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창룡 <적벽가> ‘삼고초려’ 대목에 나타나는 창법적 특징 연구

        왕서은 판소리학회 2024 판소리연구 Vol.57 No.-

        현재 <적벽가>의 눈대목으로 널리 불리고 있는 ‘삼고초려’의 원류인 김창룡의 ‘삼고초려’는 1926년과 1935년에 걸쳐 두 번 취입되었다. 1935년 녹음은 창극형식 의 음반이므로 1926년 음반과는 어떻게 다른 음악적 특징이 나타나는지 두 음원의 사설과 선율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그리고 김창룡 소리의 즉흥성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음악적 특징을 가리키는 것인지 치밀하고 정교 한 소리인 정정렬창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하였다. 김창룡이 1926년과 1935년에 각각 녹음한 ‘삼고초려’ 사설의 경우 중심 내용은 대부분 유사하였고 부분적으로 일부 재구성하였다. 김창룡은 1926년 ‘삼고초려’에 서 ‘당당한 유현주’ 앞에 즉흥적으로 중모리 다섯 장단을 붙였는데 중모리를 10박으 로 가창하기도 하였다. 고수 심정순은 김창룡의 최고음역에서 다량의 추임새를 하였고 3소박과 2소박이 혼재된 추임새 양상을 보였다. 김창룡은 1926년, 1935년 ‘삼고초려’에서 모두 사설을 촘촘하게 붙여 ‘2박+2박+2박’ 리듬형태를 자주 사용하 였다. 김창룡창 1926년, 1935년 ‘삼고초려’에서는 평조와 우조의 특성이 혼재된 다양 한 선율형이 나타났으며 선율선은 내드름을 포함한 일부만 유사하였고 1926년 음원에서는 fa 음이 자주 출현하였다. 김창룡은 1926년 ‘삼고초려’는 느린 3소박 진양으로, 1935년 ‘삼고초려’는 빠른 2소박 진양으로 가창하여 1926년 ‘삼고초려’ 선율에 대거 나타났던 ♬는 1935년 ‘삼고초려’ 선율에서 대부분 ♩, ♪로 대체되어 선율이 간결해졌다. 김창룡창 ‘삼고초려’ 1926년, 1935년 녹음에서는 모두 다음 음절로 가기 직전에 앞 음절을 다시 짧게 내주는 기법과 정가 선율 유형인 ‘제 음-한음 아래 음-제 음을 내고 4도 상행 도약’하는 창법이 나타났다. 이처럼 김창룡 창 ‘삼고초려’ 두 음원에서는 가창 속도의 차이에 따른 선율 표현이 다를 뿐 김창룡 고유의 창법이 잘 나타났다. 김창룡 소리의 즉흥성을 드러내기 위해 치밀하고 정교한 소리로 정평이 난 정정렬 의 소리와 비교 고찰한 결과, 정정렬창 ‘삼고초려’에서는 복잡한 선율일지라도 선율 의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이 박의 경계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박을 세면서 각 선율을 파악해 따라부를 수가 있었다. 그러나 김창룡의 선율은 박의 경계와 관계없이 빠른 부분이 연속되어 선율을 파악하기가 몹시 어려웠고 이러한 특징은 전승에 불리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김창룡이 1926년과 1935년에 녹음한 ‘삼고초려’ 두 음원에서 모두 김창룡의 음악적 특징과 창법이 확인되었다. 김창룡의 창법적 특징은 계면조보다 평조에서 더욱 명징하게 나타나며 김창룡 소리의 즉흥성은 박의 경계가 없는 선율 표현으로 설명되었다. ㅤThe original "Sam-go-cho-ryŏ" from Jŏg-byŏg-ga sung by Gim Chang-ryong was recorded twice, once in 1926 and 1935. This study examines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the melodies and Sa-sŏl from 'Sam-go-cho-ryŏ' recorded between these dates. It also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Gim Chang-ryong's vocal improvisation by comparing them with Jŏng Jŏng-ryŏl. The main contents of Sa-sŏl from "Sam-go-cho-ryŏ" recorded by Gim Chang-ryong in 1926 and in 1935 are mostly similar and partially recomposed. He added an ad-lib Jungmori Jangdan five measures intro to "Sam-go-cho-ryŏ" recorded in 1926. The drummer Sim Jŏng-soon performed numerous chooimsae in the uppermost range of Gim Chang-ryong. Gim Chang-ryong frequently used the rhythm "2bac+2bac+2bac" and made Sa-sŏl tight and close recorded in 1926 and 1935 from "Sam-go-cho-ryŏ." The various melody types appeared to be hav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Pyong-jo and U-jo from "Sam-go-cho-ryŏ" sung in 1926 and 1935, respectively. The melody line is similar in the first measure and part of it. In the disk of 1926, "fa" often showed among Pyong-jo composed by Sol‧La‧do‧re‧mi. In 1926, he performed "Sam-go-cho-ryŏ" in slow three sub beats Jinyang, while, in 1935, he performed it in quick two sub beats Jinyang. Sixteenths appeared frequently in the melody in 1926 and were mostly replaced by quarter notes, which is the eighth notes, simplifying the melody. According to the piece recorded in 1926 and 1935, before singing the next syllable, Gim Chang-ryong repeated the former syllable shortly and also used a Jŏng-ga melody; a tone- Major 2nd down-a tone-the fourth high tone. Therefore, both recordings appear to hav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Gim Chang-ryong's vocal techniques, except that the melodies changed according to the speed of singing. Every melody and slow and quick beats are accurately separated from "Sam-go-cho-ryŏ" sung by Jŏng Jŏng-ryŏl. Meanwhile, the quick part of Gim Chang-ryong's melody continues without an accurate beat, so it prohibits a person who is learning his vocal from catching and checking his melody. Thus, it is certainly considered that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Gim Chang-ryong made his performance totally not handed down to next generation. His unique vocal techniques are captured in "Sam-go-cho-ryŏ" recorded in 1926 and 1935. Additionally, the improvisation of his performance includes a melody without an accurate beat.

