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金吾契帖의 제작관행과 신경향

        윤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1

        The GeumoGyechop(金吾契帖) is a material of recording the ritual of Myeonshinrye(免新禮). It consists of a list that includes figures who participate in the ceremony and painting that shows the building of the Uigumbu(義禁府). First, this paper looks into the production practice of GeumoGyechop(金吾契帖)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econdly, explores the drawing of GeumoGyechop(金吾契帖), which broke away from the existing model and presented a new propensity. This explains:(1)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a large quantity of GeumoGyechop(金吾契帖) produced by frequent replacement of the members of the Uigumbu(義禁府), and (2)the process of seeking a new format from the Gyechop(契帖) to the Sichup(詩帖). 1. Many new members of the Uigumbu, participating in the Myeonshinrye(免新禮), have produced several copies of the GeumoGyechop(金吾契帖). It was intended to distribute to senior members of the Uigumbu(義禁府). However, there is another kind of GeumoGyechop(金吾契帖) made to commemorate the fraternity of former and present members. Therefore, we compare the two types of GeumoGyechop(金吾契帖) in the following sections :(1) <UigumbuDo(義禁府圖)> drawn by Jeongseon and (2) <GumnangGyechop (錦衣郞契帖)> created by his successor. They express the practice of Myeonshinrye(免新禮) and the fraternity meeting respectively. 2. The drawing of the GeumoGyechop(金吾契帖) shows a loose trend in the 17th century and a relatively realistic trend in the 18th century. And in the 19th century, it was changed to a formal style of painting the Uigumbu(義禁府) building. However, this mainstream of the 19th century aroused a new tendency depicting a meeting at an outdoor attraction. After this new trend, we can also see the emergence of Sichup(詩帖). We can see this change in the 19th century’s re-produced GeumoGyechop(金吾契帖), by the descendants of Lee Hongjo(李弘祚), adding the scenes of Sansu(山水) and Ahoe(雅會) to one made in the 17th century. A flow of change is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emotional side by breaking through the typical designs of the mass-produced GeumoGyechop(金吾契帖). The attempt can be interpreted as a tendency of the to turn Myeonshinrye(免新禮) into a classy culture, which was rather violent or mischievous. 金吾契帖은 義禁府都事들이 제작한 기록물로서 명단을 적은 座目과 의금부의 청사를 그린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금오계첩의 제작 규정을 실증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기존에 알려진 금오계첩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향을 예시한 계첩의 그림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금오계첩이 오랫동안 量産된 배경에는 의금부도사들의 신고식 관행인 免新禮가 자리 잡고 있었다. 신임 도사는 면신례 때 10점의 금오계첩을 준비하여 선배 도사들과 나누어 가졌다. 그러나 면신례의 관행과 달리 전․현직 도사들의 친목 모임을 기념하여 제작한 계첩도 전하고 있다. 면신례의 ‘관행’과 사적인 ‘친목’의 도모를 위해 그려진 두 유형을 鄭敾이 그린 <義禁府圖>와 후임 도사가 제작한 <錦衣郞契帖>을 통해 검토하였다. 임진․병자 양란 이후 17세기 금오계첩의 그림은 소략한 형태로 그려졌다. 18세기 이후 사실성이 강화되지만, 19세기에는 다시 이전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돌아와 머물렀다. 이에 대한 반향으로 의금부 청사가 아닌 야외 명소에서의 모임 장면을 그린 계첩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이후 기존의 계첩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詩帖의 형식으로 변모해 가는 단면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17세기의 금오계첩에 山水와 雅會의 장면을 그려 넣어 19세기에 다시 만든 사례를 李弘祚 소유의 계첩 3점을 통해 검토하였다. 詩帖의 제작과 改作의 사례는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금오계첩의 그림에서 탈피하고, 화격을 높여 감상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금오계첩의 시첩으로의 변화와 개작이 진행된 이면에는 의금부도사들이 회합의 관행을 아취 있는 문화로 바꾸어 가려는 성향을 읽을 수 있다. 조선후기 의금부에서는 도사들의 교체가 빈번했던 만큼 많은 수량의 금오계첩이 제작되었다. 높은 화격의 추구와 詩帖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기록화의 새로운 장을 예시해 주었다.

