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箕子傳承의 형성과정 연구

        오현수(Oh, Hyun-Su)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箕子朝鮮說이 형성되기 이전의 선진시기 기자 관련 기록에 대한 정치한 분석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선진시기의 문헌들과 箕子朝鮮說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전한 초기의 『회남자』・『상서대전』・『사기』의 箕子傳承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진~전한 초기에 형성된 기자 전승은 총 열아홉 가지인데, 역사적 순서에 따른 기자 전승의 흐름은 (紂王의 失政) → 箕子賢人說→ 箕子恨歎說→ 商亡豫見說→ 箕子忠臣說→ 箕子諫言說→ 箕子奴婢說/箕子狂人說/箕子避難說/囚箕子說/箕子困窮說→ (폭정의 가속화) → (武王의 勝利) → 釋箕子說/釋箕子說-召公論→ 淨箕子之宮說→ 箕子之明夷說/箕子東來說/箕子朝鮮說→ (西周燕의 分封) → 箕族保護說→ 箕子來朝說・洪範敎授說・晉興豫見說’의 순서였다. 그러나 각각의 전승을 담고 있는 문헌은 이와 같은 흐름의 순서대로 성서된 것이 아니다. 기자 전승의 역사구조적 순서와 함께 각 전승의 형성 시기를 고려하여 전체 기자 전승의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고려한 전체 기자 전승의 흐름은 箕子忠臣說/商 亡豫見說(은말주초~춘추시대) → 箕子賢人說(은말주초~춘추시대 말) → 箕子奴婢說/晉興豫見說(춘추시대 말) → 箕子狂人說(전국시대 혹은 전국시대 말) → 箕子恨歎說/箕子諫言說/箕子避難說/箕子困窮說/囚箕子說/釋箕子說/釋箕子說-召公論/洪範敎授說(전국시대 말) → 淨箕子之宮說(전국시대 최말기~진대) → 箕族保護說(전한초) → 箕子之明夷說/箕子東來說/箕子朝鮮說/箕子來朝說(전한 무제대)의 순서가 된다. 이러한 선진~전한 초기 기자 전승은 전한 무제대의 사마천에 이르러서 집대성되어 『사기』에 수록된다. 사마천이 기록하고 있는 기자 전승은 대체로 기존의 기자 전승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商亡問答說, 箕子操作曲說, 武王訪問說, 麥秀之詩作者說, 箕子隱居說의 새로운 전승을 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기자 전승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주목할 점은 전한 무제대에 새로운 기자 전승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자 전승의 확대 과정은 위만조선의 멸망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 Accurate analysis to records the discourse of Kija-Joseon shown in PreChina-Literature yet didn"t accomplish. Therefore a systematic analysis to Kija"s legends of PreChina-Literature is tried in this article.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Kija being imprisoned by King Zhou and the Discourse of King Wu freeing Kija were not early versions but were later versions of Kija"s legends. And there was not Kija"s legends of relating Kija and Joseon in PreChina-Literature. A historical background to form the discourse of Kija-Joseon was ideological and historical measures taken to grant moral justification to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s invasion of Wiman-Joseon and the need for efficient rule of Lo-lang Commandery. Therefore, the discourse of Kija-Joseon w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needs of the time and does not reflect historical fact.

