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 -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구만옥 ( Koo Mhan Ock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는 전통적 역학(易學)·상수학(象數學)과 서양의 천문역산학을 회통하여 새로운 우주론의 지평을 열고자 했던 저술이라고 평가된다. 오늘날 그의 저술과 행적에 대해서 가장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문헌은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이다. 『이재난고』에 수록된 김석문에 대한 정보는 양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여타의 문헌 자료를 능가한다. 이 글에서는 『이재난고』를 기본 자료로 삼아 황윤석이 『역학도해』에 접근하게 된 경위와 김석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경로, 그리고 『역학도해』의 내용 가운데 황윤석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역학이십사도해』의 모체가 되는 『역학도해』는 18세기 후반에 성효기(成孝基)·성대중(成大中)의 가문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황윤석은 성대중과 친분이 있던 정경순(鄭景淳)·정지순(鄭持淳) 형제와 김용겸(金用謙)을 매개로 하여 『역학도해』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는 먼저 정경순을 통해서 1766년 4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제1권을 제외한 『역학도해』 네 권을 빌려보았다. 1771년에는 자신이 근무하던 관청의 상관인 종실(宗室) 이련(李槤)의 아들 이명찬(李命贊)에게서 『역학도해』 전체 5권 가운데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1권을 빌릴 수 있었다. 이 무렵 성대중의 집안에서 『역학도해』가 실전(失傳)될 것을 염려해서 그것을 이명찬에게 맡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련은 김석문의 아들인 김도해(金道海)의 사위였다. 이후 8년이 경과한 1779년 7월에 황윤석은 다시 김용겸으로부터 『역학도해』를 빌려서 8월까지 약20일 동안 집중적으로 그 내용을 초록하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몇 차례의 집중적 검토를 통해 황윤석은 『역학도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황윤석은 정경순을 통해 김석문에 대한 정보를 처음으로 입수한 이후 서울과 지방에서의 관직 생활을 통해 알게 된 포천(抱川) 지역 출신의 인물들과 김석문 집안사람들을 통해 김석문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경순, 김용겸을 비롯해서 김원행(金元行), 백사은(白師殷), 김일묵(金一默) 등이 김석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황윤석에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황윤석은 김석문에게 『역학이십사도해』를 출간하도록 독려한 사람이 그의 제자 황재중(黃在中)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김석문으로부터 성효기·성대중을 거쳐 이명찬으로 이어지는 『역학도해』의 전수 과정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윤석은 1779년 자신이 지방관으로 재직하던 목천(木川)에서 김석문의 스승인 허격(許格)에 대한 자료도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서 황윤석은 김석문의 행적과 학문적 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10대 시절부터 주역점(周易占)에 관심이 많았던 황윤석은 김석문의 『역학도해』에 수록된 새로운 서점법(筮占法=筮法)에 주목하였다. 김석문은 대연수(大衍數)를 100으로 보았고, 49개의 시초(蓍草)로 점을 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선천(先天)48책(策), 선천(先天)100책(策), 후천(後天)49책(策)의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였다. 또한 시초의 재료로는 북부 지방의 바다에서 산출하는 용편초(龍鞭草=龍鬚木)를 사용했다. 황윤석은 김석문의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지만, 만년에 이르러 더욱 흥미를 보인 분야는 서법(筮法)이었다. 황윤석은 그의 나이가 50대에 접어든 1779년 7월 무렵부터 김석문의 서법에 본격적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몰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활용해서 다양한 점을 쳤다. Kim Seok-mun’s Yeokhakisipsadohae is considered to open a new cosmology, combining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I-ching studies, xiangshuxue(象數學) and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the West. One book that contains the most various information on him and his work is Hwang Yun-seok’s Ijaerango(?齋亂藁). By reading Ijaerango, this paper explores how Hwang approached to Yeokhakdoha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Kim Seok-mun, and discusses major themes of Yeokhakdohae that drew Hwang’s attention. Yeokhakdohae, from which Yeokhakisipsadohae stemmed, was in the custody of Seong Hyo-gi and Seong Dae-jung’s family in the late 18th century. Hwang was able to get access to the book through the Jeong brothers(Gyeong-sun and Ji-sun) and Kim Yong-gyeom, who were friends with Sung Dae-jung. First, Hwang borrowed four volumes of Yeokhakdohae except vol. 1 during a 10 months period between April 1766 and February 1767 through Jung Gyeong-sun. In 1771, Hwang borrowed the essential volume 1 of Yeokhakdohae from Yi Myeong-chan, who was a son of a royal family member, Yi Ryeon. That was possible because the Seong family, in worrying about loss, bestowed Yeokhakdohae to Yi Myeong-chan. Yi Ryeon was a son-in-law of Kim Do-hae, the son of Kim Seok-mun. Eight year passed and Hwang again borrowed Yeokhakdohae from Kim Yong-gyeom in July, 1779, and analyzed it intensively for 20 days. Now, after several accesses to the book, Hwang had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Yeokhakdohae. Hwang first collected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from Jeong Gyeong-sun, and later from people of Pocheon region he got acquainted with during his days in the office and also from the family members of Kim Seok-mun. Kim Won-haeng, Baek Sa-eun, and Kim Il-muk, as well as Jeong Gyeong-sun and Kim Yong-gyeom, offered numerous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Hwang verified that Kim’s pupil Hwang Jae-jung encouraged him to publish Yeokhakisipsadohae, and also realized the passage of Yeokhakdohae from Kim Seok-mun to the Seong family and then to Yi Myeong-chan. Moreover, Hwang Yun-seok collected intelligence on Heo Gyeok, Kim Seok-mun’s master, in Mokcheon region where he served as an regional officer. With all sources he gathered, Hwang was able to analyze Kim Seok-mun’s achievements and academic position comprehensively. Hwang, who was much interested in I-ching divination from the early days, paid special attention to a new procedure of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in Kim Seok-mun’s Yeokhakdohae. Kim considered 100 as dayanshu(大衍數) and created a new ways of divination using 48, 100, 49 milfoil stalks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49 stalks. He used ryongpyeoncho(龍鞭草) from Hamgyeong-do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stalks. Hwang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Kim’s luli suanshu zhi zue(律曆算數之學, study on harmonics, calendar, and mathematics), but his most devoted field of study was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As he approached his 50s in 1779, Hwang began studying Kim’s divination in good earnest, and told fortunes using it toward the end of his life.