      • KCI등재

        韓國禁口形金鼓의 造形과 展開

        최응천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우리나라의 금고는 통일신라 9세기쯤 禁口라는 명칭이 정립되고 측면이 두터우면서 뒷면이 안으로 좁아진 共鳴口를 형성한 형태에서 출발하여 고면에는 아무런 문양이 시문되지 않다가 점차 撞座주위로 간략한 연화문이 시문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와 후면의 공명구가 확장된 새로운 금고 형식인 盤子形금고, 즉 1형식 금고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麟角寺출토 금고와 같은 통일신라의 禁口形金鼓는 고려시대 12세기 중엽 쯤 부터 다시 보이기 시작하는데 후면의 작은 공명구를 뚫는 형식은 따르고 있지만 側幅이 그다지 두텁지 않아 고려 반자와의 절충 양식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12세기 이후에 들어오면 측면의 폭이 두터워지는 통일신라 금구형 금고의 형식을 계승한 작품이 제작되었고 ‘禁鼓, 禁口’와 같은 전대의 명칭을 다시 사용하였다. 고려 금구형 금고의 획기적인 변화는 13세기 초에 이루어지는데, 후면의 공명구가 완전히 막히고 측면에 裂口式공명구가 뚫리는 일본 와니구찌[鰐口]식 금고의 출현이다. 그 시기는 지금까지 알려진 景禪寺銘금구(1214년)보다 앞선 1204년 觀音寺銘금고가 가장 이른 예로 새롭게 밝혀졌다. 이처럼 고려시대의 禁口形金鼓는 12세기까지 뒷면에 작은 공명구가 뚫린 통일신라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13세기 초부터 앞, 뒤가 막히는 새로운 고려 금구형 금고가 만들어지게 되어 새로운 계승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남아있는 명문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이 두 가지 형식은 금구라는 통일신라의 명칭을 중심으로 吏讀式표현만이 다를 뿐 당시에도 이 두 가지 형식을 금구의 범주에 넣어 이해하였다는 점을 파악해 볼 수 있다. 13세기 전반 이후에는 금구형 금고 대신 고려시대의 새로운 형식인 반자형 금고가 주로 제작되어 13세기 말까지 금구형 금고의 예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가 14세기에 들어와 두 점의 금구형 금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1351년에 제작된 感恩寺址반자의 명문에 기록된 飯子와 禁口의 명칭을 분명히 구분하여 기록한 점을 통해 고려 말까지 금구형 금고가 꾸준히 제작되었던 사실을 입증해 준다. 조선시대의 금구형 금고로서는 일본 對馬島普光寺소장 梵字文금고가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작품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따라서 통일신라 9세기 중엽 경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뒷면에 작은 공명구가 뚫린 한국의 금구형 금고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두 가지 형식으로 계승을 이루다가 고려 후기에 와서는 2 형식은 사라지는 대신 3형식만이 남게 되고 조선 전기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The terms ‘Kumku’(禁口) and the form of Korean Buddhist gong were set up at 9th Century Unified Silla. In form Buddhist gong of 9th Century Unified Silla the side got thicker and the back formed resonance mouth was into narrow(2nd type). The frontal that was no patterns was decorated with lotus design around the striking point. Coming to Goryeo period, however, Banja-shaped Buddhist gong(1st type) that was the wider resonance mouth of the back began to be produced.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Unified Silla like Buddhist gong excavated at Ingaksa temple site began to appear again in the 12th century. This type followed the narrow resonance mouth, however, the width of side was narrower than that of Unified Silla. But after the 12th century,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that inherited style of Unified Silla not only began to make but also followed the traditional terms. In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the epoch-making changes occurred in the early 13th century. This type so called Waniguchi(鰐口) style formed side resonance mouth instead of the back resonance mouth(3rd type). Until now the oldest Waniguchi style gong was the Buddhist gong with the inscription Gyeongseonsa temple(景禪寺) that was made in 1214, but the Buddhist gong with the inscription Gwaneumsa temple(觀音寺) in Japan turned out to be the oldest on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maintain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style until the 12th century,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style was made in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According to inscriptions on the gong, Kumku-shaped and Banja-shaped Buddhist gong were different in Idu(吏讀) representation. But these two types were understood byput in the same category.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that was not made from the early 13th century to the late 13th century began to be made coming to the 14th century.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with Sanskrit characters of Hokuji temple(普光寺) in Tsushima of Japan is likely to be made in the early Joseon.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Unified Silla that started to show up in the middle 9th century formed a narrow resonance mouth in the back. Coming to Goryeo period,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that inherited the former style developed two different types, Kumku-shaped and Banja-shaped Buddhist gong. For the late Goryeo period 3rd type Buddhist gong still remained, in addition this type Buddhist gong lasted by the early Joseon period.