      • KCI등재

        김창룡 심청가 곽씨부인 대목 고찰

        신은주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Kim Chang-ryong was a pansori master singer born in Seocheon, Jungnam, and is one of modern five master singers representing traditional music in the 20th century. Kim, whose position in pansori history is significant, continued the deep-rooted tradition of Junnggoje pansori being passed down from Kim Seong-ok to Kim Jeong-geun. His pansori style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at of Dongpyeonje (Eastern style) and Seopyeonje (Western style) that were prominent in the Jeolla region in terms of lyrics and musical style. With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based on his performance of the Tale of Shimcheong, his pansori characteristics will be considered. Kim’s version of Shimcheong show lyric express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at of Dongpyeonje or Seopyeonje and his lyrics feature unique characteristic. Some of hi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body of work known as Junggoje Shimjeongsun, therefore his pansori has a definite identity with the Junggoje pansori. Musically speaking, it shows different rhythm play in that it frequently uses a fast jinyang rhythm with 2-weak beats within the 6-beat rhythmic pattern. In particular, in Kim’s pansori, he would not exactly arrange a four word lyric cycle with what should have been its four-beat rhythmic cycle; thus we can see that a characteristic of early pansori was singing freely, regardless of the rhythm. In many cases, the melody did not follow the normal conventions that were common to pyeongjo, ujo, or gyemyeonjo (various melodic modes); additionally, sol as well as re were sung with vibrations common to pyeongjo. Kim’s melody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that of Shim Jeong-Sun and Shim Sang-geon, who were both 20th century Junggoje pansori singers, as well as the musical style of Gyeonggi (the area around Seoul), rather than the southern area as was more common. In brief, we could find unique characteristic in Kim Chang-ryong’s pansori in terms of general composition, lyrics, musical style and some of his uniqueness has a relation with characteristics of Junggoje of Gyeonggi as well as the Chungcheong region of old-style Pansori. That is to say, that the older style of his pansori is a valuable source for considering the genre’s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to late 19th century that are hard to find in contemporary pansori. 김창룡은 충청남도 서천 출신의 판소리 명창으로, 20세기 전반 전통음악계를 대표하였던 근대 5명창의 한 사람이다. 그는 ‘김성옥 - 김정근’으로 이어지는 뿌리 깊은 중고제 판소리의 맥을 이은 인물로, 판소리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는 매우 크다. 그의 판소리는 전라도 지역에서 전승된 판소리인 동편제 · 서편제와는 사설 및 음악 스타일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그간 김창룡이 보유하였던 소리에 대한 음악적 연구는 그다지 진척을 보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창룡이 20세기 전반 SP음반에 남긴 심청가 대목을 중심으로, 그의 판소리에서 나타나는 대목의 구성․사설․음악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김창룡의 판소리 심청가는 동편제나 서편제의 여타 바디와는 다른 독특한 대목 전개와 사설적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그에게 나타난 독특한 특징들 중 일부는 중고제 심정순 바디와 통하는 측면을 보임으로서, 중고제 판소리 바디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드러낸다. 음악적으로는 2소박 6박의 빠른 템포의 진양조장단(일명 세마치)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등 장단의 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나의 사설주기(4.4조)를 한 장단에 정확히 배치하지 않는 엇붙임 형태를 자주 사용하였는데, 이는 장단과는 무관하게 자유자재로 소리하는 예전 판소리의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선율은 도약진행이 없이 순차진행하고, 평조와 우조․계면조 등 악조에 관계없이 선율이 하행하여 종지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평조에서는 Sol음뿐 아니라 re음도 요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율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특징들은 20세기 중고제 판소리 창자인 심정순과 심상건의 소리에서도 발견되었던 것으로, 경기․충청 지역의 기층음악어법이 판소리에 수용된 것이라 하겠다. 정리하면, 김창룡의 심청가는 전체 구성이나 사설, 음악적인 면에서 그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가 가진 독특함 중 일부는 경기․충청 지역의 중고제 판소리의 특징이면서, 고(古)제의 특징에 해당한다. 즉, 김창룡의 소리에 드러나는 좀 더 예스런 형태는, 오늘날 판소리에는 존재하지 않는 19세기 중후반의 판소리 모습을 고찰하는 데 귀한 자료가 된다.

