采) advocated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and this was what he expressed his view that the expression of the original emotions could not be subordinated to the literary basis. In the academy of the Joseon Dynasty,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was allowed in the extent of accompanying with the Nye-je(禰祭) when the parent’s birthdays were included in September of the lunar year. However, in realit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was practiced in almost all families as well as parent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women who died for their’s chastity in the midst of the war. At the time of Jeongyu-jaeran(丁酉再亂), avoiding the Japanese invaders, Jeong Hee-deuk(鄭希得)’s mother committed suicide by drowning to the sea with her two daughters-in-law and daughter to protect the fidelity. In the 「On Mother’s birthday(母親晬辰), he had a feeling after finishing the ancestral rites(奠罷有感).」 written by him, as he was taken prisoner by Japan, a guilty conscience that could not properly arrange the mother’s birthday ancestral rites and remorse for failing to protect his mother were expressed in a mixed emotions. Lee So-han(李昭漢)’s wife committed suicide when she was persecuted by the soldiers of the Qing Dynasty at the time of Byeongja-horan(丙子胡亂). In the 「The funeral odes of deceased wife’s birthday ancestral rites(亡室生辰祭文)」 of Lee So-han, the shock that he survived and his wife was died in the same field was written intact. The constant strife of the Joseon Dynasty also created countless tragedies. When Lee Gwang-sa(李匡師) was arrested for a political incident, his wife killed herself. The 「The funeral odes of wife’s birthday ancestral rites(孺人生日祭文)」 written for such a wife was a work with a strong descriptive nature, and the happy birthday scene of his wife was well described. This is one of the best funeral odes. Lee-Sik(李植) lost his seven-year-old son by a smallpox run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it became a his lifelong regret that he could not rescue his son on time due to the opinion of deposing the Queen Dowager Inmok(廢母論). He expressed his mind and remorse for the loss of his son with the 10 pieces of serial memorial poems entitled 「On son’s birthday(農兒生日), he mourned for deceased son(悼念).」. Kim Chang-hyup(金昌協) was devastated after the loss of his promising son, and he pulled himself together barely and wrote the 「The funeral odes of deceased son’s birthday ancestral rites(亡兒生日祭文)」. In these poetry and prose of son’s birthday ancestral rites, it was mainly composed of son’s outstanding natural disposition and father’s reminiscence about the memory of praying for longevity on birthday. Kim Soo-hang(金壽恒) wrote 「The funeral odes of deceased daughter’s birthday ancestral rites(亡女生日祭文)」 after losing his last daughter who was the only pleasure in his old age. Kim Chang-jip(金昌緝) lost the only daughter whom he believed the heaven had sent him to compensate for his misfortune and wrote 「The funeral odes of deceased daughter’s birthday ancestral rites(亡女生日祭文)」. Unlike the poetry and prose of son’s birthday ancestral rites, the love between father and daughter was concretely described in the funeral odes of daughter’s birthday ancestral rites. It is hard to find out that the love between father and daughter was expressed so completely and truthfully in the Chinese character literary works. Unlike the poetry and prose of parents’ and wives’ birthday ancestral rites, the reason why the emotions of sorrow were presented strongly in the poetry and prose of son’s birthday ancestral rites is because they watched the birth and growth process of the child as a parent. In the poetry and prose of son’s birthday ancestral rites, the insight into life and death, the delight for life, and the pain of death were expressed in a mixed emotions. The pleasant scenes of birthday were generally stated in works of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As the happy memories of birthday are stronger, the sadness becomes more and more calamitously magnified. In this respect, the poetry and prose of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can be said to be a genre which aesthetic property of tragedy is strong.