      • KCI등재후보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 시의 창작 배경

        明平孜 ( Pyoung-ja Myo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2 韓國思想과 文化 Vol.105 No.-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 1742~1801)은 급변하던 18세기에 정치사적·실학사적·종교사적·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사람이다. 이 논문은 이 중 문학사적 측면, 특히 금대의 시 창작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금대의 시 창작 배경에는 가학(家學) 중 특히 18세기 중후반의 문단을 주도했던 혜환(惠寰) 이용휴(李用休)의 영향을 꼽을 수 있다. 혜환과 금대는 일종의 파격시라 할 수 있는 육언시(六言詩)의 창작에 마음을 쏟았고, 공통적으로 개성을 강조하는 시풍을 견지하며 청신(淸新)의 품격을 추구하였다. 또한 육경(六經)과 역사서(歷史書)를 학문의 근간으로 삼아 당우·삼대의 시대의 사상을 이해하고 성인들의 치도 이념을 체득하여 요순지치(堯舜之治)·삼대지치(三代之治)를 회복하려 하였고, 경세의 관점에서 경세제민, 애민긍휼의 시들을 다수 창작하였다. 금대의 김화 유배 역시 금대의 시 창작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김화 유배가 안겨준 시간적 ·정신적 여유는 도리어 금대로 하여금 삶을 관조하며 현실을 새롭게 자각하는 계기가 되어 시로 승화되어 표현되었다. 금대는 정주 목사 시절에 20편 가까이 시를 지었고, 김화 유배 시기에 그가 남긴 시 작품 중 절반 가까운 시를 창작하였다. 김화(金化) 유배를 계기로 금대는 백성들의 삶의 현장을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게 되면서, 그가 목도한 백성들의 현실을 백성의 입장에서 소리 높여 고발하였다. 금대의 시 창작활동의 또 다른 배경으로는 활발한 시사(詩社) 및 시회(詩會) 활동을 들 수 있다. 금대는 천수경(千壽慶)이 중심이 되어 만든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를 비롯하여 옥계시사(玉溪詩社)에서 활동하였다. 이 중 송석원시사는 규약을 정하고 시사를 결성하여 정기적인 시모임을 가졌던 시 공동체로서 금대는 이 모임을 계기로 다양한 시사(詩社) 또는 시회(詩會)에 가입하여 동인들과 시로서 교유하였다. 금대는 또 화산시사(華山詩社)나 채제공(蔡濟恭) 등이 주축이 되어 만든 번리시사(樊里詩社)에도 참여하고 정약용이 문인들과 함께 만든 죽란시사(竹欄詩社)의 동인들과도 교유하였으며, 18인의 기로(耆老)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백사(白社) 모임에도 빠지지 않는 등 시사(詩社) 또는 시회(詩會) 활동을 하는 중에 다수의 시를 창작하였다. Geumdae (錦帶) Lee Ga-hwan (李家煥, 1742~1801) was a figure positioned importantly in the 18th century when things were changing rapidly in the aspects of political history, Silhak history, religious history, or literary history. Among them,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aspects of literary history, particularly the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ems. The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ems was influenced by Gahak (家學), particularly Hyehwan (惠寰) Lee Yong-hyu (李用休) who led literary circles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Both Hyehwan and Geumdae were immersed into writing Yukeon-si (六言詩) that can be said to have been a sensational form of poetry then, and they both adhered to the poetic style stressing individuality and pursued the dignity of Cheongsin (淸新). Also, they understood ideas in the times of Dangwoo · Samdae having six scriptures (六經) and books on history (歷史書) as the grounds of their learning, tried to recover Yosunjichi (堯舜之治) and Samdaejichi (三代之治) by acquiring saints’ ideology of ruling, and created a number of poems regarding Gyeongsejemin or Aemingeunghyul from the perspective of ruling the world. Geumdae’s exile in Gimhwa (金化), too, formed a crucial background of his creation of poems. Mental composure he regained through his exile in Gimhwa having enough time to spare rather allowed him to have chance to meditate on life and think about the reality in a new way, and this was expressed in his poems through sublimation. Geumdae composed up to 20 pieces of poems while he was appointed as Jeongju Moksa, and he wrote almost half of the works he left during his exile in Gimhwa. Taking his exile in Gimhwa as an opportunity, Geumdae could watch the scenes of the people’s lives right next to them and disclosed the people’s reality he witnessed vociferously from their standpoint. Another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mes is his positive involvement in Sisa (詩社) or Sihoe (詩會) activities. Geumdae joined in Okgyesisa (玉溪詩社) including Songseokwonsisa (松石園詩社) which was formed by Cheon Su-gyeong (千壽慶) as its lead. Among the societies, Songseokwonsisa was a poetry community having regular gatherings for poetry after establishing rules and organizing Sisa, and with the chance of being engaged in the society, Geumdae joined in many other Sisa (詩社) or Sihoe (詩會), too, to exchange with the members through poetry. Geumdae also participated in Beonrisisa (樊里詩社) organized by Hwasansisa (華山詩社) or Chae Jae-gong (蔡濟恭) as its pivot, associated with the members of Jukransisa (竹欄詩社), too, which was formed by Jeong Yak-yong with other literary persons, and hardly missed to attend the gatherings of Baeksa (白社), too, which was organized by 18 Giro (耆老) as its pivot. While he was involved in Sisa (詩社) or Sihoe (詩會) activities in that way, he created a number of poems.