      • KCI등재

        김창룡 방창 ‘정춘풍 「화초타령」’의 실상과 가치

        사은영 판소리학회 2019 판소리연구 Vol.48 No.-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musical difference between HwachoTa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sing by Kim Chang-ryong and HwachoTaryeong Jachang of Kim Chang-ryong. Hwachot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sing by Kim Chang-ryong focused to a richly express, an emotion of Cheonja based on a wide range, an unaltered interfacial tone scale, a lively breathing and Sigimsae. These features shown in Bangchang enoughly contained a life and aesthetics of period living in Jeong Chun-pung, the private composition that characterizes the performance society like Chi(癡), the singing method like Hui(戱) and a psychological description like Sil(實). Kim Chang-ryong Jachang applied the scale, the similar Sigimsae to Hwachota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and Dongilsaseol. However, Hwachotaryeong sing by Kim Chang-ryong was distinguished by expressing monotonous and dried emotion using narrow tones, regular breathing for 2 minim/beat, disagreement between short and long, in compared to Hwachotaryeong of Jeong Chun-pung.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ing society During the activity period of Kim Chang-ryong. Therefore, Bangchang and Jachang of Kim Chang-ryong with different musical personalities converted the aspect of interpretation on process of succession and change of Deoneum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but not a judicial asp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aracter of <Shimcheongga> by providing a clue that tracked The reality of Hwachotalyeong which is the best deoneum uchundae of <Shimcheongga>, it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to grasp the temporal flow of 『Shimcheongjeon』. 본고는 김창룡이 방창(倣唱)한 정춘풍 「화초타령」과 동일사설의 김창룡 자창(自唱) 「화초타령」이 음악적으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 한 후, 그렇다면 ‘왜’ 다른가에 주목을 하였다. 김창룡은 정춘풍 「화초타령」을 방창함에 있어 넓은 음역, 변질되지 않은 계면조 음계, 생동감 있는 호흡과 시김새를 사용하여 꽃을 감상하는 천자의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방창 음원에 보이는 이러한 특징은 정춘풍이 활동했던 시대의 삶의 모습과 미의식, 그리고 공연사회의 특징인 치(癡)적인 사설 구성, 희(戱)적인 가창 방식, 실(實)적인 심리 묘사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었다. 그러나 김창룡 자창 「화초타령」은 정춘풍과 동일사설과 음계, 유사한 시김새를 사용했지만, 김창룡은 좁은 음역, 2분박 위주의 규칙적 호흡, 장단과 사설의 불일치를 통해 감정을 단조롭고 건조하게 표현함으로써 정춘풍 「화초타령」과 분위기를 구별지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김창룡이 활동하던 시기의 변화된 공연사회의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음악적 성격이 다른 김창룡의 방창·자창 「화초타령」은 더늠의 계승·변화의 과정을 유파적 관점에서 시대적·문화적 환경이라는 맥락으로 해석의 관점을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춘대 「화초타령」의 실상을 추적하는 단서를 제공하여 <심청가>의 성격변화에 따른 『심청전』의 통시적 흐름의 변화를 파악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제 심청가 범피중류 연구