      • KCI등재

        중국의 타자화와 김효경의 도교 연구

        김지현 ( Kim Ji Hyun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 1904~?)은 1926년 일본 불교단체를 통해 도쿄로 유학하여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서 불교학과 종교학을 전공했고, 조선의 무속 연구를 대표적 업적으로 하는 식민지 시기의 종교·민속 연구자이다. 최근 그는 ‘조선에서 배출한 최초의 종교인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가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작업으로서, 1940년 도쿄에서 출판된 《지나정신과 그 민족성(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의 신선사상과 도교 연구에 주목한다. 이 글은 다음의 두가지 과제를 가진다. 첫째, 김효경의 도교 관련 저술이 기대고 있는 1920년대 일본의 도교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김효경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평가하는것, 둘째, 김효경의 지나 민족성 및 도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조선에 대한 이중의 타자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김효경은 1920년대 일본의 중국민속학 연구가들의 신선사상 및 도교 연구를 원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도식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변함없는 ‘지나 민족’의 존재를 상정하고, 지나 민족의 공통된 정신성으로 신선에 대한 동경과 현실도피로부터 발달한 도교가 있다고 단언한다. 그의 논지에 따르면, 중국의 천명관은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켜 지나민중을 전란에 시달리게 했고, 신선사상과 도교는 복·록·수를 누리고자 하는 욕망과 반비례하여 향락주의와 현실도피로 발달한 것이다. 중국에 만연한 비약, 아편, 방중, 식도락 추구의 문화는 모두 향락적 신선경을 지향하는 것으로서, 김효경의 지나 민족의 신선동경론은 결국 아편 중독의 필연성을 설명하는 논거가 된다. 그의 이러한 저술은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시 상황에서 중국과 그 민족성의 핵을 도교로 정의하고, 도교와 지나라는 타자로부터 배타적 독립성을 유지한 일본 민족의 위대함을 확증하는 작업이었으며, 이러한 작업 속에서 김효경은 한결같이 ‘위대한 일본 민족’을 ‘우리(吾人)’로 동일시하는 제국일본의 신민(臣民)의 입장에 있었다. 사회 현상의 이면에 민족 고유의 종교적 심성이 자리한다는 김효경의 종교민족학적 관점은 종교 및 민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김효경의 연구를 근대 한국 학문이나 한국의 근대국가-국민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의 글은 제국일본이 완성한 ‘동양학’의 입장에서 중국과 조선을 객체화하고 타자화하는 것이었고, 특히 일본의 대외 종교문화정책의 흐름에 영합한 것이었다. 김효경의 글들은 제국일본의 대내외 종교정책 및 활동을 주요 기사로 다룬 《중외일보》의 기고문과 해외신사사관양성소의 강연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독자는 일본제국의 내지인으로 상정되었으며 동시에 일본의 종교정책과 관련하여 개교활동이 전개되던 지역의 외지인들을 포함했다. 결론적으로 김효경의 지나민족과 정신성에 대한 논구는 민족과 민족성을 단일하고 항상된 것으로 파악하는 본질론의 한계를 노정하며, 중국을 타자화하고 일본의 위대한 민족성을 부각시키는 전시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학술적 탐구의 문을 닫아버리는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Hyo-kyung 金孝敬(1904~?) was a scholar of religion and folklore in the Empire of Japan, whose most notable work was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He studied in Japan since 1926 when he came to Tokyo via the 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 and majored i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at Taisho University. Recently, he has an assessment of ‘the first religious anthropologist from Joseon.’ This paper is a critical reexamination of such evaluation, focusing on his study of Daoism and the Chines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e Chinese Spirit and Its Nationhood (shina-seishin to sono minzoku-sei 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 published in Tokyo in 1940. This article has two goals: first, to investigate early 1920s Japanese studies of Daoism and Chinese folklore, which his writings rely on,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his work; second, to reveal that Kim's studies on Daoism and Chinese nationhood aimed at double-otherization of China and Joseon. Kim relies heavily on research and reports on Daoism of Japanese folklorists and journalists in the 1920s. Assuming the existence of a ‘Chinese nation’ remains unchanged across time and space, he postulated Daoism as a consistent spirit to Chinese nation-people, which developed as a hedonism and an escape from reality. According to his argument, Chinese thought of the Heavenly Mandate caused endless revolutions and subjected the Chinese people to warfare; Daoism developed as an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and indulgence in pleasure, inversely proportion to the desire to enjoy happiness, high social status and longevity. The pursuit of elixir, opium, revelry, and gastronomy prevalent in China are all oriented toward hedonistic immortality, and Kim's theory on Chinese nationhood and Daoism provides a solid tie for the inevitability of opium addiction. Kim’s articles eventually affirm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particularly in wartime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y defining the core of the Chinese nation as Daoism and maintaining Japan’s exclusive independence from the otherness of Daoism and China. In so doing, Kim Hyo-kyung was in the position of a faithful servant to the Empire of Japan who consistently identified the “great Japanese people” as “us.” Kim’s perspective that behind phenomena lies the religious mind of nation-people might be a significant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f religions and folklore. However, linking Kim’s work to the first step of modern ‘Korean’ study or modern Korean nation-building is inappropriate. He objectified and otherized China and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invented by the Empire of Japan, and in particular, his articles were in line with Japan’s policies on religions and culture. His writings correspond to the articles in a religious newspaper, the Internal and External Daily News (Chugai nippo), which featured 中外日報 news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on religious activities of Japan, and lecture notes at the priest t raining centre for the overseas Shinto- shrines, where his reader was supposed to be insiders of the Empire of Japan, and at the same time included outsiders in the regions where the Japanese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conclusion, Kim’s thesis on the Chinese nation and its spirituality exposes its limit of essentialism, which homogenized a constant and unitary nation and nationhood. It has the character of wartime propaganda, which otherized China and emphasiz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shutting the door to further scholarly inquiry.