      • KCI등재

        조선후기 四忠書院의 건립과 운영

        이경동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본 연구는 사충서원의 건립과 운영과정을 통해 당대의 정치적 맥락과 서원의 위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25년(영조 1) 辛壬獄事 과정에서 賜死된 金昌集, 李頤命, 李健命, 趙泰采가 伸冤됨과 동시에 사충서원 건립이 논의되었다. 사충서원의 건립은 영조를 비롯한 조정 내부의 논의를 거쳐 1726년(영조 2) 8월에 완공되었다. 사액은 같은 해 11월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辛壬義理에 대한 평가와 연동되어 있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 이후 영조의 신임옥사와 노론 사대 신에 대한 평가를 번복하는 과정에서 사충서원이 훼철되었다. 이후 사충서원은 1756년(영조 32) 왕명에 의해 복설되었다. 사충서원의 복설은 乙亥獄事 이후 『闡 義昭鑑』의 간행과 함께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辛壬義理의 확정을 의미했다. 복설 이후 사충서원은 경기 지역 노론계의 주요 사액으로서 위상을 갖추어 나갔다.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치제와 함께 노론계 인사들의 서원 방문은 사충서원이 노론계 忠 節書院으로서의 위상을 갖추어 나가는 요인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원임과 원생을 중심으로 향사, 강학 등의 활동이 지속되면서 서원으로서의 기능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충서원은 임인의리의 상징이자 노론계의 중심 서원으로 자리 잡아 갔다.

      • KCI등재
      • KCI등재

        拙修齋 趙泰徵의 師門 辨誣 考察

        정만호(Man-ho Jung)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졸수재 조태징은 진실한 학문과 독실한 실천을 추구한 인물로 명재 윤증의 문하에서 존경받았다. 그가 남긴 詩文, 그리고 그의 死後에 지인들이 애도의 뜻을 담아 지은 挽詩 및 祭文이 6권 3책의 『졸수재유고』로 간행되었다. 후인들은 졸수재를 文辭보다는 德行에 힘쓴 인물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대변하듯 그의 詩文은 화려한 수사나 독특한 발상의 문예적 특징보다는 투박하지만 교훈적이며 진솔함이 두드러진다. 문학적으로는 작품의 양과 질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운데, 권3에 수록된 <伸卞明齋先生被誣疏>는 조태징 본인의 師門을 위한 헌신, 『노서유고』 毁板의 顚末, 懷尼是非의 대응 논리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글이다. 조태징은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인물이기에 본고는 그의 생애와 학문을 먼저 소개하고, 그의 소장을 중심으로 師門 辨誣의 顚末을 고찰한 다음 졸수재의 소장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회니시비는 1716년 숙종의 이른바 丙申處分을 통해 공식적으로는 일단락되었다. 尹宣擧 부자의 행적과 『노서유고』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申球가 상소하였는데 이 일이 병신처분의 발단이 되었다. 신구의 문제 제기에 대해 吳命峻, 嚴慶遂, 李弘濟 등이 옹호하자 숙종은 오명준 등의 주장이 옳다는 입장이었다. 이후 金昌集이 다시 반론을 제기하자 숙종은 입장을 바꾸어 『노서유고』의 훼판을 지시하였다. 이에 조태징이 同門들과 함께 소장을 지어 辨誣에 나섰으나 소장은 숙종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조태징은 의금부에 투옥되었다. 변무에 실패한 조태징은 이듬해 운명하였으며 실패의 한은 그의 시문뿐 아니라 지인들의 글에도 담겼다. 조태징의 변무 논리는 윤선거 부자를 옹호했던 사람들의 논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는 보다 풍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여 정밀한 논리를 만들었다. 그의 논리는 앞 사람들의 주장에서 영향을 받은 동시에 후인들의 師門 옹호에 영향을 끼쳤다. 尹光紹의 소장에서 조태징이 사용한 표현이 그대로 원용된 점이 하나의 증거이다. 무엇보다 회니시비의 전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Jolsujae (拙修齋) Cho Tae-jing was a respected figure who studied under Myungjae Yoon Jeung pursuing sincere learning and devout practice. Both his poems and Mansi (挽詩) and ritual texts written by his acquaintances to express condolences after his death were published as 『Jolsujaejip』 consisting of six volumes and three books. Later generations evaluated Jolsujae as a person who strived for virtuous deeds rather than writing. like the evaluation, the poems he left are plain, instructive, and sincere instead of being literature full of splendid rhetoric or unique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e made noteworthy achievements in his works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but <Shinbyeon Myeongjae Seonsaeng Pimuso (伸卞明齋先生被誣疏)> contained in Volume 3 seems remarkable in the aspects of Cho Tae-jing’s own devotion to the master (師門; Samun), the full account of destructing 『Rhoseoyugo』, and the logic of responding to Hoenisibi (懷尼是非). Since Cho Tae-jing has not been noted in the academic world, this paper first introduces his life and studies, considers the full story of Samun Byeonmu (師門 辨誣 ), and then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Jolsujae’s petition. Hoenisibi ended officially in 1716 through King Sukjong’s Disposition of Byeongsin (丙申處分). Pointing out the deeds of Yun Seon-geo including the father and son’s and the problems of 『Rhoseoyugo』, Shin Gu filed a petition, which led to the Disposition of Byeongsin after all. When Oh Myeong-jun (吳命峻), Eom Gyeong-su (嚴慶遂), and Lee Hong-je (李弘濟) supported Shin-gu’s raising of the issue, King Sukjong defined his position to agree with Oh Myung-jun and so on. Later, when Kim Chang-jip (金昌集) raised an objection again, King Sukjong changed his position and ordered them to destroy 『Rhoseoyugo』. Accordingly, Cho Tae-jing wrote a petition with his Samun to defend them; however, it was not delivered to King Sukjong, and Cho Tae-jing was imprisoned in Uigeumbu instead. Cho Tae-jing who failed to make a defense passed away the following year, and the resentment of his failure was included not only in his poems but in the writings of his acquaintances, too. Cho Tae-jing’s logic of defense is similar to that of those who defend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However, he made more precise logic by securing richer evidence. His logic was not only influenced by the arguments of the predecessors but had influence over the advocacy of the latter generations for Samun. One evidence is that Yun Gwang-so (尹光紹) quoted Cho Tae-jing’s phrases just as they were in his petition. Meanwhile, Cho Tae-jing argued that those who attack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ignored the overall context of the article and drew up the report by selecting only the sentences they needed. However, he showed that limitation, too, as he used the same means.