      • KCI등재

        18~19세기 서해(西海) 도서주민(島嶼住民)의 거주 양태-백령도(白翎島) 거주 김해(金海) 김씨(金氏) 일가의 고문서(古文書) 자료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에서 백령도로 이주한 김해 김씨 일가의 약 130여 년 간의 생활 모습을 고문서 및 호적 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백령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섬 생활과 관련된 58건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51건이며,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 및 매매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건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는 先祖가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 고을인 長淵에서 백령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백령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백령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백령도에 수군진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이었다. 둘째, 백령도 김해 김씨 入島祖의 신분은 평민층이었으나 이후 그 후손들 중 일부는 19세기 중엽 이후 양반 및 중인층으로 신분을 상승시켰던 반면, 일부는 19세기 말까지도 평민층의 신분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김해 김씨 일가는 전반적으로 도서지역 내에서는 최고 지배층 가운데 하나로 신분을 상승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일부 남아 있는 매매 관련 고문서 자료를 통해 김해 김씨 일가가 경제력 신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김해 김씨 일가는 수군진의 요직을 수행하면서 세금 징수 및 특산물 供出에 적잖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렇듯 권력과 정보력, 노력이 누적되어 김해 김씨 김두기 일가는 현재 백령도의 최대 가문으로 자리 잡았던 것이 아닌가 보여 진다. This paper analyzes ancient documents and census registers related to Kimhae(金海) Kim(金) family, who moved from interior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ts members left fifty-eight sheets of material about their lives in the island. Fifty-one of them are census registers, and the rest are certificates of appointment and agreements for deed, etc. In case of ancient documents of Joseon Dynasty era, almost of them have been preserved by descendants of yangban(兩班) who have lived inland area. It is very rare that insular people from non-yangban class have kept nearly sixty sheets of paper and introduce them to the academic world. Thanks to them, we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hey have liv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er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Kimhae Kim Family's people moved from Jangyeon(長淵), inland town of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orm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ir migration was a government policy to reinforce maritime defense. The government set up the naval post and moved people there, when pirates began to appear frequently. Secondly, its people were originally commoners when they first moved to the island. Some of them were yangban or middle-class since mid-19th century, while rest of them were commoners eve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enerally speaking, the family had flourished ever since, and was able to be one of the strongest family in the island. Thirdly, it is common that children's names were not written on the census regis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owever, people of Kimhae Kim family wrote all the names of their children, even their young daughter. There are no children's names on the census register written in other islands with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they had a very different idea about their children. Finally, people of Kimhae Kim family constantly tried to improve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probably involved in collecting tax and products, assuming an important office at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Kim Du-Gi’s family was able to be the biggest family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efforts.

      • KCI등재

        중국 지장신앙의 연원(淵源)과 김지장(金地藏)