        신은주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7 No.-

        Junggo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and Gyeonggi-do) pansori has very unique style of melody with overall story structure and specific narratives compared to Dongpyeon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eastern part of Jeolla-do) and Seopyeonje (singing style of pansori in western part of Jeolla-do)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In this paper, I studied how such uniqu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are represented in <Beompijungryu(the part when Sim Cheong departs to become a sacrifice offering)>. As a result, <Beompijungryu> sung by Lee Dong-baek,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commonly included 'sounds of rowing a boat' which was not discovered in singers of other pansori sect. Moreover,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described the scene that seamen took Sim Cheong on board and departs. This part was sung with creative impromptu like a narration and commonly seen in Junggoje. Each singers used diverse styles of mode, and Butsimsae(narration in rhythm) also had no difference with sectors. The melody form of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were comparatively plain compare to the melody of other singers. Lee Dong-beak used similar melody form repeatedly at many times. Such characteristics of melody form in Junggoje pansori were also mentioned in my precedent study. We could see Kim Chang-ryong's impromptu tendency of melody in his <Beompijungryu>. He recorded this song on side A and B dividedly. There is a part that is recorded both on A and B but the melodies are different. Such impromptu melody tendency was also discovered in Sim Sang-geon's <Daejangbuhan> record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Junggoje pansori. 중고제 판소리는 동편제나 서편제와 비교할 때 전체 이야기 구성이나 구체적인 사설, 선율면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이 그간 밝혀져 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중고제의 특성이 심청가 중 <범피중류> 대목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동백․김창룡․심상건이 부른 중고제 <범피중류>는 송광록의 더늠인 <범피중류>를 수용하되, 도입부에 선인들이 배를 노저어 가면서 부르는 노젓는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유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중고제 판소리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노젓는소리 앞부분에 선인들이 심청이를 배에 태우고 출항하는 내용이 길게 서술되는 점에서도 공통적인데, 이 부분을 두 창자 모두 창조 도섭으로 부르고 있다. 노젓는소리 부분은 김창룡의 음반에서 가장 길고, 이동백은 매우 소략하다. 그러나 이동백의 음반은 심청가 창극 전집 음반으로 소리가 축약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선율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에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중고제 판소리 <범피중류>에 이 대목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하겠다. 둘째, 이동백은 주로 글자 한 글자에 한 음씩을 대입 시키면서 선율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하며, 유사한 선율 형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동․서편제 창자 및 이동백과 비교하여 선율이 비교적 평탄하고, 김창룡은 한 장단에 두 세 글자만 두어 한 음을 길게 쭉 뻗어 내는 선율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김창룡은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은 심상건의 다른 소리에서도 발견된 바, 중고제 창자들의 소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조는 각 창자마다 우조나 계면조의 사용이 다양하고, 유파에 따른 공통점이나 특성은 찾기 어렵다. 붙임새는 김창룡의 경우 확대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김소희는 엇붙임을 유일하게 사용하는 점에서 독특하지만, 역시 유파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중고제 판소리 심청가 <범피중류>에서 유파적 특성은 악조나 붙임새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사설과 선율에서 주로 발견되며, 송광록의 더늠 <범피중류>를 수용하였으되, 동․서편제와는 또 다른 소리 계보로 서로 관련되어 발전하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일축조선소리반에 취입된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의 음악적 특징과 의의

        이은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본고는 [일축조선소리반 K637-A]에 취입된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와 [Columbia 40249 -A] 음반의 김창룡창 권삼득제 <제비가>와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일축조선소리반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 글이다. 김창룡은 탁월한 성음과 기량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소리를 구사한 명창이다. 그는 선배 명창의 더늠 소리를 그대로 방창하는 명창제와 자신의 소리제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창자였다. 이는 그가 취입한 음반에서 명창제와 본인의 소리제를 구분하여 지칭한 예를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김창룡은 자신의 음악적 지향에 따라 일축조선소리반 <놀보제비가>에 청중의 취향을 고려한 소리와 신조적 음악 요소를 집어넣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예술적 해석대로 사설 짜기 방식과 소리 구성 방식을 활용하여 <놀보제비가>에 전통의 연속선상에서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고, 자신의 자유분방한 소리를 담아내고자 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컨대, 일축조선소리반의 김창룡창 <놀보제비가>는 김창룡이 선배 명창 권삼득의 더늠 소리를 충실히 재현한 명창제 소리가 아니라, 김창룡 본인의 출중한 기량을 바탕으로 자신이 추구하는 음악적 지향과 예술적 해석을 반영한 소리이다. 그의 개성 있고, 독창적이며 자유분방한 소리가 현재까지 유성기 음반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m Chang-ryong's <Nolbojebiga>, recorded on [Ilchukchosunsoriban K637-A]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Kim Chang-ryong's Gwon Sam-deuk-je <Jebiga>, recorded on [Columbia 40249-A]. Kim Chang-ryong was a master singer known for his distinctive and original vocal style, supported by his exceptional vocal quality and technical skills. He was known to clearly differentiate between the traditional ‘myeongchang-je’ (a master singer's style) that he inherited from a senior master’s deonum sori and his unique ‘sori-je’ (a vocal style). This distinction can be inferred from examples in which he separately referred to the styles of senior masters and his own in the recording he made. In accordance with his musical orientation, Kim Chang-ryong tried to incorporate sori that took the audience’s taste into consideration and sinjo (new style) of musical elements in Ilchukchosunsoriban’s <Nolbojebiga>, Furthermore, he applied his artistic interpretation in method of crafting the lyrics and structuring sori composition, attempting to create new expressions within the continuity of tradition in <Nolbojebiga> and imbue with his freewheeling sori. In conclusion, Kim Chang-ryong's <Nolbojebiga> on Ilchukchosunsoriban is not a faithful reproduction of the ‘myeongchang-je’ inherited from the senior master Gwon Sam-deuk’s deonum sori, but rather a reflection of sori that reflect his musical aspirations, and artistic interpretation based on his outstanding skill.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his distinctive, original, and freewheeling sori has been preserved and still being conveyed through the phonograph records up to these days.