      • KCI등재

        김남천 소설의 인물과 이야기 정체성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을 중심으로

        조익상 ( Ik Sang J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김남천 연구사에서 김광호를 비롯한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들에 대한 해석은 김남천과 그의 문학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본고는 폴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인물들과 김남천 사이에서 발견되는 동일·정체성과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인물 각각의 자기·정체성을 구별하여 해석함으로써, 194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주의자, 전향자 등의 ‘무엇’을 중심으로 포착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인물을 해석했던 한쪽의 경향과 김남천의 인물에 대한 시선을 중심으로 한 다른 쪽의 해석 경향 모두에 정교함을 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소설적 독법을 요구하는 소설과 사회주의적/리얼리즘적 소설 작법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두 극점 사이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김남천 소설 문학에 대한 다른 접근도 시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김남천이 그의 인물들을 ‘누구’로 그리려 했고 김남천 그 자신이 ‘누구’였는지를 해명하는 새 시점과 그것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남천의 비평 전반을 확인하고 그의 자전적 사실과 인물들의 자기성과 동일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평 전반을 살피고 김남천의 “문학적 행정”에 대한 자기기술을 살펴본 바, 그의 초기 문학적 방법론의 열쇳말인 ‘자기’ ‘고발’이 모두 지양된 형태로 유지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개 속에서 형성 중인 방법론은 김남천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형성된 인물에 대한 작가적 성찰은 다시금 방법론의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 과정 끝에 1940년대를 전후하여 발자크 리얼리즘의 요목과 함께 시도된 것이, 김남천적 인물의 비김남천적 행동으로 요약되는 분열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지식인-소시민-청년 남성 인물에서 구현된 이러한 인물화가 시도되었던 이유로는, 김남천 ‘자기’와 ‘체험적인 것’이 닿아있는 면에서 성격 형성이 용이했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동일성을 지닌 인물이 전혀 별개의 행동을 하게 될 때, ‘관찰적인 것’의 사회 고발은 더욱 증폭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시대와 사회가 낳은 인간성에 대한 고발의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김남천 그 자신의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모두에 있어 그러한 인물의 구현은 필요한 과정이었다. 그 자신이 걷고 싶지 않지만 걷기를 강요당하거나 유혹당하는 길을, ‘자기’를 닮은 소설 속의 인물이 걷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걷고 싶고 걸어야 하는 길로만 걷도록 정련하고 채찍질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었다.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im Namcheon, interpretation of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including Kim Kwangho has been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 a way to understand Kim Namcheon and hi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1940s, by separately reading identities such as narrative identity(identite narrative), sameness(identite-idem) and selfhood (identite-ipse) of Paul Ricoeur characterized and re-presented in between Kim and his characters. This can be thought as to elaborate two ways of current interpretation: to interpret Kim mainly on ‘what’ considered of him such as a convert or a socialist and again interpret his characters from that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to interpret his characters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r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a different approach can be tried with this research to where researches barely go beyond two polars: novels to be read as autobiographical novels or the “I” stories on the one side, novels written with socialistic/realistic method on the other side. With this awareness, the research tries to confirm a new standpoint to explain ‘whom’ Kim attempted to draw, ‘who’ Kim was and the appropriacy of the standpoint present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through Kim’s literary review and essays thoroughly, and to compare Kim’s autobiographic facts and his created characters in both sameness and selfhood. Thus, after reviewing his critical essays in time and his self-description about his “lifetime of literary method”, the research could confirm that ‘self’ and ‘accusation’, his two keywords for earlier method, had been maintained as sublated- thus-enhanced.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ffected character making of Kim, and the author’s introspection/reflection on his characters again affected formation of the method in reverse. 1940s was a terminus ad quem where those dialectic method met Balzacian realism, and this method of fission can be summarized as ‘Kim-like character’s un-Kim-like activity.’ This characterization was tried firstly because they can be deep and easily embodi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Kim ‘himself’ and to ‘the (his) experienced’. Secondly when this characters of sameness act completely different from him, accusation from ‘the observed’ of society and the era through the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were the fruit of the then society, so it was an accusation against the human nature made from the current era. For the last reason to be discussed, it was necessary for Kim himself to fission with character, for the character to cover the life Kim did not want to, demanded to or tempted to live. It is a very private way to make himself to live a life that he want or that he must continue.