        김진무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중국에서 지장신앙이 일어나게 된 것은 비교적 늦은 당대(唐代)에 이르러서였다. 특히 지장신앙이 다른 보살신앙과 다른 점은 바로 실존인물에 의하여 출현했다는 것이고, 우리에게 더욱 의미가 있는 것은 지장신앙이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일어나게 된 계기가 바로 구화산에서 신라 왕자 출신인 김지장(金地藏, 696-794)의 행화(行化)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지장을 중심으로 지장신앙이 어떻게 발현되었는가에 대하여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김지장과 관련된 자료는 구화산화성사기(九華山化城寺記) , 송고승전(宋高僧传) , 신승전(神僧傳) 및 여러 종의 구화산지(九華山志)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 가운데 당대(唐代) 비관경(费冠卿)이 찬술한 구화산화성사기 는 년대가 가장 빠른 까닭으로 믿을 만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분명한 사실을 유추하였다. 첫째, 김지장이 왕족출신이고 신라로부터 도래했으며, 구화산에서 홀로 수행하였다는 사실이다. 둘째, 이러한 김지장의 수행으로부터 구화산 주변에 많은 단월(檀越)들이 형성되었고, 또한 승중(僧衆)들이 모여들었고, 그에 따라 사찰을 건축하여 ‘화성사(化城寺)’가 출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점차 교화가 널리 퍼지게 되자 드디어 ‘본국(신라)’에까지 알려지게 되어 수많은 승려들이 도래하여 무리를 이루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김지장은 철저하게 ‘좌선’ 수행을 중시했고 노동을 했다는 기사(記事)로부터 지장경전과 삼계교(三階敎)의 영향을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넷째, 김지장의 입적 후에 다양한 신이(神異)가 나타나 성인(聖人)의 화신으로 모셔졌으며, 점차 구화산(九華山)이 지장보살도량(地藏菩薩道場)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김지장이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받들어지게 된 것에는 김지장의 법명으로부터 행화(行化) 및 입적 후 여러 가지 신이(神異)가 경전에서 표현되는 바와 상당히 일치하기 때문이었다. 김지장의 입적 이후 당말(唐末)․오대(五代)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점차로 전설이 추가되어 많은 이들에게 무한한 감화를 주었다가 명대(明代)에 이르러 황명(皇命)에 의해 김지장은 지장보살의 화신(化身)으로 인정되었으며, 구화산(九華山) 역시 공식적인 지장보살성지(地藏菩薩聖地)가 되었던 것이다. It was relatively late and not until the Tang period that the Chinese belief in Ksitigarbha started. The difference of Chinese Ksitigarbha worship from that of other bodhisattvas was it was caused by a real person; more significantly to us, the arising of such a belief was occasioned by the educating activities of Gim Jijang (金地藏, 696-794), a prince of the Silla dynasty, at Mt. Jiuhua. Thus, this article briefly examined how the belief in Ksitigarbha manifested itself in China while focusing on Gim. Reference materials on Gim are chiefly Jiuhua shan huasheng si ji 九華山化城寺記 , Song gaoseng zhuan 宋高僧传 , Shenseng zhuan 神僧傳 , and various kinds of Jiuhua shan zhi 九華山志 . Among them, Jiuhua shan huasheng si ji by Fei Guanqing 费冠卿 is the most trustworthy as it was the first to appear.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it thoroughly and then inferred the following four clear facts. First, Gim was born of a royal family coming from Silla and disciplined himself alone on Mt. Jiuhua. Second, on account of his practice lots of donators and Buddhist monks assembled and as a result Huacheng Temple 化城寺 came to be built.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his transformational activities he became known to his home (Silla), which led numerous Silla Buddhist monks to come across the border to the temple making a large congreg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cord of his emphasis on rigorous sitting in meditation and physical labor Gim was presumably influenced by the Ksitigarbha Sutra and the 'Three Stages Teaching' 三階敎. Fourth, there appeared various miracles after his death and then he was enshrined as the incarnation of a saint. These gradu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t. Jiuhua as the practice site of Ksitigarbha. The reason for the personification of Gim as Ksitigarbha was that a variety of thaumaturgy after his death significantly coincided with the description in the sutra. After passing through the chaotic periods of the later Tang and the Five Dynasties, gradual additions of legends had made an everlasting impression on many people and by the Ming era Gim Jijang was finally recognized as the incarnation of Ksitigarbha by the imperial order while Mt. Jiuhua became the official sanctuary of Bodhisattva Ksitigarbha.

      • KCI등재

        김화(金化) 유배기 이가환(李家煥) 한시(漢詩)의 전개 양상과 문학적 가치

        김동준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59 No.-

        이 논문은 정조 대의 저명한 인물인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의 한시 가운데 특히 김화(金化) 유배(流配) 과정 및 금화 현지에서 남긴 작품을 대 상으로 삼아 문학적 성격과 가치를 고찰한 결과이다. 김화 유배기의 한시 는 현전하는 이가환의 작품 중 문학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높을 뿐 만 아니라 이가환의 정신을 이해하는 데도 핵심이 되는 자료들이다. 유배 자로서의 비감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연구사와 달리, 본고에서는 유 배 체험이 오히려 이가환의 한시를 풍부하고 깊이 있게 만들었다는 관점 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제2절에서는 정주 → 한양 → 김화의 동선을 따라 유배되는 과정 에서 그가 관서(關西) 사민(士民)들의 숙원을 대면하는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관서의 사민들과 이별하는 과정에서 남긴 시편들에는 관서 차별을 비판하는 태도와 현지인들에 대한 동감이 담겨 있었다. 이곳에서 인연을 맺은 선비들은 훗날까지도 이가환과의 인간관계를 이어나가며 깊은 교감을 나누게 된다. 제3절에서는 유배지인 김화의 정치적·지리적 조건을 미시적으로 살핀 다음, 유배지인 이곳이 이가환 본인에게 한지(閒地) 방출(放出)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사실과 유배 생활 중의 복합적인 감정을 헤아려보았다. 부자유 한 처지에서 발원한 우수의 서정이 김화 유배기의 정서 기조 중 한 갈래 였음은 부정할 수 없으나, 그는 점차 현지에 적응하면서 안정과 여유를 찾고 자신의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된다. 이어 제4절에서는 작품 분 석에 중심을 두고 유배 체험에서 계발된 감성과 시적 형상을 고찰했다. 격렬한 정치 투쟁으로부터 멀어진 대신, 유배자가 된 그는 고요한 반성과 자아의 대면, 사람 간의 진정한 어울림, 동지적 연대와 격려, 민생의 현장 에 대한 밀착 보고를 시로 전환하여 표상해내었다. 이런 면모는 이가환 한시의 성숙도를 가늠하게 해주는 징표들이었다고 판단된다. 제4절에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서 이가환 한시의 가치를 되새김하였다. 자신에게 닥친 불운을 상대하면서도 타인과 세상의 아픔을 응시할 줄 알았던 태도 가 이가환 한시를 빛나게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bout the works of Sino-Korean poetry of Geumdae (錦帶) Lee Ga-hwan (李家煥), a distinguished figure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works which he left during his exile life in the Gimhwa (金化) region. Among his works that have continued up to now, the Sino-Korean poetry that he composed during exile is not only highly worthwhile to be noted in the literary terms but also play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his spirit. This study began to discuss it, from the viewpoint that his exile experience rather gave birth to an abundant and profound Sino-Korean oetry,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 focusing on the tragedy of exile. Section two conducts a careful review of how Lee Ga-hwan would witness the old grudges of Gwanseo (關西) residents, in the course of his being exiled along the route from Jeongju (定州) to Hanyang (漢陽) and the Gimhwa region. His poetry that he left, saying farewell to Gwanseo residents, reflects his critical attitude towards discrimination against Gwanseo, and his sympathy for the local residents. The Confucian scholars who had got acquainted with Lee Ga-hwan in the region continued human relationships and deep communions with him. Section three explores that the Gimhwa region, a place of his exile, was perceived by him as a little free place where he was chosen under the grace of the King, examining a lot of feelings that he had during his exile life. In the face of a grief he felt in his unfortunate condition, he began to have the stability and relaxation, confronting his situation, while he was being adapted to the place of exile. Subsequently, section four considers the sentiment and poetic image that Lee Ga-hwan developed during his exile life,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poetry. Although Lee was free from cutthroat political strifes in the central political circle, in his poetry he embodied calmness and sincere communion with others, and reported about civil life. Such themes are considered the tokens indicating the maturity of Lee Ga-hwan’s Sino-Korean poetry. Section four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reconsiders the value of Lee Ga-hwan’s Sino-Korean poetry. The section views that his attitude of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pain of other people and the world, in his adversity, brought light to Lee’s Sino-Korean poetry.