      • KCI등재

        夢窩 金昌集의 「述懷詩」 硏究

        윤호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6 No.-

        This thesis is a review of Mongwa Kim, Chang-Jip's "Sulhoe Poem". To this end, I first outlined a poem with Mongwa and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Sulhoe Poem" being built. Mongwa was not a poet and he did not write many poems, but his poems were highly praised by King, Jeong-Jo. "Sulhoe Poem" is an epic poem in memory of his life on Geoje Island before he died after receiving a poison as a death penalty in Seongju, and is a collection of 6,130 characters of 1,226 verses. The description of life with Mongwa in "Sulhoe Poem"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period of studying, the period of working, and the period of achieving. The period of studying is 33 years, 1648-1680, from birth to government service, and the period of working is 14 y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ing to serving for governmen again after his father'death. It is 14 years from 1681-1694. The period of achieving is 13 years, 1695-1707, from Cheolwon Busa to Uijung.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of the "Sulhoe Poem", the first is that its narrative is lyrical, the second is that its description is structural, the third is that it indicates the political state, and the fourth is that it shows his family affair. Moreover, if you look at the poem's rhyme, which consists of 322Unja, it is used recursively. If you add 312 rhymes that were used so as not to overlap, it will be 634 rhymes with the rhyme of the entire poem. Since it is such a long poem, it seems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rhyme, and especially since the rhyme was adjusted as Yinshengja, it was inevitable to overlap. However, it appears that he used Unja freely without much regard for duplication. To summarize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Sulhoe Poem," 1. "Sulhoe Poem" contains more information than any other material from childhood to Zuaizheng, and 2. It is the second longest poem among Korean poems after Im, Suk-Young's "Sulhoe Poem." Originally, it was built around 1,400 verses, but the remaining ones are over 1,200 verses. 3. Mongwa's poem is the world's second-longest poem after Soam Im, Suk-Yeong's poem, while also the world's longest poem among the five-syllable poems. 이 글은 夢窩 金昌集의 「述懷詩」의 저작배경, 내용과 체재, 표현과 서술, 그리고 용운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창집은 신축년(1721)에 화가 일어나자 그는 거제로 귀양을 갔다가 이듬해 임인년 성주에서 사약을 받았는데, 거제에 있을 때에 자신의 평생을 회고하며 「술회시」를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성하였다고 한다. 자신의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자신의 평생에 대해 스스로 지은 시인데, 현재 1,226구의 6,130자에 이르는 장편의 오언고시이다. 몽와의 생애 자료는 「行狀」을 비롯하여 「夢窩年譜」, 「遺事」 등이 있으나, 「행장」은 그의 정치적 부침에 대한 내용은 매우 자세한 반면, 「술회시」는 그의 초년의 행적과 사실이 자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따라서 「행장」에서 특히 간략하게 기술한 그의 유년시절의 모습은 「술회시」를 통하여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자료는 몽와의 평생을 이해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술회시」의 내용은 과거에 합격하여 본격적으로 벼슬하기 전까지의 修學期(1648-1680)의 내용이 상당히 많은 양을 차지하고, 이어서 내시교관으로부터 벼슬을 시작하여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되면서 벼슬을 그만둘 때까지의 出仕期(1681-1694)의 내용, 그리고 1689년 철원부사에 임명되면서부터 다시 벼슬을 시작하여 1705년 우의정에 이르기까지의 得意期(1695-1707)의 내용이 정리, 묘사되어 있다. 이 시의 서술과 묘사 상의 특징으로는 첫째, 敍述이 敍情的이라는 점, 둘째, 描寫가 具體的이라는 점, 셋째, 그 내용이 政治的 立地를 보여준다는 점, 내용이 집안의 事情을 말해주는 것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체로 자신의 시각에서 스스로 기록한 것으로 후대에 비록 후손이 쓴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이 기록한 「행장」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는 것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 시는 운을 사용함에 있어 남다른 점이 보인다. 이 시는 모두 613연이므로, 613운이 사용되었어야 함에도 실제 사용된 운은 모두 322운인데, 이들은 반복하여 사용한 운을 모두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거의 절반 정도에 가까운 운자는 중복적으로 사용이 되었고, 심지어는 6,7번 같은 운자가 중복적으로 사용된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拙修齋 趙泰徵의 師門 辨誣 考察