      • KCI등재

        1920년대 프로문학에서 ‘감각’의 의미와 변용 - 김기진의 초기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지아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implications and their changed aspects of the term sense presented in the initial proletarian literary criticism of Kim Gi-jin. This paper argues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sense used in Kim Gi-jin’s early criticism has changed since the debate of content and form between him and Park Young-hee. In Kim Gi-jin’s early criticism, the term sense is presented through the use of various words related to the senses, such as sensitivity, aesthetic sensibility, and a sense of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identifies the similarity and correlation between texts based on the theory of intertextuality, and captures the meaning of the term sense that scattered in the form of various terms in Kim Gi-jin’s early criticisms and essays in the 1920s and conceptualizes it. By aggregating the context in various text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term sense was Kim Gi-jin’s idea that was conceptualized as a weapon against the capitalist society in the 1920s. In other words, the conceptual implications of the term sense refer to an epistemological approach in which intellectuals adhere to the way they interact within the hierarchial Joseon society. However, after the controversy over the content and form in proletarian literature with Park Young-hee, Kim withdrew his use of the term sense. The meaning of the sense in Kim Gi-jin’s criticism had changed into a form or description as a term for literature criticism, and eventually, his interest shifted to the emotional discourse raised by Lee Kwang-soo. As a follow-up to Kim Gi-jin’s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e terms related to the sense presented in Kim Gi-jin’s literary criticisms and identifies the conceptual implications of the term within the context of various texts. Furthermore,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ing of sense in Kim Gi-jin’s criticism after the debate of format and content and evaluates its change with a critical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김기진의 초기 비평에서 제시된 ‘감각’의 용어에 내포된 개념적 의미와 그 변동을 구체화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초기 김기진의 비평에서 사용된 감각의 용어적 쓰임과 내용형식 논쟁 이후 변화된 감각의 의미에 대해 논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당시 일본의 비평사조와 사상적 영향을 받은 김기진의 1920년대 초기 비평문과 수필을 대상으로 여러 용어의 형태로 산재되어 있는 감각을 포착하고 텍스트 내 다양한 맥락을 종합해 이를 개념화한다. 데뷔작인 <프로므나드 상티망탈>(1923)부터 <떨어지는 조각조각>(1923), <지배 계급 교화, 피지배 계급 교화>(1924), <금일의 문학, 명일의 문학>(1924), <향당의 지식 계급 중학생>(1925), 그리고 <감각의 변혁>(1925)에 이르기까지, 김기진의 초기 비평에서 감각은 감수성, 선각자, 감수성, 미감, 자각 등 감각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의 형태로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본고는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입각해 해당 텍스트들 간의 상호유사성과 상호관련성을 파악해 감각과 관련된 용어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양상과 그 맥락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김기진의 초기 텍스트에서 감각이 사회(실제, 생활)에 대한 무기로서의 문학과 예술가 및 지식인이 선각자(先覺者)로서 갖추어야 할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으로 개념화되었음을 확인한다. 즉, 김기진의 초기 비평론에서 감각은 주체적 개념에서의 예술가가 계급사회로 분화된 조선사회와 관계하는 방식을 견지하는 하나의 인식론적 태도를 의미했다. 그러나 박영희와의 내용형식 논쟁을 기점으로 김기진은 감각이라는 용어의 직접적인 사용을 철회한다. 그리고 이후 프로문학 비평 담론에 있어 김기진의 비평적 관심과 논지는 형식 또는 묘사로 그 의미가 축소된 감각이 아니라 이광수에 의해 제기되었던 감정담론으로 다시금 환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기진이 기존에 비평용어로 사용하고 있었던 감각에 함의되어 있었던 의미가 변동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김기진의 논지가 감각에서 감정에 대한 담론으로 회귀하게 된 원인에 주목한다. 이처럼 본고는 김기진의 감각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후속연구로서 김기진의 초기 텍스트에서 제시되는 감각과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고 텍스트 내 맥락 안에서 해당 용어에 함축된 개념적 의미를 파악한다. 나아가 결론에서 본 연구는 내용형식 논쟁 이후 김기진의 비평에서 축소된 감각의 역할을 비평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 KCI등재