      • KCI등재

        <金仙覺>의 소설사적 전통과 <구운몽>

        김민정(Kim, Min-j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2 No.3

        본고는 <금선각(金仙覺)>의 소설사적 전통에 주목하였다. <금선각>은 <장풍운전>의 한문본이다. <장풍운전>은 국문으로 된 판각본 영웅소설로 대중적인 성향의 소설을 지칭하는 반면, <금선각>은 한문 필사본으로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개별적인 소통 방식을 가진 작품을 뜻한다. 이런 점에서 <금선각>의 발굴은 새로운 단계에서 소설사적 전통을 논의해야 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고는 외형적 측면에서 <금선각>과 <구운몽>의 특징을 살폈다. <금선각>은 표제의 지향과 의미, 장회의 형식과 분리 방식, 삽입시가를 비롯한 다양한 문예문, 삽화 등의 여러 측면에서 <구운몽>과 닮았다. 하지만, 인물의 형상이나, 동일한 모티프를 통해서 지향하는 바는 일정한 거리를 보였다. 예컨대, <구운몽>의 양소유는 풍류재자로서, 인간세상에서 가장 풍류로운 삶을 살다가 그 삶에 회의를 느끼고 다시 연화도량의 청정(淸淨)한 삶으로 회귀하는 구성에 적합한 인물 형상이다. 반면, <금선각>의 두영은 절박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는 '가족의 재회'와 '가족의 재구성'에 삶의 절대적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런 점에서 <금선각>은 외형적 측면에서는 <구운몽>과 닮았으나, 주제적 측면에서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 이것은 <금선각>이 형태적 측면에서는 <구운몽>의 문학적 전통을 수용하였지만, 주제사적인 측면에서는 <구운몽>의 문학적 전통이 변용된 결과라 하겠다. This paper focuses on novelistic tradition of <Gemseongak>. For <Gemseonga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tudying <Jangpungunjeon> as Chinese version of <Jangpungunjeon> and studying <Gemseongak> itself. Because normally <Jangpungunjeon> stands for a woodblock-printed book hero fiction, however <Gemseongak> means a Chinese manuscript. This means it is not an official popular novel, but communication of individual work unit by an intellectual. In this regard, finding <Gemseongak> causes a need for discussing novelistic tradition at new stage. Most of all, characteristics of <Gemseongak> and <Guunmong> in terms of outward forms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outward forms including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title, the type and seperation way of Janghoe, various aspects of literatures such as insertion poetry and motif, <Gemseongak> are very similar to <Guunmong>. However, there is difference when it comes to image of the character, and what it aims with the same motifs. For example, Yangsoyu in <Guunmong> is a clever man of taste, and someone fits to the structure of going back to the clean life after being skeptical by living a tasteful life in human world. On the other hand, Doyoung in <Gemseongak> is characterized as a person who has a desperate life, unlike Yangsoyu. Absolute value of his life was on "Family reun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family". Thus, <Gemseongak> is very smilar to <Guunmong> when it comes to outward forms, but there is a distance when it comes to thematic aspect. This shows that <Gemseongak> accepted literary tradition of <Guunmong> for morphological aspect, but when it comes to the thematic aspect, it is a result of literary tradition transformation of <Guunmong>.