      • KCI등재후보

        여기자의 위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 연구: 전북지역 여기자들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허명숙 ( Myung Sook Hur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언론사 구조에서 오래 지속되어온 그러나 드러나지 않았던 성차별적 관행들과 여기자들의 대응 태도를 통해 여기자의 위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신문사와 방송국에 종사하는 경력 여기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기자의 성장을 제약하는 환경·구조적 요인 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 내 배제와 소외 등 차별현상을 점검했다. 또한 여기자들이 이러한 배제와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어떠한 저항을 거쳐서 또는 어떠한 순응 형태를 거쳐서 현재의 위상에 이르게 됐는지를 살펴봤다. 분석 결과 전북지역 언론사 여기자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편견, 남성중심의 파워구조, 밀실의 취재관행, 권위주의적 남성문화와의 갈등을 겪고 있으며 그리고 기혼의 경우 육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재보도 현장에서는 남성적·권위적 정보 수집 관행,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취재망, 비공식적인 연줄과 연고, 남성적 게임에서의 상대적 배제,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성장을 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안에서는 문화(여성)부 또는 경제부 유통 담당기자가 쓰는 소프트뉴스에 대한 평가 절하, 여기자에게 주변적인 부서만 맡기는 관행, 여기자에 대한 정형화, 남성적 유대에서의 소외 등으로 많은 여기자들이 일에서 보람을 느끼지 못하고 자조적이며,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언론사 경영의 어려움에서 오는 각종 능력 동원, 구독 부수 증대 등에서 심적 압박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언론사 여기자들은 무엇보다 부서의 순환 배치와 여기자 수의 증가가 여기자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북지역 여기자들은 부당한 인사와 처우, 성희롱 등을 당했을 때 과거엔 침묵하거나 자포자기하거나 순응하는 식의 자세로 일관해온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여기자들의 경력이 쌓이면서 ``제대로 된 기자`` 또는 관리자로서의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부서 배치 등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공식적 혹은 사적으로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언론사 내외적인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는데도 여기자의 위상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며, 특히 지역 언론사의 여기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지역 여기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함으로써 자칫 전북지역만의 특성에 한정될 수도 있는 한계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역 뉴스 생산자로서의 여기자 위상을 짚은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factors affect the status of female journalists working in newspaper and broadcasting companies in Jeon-buk area. Based on interviews with female journalists, exist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m was analyzed.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reveal how female journalists conform to or defy existing discrimination such as the exclusion them from the news production process.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 journalists in Jeon-buk area have struggled to overcome androcentric practice and deep-rooted prejudice against them. The persistent sexism does exist in news coverage activities. For example, female reporters tend to be in charge of soft news and gossips and their works are relatively underestimated compared to male journalists`. They are also under pressure to increase the circulation of newspapers. As a result, many female journalis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Female reporters in Joen-buk area suggest that to entrust themselves with important task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emale journalists would help to enhance the social status of themselves. Recently, they, who have careers in particular, started to express themselves to become "real reporters" who write articles correctly and objectively. Despite this noticeable change, studies on the status of female journalist are rare. For this reas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Jeon-buk area, it can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status of female journalists.

      • KCI등재

        수습기자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탐구

        송상근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4

        수습기자는 언론사에 입사하면서 취재보도에 필요한 직무역량, 그리고 내부문화 및 관행을 습득한다. 새로운 구성원이 회사방침을 수용하고 내부 구성원에게 동질감을 느 끼면 개인역량이 강화되고 조직전체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조직사회화의 첫 단계인 수습기자 교육이 중요하다. 한국 언론의 수습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며, 수습기자 는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습기자 15명 과 선배기자 8명 등 모두 2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한국 언 론은 도제식 교육방식을 고수하여 조직문화가 수직적이고 권위적으로 형성되도록 했다. 또 수습기자들이 기본교육을 충실히 받지 못한 상태로 현장에 투입돼 질책을 받고 언행 을 통제받으면서 심신 모두 위축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수동성을 부르는 교육방식에 대해 선배기자는 언론의 특수성을 언급하며 불가피성을 강조했지만 인격모독 같은 악 습을 없애고 교육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수습기자와 인식을 같이 했 다. 기자는 언론에서 취재보도라는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집단이므로 자율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집단이다. 조직의 미래를 좌우할 수습기자가 역량을 강화하고 순조롭게 적응 하는 방안을 언론의 경영진과 기자 집단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Journalists-in-training acquire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reporting, as well 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 once they join the media. New member’s adjustment to the regulations, identifying themselves within the media is the first step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raining functions as one of the biggest roles in this proces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Korean media’s training is organized, and what journalists-in-training learn, experience and how they adapt, this study ha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23 journalists in total: 15 trainee journalists and 8 senior journalists. The study showed the Korean media has adhered to an apprenticeship training, forming a hierarchial and authoritative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trainees working on field without sufficient training were reprimanded and under tight control, leading them to become exhausted. In seniors’ perspective, the training that called for passivity was in fact inevitable due to the unique nature of media, yet agreeing to discard the vice such as personal insult. Rather, coming up with a better training measures. Journalists are in charge of reporting, the very core of the media organization. Hence they requir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t is a responsibility of all to improve the training system for new comers. After all, trainee journalists are the future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한국 대중영화의 여기자 재현