        정만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Jolsujae (拙修齋) Cho Tae-jing was a respected figure who studied under Myungjae Yoon Jeung pursuing sincere learning and devout practice. Both his poems and Mansi (挽詩) and ritual texts written by his acquaintances to express condolences after his death were published as 『Jolsujaejip』 consisting of six volumes and three books. Later generations evaluated Jolsujae as a person who strived for virtuous deeds rather than writing. like the evaluation, the poems he left are plain, instructive, and sincere instead of being literature full of splendid rhetoric or unique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e made noteworthy achievements in his works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but <Shinbyeon Myeongjae Seonsaeng Pimuso (伸卞明齋先生被誣疏)> contained in Volume 3 seems remarkable in the aspects of Cho Tae-jing’s own devotion to the master (師門; Samun), the full account of destructing 『Rhoseoyugo』, and the logic of responding to Hoenisibi (懷尼是非). Since Cho Tae-jing has not been noted in the academic world, this paper first introduces his life and studies, considers the full story of Samun Byeonmu (師門 辨誣 ), and then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Jolsujae’s petition. Hoenisibi ended officially in 1716 through King Sukjong’s Disposition of Byeongsin (丙申處分). Pointing out the deeds of Yun Seon-geo including the father and son’s and the problems of 『Rhoseoyugo』, Shin Gu filed a petition, which led to the Disposition of Byeongsin after all. When Oh Myeong-jun (吳命峻), Eom Gyeong-su (嚴慶遂), and Lee Hong-je (李弘濟) supported Shin-gu’s raising of the issue, King Sukjong defined his position to agree with Oh Myung-jun and so on. Later, when Kim Chang-jip (金昌集) raised an objection again, King Sukjong changed his position and ordered them to destroy 『Rhoseoyugo』. Accordingly, Cho Tae-jing wrote a petition with his Samun to defend them; however, it was not delivered to King Sukjong, and Cho Tae-jing was imprisoned in Uigeumbu instead. Cho Tae-jing who failed to make a defense passed away the following year, and the resentment of his failure was included not only in his poems but in the writings of his acquaintances, too. Cho Tae-jing’s logic of defense is similar to that of those who defend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However, he made more precise logic by securing richer evidence. His logic was not only influenced by the arguments of the predecessors but had influence over the advocacy of the latter generations for Samun. One evidence is that Yun Gwang-so (尹光紹) quoted Cho Tae-jing’s phrases just as they were in his petition. Meanwhile, Cho Tae-jing argued that those who attack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ignored the overall context of the article and drew up the report by selecting only the sentences they needed. However, he showed that limitation, too, as he used the same means. 졸수재 조태징은 진실한 학문과 독실한 실천을 추구한 인물로 명재 윤증의 문하에서 존경받았다. 그가 남긴 詩文, 그리고 그의 死後에 지인들이 애도의 뜻을 담아 지은 挽詩 및 祭文이 6권 3책의 『졸수재유고』로 간행되었다. 후인들은 졸수재를 文辭보다는 德行에 힘쓴 인물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대변하듯 그의 詩文은 화려한 수사나 독특한 발상의 문예적 특징보다는 투박하지만 교훈적이며 진솔함이 두드러진다. 문학적으로는 작품의 양과 질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운데, 권3에 수록된 <伸卞明齋先生被誣疏>는 조태징 본인의 師門을 위한 헌신, 『노서유고』 毁板의 顚末, 懷尼是非의 대응 논리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글이다. 조태징은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인물이기에 본고는 그의 생애와 학문을 먼저 소개하고, 그의 소장을 중심으로 師門 辨誣의 顚末을 고찰한 다음 졸수재의 소장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회니시비는 1716년 숙종의 이른바 丙申處分을 통해 공식적으로는 일단락되었다. 尹宣擧 부자의 행적과 『노서유고』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申球가 상소하였는데 이 일이 병신처분의 발단이 되었다. 신구의 문제 제기에 대해 吳命峻, 嚴慶遂, 李弘濟 등이 옹호하자 숙종은 오명준 등의 주장이 옳다는 입장이었다. 이후 金昌集이 다시 반론을 제기하자 숙종은 입장을 바꾸어 『노서유고』의 훼판을 지시하였다. 이에 조태징이 同門들과 함께 소장을 지어 辨誣에 나섰으나 소장은 숙종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조태징은 의금부에 투옥되었다. 변무에 실패한 조태징은 이듬해 운명하였으며 실패의 한은 그의 시문뿐 아니라 지인들의 글에도 담겼다. 조태징의 변무 논리는 윤선거 부자를 옹호했던 사람들의 논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는 보다 풍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여 정밀한 논리를 만들었다. 그의 논리는 앞 사람들의 주장에서 영향을 받은 동시에 후인들의 師門 옹호에 영향을 끼쳤다. 尹光紹의 소장에서 조태징이 사용한 표현이 그대로 원용된 점이 하나의 증거이다. 무엇보다 회니시비의 전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장동김문(壯洞金門)의 백운산(白雲山) 별서(別墅) 경영과 그 의미