        15세기 후반 도학(道學)의 절의중심적 전환과 김일손(金馹孫)의 역할

        김동일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The historian Kim Il-son, who caused the Literati Purge of 1498, has been mainly understood as a writer. However, in Kim Il-son'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re are fragments of the “study of the Way”(道學) that can credit his reevaluation as “a scholar of the study of the Way”(道學者). After the 16th century, the core emphasis of Chosŏn Neo-Confucianism was on respect(敬). However, as early as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Kim Il-son had emphasized respect more than scholars from the preceding period and tried to provide his own interpretation of its meaning. Kim Il-son's teacher, Kim Jong-jik, had been criticized for not being critical of state affairs because he valued his position. Kim Il-son, on the other hand, was in trouble on several occasions owing to his excessive rigidity and directness of speech. Eventually, he was sentenced to death in the Literati Purge of 1498. In their study of the Way, Kim Jong-jik and Kim Il-son held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ublic career and academic life. The emphasis on academic rigor while occupying public office foreshadowed the views of Cho Gwang-jo. In the 16th century, the study of the Way was influenced by Kim Il-son and it evolved into the practice of fidelity(節義) that emphasized respect and coincidence of a public career and academic life. 무오사화를 야기한 김일손은 문장가로 이해된다. 그런데 김일손의 탁영집(濯纓集) 에는 도학(道學)에 관한 편린들이 남아있어 김일손을 도학자로서 재평가할 수 있다. 김일손을 도학자로서 조망하는 일은 도통(道統)이 만들어진 것이고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정치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16세기 이후 조선 성리학의 핵심은 경(敬)에 있는데, 15세기 후반 김일손은 앞선 시기의 학자들보다 경(敬)을 더 강조하고 있었으며, 나름의 해석을 시도하고 있었다. 특히 당대 문장의 제일로 평가받았던 김일손이 사장의 시대에 문이재도적 도문관을 견지한 것은 시대를 선도하는 의미가 있다. 김일손의 스승 김종직은 벼슬을 중시하여 직언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반면 김일손은 지나친 강직함과 직언으로 인해 여러 차례 곤경에 처했으며 끝내 무오사화에서 극형을 받고 말았다. 사환과 도학의 관계에 있어 김종직과 김일손의 생각이 달랐던 것이다. 김일손의 사환하며 도의 실천을 중시하는 자세는 정암 조광조를 예고하며, 이는 도통에 위치한 김종직, 김굉필, 정여창에게서 볼 수 없었던 자세라는 점에서 김일손의 역할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16세기 도학(道學)이 경(敬)의 강조, 지행의 병진, 절의를 중시하는 의리실천학으로서 변모하는 것에는 김일손의 영향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지장신앙의 연원(淵源)과 김지장(金地藏)

        김진무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중국에서 지장신앙이 일어나게 된 것은 비교적 늦은 당대(唐代)에 이르러서였다. 특히 지장신앙이 다른 보살신앙과 다른 점은 바로 실존인물에 의하여 출현했다는 것이고, 우리에게 더욱 의미가 있는 것은 지장신앙이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일어나게 된 계기가 바로 구화산에서 신라 왕자 출신인 김지장(金地藏, 696-794)의 행화(行化)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지장을 중심으로 지장신앙이 어떻게 발현되었는가에 대하여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김지장과 관련된 자료는 구화산화성사기(九華山化城寺記) , 송고승전(宋高僧传) , 신승전(神僧傳) 및 여러 종의 구화산지(九華山志)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 가운데 당대(唐代) 비관경(费冠卿)이 찬술한 구화산화성사기 는 년대가 가장 빠른 까닭으로 믿을 만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분명한 사실을 유추하였다. 첫째, 김지장이 왕족출신이고 신라로부터 도래했으며, 구화산에서 홀로 수행하였다는 사실이다. 둘째, 이러한 김지장의 수행으로부터 구화산 주변에 많은 단월(檀越)들이 형성되었고, 또한 승중(僧衆)들이 모여들었고, 그에 따라 사찰을 건축하여 ‘화성사(化城寺)’가 출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점차 교화가 널리 퍼지게 되자 드디어 ‘본국(신라)’에까지 알려지게 되어 수많은 승려들이 도래하여 무리를 이루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김지장은 철저하게 ‘좌선’ 수행을 중시했고 노동을 했다는 기사(記事)로부터 지장경전과 삼계교(三階敎)의 영향을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넷째, 김지장의 입적 후에 다양한 신이(神異)가 나타나 성인(聖人)의 화신으로 모셔졌으며, 점차 구화산(九華山)이 지장보살도량(地藏菩薩道場)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김지장이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받들어지게 된 것에는 김지장의 법명으로부터 행화(行化) 및 입적 후 여러 가지 신이(神異)가 경전에서 표현되는 바와 상당히 일치하기 때문이었다. 김지장의 입적 이후 당말(唐末)․오대(五代)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점차로 전설이 추가되어 많은 이들에게 무한한 감화를 주었다가 명대(明代)에 이르러 황명(皇命)에 의해 김지장은 지장보살의 화신(化身)으로 인정되었으며, 구화산(九華山) 역시 공식적인 지장보살성지(地藏菩薩聖地)가 되었던 것이다. It was relatively late and not until the Tang period that the Chinese belief in Ksitigarbha started. The difference of Chinese Ksitigarbha worship from that of other bodhisattvas was it was caused by a real person; more significantly to us, the arising of such a belief was occasioned by the educating activities of Gim Jijang (金地藏, 696-794), a prince of the Silla dynasty, at Mt. Jiuhua. Thus, this article briefly examined how the belief in Ksitigarbha manifested itself in China while focusing on Gim. Reference materials on Gim are chiefly Jiuhua shan huasheng si ji 九華山化城寺記 , Song gaoseng zhuan 宋高僧传 , Shenseng zhuan 神僧傳 , and various kinds of Jiuhua shan zhi 九華山志 . Among them, Jiuhua shan huasheng si ji by Fei Guanqing 费冠卿 is the most trustworthy as it was the first to appear.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it thoroughly and then inferred the following four clear facts. First, Gim was born of a royal family coming from Silla and disciplined himself alone on Mt. Jiuhua. Second, on account of his practice lots of donators and Buddhist monks assembled and as a result Huacheng Temple 化城寺 came to be built.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his transformational activities he became known to his home (Silla), which led numerous Silla Buddhist monks to come across the border to the temple making a large congreg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cord of his emphasis on rigorous sitting in meditation and physical labor Gim was presumably influenced by the Ksitigarbha Sutra and the 'Three Stages Teaching' 三階敎. Fourth, there appeared various miracles after his death and then he was enshrined as the incarnation of a saint. These gradu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t. Jiuhua as the practice site of Ksitigarbha. The reason for the personification of Gim as Ksitigarbha was that a variety of thaumaturgy after his death significantly coincided with the description in the sutra. After passing through the chaotic periods of the later Tang and the Five Dynasties, gradual additions of legends had made an everlasting impression on many people and by the Ming era Gim Jijang was finally recognized as the incarnation of Ksitigarbha by the imperial order while Mt. Jiuhua became the official sanctuary of Bodhisattva Ksitigarbha.