        노광우(Kwang Woo Noh),용미란(Mi Ran Y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4

        대부분의 한국 대중영화와 드라마에서 기자는 부패한 권력과 야합하여 비리를 일삼거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다. 문제는 부정적 측면에 치우쳐 형성된 기자 담론이 언론에 대한 국민의 불신감을 더욱 조장하고 있는 데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에서의 기자 재현은 언론의 신뢰도와 직결된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할 만한 현상이 대중영화에서의 여기자 재현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대중영화에서 여기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보고, 기자 담론 형성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1년 작 <모비딕>과 2012년 작 <부러진 화살>에 대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3가지 유형의 여기자 재현양상이 도출되었다. 이 두 편에 등장하는 여기자의 긍정적인 재현상은 ‘변혁적 리더십’과 ‘정보기기 활용 능력’, ‘감성적 공감능력’이다. 첫 번째 유형은 <모비딕>의 조부장이다. 주체적 결정권을 가진 조부장의 등장은 언론 조직의 변화를 의미하며 인간적 배려와 지적 자극을 중심으로 한 조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21세기에 가장 이상적으로 요구되는 리더십 유형이다. 또한 조부장은 극 중 간부직 남성 기자가 권력과 유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대비하여 본연의 역할 수행에만 충실하다. 두 번째 유형은 <모비딕>의 성효관 기자이다. 성효관은 정보화 사회에서 뉴미디어를 정보 수집에 능숙하게 활용하는 여기자로서 극 중 동료 남성 기자들이 일상적으로 부도덕한 행위를 자행하는 것과 대비하여 전문적이고 도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동료 기자로부터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한 명의 기자가 아닌 보호 대상으로 인식 되고 있는 점은 한계로 보인다. 세 번째 유형은 <부러진 화살>의 장은서 기자이다. 장은서는 여성 특유의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극 중 부당 권력의 피해자로 묘사된 김경호 교수와 박준 변호사 간의 매개자이자 정서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보았을 때 기존의 남성 기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여기자 재현이 대중영화에서 기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긍정적 담론 형성에 기여하리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분석에서 드러났듯이 긍정적으로 재현되고 있는 여기자조차 현실에서 마주하고 있는 한계를 겪고 있으며 이것이 언론 사회에서 여기자를 일부라고 인식하게 한다는 점은 제한 점이다. 이는 긍정적 담론이 향후 성별을 막론하여 전체 기자 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장애가 될 가능성이 있다. Recent Korean popular films and television dramas represent journalist as the character who colludes with corrupt power to engage in scandals or completes one’s goals by good or bad means. It matters that the negative discourse of journalists fosters audience’s distrust on journalism. Representation of journalists in popular culture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journalism. In relation, it is noticeable that popular media represent female journalists. This study examines how recent popular films deal with female journalists through the case of <Moby Dick>(2011) and <Unbowed>(2012) to find improvement of discourse on journalists. In result, three female characters in these films represent positively ‘reformative leadership’ (Chief Cho in <Moby Dick>), ‘appropri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Seong Hyo Kwan in <Moby Dick>), and ‘emotional response’ (Jang Eun Seo in <Unbowed>). Compared to representation of journalists through male, the positive representation of female journalists constributes to positive discourse on role and function of journalism. However,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se positive representations are merely a part of whole journalists.