        김세호 ( Kim Se-ho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2

        조선 후기 安東金門은 丙子胡亂 당시 斥和를 주장한 金尙憲의 후손으로 서울 莊義洞 일대에 세거하여 壯洞金氏라 일컬어진다. 이들은 肅宗 대 換局政治에서 요직을 도맡았고 정치적 부침에 따라 은거를 단행하며 별서를 경영했다. 그중에서도 金壽恒이 送老菴을 경영한 永平 白雲山 別墅는 단연 그 의미가 지대하다. 己巳換局이 일어나 김수항이 사사되자 그의 아들들은 부친의 유지를 받들어 은거를 이어나갔고 이후 金昌協은 이곳에 農巖을 경영해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이들이 백운산에 은거하여 살았던 삶과 그 문학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별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여전히 구체적인 면모는 조명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백운산 별서의 경영과정을 돌아보고 그 위치를 비정하였으며 이곳이 지닌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壯洞金門의 백운산 별서는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장암리 일대에 자리했다. 김수항의 송로암은 지금의 동화사라는 절이 있는 곳으로, 김창협의 농암수옥은 장암5리마을회관으로, 金昌業의 歇菴은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성장로1289번길 43-19로 비정된다. 이곳은 顯祖 김상헌의 영향이 감지되는 곳으로 일가 문인들이 경영한 은거의 별서 가운데 요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조선 후기 당쟁사에서 은거의 지향을 표방한 곳으로 인식되었고, 김창협의 위상으로 인해 후대 문인들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진 특징이 나타난다. 백운산 별서는 조선 후기 장동김문을 대표하는 별서이자 당대 은거의 상징적인 별서로 역사에 회자되는 공간이다. 향후 관련 학계의 관심과 연구를 통해 백운산 별서의 실체가 되살아나기를 기대한다. Andong Kimmun(安東金門)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descendant of Kim Sang-Heon(金尙憲), who claimed rejection of the peace during the Manchu war of 1636. They were called Jangdong Kimssi(壯洞金氏) as they settled down in Jangui-dong(莊義洞), Seoul. They held important posts in the politics of King Sukjong, and lived a secluded life and built Byeolseo(別墅) in line with their political ups and downs. Above all, Baegunsan(白雲山) Byeolseo in Yeongpyeong(永平) where Kim Su-Hang built Songroam(送老菴) has more significant meaning. When Kim Su-Hang died in 1689(己巳換局), his sons continued to live there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ir father, and Kim Chang-Hyeop(金昌協) managed Nongam (農巖) there and left his name behind in history. Although it needs to understand Byeolseo to figure out the secluded life in Baegunsan and their literature, specific aspects of Byeolseo still have not been looked into.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nagement process and the location of Baegunsan Byeolseo to draw its meaning. Baegunsan Byeolseo of Jangdong Kimmun(壯洞金門) was located in Jangam-ri, Idong-myeon, Pocheon-si, Gyeonggi-do. Songroam of Kim, Su-Hang is where the current Donghwasa(東和寺) is, and it is estimated that Nongam Suok of Kim, Chang-Hyeop is a village hall in Jangam 5-ri, and Heolam(歇菴) of Kim, Chang-Eub is 43-19, Seongjang-ro 1289, Idongmyeon, Pocheon-si, Gyeonggi-do. This is the place where was influenced by Kim Sang-He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was located in a key point among Byeolseo for secluded life managed by the literati family. In addition, socially, it was recognized as a place that advocated a secluded life in political struggle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featured that the later literati continued to visit due to the status of Kim Chang-Hyeop. Baegunsan Byeolseo is a space that is kept told in history as a representative Byeolseo of Jangdong Kimmu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lso a symbolic Byeolseo of a secluded life of the time. It is hoped that the reality of Baegunsan Byeolseo will be revived through the attention and research of related academia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 소장 『경람(敬覽)』에 대하여