      • KCI등재

        금대(金代) 동경(銅鏡)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 여건

        박진경 ( Park Jin-kyung ) 동양미술사학회 2024 동양미술사학 Vol.18 No.-

        금(金, 1115~1234)이 적극적으로 시행했던 관영수공업 체제와 정책에 주목해 금대 동경(銅鏡)의 새로운 경향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금에서는 요, 송계로 구분할 수 있는 전통적인 양식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폭포, 나무, 암석, 누각 등을 이용해 회화적인 화면구도로 재구성한 금계 동경들이 제작되었다. 원근법과 상하 구도를 적용한 화면 구성이 거울의 한정된 공간 속에 적용되었고,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선경의 세계를 표현하거나 관폭도와 같이 떨어지는 폭포를 바라보는 장면들이 동경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12세기 초부터 금의 수도가 세워졌던 상경성 내지(지금의 黑龍江省 阿城 부근)의 관영 공방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금 초기부터 관영수공업 체제에서 동경의 주원료인 구리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동경을 제작하였고 동원(銅院), 경자국(鏡子局), 주경소(鑄鏡所)와 같은 관서를 별도로 조직해 체계적으로 동경을 제작 및 관리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한편 중앙관청 중에도 공예품의 제작과 장인의 운영을 담당했던 소부감과 관련이 있고, 그중에서도 금속공예품의 도안을 담당했던 도화서 소속의 장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금 정부는 실력 있는 외부 장인들을 정책적으로 상경성에 집중시켰다. 여진의 토착문화와 기타 여러 민족의 외래문화가 상경성 내지를 중심으로 흡수 및 통합되면서 금만의 새로운 동경들이 제작될 수 있었다. The new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mirrors during the Jin Dynasty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the Government Office Handicraft and policies implemented by the Jin Dynasty.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yles from the Liao(遼) and Song(宋) Dynasties, bronze mirrors in the Jin Dynasty style were also produced. These mirrors featured pictorial compositions resembling screens, incorporating elements such as waterfalls, trees, rocks, and pavilions. Employing perspective and top-down composition, scenes of landscapes and cascading waterfalls were depicted, creating spectacular views on bronze mirrors. This feature was crafted in a state-operated workshop located within the inner area of Shangjing Castle(上京城), the capital of the Jin Dynasty since the early 12th century. To ensure a steady supply and demand of copper, the primary material for bronze mirrors, production was managed within the Government Office Handicraft from the early days of the Jin Dynasty. Various government offices such as Dongwon(銅院), Gyeongguk(鏡子局), and Jukyeongso(鑄鏡所) were established separatel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roduction proces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re was a connection to Sobugam(少府監), responsible for overseeing craft production and managing craftsmen. Specifically, craftsmen affiliated with the Dohwaseo(圖畫署), responsible for designing metal crafts, were also linked to these offices. From the beginning, the Jin Dynasty government forcibly centralized talented craftsmen from outside into Shangjing Castle. As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Jurchens and the external cultures of other ethnic groups were assimilated around the inner area of Shangjing Castle, new bronze mirrors of distinct styles could be produced during the Jin Dynasty.