      • 김방경(金方慶) 의 생애(生涯)와 행적(行蹟)

        장동익 ( Dong Ik Ch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이 논문은 고려왕조가 대원몽고국의 무력에 의해 압도되어 제후국으로 전락하였던 13세기의 재상 김방경의 생애와 행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방경의 중견관료까지의 경력은 왕실과 관련된 숙위직 및 사령부의 장군직이었고, 문반직의 겸직은 3省6部?御史臺?秘書省 등의 要職이었다. 또 50대 후반에 宰相에 임명되어 여타의 핵심관료들이 재상에 임명된 것에 비해 늦은 셈이다. 그렇지만 무인정권의 타도 및 삼별초의 토벌과정에서 급격하게 승진하였는데, 이는 무인정권과 관련이 있었던 舊勢力 숙청 및 몽고의 영향력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 그는 초급?중급의 지휘관으로서 實戰의 경험은 없었지만, 고급 장수로서 갖추어야 할 智?信?仁?勇?嚴의 條件을 갖추고 있었다. 김방경은 어린 나이에 입사하여 중앙관서의 중요관부에 사환하게 되었지만, 그가 40대 후반에 중견관료가 되었을 때는 친족집단으로부터의 후원을 받을 형편이 되지 못하였다. 이의 보강을 위해 義子 및 幕客集團을 양성하여 군사적 기반으로 삼아 참모로 이용하였다. 김방경과 경쟁 관계에 있었던 인물로는 兪千遇와 趙仁規가 찾아지는데, 이들에 의해 일시 어려움에 빠지기도 하였으나, 후일 자신이 실권을 장악했을 때는 관용의 자세를 보였다. 적대관계에 있었던 인물로는 일본원정에서의 論功行賞에 불만을 품은 韋得儒?盧進義?金福大 등이 있었으나, 이들이 김방경에 대한 적대감을 가졌다기보다는 부원배 洪茶丘의 앞잡이였기 때문이었다. 후원관계에 있었던 인물은 柳璥인데, 그는 김방경과 함께 재상으로서 앞뒤를 경쟁하면서도 김방경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國事와 관련된 중대사로 인식하고서 적극 변호하였다. 김방경은 ??손자병법??을 위시한 여러 兵書의 내용 및 ??춘추좌씨전??에 수록된 戰法에 관한 典故에 해박하였고, 四書三經 및 諸子百家에 대해서도 일정한 식견을 가지고 있었다. 또 김방경은 무인정권에 참여하여 중요관서의 요직을 역임하면서 집정자의 비위에 거슬리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한편 공정한 법질서의 집행을 통해 王室 및 국가기강을 유지하려는 현실대응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김방경의 행적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조심성이 있게 어지러움을 기다리고 고요함으로써 시끄러움을 기다렸던 將帥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life and achievement of Bangkyung Kim who was a Koryo minister in 13th century when the Koryo Dynasty was forced to become a vassal state to the Yuan Dynasty of China. As a soldier, Kim experienced various official posts either in the army and government. He became a minister in his late fifties, which was late in comparison to others. Kim started his official career in the central government from his early age, and became a middle rank in his forties. Kim did not have a family background which could provide political assistance to his promotion. In compensation to this deficiency, Kim used a patronage system of the artificial father-son relationship as a base for his military career. He was rapidly promoted to the high rank during the suppression of the uprising by the military and the Sambyolcho. His promotion was greatly assisted by the contemporary politics which was increasingly controled by the Yuan Dynasty. Although he did not have any battle experience, but he was qualified as a high rank militaty officer, as he was a man of wisdom, trust, generosity, braveness and strictness. Two political rivals of Kim were Chunwoo Yoo and Ingyu Cho who put temporally Kim in a difficult situation. Kim, however, showed his tolerance toward them when he was in power. Those such as Ducyoo Wie, Ginui Roh and Bokdae Kim were in uneasy relation with Kim as they thought they were treated unfairly after the military expedition to Japan and they belonged to the Mongol party led by Dagu Hong. Kim was in friendly relationship with Gyung Yoo, a minister who defended Kim when he was in the political crisis. Kim seems to have read most military and strategical books such as 孫子兵法 and 春秋左氏傳 and wide knowledge on 四書三經 and 諸子百家. He seems to have had a talent to judge political situation rightly. He attempted not to offend the military rulers when he was in the military government.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e did not attempted to restore the royal power. In short, Bangkyung Kim was a military person who could wait opportunity with caution and quietness.

