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다’의 문법 범주

        임종주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49

        이 글에서는 ‘기다’의 문법 범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기다’를 구성 요소인 ‘그’와 ‘이다’로 분석하여 각각의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와 ‘이다’가 결합되어 하나의 단어로 형성될 때 각각의 논항구조와 형태통사적 자질이 삼투(percolation)된 결과가 ‘기다’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기다’의 문법 범주가 ‘합성 형용사’인 사실도 보였는데, ‘기다’가 형용사인지 통사적 측면에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기다’가 어미와 결합할 때 제약이 발생함을 보았고, 동시에 시제 표지와의 결합할 때도 제약이 있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grammatical category of '기다'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I analyzed '기다' as '그' and '이다'. And looked at the grammatical features of '그' and '이다.' And when '그' and '이다'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word, The combined result of each argument structure and morphosyntactic feature was seen as '기다‘. Second, It is observed that the grammar category of '기다' was 'Synthetic Adjectives'. And this was verified as syntactic constraint. As a result, we looked at the constraints that occur when '기다' combines with its end of a word. We also looked at restrictions when combining '기다' with tense.

      • KCI등재

        萬葉假名(만요우가나) 氣에 대하여

        김대성 한국일본문화학회 2008 日本文化學報 Vol.0 No.3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s why Man'y?gana 氣 represented two borrowed sounds /k?/ and /g?/ in Old Japanese literature. In Old Japanese Japan had no its own writing system which caused it to use Chinese characters to express its language. Therefore, Japanese had to depend on Chinese characters, one of which was 氣. 氣 was semi-voiceless in Ancient Chinese, which means voiceless and aspirated stop. However, Japanese used it not only as an unaspirated stop but as a voiced one. Preceding studies have shown that the voiced usage of 氣 was general phenomenon in Man'y?sh?. But I thought there must have been certain reason or reasons different from ‘general'. So I studied on this phenomenon in Old Japanese literature. After analyzing the usages of 氣,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In Old Japanese literature 氣 had two borrowed sounds /k?/ and /g?/. However, the two sounds were not used through the division of historical periods concerning the Man'y?sh? or A Collection of a Myriad Leaves, but during the third period (711-733 A.D.), especially the fourth period (734-759 A.D.) with the rate 96.5%, that is, 82 examples among 85. 2) We can say that generally the two usages in 氣 appeared in the fourth period, because 6 poets, except ?tomono-Yakamochi, made use of 氣 as /k?/ and /g?/ even in the same poems. 3) The fact 氣 represented /g?/ in the Old Japanese literature means that it reflected the devoicing of initials during the Tang Dynasty(618-907 A.D.) in the North. 4) Many Man'y?gana were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writing system which employed Chinese charaters to represent the Korean language, but the 氣 evolved itself in Japan without its inflence.

      • KCI등재

        설문 흠(欠)부의 의부공능과 조자문화

        박추현 ( Choo Hyun Park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한자에서 사람이 입으로 들이마시거나 내쉬는 `숨` 또는 `숨결`과 관련되는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口` 또는 `口`에서 파생된 글자들이 의부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인간의 여러 가지 감정 및 심리상태를 표현 할 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부는 `心` 이지만, `欠`이 의부로 사용된 글자들 대부분이 위의 두 가지 例를 모두 아울러서 呼吸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미 또는 특정한 심리상태에 기인한 감정 혹은 행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데 착안하여, 당시 造字者들이 `欠`을 의부로 선택하여 이러한 류의 의미를 부여한 조자 심리의 한 단면을 한자문화학적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說文』에 수록된 글자들 가운데 欠部 및 기타 欠이 의부로 사용된 73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이 73자들은 대개 단순한 숨결을 표현한 일반적인 氣를 나타내는 글자류, 음식물을 먹거나 마시는 것과 관련된 氣를 나타내는 글자류, 특정한 심리상태에 기인하여 감정이입이 된 상태의 氣를 나타내는 글자류 등 세 부류로 구분되었다. 이를 통하여, 지극히 추상적이고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되지 않는 氣와 欠을 형상화시키고, 호흡으로서의 단순한 氣 뿐만 아니라, 감정이나 행위로서의 미세하고 다양한 氣를 합성사가 아닌 단음절사로 대량 제작해 사용한 심리적 근저에는 造字 당시 이미 `氣`라는 개념이 폭넓게 자리 잡고 있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을 통하여 중국 고대인들이 문자를 제작하여 운용하는 과정에서,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이거나 간에 처해 있는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필연적 결과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Understanding that it is general that `Kou(口)` or the words derived from `Kou(口)` are used in Chinese to convey the meaning related to `breathing` or `breath` people inhale and exhale and that even though `Xin(心)` is the common Ideogram that is used to express various human feelings and mental states, most of the letters in which `Qian(欠)` is used as the Ideogram specifically express various meanings related to breathing in addition to the two cases above or emotions or actions caused by certain mental state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n aspect of word-formation psychology that chose `Qian(欠)` as the Ideogram and granted it such a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character culture study. Thus it examined 73 letters in which the Qian-radical(欠부) and other Qian(欠)s were used as the Ideogram in Shou-we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73 lett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ones that represented general Qi(氣) to express simple breath, the ones that represented Qi(氣) related to eating food or drinking, and the ones that represented Qi(氣) in the state of empathy caused by a certain mental state. Tho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an already widespread concept of Qi(氣) and concrete perceptions of it behind the psychological ground that embodied Qi(氣) and Qian(氣), which are extremely abstract and difficult to visually check, and produced and utilized monosyllables instead of compound words out of minute arid diverse Qi(氣)s as emotions or actions as well as Qi(氣) as simple breath. The research process also confirmed that it was inevitable for the ancient Chinese to reflect their cultural backgrounds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operating lette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 KCI등재