      • KCI등재후보

        이병도의 행적과 그의 역사관

        김삼웅(Sam-Woong Kim) 바른역사학술원 2017 역사와융합 Vol.1 No.1

        이병도는 현재 한국 역사학계에서 일종의 성역이 되었다. 이병도가 성역이 된것은 그의 역사관이나 행적이 존경할만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 사회 각계에 포진한 그의 제자들이 그를 우상으로 떠받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역사관과행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과연 한국 사회에 한 성역으로 존재하는 것이 마땅한 지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병도는 조선 후기 노론의 대표적 가문인 우봉이씨로 태어나서 와세다대학 문학부에 들어갔다. 처음 서양사를 전공하려다가요시다 도오고(吉田東伍))와 쓰다소우기치(津田左右吉)의 영향을 받아 조선사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후 조선총독부 직속의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일본인들이 조선총독부의 관점에 맞춰 한국사 전체를 왜곡하는 작업에 종사했다. 이병도는 이런 친일전력 때문에 해방 후 진단학회에서 제명 운동이 벌어졌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이 반공정책을 추진하고 1950년 6·25 한국전쟁으로 반공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를 뒤덮으면서 기사회생해 학계의 원로로서 승승장구했다. 이병도는 반공을 명목으로 수많은 민주 인사까지 공산주의자로 몰아 학살한 육군 특무대장 김창룡의 묘갈명을 썼다. 이 묘갈명에서 이병도는 “간첩오렬부역자 기타를 검거 처단함이 근 2만5천 명. 전시 방첩의 특수 임무를 달성하였다.”라고 2만5천명의 사람을 죽인 것을 큰 업적인 것처럼 칭송했다. 1960년 이승만 정권은 4·19혁명으로 붕괴되었지만 그 전리품은 보수정치인들이 차지하면서 이병도는 허정 과도정권에서 4개월간 교육부 장관을 맡았다. 이때 그는 학생들이 정치민주화와 친일파 청산으로 나가는 것을 극력 저지했고, 교원노조 활동을 극력 방해했다. 1961년 5·16 군사쿠데타가 발생하자 이병도는『최고회의보』창간호에 「5·16군사혁명의 역사적 의의」라는 글을 기고하여 쿠데타를 합리화시키는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1977년에는 당시 중앙정보부장이던김재규의 사주를 받아 사육신 유응부를 김문기로 대체하려 했고, 자신의 집안친척인 이완용의 관 뚜껑을 불살라 버리는 반 역사적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그는 20년 가까이 학술원 원장을 역임했고, 1980년부터는 8년 동안 전두환 정권의국정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평생을 친일, 친독재로 일관한 이병도가 현재도 국사학계의 태두로 추앙받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한국 국사학계가 왜 외국과 달리 국민들의 배척을 받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Lee Byung-do is treated as a sacred scholar in the Korean academe of history not by his scholastic achievements but by the idolization conducted by his academic descendents who formed a major influential lineup in diverse areas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Lee Byungdo’s personal records and view of histo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he is deserved for a sacred scholar. Lee was born as a scion of well known Woobong clan which was a representative family of Noron(老論), the central political force in late Joseon dynasty. He went on literature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Although he intended to major in western history, he studied Joseon history due to influences from Yosida Dogo(吉田東伍) and Theuda Shogichi(津田左右吉). After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he became a member of the Redaction Committee for History of Joseon which wa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Japanese vice-regal office, and participant in the projet to distort the history of Joseon in line with the guidelines made by the office. Lee was expelled from the Jindan Academic Association due to his pro- Japanese record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1945. However, he revived almost from death and made a long march flushed with senior scholar. His revival was attributable to overwhelmed anti-communism movement based on the policy of Lee Seung-man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war broken out in 1950. He admired Kim Chang-ryong who was the chief of counter intelligence corps of Korean army by writing epitaph for him. Kim was known to accuse many democratic figures of communists and massacred them. On the epitaph Lee praised Kim by stating that Kim eradicated 25,000 communists through arresting or killing suspects. Lee took the position of minister of education for four months in the Heo Jung’s interim government after the collapse of Lee Suung-man administration due to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During his tenure he blocked student movements toward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winding up pro-Japanese force, and interrupted activities of teacher’s union with an all-out effort. Lee contributed to justify the military coup d’tat in 1961 by writing an article under the title of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y military revolution’ on the first issue of 『Supreme Military Council Report』. He did not hesitate to conduct subversive activities contrary to historical facts: he attempted to replace Yoo Yeung-bu who is the one of four historic loyal subjects condemned to death with Kim Mun-gi, and burned the lid of his relative Lee Wan-yong’s coffin. He had been the chairman of the Council of Korean Academy for over twenty years, and a member of the Consultation Committee for State Affairs for eight years since Jeon Du-whan’s administration. The fact that Lee is treated as a luminary in Korean academic world of history in spite of his lifetime records of pro-Japanese and pro-dictatorship explains the reason why Korean people reject academic world of history contrary to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흥보가 중 제비가에 나타난 설정제의 구현 양상