      • KCI등재

        김재로(金在魯) 『김석록(金石錄)』의 구성과 그 특징

        구자훈 ( Ja Hun Koo ),한민섭 ( Min Sub Han ) 한국실학학회 2011 한국실학연구 Vol.0 No.21

        이 논문은 김재로(金在魯, 1682~1759)가 편집한 거질의 탁본집인 『금석록(金石錄)』의 전체 구성을 소개하고, 그 구성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재로가 편집했다고 하는 『금석록』은 원편 226책, 속편 20책, 총 246책이라고 전해지는데, 현재 실물이 온전히 전하지 않아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육당문고에는 필사본 『금석록』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김재로 『금석록』의 목록으로 그 전체 구성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필사본 『금석록』을 통해 전체 규모를 살펴보면 『금석록』은 속편 20책을 포함하여 전체 226책의 규모이다. 원편은 김재로가 수집한 것이고, 속편은 김재로 사후 후인이 수집한 것이다. 그리고 탁본집 『금석록』 책 등에 ``흠흠헌(欽欽軒)``이 적혀있어, 그 편자의 서재 이름으로 추정된다. 『금석록』은 ``천조(天朝)``부터 ``석사(釋寺)``까지 3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2,265점의 탁본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금석록』은 당대까지 우리나라 지역에 위치한 전 방면의 금석문을 수집한 거질의 금석첩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total composition of 『Jinshilu (金石錄)』, collected huge rubbings edited by Kim Jaero(金在魯, 1682~1759), and to look into the constitutive characteristics. As to 『Jinshilu』 that is said to have been edited by Kim Jaero, a total of 246 volumes - the original 226, sequels 20 - are handed down, and at present the real objects are not completely handed down, so the total composition is not known yet. There is 『The list of Jinshilu』, a manuscript, in Korea University Yukdang Library(六堂文庫), which is the very list of Kim Jaero 『Jinshilu』 that allows us to estimate the total composition and scope. To examine the total scope through 『The list of Jinshilu』, the 『Jinshilu』 consists of 226 volumes including 20 volumes of sequels. The original edition was collected by Kim Jaero, and sequels are collected by persons after Kim Jaero died, the compiler of the sequels are estimated to be ``Heumheumheon(欽欽軒)``. The 『Jinshilu』 was composed of 34 items from ``Cheonjo(天朝)`` to ``Seoksa(釋寺)``, and includes 2,265 rubbings. This 『Jinshilu』 is the collected huge amount of epigraphy located in the region of Joseon.

      • KCI등재

        김조(金照)의 연행록(燕行錄) 『관해록(觀海錄)』연구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9

        본 연구는『燕行錄』(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1책, 임기중 편 『연행록전집』70권에 영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의 서명이 본디『觀海錄』이며, 그 저자가金照(1754.1825)임을 새롭게 고증하였다. 아울러 그 체제, 내용, 비평 양상을 고찰하고 연행록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평가해 보았다. 김조는 경기도 화성에 세거한 무반 명문가인 해풍김씨의 후손으로 그 자신은 시인으로 명성이 상당했던 인물이다. 金祖淳, 金., 徐榮輔, 申緯, 李明五, 趙冕鎬 등과 교유하였다. 특히 젊은 시절부터 단짝 친구였던 金祖淳, 金.와의 교유는 주목을 요한다. 김조는 평생토록 參奉, 主簿 등 미관말직을 전전하였고, 한때 徐榮輔의 幕客으로도 있었다. ‘北村詩社’의 핵심 구성원 중 한 명으로서 후배시인에 끼친 영향도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784년 사은사행을 따라 연행을 다녀왔으며 연행록인 관해록 을 남겼다. 현재까지 그의 다른 저술이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조의 연행록은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김조의 관해록 은 저자의 친필본이자 수택본으로 추정된다. 타인의 頭評을 통해원 제목이 ‘觀海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에는 글자를 수정한 흔적이 보이며 곳곳에 저자의 부연 설명이나 주석이 적혀 있다. 또 많은 批點이 찍혀 있고, 評批가 붙어있는데 평비자는 필체로 보아 적어도 3인 이상이다. 그 중 ‘香谷’이란 평비자는 바로풍고 김조순이다. 함께 연행한 자도 평비에 동참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조의 관해록 은 작가 신분으로 보자면 ‘隨行員의 연행록’으로, 특징상으로는 ‘評批本 연행록’으로 규정할 수 있다. 관해록 의 체제는 항목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결락부분을 제외하고 총 60개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일부 항목에는 附가 붙어 있기도 하고, 한 항목 안에서도 여러 칙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대체로 시간과 장소의 순서를 따르고 있으나 간간이 귀로의 상황을 교차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 표현상으로는 소품적 문예취가 확연하며 산문 기록임에도 시적인 표현이 많다. 描寫, 記事, 立論이 모두 뛰어나면서도 서정성 넘치는 소품문 성향이 농후하다. 『담헌연기』와『열하일기』의 영향이 일정정도 감지되기도 하지만 일상과 사실에 대한 기록은 매우 상세하고 새로운 내용도 많이 담고 있다. 수준 높은 비평이 가해졌다는 점에서도 가치 있는 연행록이라고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bout Gwanhaerok(觀海錄), which is a Yeonhaengrok written by Kim Jo. The author and title of this book was remained unknown, but I traced it. And I explained the format, contents, critic aspects so that I reappraised its value. Kim Jo is a descendant of Haepung Kim family who had lived in Hwaseong area. He also was known for a poet. He was a member of Bukchon group and had strong influence on colleagues. He went to Beijing with official envoy, and wrote Gwanhaerok at that time. Since the book is the only one remained, this book is so meaningful. Furthermore, this book was written by his own handwriting, and he proofread himself. And we can find other writers review in it. One of them was Kim Jo-sun who was famous for writing during the King Sunjo period. The format of this book is composed of items. It has 60 items, and each item has its own contents. Generally, it was written by the order of time and place. And we can find out the taste of Sopum(小品) from its expr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