        최한기 철학과 현상학의 횡단적 의사소통 - ‘기’와 ‘신체’ 개념의 해체적 독해

        장윤수(Jang Yun-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의 유학자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현상학적 시각을 빌려 독해해 보는 데에 있다. 특히 최한기의 기철학과 현상학의 신체론 사이의 이념적ㆍ방법론적 유사성을 읽어 내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전통철학에 있어서 기氣는 세계의 보편성을 논의하기도 하지만 근원적인 점착성을 띠고 있으며, 이理의 철학에 대비해 볼 때 불투명성과 모호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상사 속에서 오랜 시기 동안 왜곡되게 평가 받아 왔다.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상학의 시각을 통해 기氣의 지위를 회복하고자 한다.<BR>  먼저 기철학의 전형典型이라 평가받는 장재張載의 사상을 통해 기철학이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전략을 확인하였으며, 그런 후에 장재와 최한기의 기철학을 초월적超越的 기철학과 내재적內在的 기철학의 이종二種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기철학에 유비類比하기 위해 끌어들이는 두 명의 현상학자, 후설과 메를로-퐁티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후설의 현상학은 초월적 현상학으로서 장재의 기철학에 좀더 쉽게 대비될 수 있고, 그리고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내재적 현상학으로서 최한기의 기철학에 보다 유사하게 독해될 수 있다. 우리는 장재와 최한기의 기철학 모두에서 근대적 이원론의 독단과 탈근대적 기획이 낳는 혼란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장재보다는 최한기의 경우가, 그리고 후설보다는 메를로-퐁티의 경우가 훨씬 더 우리의 의도에 부합하고 있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hair of phenomenology and Ch"i of Choi Han Gi"s philosophy, we have tried to seek a reconciliation resolving the conflict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Specifically, based on our interpretations of the "phenomenological metaphor" in Choi Han-Gi"s philosophy, we have tried to seek a possibility of building "an transversal communicative field" between oriental and occidental philosophies. Ch"i is a particular concept Choi Han-Gi"s used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m relatively and dynamically. Likewise, Choi Han-Gi"s Chair is a field of real experiences given a priori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the "self and "world". The phenomenological Chair is the channel of "intention" passively functioning before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vs. world dichotomization. This Chair-monism is the phenomenological key wor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hoi Han-Gi"s philosophy. The one who is closer to Choi Han-Gi"s Ch"i philosophy is Merleau-Ponty rather than Husserl. For Merleau-Ponty, Husserl"s Leib is another name of consciousness. Consciousness, therefore, continues to enjoy its privileged status, and tends to take the form of "transcendental subjectivism". Thus, Husserl"s leibliche Intentionalitaet cannot go beyond the boundary of "intentionality of consciousness". In this sense, Husserl-centered phenomenological thinking has a limitation to be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dualism. Merleau-Ponty sets up an "intentional texture" between "ego" and "alter ego" through the channel of Chair. Therefore, analyzing the discourse about Merleau-Ponty"s Chair can be identifying the relatedness of the phenomenological thinking and the thinking of Choi Han-Gi. We need to correctly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biguity" of Merleau-Ponty"s concept of Chair and "duality" of Choi Han-Gi philosophy"s concept of Ch"i, through which we can find a dynamic tool that can overcome the opposi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lead to their reconciliation.