        서정민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7 No.-

        This article studies the musical features of Sul-lung Je, one of the musical tunes of Pansori, based on the part of Jebi-ga(Song of Swallow), in Heungbo-ga(Farmer’s Song). Sul-lung Je is the term representing the people’s lively and cheerful walking figure. Since this tune corresponds to the part’s dramatic context, several celebrated singers refer to it as Sul-lung Je. Typical parts sung by Sul-lung Je are Jebi-ga part (the part in which Nolbo goes to hunt up swallows) in Heungbo-ga, Gunrosaryeong part in Chunhyang-ga, Namgyeongseonin part in Simcheong-ga, Haewongun Bangge part in Sugung-ga, and the part where a soldier comes out mumbling in Geokbyeok-ga. Among the parts sung by Sul-lung Je, Jebi-ga is Kwon Sam-Deuk’s deoneum. Kwon was one of the eight famous signers in the beginning. He was especially good at Heungbo-ga, and what has been transmitted as his deoneum is Jebi-ga. Therefore, Kwon’s Sul-lung Je is the oldest among the deoneums of Pansori and has been succeeded until now, so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musical history.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this study selected Jebi-ga in Heungbo-ga, one of the representative parts of Sul-lung Je, and compared analytically how it was sung by eight singers, Kim Chang-ryong, Im Bang-ul, Kim Yeon-su, Kang Do-geun, Park Nok-ju, Park Dong-jin, Park Bong-sul, and Park Cho-wol. Thereby,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mmon feature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through analyzing appearing tones, main tones, distinctive melodic patterns, and ending tones.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are as stated below. First, Sul-lung Je is one of the tunes of Pansori and has a tonal structure of ‘la-do'-re'-mi'-sol'-la'’. This tonal structure includes the melody of Pyeongjo. Second, it mainly uses the high range of ‘sol'-la'-do''’, so it provides feelings of suspense and exultation. Third, the first melody of the part repetitively uses the shouting ‘la'’. The tone ‘la’ occupies about 40% of the whole tune. Fourth, there exist two remarkable melodic patterns. One is the pattern in which the tone either falls down suddenly to an octave below centering around the ‘la'’ tone or goes up to an octave above abruptly. The other is the pattern that centers around Daru which uses ‘do''’ in the short poetic song twice or three times successively as rolling it fast. Finally, the cadence throws the rhythm and uses two or more rhythms freely. It uses oral sounds such as ‘yi-yi’ and ‘irueo’ and ends with low tones like ‘sol’ or ‘la’. This was added by well-known signers in the next generations; thus, it is presumed that its previous pattern did not use oral sounds but ended with Saseol as in Kim Chang-ryong’s cadence pattern. If follow-up researches study Gunrosaryeong part in Chunhyang-ga and Namgyeongseonin part in Simcheong-ga and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which has been examined here, Sul-lung Je will be defined in a more clear way. 본고는 판소리 악조 중 하나인 설렁제를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 대목을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연구한 글이다. 설렁제는 서민들이 씩씩하고 경쾌하게 걷는 모습을 나타내는 용어로 이 악조가 대목의 극적 상황과 일치하기 때문에 여러 명창들에 의해 설렁제라 불리 운다. 설렁제로 부르는 대표적인 대목은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놀보가 제비를 후리러 가는 대목)대목, 춘향가 중 군로사령 대목, 심청가 중 남경선인 대목, 수궁가 중 해원군 방게 대목, 적벽가 중 한 군사 떠들고 나오는 대목 등이 있다. 설렁제로 부르는 대목 중에서 제비가는 권삼득의 더늠이다. 권삼득은 초기 팔 명창 중의 한 사람으로 장기가 흥보가이고, 더늠으로 후세에 전한 것은 제비가라고 하였다. 따라서 권삼득의 설렁제는 판소리 더늠 중에서 最古의 것으로 현재까지 전해지므로 그 음악사적 의의가 매우 높다 하겠다. 따라서 설렁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설렁제의 대표적인 대목인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를 선택하여 김창룡․임방울․김연수․강도근․박녹주․박동진․박봉술․박초월 등 8명의 소리를 비교․분석하였다. 출현음과 특징적인 선율형, 종지음의 분석을 통해 제비가에 나타난 설렁제의 공통된 특징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제비가에 나타나 설렁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렁제는 판소리 악조 중의 하나로 ‘라-도'-레'-미'-솔'-라'’의 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음 구조 안에는 평조적 선율이 포함된다. 둘째, ‘솔'-라'-도''’의 고음역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긴장감과 고조감 등의 느낌을 갖는다. 셋째, 대목의 첫 선율은 ‘라'’음의 질러내어 반복적 사용한다. ‘라’음은 곡 전체의 약 40% 정도 쓰인다. 넷째, 두 개의 특징적인 선율형이 존재한다. 하나는 ‘라'’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아래로 음이 뚝 떨어지거나 반대로 옥타브 위로 갑자기 올라가는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가의 ‘도''’음을 빨리 굴려서 두 번 내지 세 번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다루를 중심으로 하는 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종지는 장단을 던져놓고 자유롭게 두 장단 이상을 사용하여 ‘이-이’․‘이루어’ 등의 구음을 사용하여 저음인 ‘솔’이나 ‘라’음으로 종지한다. 이것은 후대의 명창들에 의해 덧붙여진 것으로 그 이전의 모습은 구음이 아니라 사설로 마치는 김창룡의 종지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춘향가 중에서 군로사령대목․심청가 중에서 남경선인 대목 등을 연구하여 이상에서 살펴 본 제비가에서 나타난 설렁제의 특징을 종합하여 본다면 좀 더 명확하게 설렁제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충청지역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성과 지역성