      • KCI등재

        17-18세기 箕子 유적의 정비와 기자 인식

        신주엽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8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ija(箕子), which had previously been analyzed mainly in historical books, through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name of the country, Joseon(朝鮮), comes from Gija Joseon. Therefore, Joseon revered Gija as the progenitor of the country. Gijajeon(箕子殿), a space to revered Giza, began to be maintained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perception of GiJajeon changed when the envoy of the Ming(明) Dynasty of China visited t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ace and China was considered a lot when the envoy of the Ming Dynasty visited GiJajeon. A visit to the Confucian shrine, where Confucius(孔子)'s memorial service was held, was recommended first to the Chinese envoy, and GiJajeon was next. In the 15~16th centuries, Gija's status fell short of Confucius. In the early 17th century, GiJa's shrine was renamed from Gizajeon to Soonginjeon(崇仁殿). ‘Soongin(崇仁)’ means to worship In(仁), which Confucius claimed. However, the name of Gija's shrine was given to Gija, not Confucius, as a symbol of In(仁). It also shows that the status of the GiJa has changed to a position equivalent to Confucius.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the term ‘Gisung(箕聖)’, which describes a Gija as an saint. The Joseon intellectuals who visited the ru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did not leave a record of what they thought of linking this place with China. Through this, it can be proved tha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s not the result of loyalty and respect for China. This process and percep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eowon(書院) and a shrine to store the Gija's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six spaces were built to store Gija's paintings. The painting, which was kept at Inhyeonseowon(仁賢書院) in Pyongyang, disappeared through the Chinese Invasion of Joseon in 1627(丁卯胡亂). As the original disappeared, many regions began to build a shrine for Gija, claiming that their paintings were genuine. The people who built these spaces raised a problem with the fact that Gija's shrine was less than Confucius's. They needed to build a shrine for Gija, which was superior to Confucius, and hoped that the state would recognize this shrine. In the 18th century, the public opinion of intellectuals to establish a shrine for Gija nationwide was conveyed to the state. Unlike the 15~16th centuries, the maintenance of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and the recognition reflected in them we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making Gija in China into a Gija in Joseon. 이 글은 기존에 역사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던 조선시대의 箕子 인식을 기자를 제향하는 사당과 서원, 祠宇 등 기자와 관련된 유적이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8세기에 기자 유적의 정비가 진행되는 과정이 기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하고자 하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평양의 기자 유적은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사신도 한 번쯤 방문하고자 한 장소였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기자의 사당은 조선 태종대에 箕子殿으로 명칭이 정해지고 세종대에 祀典에 등재되면서 정비가 일단락되었다. 15세기의 기자 인식을 보여주는 유적은 기자전에 세워진 箕子廟碑이다. 卞季良이 작성한 碑銘에는 箕子受封說, 中華와 東夷 등 기자를 중국과 연결하여 인식하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이는 기자의 사당을 방문한 명나라 사신의 記文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기자전과 箕子墓를 정비하는 과정은 기자와 중국의 연관성, 명나라 사신의 기자 유적 방문 등이 고려되었다. 한편 이러한 인식은 임진왜란을 겪은 직후인 17세기 광해군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기자전의 명칭은 崇仁殿으로 바뀌었다. 기존 연구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의 再造之恩 및 명나라와의 同類 의식이 강화된 결과로 기자 유적이 정비되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평안도 유생과 李廷龜 등이 기자 제사의 禮를 높이고 후손인 鮮于氏가 대대로 제사를 잇도록 요구한 글에서는 기자와 중국을 연결 짓는 내용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정구가 작성한 箕子廟碑를 보면 15세기의 箕子受封說과 기자의 敎化에 대한 해석은 보편적인 현상으로 변화하였다. 그는 기자를 箕聖으로 표현하며 하늘이 단군을 잇도록 하였다는 내용의 詩를 지었다. 17세기에 변화한 기자 인식은 평안도와 황해도에 기자를 제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립하고, 18세기에 기자를 제향하는 장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서도 찾을 수 있다. 평양의 仁賢書院에 봉안되었던 기자 그림이 정묘호란으로 인하여 사라지자, 평안도와 황해도 각지에서 그림의 진본을 주장하며 기자의 院宇를 건립하고 사액을 요구하였다. 18세기 영조 · 정조대에는 한양의 文廟와 전국 8도에 기자의 사당을 별도로 만들 것을 요구하는 유생의 공론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모두 기자가 조선에 끼친 功德이 孔子보다 작지 않음에도 기자의 사당이 공자를 제향하는 공간보다 적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17~18세기 기자 유적의 정비는 17세기를 기점으로 기자를 ‘중국의 기자’에서 ‘조선의 기자’로 만들어가고, 변화한 기자 인식을 확립하여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자실기」의 기자동래설 분석과 철학실천 연구