      • KCI등재

        “V起來”動趨結構中身體部位賓語的位置問題

        廉竹鈞(Lian Zhuj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22 중국어문학논집 Vol.- No.136

        This paper discusses the positioning of body part nouns when they appear with a “V+qilai(起來)”verb-tendency construction as an object. There are two possible sequences for them, one is “V+起+O+來” and the other is “把+O+V+起來”. First, we analysed why the“V+起來”construction and body part objects cannot take the sequence of “V+起來+O”. Body part nouns have low categoriality, which means they are not autonomous, discourse-salient entities in a discours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ructure rules, if the position of a sentence element is near the end of the sentence, there is a higher possibility for the sentence element to have new and important information. However, the low-categoriality of body part nouns makes it inappropriate to appear at the end of the sentence. Then, based on linguistic data, we analysed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selection between “V+起+O+來” and “把+O+V+起來” , and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re are sever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that influence speakers to choose between “V+起+O+來” and “把+O+V+起來”. On the syntactic level, since the adverb “dou(都)” means “all” or “even”, the adverb “ye(也)” which means “even” can only be related to a sentence element on the left side of them. If these two words are related to the body part object, then only the “把+O+V+起來” sequence is possible because it is only through this sequence that the body part object can be lifted to the left of them. On the semantic level, if the body part object is highly related to the V, then the “V+起+O+來” sequence is preferred. When two elements have a close semantic relationship, they tend to appear together in high frequency. It is a common phenomenon in languages where zero or short coding is preferred for those meanings and functions occurring more frequently, while for those occurring rarely, overt, and long coding is preferred. On the pragmatic level, because of the Economical Principle of Language, the ru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Head Proximity, speakers will prefer to choose the “把+O+V+起來” sequence. Aside from the factors mentioned above, due to a trend of the “把+O+V+起來” sequence being used more often in the verb/adjective-tendency construction, speakers will choose this sequence even if there are no obvious syntactic, semantic, or pragmatic factors.