        안세현 ( Se Hyun Ah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본고는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小倉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敬覽』의 내용과 편찬의도, 시문의 번역 양상 및 국어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한글 실기류 문헌의 편찬 속에서 『경람』이 지니는 가치를 따져본 것이다. 『경람』은 필사본 1책(103장)으로 오구라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유일본이며, 본문은 전부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총27편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래부터 한글로 지어진 2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문으로 지어진 시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한문으로 지어진 시문은 夢窩 金昌集에게 내린 숙종의 御製詩, 김창집이 신임사화 때 사사되기 직전에 지은 시문, 김창집의 동생 農巖 金昌協의 상소문과 三淵 金昌翕의 비지문, 김창집의 사돈인 丹巖 閔鎭遠의 疏箚 등이다. 김창집의 둘째 딸인 안동 김씨가 본래부터 한글로 지은 祭文과 遺書도 수록되어 있다. 『경람』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편찬자, 편찬 시기, 편찬 의도 등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 책에 실린 시문의 작가와 창작 시기 등을 고려해 볼 때, 김창집의 외손자이자 민진원의 손자인 閔百順이 1762~1774년 사이에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27편중에 김창집이 지은 글이 13편으로 가장 많으며, 한두 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임사화때 사사된 김창집과 관련이 있다. 곧 『경람』은 신임사화로 대표되는 당쟁의 격랑 속에서 가문의 억울함과 정당함을 후대에 알리기 위해 편찬하였으며, 가문의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 한글로 번역하였던 것이다. 『경람』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면, 번역은 축자역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한문 원문 제시 없이 한글 번역문만 수록하였다. 다만 한시의 경우 시구의 독음을 한글로 함께 제시해 두었다. 이는 여성을 독자로 하는 조선시대 언해서의 일반적인 경향이다. 한편 경람의 국어학적 특징을 구개음화 현상과 아래아(ㆍ) 소실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같은 시기의 여타 문헌에 비해 두 가지 음운 현상이 느리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영조 연간에 발행된 언해본 御製類와 비슷한 것으로, 『경람』을 통해 18세기 상류층의 국어사용 실태를 엿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는 가문의 여성들에게 조상의 행적을 알게 하기 위한 한글 실기류 문헌이 많이 편찬되었다. 『경람』도 일종의 한글 실기류 저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경람』은 단순히 조상의 행적을 집안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서 한글로 번역한 것이 아니며, 신임사화로 사사된 김창집이라는 인물을 중심에 두고 숙종을 시작으로 경종을 거쳐 영조 연간까지 계속되었던 안동 김씨 가문의 당쟁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In this paper, I looked into a book named Kyungram in Ogura Bunko, Tokyo University. Especially I focused on the contents, intention, and the aspect of translation. This is related to the worth of publishing Korean linguistic history. This book is one and only copy, and the texts are recorded in Korean alphabet. It contains total 27 poem and prose. Only two of them are originally created in Korean, and others are translated into Korean from Chinese. As this book has no preface or epilogue we can’t define the exact compiler, compiling date, and intention. However, I guess this book was compiled between 1762 and 1774 by Min Baek-sun who is Kim Chang-jip’s grandson. That is because 13 of 27 articles were created by Kim Chan-jip and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massacre of scholars occurred in 1771. Therefore, Min Baek-sun compiled this book to inform an injustice of his family to the posterity. And he translated it into Korean to get women of his family to read. In general, most books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have its original version. Unlike this, it seems like Kyungram have translated into Korean without original version written in Chinese. We can guess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the history of political party strife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this book.