        유성선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Gijasilgi」 of 『Yulgokjeonseo』, and to ascertain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rough 「Gijasilgi」. In addition, the future analysis of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should respond to the matters of facts with justification and practical benefits for China`s Cultural Project an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atter that China incorporates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Gija Joseon into the logic of China`s Cultural Project.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problem-posing, precedent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logic for responding to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significance·prospect. If we recognize Dangun-Joseon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as the history of our country's birth myths, we can claim that the Korean people has its own exclusive ethnic identity. On the contrary, if we can’t distinguish truth from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we are likely to be incorporated or accepted into the distorted logic of 21C. As the discussion about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at can be the junction with Dangun-Joseon, which is the historical fact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is not only the overcoming of China`s Cultural Project but also the vision of unified Korean Peninsula,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along with the spread to academic future generations. 본 논문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서 율곡 이이가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기자실기」를 통한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향후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의 분석은 사실 적시 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며, 중국측이 기자동래설 및 기자조선의 문제를 문화공정의 논리대로 왜곡하거나 편입하려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차제는, 문제제기, 기자동래설의 문헌적 선행연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 기자동래설의 철학실천 대응논리, 의의와 전망이다. 우리가 한국사상사상 단군조선을 건국신화의 역사로 인지한다면 한민족은 독자적인 민족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주창할 수 있다. 이와달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21세기 왜곡적인 논리에 편입되거나 수용될 여지가 있다. 한국사상사상 역사적 사실인 단군조선과 연접이 될 수 있는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 등의 논의는 문화공정 등의 극복 뿐만 아니라 통일한국의 비젼이라는 점에서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및 파급과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가 진작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본 논고는 栗谷의 『栗谷全書』에 기록된「箕子實記」를 중심으로 율곡의 華夷論을 기술하였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했던 方法論이자, 21C에도 여전히 적용가능한 世界觀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華夷論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자와 기자동래설 등의 진위문제를 사상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정착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조선이라는 국호의 선택과 조선 후기 小中華라는 신념의 실체가 되고, 한민족 역사와 실체 인식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던 것이 바로 箕子東來와 그에 의한 교화라는 역사적 사실인식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사학계의 비판적 고찰에 의해 그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거나 기자와 관련된 기존의 인식의 부당함을 밝히게 됨으로써 이제는 오류 신념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중국학계는 東北工程의 일환으로 箕子와 箕子朝鮮은 商周史의 일부로서 殷과 商의 후예가 조선반도에 세운 지방정권으로 중국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기자는 실재한 철학가, 정치가로서 기자조선에서부터 중국 동북사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기자동래를 설명하는 논리는 기자동래설 자체가 허구이며 중화적 우위성을 부각하기 위한 역사적 가공이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율곡이 제기했던 기자의 殷人 문제, 기자동래설, 기자조건의 위치 문제 등의 虛와 實은 우리 철학계에서도 고고학적·역사적 검토처럼 진위의 문제를 분명하게 검토할 때이다. 이에 논자는 율곡의 「기자실기」는 21C 화이론의 성격규명에 다각도로 검토될 수 있으며, 이제 사상계에서 기자조선의 虛/實 진단과 검토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기하는 바이다. This study described Hwayiron of Yulgok focusing on 「Gijasilgi」 recorded in Collected Works of Yulgok 『栗谷全書』. Hwayiron is a methodology with which Chinese people recognized social world. And Hwayiron is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still applic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Collected Works of Yulgok』 and 「Gijasilgi」.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uth of Gija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in the aspect of thoughts. Gija’s ruling over Gojoseon was esta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entering Chosun, it became real entity for selection of the country name called Chosun and belief for small China in later Chosun. And it also became important root for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ts recognition of real entity. Thus, in Korean there was recognition of historical fact for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edification by Gija’s ruling over Gojoseon. But such recognition was questioned by criticism from historical circle if it is true, or it was figured out that existing recognition related to Gija is unreasonable. As a result, now it is understood as only false belief. As part of China’ s Northeast Project, Chinese academic circle included Gija and Gija Chosun into Chinese history- Gija Chosun was local government that descendent of Shang dynasty established in Chosun peninsula. And Chinese academic circle says that Gija is real philosopher and politician, and Chinese Northern and Eastern histoy began in Gija Choslill.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that logic to explain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fiction and historical manipulation to clearly show superiority of China. Accordingly, like arc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y, now is time for our philosophical circle to clearly investigate if Gija Chosun etc. are true - Yulgok raised issues on Gija’s nationality, Gija’s ruling over Gojoseon, location of Gija Chosun etc. Accordingly, the author emphasized that ‘Gijasilgi」 of Yulgok can be reviewed in exploring character of 21c Hwayiron and now it is urgent for the world of thoughts to check and review truth and falsehood of Gija Chosun.