      • KCI등재후보

        韓國古代氣표현에 대한 연구 -新石器時代土器·靑銅器時代청동기·삼국시대 토기를 중심으로-

        趙源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필자는 요시무라 레이 吉村怜의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연화화생 도상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연꽃 문양은 몇 변화 단계를 거쳐 불·보살·天人(飛天)으로 化生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관련 연구를 계속하면서 아래 사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요시무라가 주장한 연화화생 도상은 넓게는 화생 가운데 하나이며 더욱 넓게는 기의 표현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이 모든 기의 표현은 조금씩 차이가 나지 만 범세계적으로 전개되었으며 불교미술에 국한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불교 전래 이전부터 도도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기(화생 연화화 생 포함)에 등장하는(표현하는) 여러 문양은 단순한 장식 문양으로 그치 지 않는다. 이들은 기(화생 연화화생 포함)를 표현하고 전달하며 상호 同格을 이루고 互換交互하며 連繫된다.> 필자는 위 견해를 1993년 발견 백제금동대향로 해석에 적용시켰다. 본고는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기의 표현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알 리고, 더불어 백제금동대향로 제작 특히 연화화생 등 기의 표현도 당시(6 ∼7세기) 이웃나라(특히 중국)의 영향이 아닌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을 따 른 것임을 알릴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 例示한 토기와 청동기에서 보듯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기 화생 연화화생의 표현은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전 개, 전승되었다. 또한 앞애서 주장한 것처럼 기 화생 연화화생 표현 에 등장하는 여러 문양들은 상호 동격을 이루고 호환 交互하며 連繫된 상태를 어김없이 보여준다. 신석기시대 토기에는 주로 點文(점선문) 직선문 (연속)삼각문으로 표현하였고 기타 연화문 화염문 파상문 당초문 등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을 통하여 산 태양 연꽃 또는 그 관련 기 화생을 표현하였는데 대 개 간단한 구성이다. 이 가운데 가장 흔한 (연속)삼각문(그 안 직선문 포 함)은 삼국시대에 이르면 분명 山文으로 정착되었다. 그리고 연화문을 나 타낸 웅기 송평동 출토 토기(도2), 연속 삼각문과 유사한 모습의 연화문 을 나타낸 통영 연대도 출토 토기(도7) 등을 통하여 볼 때 신석기시대에 도 蓮華化生山즉 ‘연꽃으로부터 山이 화생되는 표현’도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 山文이나 연화화 생산 표현을 계승, 발전시킨 도상 가운데 하나가 백제금동대향로이다. 청동기시대 기 화생 표현은 주토 청동기에 ‘짧고 조밀한 연속 직선 문’ 점문(점선문) 원문圓文(연속)삼각문 파형문巴形文당초문 등으로 나타냈다. 기본 바탕은 신석기시대의 것을 계승하였지만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정교하고 치밀한 구성이다. 이들은 불교미술 등 후대에 깊 은 영향을 끼쳤다. 삼국시대(가야시대 포함) 토기에 보이는 기 화생 표현은 그 문양 등 에서 보듯 신석기시대 토기(기원전 5000년경∼기원전 2000년경)와 청동 기시대(기원전 2400년경∼기원전 600년경) 청동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 이다. 기 화생 표현은 더욱 다양화되었고 확산되었으며 특히 연화화생 표현은 더욱 보편화되었다. 연속 산문을 위시하여 원문 半圓文당초 문 연화문 인동문 등으로 나타냈으며 역시 철저하게 상호 동격을 이 루고 호환 교호하며 연계된 구성을 보여 준다. 이상을 통하여 우리 선조들의 강역(오늘날 滿洲와 한반도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7세기 중엽에 이르기는 시기에 전개된 기 화생 연화 화생 표현은 독자적 영역을 이루며 전승된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Expression of energy and vitality, such as Gi(氣energy), Hwasaeng(化生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and Yeonhwa-hwasaeng(蓮華化生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from the lotus) could be contained various meanings; authoritative meaning, pray for eternal life, universe, creation, recovery and revival.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earthenware and bronze artifacts, the expressions of Gi ,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were prevalent from the Neolithic period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I have stated in chapter Ⅰ and Ⅱ, several patterns that appear in Gi ,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form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The expressions of Gi on the Neolithic earthenware were designed by jeommun(點文dot pattern), jikseonmun(直線文 straight line pattern), (連續sequential) samgakmun(三角文 triangle pattern), yeonhwamun(蓮華文·연꽃무늬 lotus pattern), hwayeommun(火焰文flame pattern), pasangmun(波狀文wave pattern), dangchomun(唐草文arabesque pattern), and etc. These patterns which represented the sun, a mountain and a lotus mostly had a simple composition. The most frequently portrayed pattern, (sequential) samgakmun with the way it is filled with jikseonmun, proves to be identical to the sanmun(山文mountain pattern) on the earthenwar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lso, examining yeonhwamun decorated on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Unggi Songpyeong-dong site and Tongyeong Yeondaedo site with their appearance similar to the sequential samgakmun, it is evident that, even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the concept of Yeonhwa-hwasaeng-san(蓮華化生山), an expression which signifies a transformation of a lotus flower into a mountai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was one of the examples of developed iconography of sanmun and Yeonhwa-hwasaeng-san. In the Bronze Age, the expressions of Gi and Hwasaeng on the bronze artifacts appeared as 'short and dense continuous linear' and also as jeommun(點文·點線文dot pattern), wonmun(圓文 circle pattern), samgakmun, pahyungmun(巴形文whirl pattern), dangchomun and etc. These patterns were originated from the Neolithic period style, but the details were more elaborate. Especially, the phase and development process of Hwasaeng is vividly shown on bronze ritual bells, bronze mirrors, and other objects as seen in the pictures (Pic.37-49). The bronze artifacts in Pic.45 imply that people clearly recognized Cheonwonjibang(天 圓地方ancient ideology that means the heavens is amicable and the earth is even), and the bronze artifact in Pic.48 indicates that it certainly had an influence on later Buddhist art as well. The expressions of Gi , Hwasaeng on the earthenwa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influenced by the Neolithic earthenware and bronze artifacts as seen from their patterns. They had been widely spread, especially Yeonhwa-hwasaeng pattern bacame more popular. The expression appeared as (sequential) sanmun and also as wonmun, banwonmun (半圓文semicircle pattern), dangchomun, yeonhwamun, indongmun and etc. These patterns also formed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In this respect, starting in the Neolithic period until the mid-7th century in our territory including Manchuria, Gi,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expressions distinctly developed within the realm of our history and culture and maintained a unique style and identity without having undergone much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Furthermore,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such tradition of the expressions had been transmitted as a central pattern within ou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and regarding this, I would like to discuss it in a separate research.