      • KCI등재

        신라승 김지장(金地藏)의 지장보살화(地藏菩薩化) 과정

        안양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8 No.-

        The Buddhist monk, Kim Ji-jang (金地藏), a native of Silla, is still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in China. In Chinese Buddhism,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is unique in at least two ways. First, it is said that his becoming the bodhisattva originated not in Silla, but in China, a foreign country. Second, it is said that the historical person became regarded as a mythical being, Ksitigarbha Bodhisattva.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Bodhisattv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period of entering and practicing at Mount Jiuhua in China, and this also includes the period wherein he was first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second period begins immediately after Kim Ji-jang’s death and ends three years later. In this period he became regard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third period span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to the present age. His status as Ksitigarbha Bodhisattva carries on at present. There are two main causes for Kim Ji-jang’s transformation into the bodhisattva. The first is an internal bodhisattva process. According to Ksitigarbha Bodhisattva’s main vow, Kim Ji-jang’s practice and edification impressed the public. The second is an external bodhisattva process. The miracles that appeared at the time of his death or the manifestation of the incorruptible relic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Kim Ji-jang becoming a bodhisattva. In line with the public’s devotion, the Chinese imperial family repaired and supported the temple that enshrined the relics of Kim Ji-jang. Various factors could be analyzed in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but more than anything else, it was Kim Ji-jang’s severe ascetic practices and his virtuous edification of others. 신라 출신인 김지장(金地藏)은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지장보살(地藏菩薩)로 추앙받고 있다. 중국불교에서 김지장의 보살화(菩薩化)는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특이하다. 첫째 자국인 신라가 아니라 타국인 중국에서 보살화가 비롯되고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역사적 실존 인물이 신화적 존재인 지장보살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지장의 보살화 과정은 크게 3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기는 중국의 구화산에 들어가서 수행하고 중생들을 교화하는 기간으로 지장보살처럼 추앙받는 시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김지장이 입적 직후부터 입멸 후 3년까지의 시기로 김지장의 전신사리(全身舍利)를 모시는 탑과 탑묘(塔廟)가 만들어진 시기로 지장보살로 동일시되는 시기이다. 셋째 시기는 입적 후 3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장보살로 유지되는 시기이다. 김지장의 보살화 과정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적 보살화 과정이다. 김지장의 수행과 교화가 대중들에게 감동을 준 것이다. 지옥 중생을 포함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지장보살의 대원을 실천한 것이다. 중생 교화는 철저한 자기 수행과 엄격한 수행 생활에 근거하고 있다. 김지장의 덕화를 입은 사람들은 김지장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보살화 과정에는 보은(報恩) 심리가 내재해 있다. 대중들의 심리 속에 은혜를 베푼 인물을 잊지 않고 존경해야겠다는 심리가 있다. 김지장이라는 은인(恩人)을 기억하려는 의도가 김지장의 지장보살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외적 보살화 과정이다. 신비적인 현상도 보살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입적 시 나타난 신이나 입적 후 3년에 육신불의 화현은 보살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육신불의 화현은 역사적인 인물에서 초역사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이런 육신불에 보시를 하면 공덕이 발생한다는 신념은 대중들에게 지속해서 김지장을 지장보살로 경배하도록 하였다. 이런 대중들의 신앙심에 발맞추어 중국 황실에서 수시로 김지장의 전신사리를 모신 육신보전을 보수하고 지원함으로써 김지장을 국가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김지장의 지장보살화 과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분석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재세시 김지장의 수행과 덕화(德化)에 기인한 것이다.

      • KCI등재

        김재준 박사의 구원론에 관한 연구; 초기 신학사상(1926-1949)을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우리는 무엇보다도 장공(長空) 김재준(金在俊; Kim Jae Joon, 1901.음 9.26/양11.6~1987.1.27) 박사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우리는 편향된 한 가지 잣대만 가지고 그를 평가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신학사상은 매우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소위 자유주의신학자도 아니고, 소위 보수주의신학자도 아니었다. 우리는 김재준의 초기 신학사상(1926-1949)에 나타난 구원론을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김재준의 초기 구원론과 관련하여 그는 복음주의신학자인 동시에 개혁신학자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성령을 통한 신앙체험과, 구령(救靈) 또는 영혼구원을 위한 복음전파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교회, 사회, 국가 등)와 자연 속에서 하나님 사랑과 정의에 근거한 하나님 나라 실현도 강조한다. 둘째, 김재준의 경우, 창조자(創造者), 주재자(主宰者), 속량자 (贖良者)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속 역사(歷史)의 틀 속에서 이해된 인간은 선하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순진무구(純眞無垢)’한 인간, 선악과를 따먹음으로써 타락한 인간, 성령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에 따라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구원(속)받아야할 인간이다. 셋째, 김재준은 구원의 객관적인 내용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전체삶(탄생, 고난, 죽으심, 부활, 성령강림/성령파송, 재림 등)을 매우 강조한다. 넷째, 김재준은 구원 과정(稱義, 新生, 聖化, 榮化 등)을 분명히 말하고 있으나, 우리로서는 그가 이해한 구원 과정이 시간적 · 단계적으로 이해되는지 신학적 · 논리적으로 이해되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발전과정의 강력한 점진성의 표현을 참고할 경우, 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고, 성령을 절대적으로 강조하는 표현을 참고할 경우, 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김재준의 구원론에서 성령에 대한 강조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칭의, 신생, 성화, 영화 과정 안에서 항상 성령 하나님이 주체적으로 그리고 주권적으로 나타난다. 여섯째, 김재준의 믿음 이해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사랑에 대한 마음의 신뢰와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열매의 근거가 되어, 매우 포괄적이고, 전인격적(全人格的)이다. 일곱째, 김재준에게서 칭의 이해는 종교개혁자들(루터, 깔뱅, 부처 등)이 이해한 칭의 개념과 동일하다. 그의 칭의 이해는 철저하게 오직 믿음과 오직 은혜와 연결되어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전가(轉嫁)된 의로서 법정적(forensic) 의로 이해된 칭의이다. 여덟째, 김재준에게서 신생(新生)은 성령을 통한 거듭남이다. 그는 물세례를 수양(修養)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성령세례를 신생과 결부시킨다. 아홉 번째, 김재준에게서 성화는 성령을 통해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종말론적인 실천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변화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김재준의 성화 개념 속에 소위 ‘개인적 성화’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화’ 차원에서도 발견된다. 김재준의 경우, 출발점의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가 먼저이지만, 결과적인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는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반드시 ‘사회적 성화’를 실현해야 한다. 열 번째, 김재준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의 몸의 영화 (榮化)에 근거하여 그리스도인의 몸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인의 영화를 설명한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영화로운 부활과 죄인들의 고통의 부활을 통한 이중부활을 주장하고, 천국과 지옥이라는 종말의 이중적 결과를 인정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Jae Joon Kim`s soteri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 first Opera I(1926-1949). Dr. Rev. Jae Joon Kim was born on November 6, 1901, in Korea. He died on Janurary 27, 1987. By Jae Joon Kim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justific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only a logical sequence, but also a chronological one. The justific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sanctification, new life, and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 so called “the golden chain.” The Holy Spiri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order of salvation. Because the Holy Spirit takes all things out of Christ, and gives them to us. Jae Joon Kim can be regarded as reformed theologia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Republic of Korea(PCRK).