        최혜진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present meanings through fieldwork and examine the history of Junggoje pansori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the in the Chungcheong region. For this, it was examined that the significant people in the pansori history and discusse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 the Chungcheong-do region. The contents researched in this study as follows:First, it was examined that the aim and characteristics of pansori in Chungcheong-do.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mastersingers of Gyeonggi-do and mastersingers of Chungcheong-do registered in the pansori history.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tents of activities focused on Junggoje mastersingers such as Go, Su-Gwan, Shim, Jeong-Sun, Lee,Dong-Baek, and Kim, Chang-Ryong who was borned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performed brilliant exploits, and new information got through fieldwork was put in. Third, Junggoje pansori is the pansori passed down between two province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ut they are different by examining in details. There are Gyeonggi pansori area and Jeolla pansori area in Chungcheong region, so it has been passed down focused on two areas largely.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are pansori is divided into Naepo area and Geumgang area. Fourth, it was revealed that Junggoje was passed down with liquidity for lyrics or music of pansori were not fixed by examining lyrics of Junggoje pansori passed down. Above research results is significant that it was revealed the own aspects of pansori transmission of Chungcheong region. 본 연구는 충청지역에 전승된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를 살피고, 현장 답사를 통해 현재의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판소리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을 살피고 충청지역 판소리의 지역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도의 판소리적 지향과 특성을 살폈다. 판소리사에 기록된 경기도 명창과 충청도 명창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음악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충청지역 출신으로 크게 활약한 중고제 명창인 고수관, 심정순,이동백, 김창룡을 중심으로 그들이 활약했던 내용을 알아보고 현장 답사를통해 얻은 정보를 실었다. 셋째, 중고제 소리는 경기도와 충청도 양도간에서 전승된 소리이지만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르다. 충청지역은 경기소리권이 있고 전라소리권이 있어서 크게 두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즉 내포권과 금강권으로 나누어지는 소리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넷째, 전승되는 중고제 소리의 사설을 비교하여 중고제는 사설이나 음악이 고정되지 않아 유동성있게 전승되었음을 밝혔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판소리사와 관련하여 충청지역 특유의 판소리 전승양상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의 의의와 음악적 활용 방안