      • KCI등재

        己汶·帶沙의 위치와 그 위상

        이용현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9

        己汶과 帶沙는 6세기 전반기 百濟와 加耶諸國 특히 伴跛(가라) 사이에 중 요한 쟁탈의 대상이었다. 6세기는 백제와 신라가 국가를 확대하면서 격렬하 게 남부지방에서 협력의 이면에 상호 경쟁이 가속화되던 격동기였다. 己汶과 帶沙에 대한 이해는 이 시기 한반도 남부 역사를 상세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括地志와 日本書紀 등 관련 자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己汶과 帶沙의 지리적 위치는 蟾津江 유역임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 으로 己汶은 全北 南原 부근, 帶沙는 慶南 河東 부근으로 각각 蟾津江 上流 와 下流의 要衝地였다. 오늘날의 행정구역 南原市와 삼국시대 南原郡은 그 범위가 다르다. 삼국시대 南原은 오늘날의 남원 서부권 즉 白頭大幹의 서쪽 과 장수군의 남쪽 일부였다. 기문의 범위를 생각할 때 이를 중시해야 한다. 己汶은 512년에, 帶沙는 517~521년에 각각 백제의 영토가 되었다. 백제시대 대체로 江의 명칭은 연안의 주요지역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향이 있었다. 蟾 津江은 己汶 즉 基文을 따서 基文河가 강 전체의 당시 이름이었다. 또 蟾津 江의 하류는 지명 帶沙를 따서 帶沙江이라 불렀다. 이처럼 己汶과 帶沙는 6世紀 百濟에게 地政學的으로 높은 位相을 갖고 있 었다. 이는 발굴되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Understanding Gimun己汶 and Daesa帶沙 is an important key to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period. Gimun and Daesa were the subjects of an important struggle between Baekje and Gaya Contries and especially Banpa伴跛 ie. Gar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relevant data such as Guatizi括地志 Including the Annals of the land and Nihoshok日本書 紀,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Gimun and Daesa was confirmed as Seomjingang-River蟾津江 basin. Specifically, Gimun was near Namwon, Jeonbug and Daesa was near Hadong, Gyeongnam, which was a key point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respective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western part of today's Namwon, the western part of Baekdudaegan白頭大幹 and the southern part of Jangsu-gun. Gimu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in 512, and Daesa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between 517 and 521. During the Baekje era, the name of River tended to be named after major coastal areas. Seomjinga-R. was the name of the entire river after Gimun. In addition, the downstream of Seomjinga-R. was called Daesagang-R.帶沙江 after the geographical name Daesa. Gimun and Daesa had a high geopolitical status for Baekje in the 6th century. This is also confirmed through archaeological data excavated.