      • KCI등재

        김남천 소설의 인물과 이야기 정체성-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을 중심으로

        조익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im Namcheon, interpretation of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including Kim Kwangho has been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 a way to understand Kim Namcheon and hi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1940s, by separately reading identities such as narrative identity(identité narrative), sameness(identité-idem) and selfhood (identité-ipse) of Paul Ricoeur characterized and re-presented in between Kim and his characters. This can be thought as to elaborate two ways of current interpretation: to interpret Kim mainly on ‘what’ considered of him such as a convert or a socialist and again interpret his characters from that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to interpret his characters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r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a different approach can be tried with this research to where researches barely go beyond two polars: novels to be read as autobiographical novels or the “I” stories on the one side, novels written with socialistic/realistic method on the other side. With this awareness, the research tries to confirm a new standpoint to explain ‘whom’ Kim attempted to draw, ‘who’ Kim was and the appropriacy of the standpoint present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through Kim’s literary review and essays thoroughly, and to compare Kim’s autobiographic facts and his created characters in both sameness and selfhood. Thus, after reviewing his critical essays in time and his self-description about his “lifetime of literary method”, the research could confirm that ‘self’ and ‘accusation’, his two keywords for earlier method, had been maintained as sublated- thus-enhanced.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ffected character making of Kim, and the author’s introspection/reflection on his characters again affected formation of the method in reverse. 1940s was a terminus ad quem where those dialectic method met Balzacian realism, and this method of fission can be summarized as ‘Kim-like character’s un-Kim-like activity.’This characterization was tried firstly because they can be deep and easily embodi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Kim ‘himself’ and to ‘the (his) experienced’. Secondly when this characters of sameness act completely different from him, accusation from ‘the observed’ of society and the era through the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were the fruit of the then society, so it was an accusation against the human nature made from the current era. For the last reason to be discussed, it was necessary for Kim himself to fission with character, for the character to cover the life Kim did not want to, demanded to or tempted to live. It is a very private way to make himself to live a life that he want or that he must continue. 김남천 연구사에서 김광호를 비롯한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들에 대한 해석은 김남천과 그의 문학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본고는 폴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인물들과 김남천 사이에서 발견되는 동일–정체성과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인물 각각의 자기–정체성을 구별하여 해석함으로써, 194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주의자, 전향자 등의 ‘무엇’을 중심으로 포착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인물을 해석했던 한쪽의 경향과 김남천의 인물에 대한 시선을 중심으로 한 다른 쪽의 해석 경향 모두에 정교함을 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소설적 독법을 요구하는 소설과 사회주의적/리얼리즘적 소설 작법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두 극점 사이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김남천 소설 문학에 대한 다른 접근도 시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김남천이 그의 인물들을 ‘누구’로 그리려 했고 김남천 그 자신이 ‘누구’였는지를 해명하는 새 시점과 그것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남천의 비평 전반을 확인하고 그의 자전적 사실과 인물들의 자기성과 동일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평 전반을 살피고 김남천의 “문학적 행정”에 대한 자기기술을 살펴본 바, 그의 초기 문학적 방법론의 열쇳말인 ‘자기’ ‘고발’이 모두 지양된 형태로 유지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개 속에서 형성 중인 방법론은 김남천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형성된 인물에 대한 작가적 성찰은 다시금 방법론의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 과정 끝에 1940년대를 전후하여 발자크 리얼리즘의 요목과 함께 시도된 것이, 김남천적 인물의 비김남천적 행동으로 요약되는 분열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지식인–소시민–청년 남성 인물에서 구현된 이러한 인물화가 시도되었던 이유로는, 김남천 ‘자기’와 ‘체험적인 것’이 닿아있는 면에서 성격 형성이 용이했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동일성을 지닌 인물이 전혀 별개의 행동을 하게 될 때, ‘관찰적인 것’의 사회 고발은 더욱 증폭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시대와 사회가 낳은 인간성에 대한 고발의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김남천 그 자신의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모두에 있어 그러한 인물의 구현은 필요한 과정이었다. 그 자신이 걷고 싶지 않지만 걷기를 강요당하거나 유혹당하는 길을, ‘자기’를 닮은 소설 속의 인물이 걷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걷고 싶고 걸어야 하는 길로만 걷도록 정련하고 채찍질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