        김혜정 남도민속학회 2018 남도민속연구 Vol.36 No.-

        Jung-go-je Pansori started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in the 1990s with a unique style from the Chungcheong region. The paper has been aimed at organizing the results of jung-go-je Pansori studies and finding a way to transfer them. The outcome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Jung-go-je Pansori is a unique feature of a plot or content. The musical features also feature Chungcheong-do folk songs. Howev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inger are also strong. Koreans use regional dialects. The dialect may seem to be recognized as an accent or a special word, but in reality it is different from the way it is spoken and sounded. The current Pansori is too southeasterly. However, if Pansori is a revival of a music that is loved by many people, the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xpand its area of entertainment. In that sense, I think the current value and meaning of jung-go-je Pansori can be illuminated. 판소리 중고제는 1990년대에 학계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으며 판소리의 연원이나 지역적 특징이라는 면에서 관심이 촉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중고제 논의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므로 중고제의 음악적 정체성을 정리해 볼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활용론적 입장에서 기존 중고제 음악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그를 통해 앞으로의 전승 방안을 찾아보려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고제는 대목 구성이나 사설의 내용 등에 있어서 동편제나 서편제와는 다른 구성이 보인다. 악조에 있어서는 평조의 강세와 계면조의 약세가 강하게 드러나며 더 세부적으로는 하행하여 정격종지를 한다거나 계면조에서 꺾거나 떠는 시김새가 약해지는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장단에 있어서는 중고제 내에서도 서로 다른 특성들이 보인다. 결과적으로 방진관, 심정순, 이동백, 김창룡의 네 명창만을 두고 보더라도 각기 음악적 지향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판소리가 살아있는 음악문화였기 때문에 나타날 수밖에 없는 당연한 결과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편제나 서편제의 명창들과 구별되는 차별점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도 명백하다. 한국인들은 지역별로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은 억양이나 특별한 단어로 인식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발성과 음색부터 다르다. 현재의 판소리는 지나치게 남도화되어 있다. 남도민요에 사용되는 음계, 즉 계면조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남도 지역 출신 명창들의 숫자가 많고 그들이 더 많이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 되어 있다. 하지만 판소리가 진정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음악으로의 재기를 꿈꾼다면 향유지역과 미적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중고제의 현재적 가치와 의미가 조명 받을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중기 특무대 기능 팽창과 특무대장의 암살

        정주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1 국가정보연구 Vol.14 No.1

        In the middle of the Syngman Rhee government, Korean Counter Intelligence Corps even served as a national intelligence. It wasn't just a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s. Kim Chang Young, the head of an agency with such a stature, was assassinated on January 30, 1956. As a result, Syngman Rhee's military leadership was damaged, because long-term in Kim was suddenly cut. Until now, many people have diagnosed Kim's self-righteousness and arrogance as the reasons for his assassination. However, there were external factors other than personal matters to his death. Withdrawal of Unite States CIC at the very moment of the Korean War, The continuation of the quasi-war state triggered by the military revolt, Enactment of laws regulating anti-state forces. Investigation of left-wing in the military, Judicial action of those who cooperated with the communist army, These factors have strengthened the role of KCIC. In addition to it, Syngman Rhee relied on CIC for national management intelligence. Syngman Rhee and Kim's private contact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CIC. At that time, Syngman Rhee used KCIC as an agency to control the military, which grew into the largest social group in Korea. As a result, the military's operational power and intelligence power were divided and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creased. Kim's death was the outcome of such a struggle. It was a result of structural factors caused by the absence of a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This stud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of national intelligence in that it approaches Kim's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tructure, not from his character. 이승만 정부 중기 특무대는 대통령을 보좌하는 국가정보기관의 기능까지 수행했다. 단순한 군사정보기구가 아니었다. 그러한 위상을 지닌 특무대의 김창룡 대장이 1956년 1월 30일 암살됐다. 장기간 특무대장으로 재임한 그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이승만의 군부통치에 차질이 생겼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그동안 김창룡 개인의 독선과 전횡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하지만 그의 죽음에는 그의 권한을 확대시켜준 외재적 요인이 있었다. 한국전쟁 직전 미 방첩대의 철수, 군사반란의 다발로 인한 준전시 상태의 지속, 국가보안법 제정 등 반국가사범에 대한 규제 강화, 군내 좌익색출 수사, 한국전쟁 시기 부역자 처리 등이 특무대의 기능을 강화시켰다. 그와 함께 이승만은 특무대를 통해 통치정보를 수집하고 통치권 위협사건에 대해 조사시키는 한편 특무대장을 수시 독대함으로써 특무대의 입지가 더욱 강화됐다. 또한, 이승만은 한국전쟁을 겪으며 한국 최대 사회집단으로 성장한 군부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특무대를 활용했다. 그 결과 군 통수체계가 작전권한과 정보권한으로 이원화되어 양 권한이 충돌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이러한 마찰은 결국 김창룡 특무대장의 암살로 귀결됐다. 국가정보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국가정보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한 국가정보구조적 결함이 특무대장 암살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이 연구는 이승만 정부를 지탱하던 핵심정보기관이었던 특무대의 수장이 암살된 사건의 원인과 배경을 김창룡 개인의 캐릭터 이외 국가정보구조적 관점에서 해부했다는 점에서 국가정보사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