      • KCI등재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박지윤(JIYO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의 정도성 차이를 실험을 통해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기식음은(ph, th, ch, kh/로 이들 음가는 초성에서 유지되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에서 연음되어 제 음가를 유지하여 강한 기식음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는 약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기식음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음절화, 중화와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고, 그 정도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만한 사실이지만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주목한 연구도, 그리고 그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원인을 규명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많은 언중들은 실생활 발음에서 기식음을 모음 사이에서 약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구체적 현상으로는 어떠한 실현 양상이 있으며, 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원인을 밝히는 과정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해 사례 연구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기식음(kh/가 가장 강하게 일어나고, 다음으로(ph/,(th/,(ch/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식음(kh/와(ph/의 경우에는 모음간 약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 실현 양상이 무성음 [k]와 [p]가 아니라 유성음 [g]와 [b]로 실현된다. 이처럼 기식만 소실할 뿐만 아니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기식음에 대한 유성음화는 한국어 음운론에서 잘 일어나지 않던 현상이다. 그리고 기식음(th/와(ch/의 모음간 약화는 [s], [th], [ch]로 실현된다. 기식음이 세 가지 형태 [s], [th], [ch] 중 두 가지 이상 혹은 세 가지 모두 공존하며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 이유로 먼저, Sapir(1925)의 ‘심리적 실재’와 관련시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s/는 많은 논의를 통해 격음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s/를 격음으로 보아 기식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마지막 이유로는, 역사적 변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예를 통해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은 역사적인 변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식음 모음에서 간과되어 왔던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rough experiments and to find out the cause. The breathing sounds in Korean are ph, th, ch, kh, and these are maintained with consonants or are articulated in formal forms beginning with vowels to maintain their original values and achieve strong breathing sounds. However, these breathing sounds are weakening between vowels. Discussions on breathing sound so far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syllabization and neutralization.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about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Although it can be inferred that breathing sounds weaken between vowels, no study has focused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nor has there been any study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degree and determine the cause. In the real-life pronunciation of many words, breathing sounds tend to be weakly pronounced between vowels, but research is needed on that. In addition,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cause of such a phenomenon is meaningful. Since experiments are essential for this research, Seoul dialect is targeted. Therefore, let us look at the case studies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e results show that breath sounds kh occur most strongly, followed by ph, th, and ch. In the case of breath sounds kh and ph, a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appears strongly, and voiceless sounds [g] and [b] are realized instead of [k] and [p]. In this way, breathing disappears and vocalization occurs between vowels, but vocalization does not occur very often in Korean phonology. Further,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th and ch is realized as [s], [th], and [ch]. In many cases, breath sounds are maintained in coexistence with two or more of the three forms [s], [th], and [ch]. This phenomenon can first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Sapir(1925). In addition,(s/ can be considered a violent sound in many discussions, and in this study,(s/ is regarded as a very aggressive sound and is considered to be erosive. The last reason is seen as part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but various examples show that the weakening of breath sounds between vowels is a historical change in progr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which have been overlooked from vowels of breathing sounds until now, and in determining the cause.

      • KCI등재

        형·기·신 ; 심신 대립을 넘어선 도가적 정신 해방

        김재숙(Kim Jae-sook)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중국 도가 사상사에서 몸의 문제는 중요 주제였다. 본논문은 장자와 그 사상을 계승하고 있는 회남자를 중심으로 도교 성립 이전에 나타나는 심신관계론을 구명한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인간의 몸을 形·氣·神 3요소로 나누어봄으로써 기일원론적 형신관을 말하고 있다. 이는 심신 이원론적 관심이 아니라 氣를 중점으로 하는 수양론적 함의를 더 강하게 띠는 것이다. 즉 우리 몸은 수양을 전제로 한 形神 불분리의 몸이다. 인간의 생사는 기의 취산이고, 죽음은 기로의 복귀이다. 기는 심리와 생리, 정신현상과 생명현상 사이에서 공조적 동시작용을 일으키는 에너지로서, ‘보이는 몸’과 ‘보이지 않는 몸’의 중층적 구조의 불분리를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육체만 단련한다고 기가 길러지는 것도 아니며 무엇보다 정신을 수련하는 것이 몸의 해방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양신의 몸수련의 대표적 예가 바로 심재(心齋)이다. ‘氣로 들어라’라는 것은 기가 몸안에서 자연스레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감각기관의 氣化를 통해 정신의 신묘한 작용력이 머물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체험은 무한한 우주와 인간 존재의 동일성을 부여하는 근거로 작용함으로써 인간 몸의 기는 우주의 기 순환에 참여하게 된다. 인간의 몸은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의 혼합물이며, 훈련과 자아완성을 통해 기를 이끌어가는 것이다. 이런 우주의 질서(天理)에 따르는 몸의 해방이 포정의 몸짓에 나타난 심신관계이다. 포정의 몸놀림은 심신합일의 실천지를 함축하면서 ‘몸의 자연’을 회복하는 지극한 즐거움을 보여주고 있다. 도가의 심신 대립을 넘어선 정신해방은 몸을 경시하고 정신적 관념세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육체의 기수련 못지않게 정신적 기의 수양을 통해 몸의 해방과 함께 하는 것이다. 정신의 소요는 몸의 해방 위에서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사회에서 타인의 시선에 구속되어 있는 몸의 해방을 일깨우고 진정한 활신(活身)을 모색하게 한다. This thesis aims at the axiological study of the theory on mind-body relation centering on the Chinese Taoism, especially Chuangzi and Huinanzi. Huinanzi inherited and developed the thought of Chuangzi. Before the formation of religious and practical Taoism, the theme of the human body was the significant topic to them. Generally speaking, they didn"t divided human body into two elements of mind and body, but three elements of physical body(xing), vital energy(qi), spirit(shen) in contrast with the western dualism. They asserted the monistic mind-body relation centering on vital energy(Qi). This viewpoint implyed the meaning of moral culturing. The birth and death of the human body was the result of the gathering and dispersion of the qi-energy. Qi-energy acted on the mutual cooperation of the between physiological phenomena and mental phenomena. It generated the multiple structure of the between invisible body and visible body. Furthermore qi-energy of human body could participate in the qi-energy of the universe through the tranining of mind and body. Human body was the compound of the qi-energy that organize the universe. To the end it intended the liberation of the body follow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it could restore the "nature of the Body". Vital energizing of mind and body leaded the spiritual wandering into the Cosmic Body. Taoistic spiritual wandering founded on the liberation of the physical body.