      • KCI등재

        새 자료 이원묵(李元默)의 『행대만록(行臺漫錄)』과 순조21년(1821) 신사연행(辛巳燕行)

        구사회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7 No.-

        『행대만록』은 순조21년(1821) 10월 11일에 ‘사은겸진주사(謝恩兼進奏使)’의 서장관으로 갔던 이원묵(李元默, 1767-1831)이 지은 연행록이다. 『행대만록』은 48,000여자에 이르는 장편 연행록으로 그가 사행 보고서인 등록(謄錄)을 만들기 위해서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행대만록』의 말미에는 별록인 「연행록총목록(燕行錄總目錄)」이 있는데, 그것에는 당시 연행단의 명단과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사행 인원이 모두 157명이었고 말 102필이 동원되었다. 일반 사행의 절반 정도의 규모였다. 그리고 이번에 새로 발굴된『행대만록』을 통해서 그동안 작자 미상으로 알려졌던 연행록 『간산북유록』의 작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산(簡山) 손병주(孫秉周, 1781-1836)가 『간산북유록』의 작자였는데, 그는 정사 이호민의 반당(伴倘)으로 연행에 참여하고 있었다. 『행대만록』은 지금까지 나온 많은 연행록의 하나로 기록될 것이다. 하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그것에는 중국을 상대로 경종 3년(1723)에 있었던 임인옥사를 바로잡으려는 조선 관인들의 치열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행대만록』에는 사행을 떠나기 훨씬 이전인 문제 발단부터 시작하여 나중에 돌아와서 복명을 하고 종묘에 나아가 조종께 아뢰는 일체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들 사행단이 연경에 도착하여 20여 일 동안에 왕명을 완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세밀히 적혀 있다. 그런 점에서 『행대만록』은 당시 사행의 실무책임자였던 서장관이 저술했던 연행록의 다른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행대만록』의 서술 방식은 일기체 형식의 편년체를 채택하여 날짜와 날씨, 일정과 일과 등을 꼼꼼히 적고 있다. 작자인 이원묵은 주관적인 감회나 감정을 절제하고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이것은 당시 사인(私人)으로 연행에 참여하여 자신만의 시각을 드러냈던 손병주의『간산북유록』과 대비가 되고 있다. 물론 『행대만록』은 이원묵이 지었던 사적인 연행록이지만, 한편으로 사행 보고서인 등록(謄錄)을 만들기 위해 만들었던 공적인 자료의 성격도 함께 갖고 있었다. 『Haengdaemanrok』 is a ‘Yeonhaengrok’ composed by Yi-WonMuk who was Seojanggwan of the Sahaeng at the 21st year of reign of King Sunjo. It is a lengthy Yeonhaengrok with more than 48,000 words which seemed to be written to make Deungrok, a report. While 『Haengdaemanrok』 is one of many kinds of Yeonhaeongrok so far, its contents contain severity of the Joseon officials to correct Iminoksa taken place at the 3rd year of reign of King Gyeongjong against China. In 『Haengdaemanrok』, every detail is describ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blem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mission and report to the royal government at Jongmyo. In particular, detailed efforts to complete royal commission as public officers for 20 days at Yeongyeong are described. In this sense, 『Haengdaemanrok』shows the typicality of Yeonhaengrok described by Seojanggwan, the person in charge of Sahaeng. Lastly, the description method of 『Haengdaemanrok』is a choronological form with the type of keeping diary for date, weather, schedule and tasks minutely. The writer was very restrictive in expressing personal feeling and emotion but describing relics and sights objectively and in factual basis. This is a good comparison with 『Gansanbukyurok』of Son Byeong Ju who joined Yeonhaeng as a private fig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