      • KCI등재

        두 종류의 “-기에는” 구문에 대하여

        정연주 ( Jeong¸ Yeon-ju ),김현주 ( Kim¸ Hyun-ju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논문은 “-기에는” 구문을 기준에 따른 판단을 나타내는 ‘-기에(는)’ 구문과 부적절 사태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는 ‘-기에는’ 구문으로 나누어 각 구문의 의미적, 문법적 특성을 살핀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 두 구문을 구분하여 기술하지 않았지만, 두 구문은 의미적, 문법적으로 여러 가지 차이를 보인다. 기준에 따른 판단을 나타내는 ‘-기에(는)’ 구문은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에서 어떤 판단을 내린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또한 보조사 ‘는’이 필수적이지 않고, ‘-기에(는)’에 동사가 선행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기에(는)’ 절은 출현 위치가 꽤 자유로워서, 후행절 앞에 나타날 수도 있고 후행절 내부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구문은 후행 서술어의 종류, ‘-기에(는)’ 절의 필수성, ‘-기에(는)’ 절과 후행 서술어의 관계, 보조사 ‘는’의 사용 양상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따라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부적절 사태에 대한 이유 제시의 ‘-기에는’ 구문은, 선행절의 사태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는데 그 이유가 되는 상황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또한 보조사 ‘는’이 필수적이고, ‘-기에는’ 앞에는 주로 동사가 오지만 형용사도 놓일 수 있다. 이 구문의 ‘-기에는’ 절은 후행절 내부보다는 후행절 앞에 위치하는 경향을 갖는다. ‘-기에는’에 시제 요소가 결합하는 것도 기준에 따른 판단을 나타내는 ‘-기에(는)’ 구문에 비해 자연스럽다. 이 구문은 기준에 따른 판단의 ‘-기에(는)’ 구문 중 제2유형으로부터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처럼 문법적 특성에서 기원 구문과 여러 가지 차이점을 갖게 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mantic and grammatical features of “-kieynun” construction so to divide it into two types: one is used to present a criterion of the judgement presented by the main clause; the other is used to present an incongruous situation considering the condition presented by the main clause. It seems obvious that “-kieynun” has two different functions in terms of semantics and grammatical functions even though previous studies haven’t set these two apart. The ‘-kiey(nun)’ construction of the judgement criterion consists of two parts: a part to present a criterion, and the other part to judge on the basis of the criterion. ‘-kiey(nun)’ of this construction can omit the particle ‘nun’ and forms a conjugation form only with a verb, not an adjective. In this construction, the position of the criterion part which ends with ‘-kiey(nun)’ is not fixed: it can come before or inside the judgement part. This construction has three subtypes in terms of the sort of the following clause, obligatoriness of the ‘-kiey(nun)’ clause,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parts, and the way of using the particle ‘nun’ in ‘-kiey(nun)’. The other ‘-kieynun’ construction also has two parts: a part to present an unsuitible/incongruous situation, and the following part to present the ground why the situation presented by the ‘-kieynun’ clause is incongruous. ‘-kieynun’ of this construction always needs the particle ‘nun’, and forms a conjugation form either (mainly) with a verb or with an adjective. The part to present an incongruous situation of this construction tends to occur before the other part. And a conjugation form with a tense element of ‘-kieynun’ of this construction is relatively acceptable compared to that of the ‘-kiey(nun)’ construction of judgement criterion. Having derived from a sub type of the ‘-kiey(nun)’ construction of judgement criterion, this construction has developed several differences from its origin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