      • KCI등재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조원진(CHO, Won-Chi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이 글은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을 살펴보며 帝王韻紀와 같은 후조선=기자조선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한시대에 기자동래설이 처음 등장한 이후 고구려가 평양지역을 차지하며 기자에 대한 신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것은 고구려가 기자를 선조로 생각한 낙랑유민들의 신앙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록에는 없으나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기자에 대한 민간신앙이 제한적으로 내려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국가들은 고려를 기자와 고구려의 뒤를 이은 국가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고려는 외교적으로 기자를 강조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표현은 외교적 수식에 그쳤고 실제 고려 내부에서도 기자가 조선의 왕이 되었거나 ‘기자조선’이란 인식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단군에 대한 기록들이 다양한 문헌에 전하고 있었고 단군의 정통이 고구려로 이어졌다는 인식이 있음을 보면 고려는 국초에 ‘단군(조선)-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체계에서 기자의 존재는 들어갈 여지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기자에 대한 국가 제사는 숙종대부터 있어왔으나 고려시대에 그것은 雜祠에 속했고 제대로 시행된 것 같지 않아 箕子는 막연한 ‘敎化之主’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고려 중기에 김부식이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신라 중심의 새로운 역사서를 만들면서 구체적으로 고조선사를 다루지는 않았으나 단군보다 기자를 강조한 듯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후 三國遺事는 기자를 인정하지 않고 왕검조선이 1,908년 동안 계속 내려왔다고 인식했으나 帝王韻紀는 기자 동래 이전에 이미 단군의 통치가 끝났고 이후 기자가 세운 후조선이 이어져 왔다고 보았다. 고조선의 역사를 단군과 기자 약 1,000년씩으로 나누어 양자를 동시에 인정한 일종의 타협적인 인식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성리학이 도입된 원간섭기에 기자는 더욱 강조되면서 명실상부한 후조선의 시조로 한국사에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기자조선설은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지만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주게 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This paper looks at the Kija recognition of the Goryeo Dynasty. Kija Joseon notion will reveal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Kijadongnaeseol this first appeared in the Han era. Nakrang had the one thought Kija self ancestors. Since, Pyungyang area has been limited Kija faith traditions. The neighboring countries are related Goryeo and Kia. However Kija were highlighted only in diplomatic relations. Goryeo people when referring to Joseon, thought Dangun. Dangun believed that this succession in Koguryo laying Joseon. Gusamguksa is contained is this idea of the early Goryeo days. However, the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Samguksagi is a cash Dangun said Kija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n Samgukyusa did not recognize Kija Joseon. Dangun ruled the country will continue during 1908. On the other hand Jewang Ungi saw Dangun short reign of about 1,000 years. And Kija the founding of Joseon is the kingdom, and he thinks that after over 928 years. Neo-Confucianism has been introduced Kija was further emphasized. Kija was assumed that the founder of Hu Joseon (Kija Joseon) in Joseon Dynasty. It is possible Kija came to Joseon area. However, there may be the ruler of Joseon. Kija Joseon did not exist historically. Nevertheless, as it was the great ideological influence.

      • KCI등재

        자기자비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최근에 여러 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인 자기자비의 연구 현황을 개관하고 추후 연구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자비에 대해 정의하고 자기자비의 구성 요소와 측정 방법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아울러 자기자비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 여러 가지 인지, 정서, 행동 및 사회환경적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기자비가 매개 및 조절변인으로 기능한다고 보고된 연구들의 성과를 논하고 이들 변 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요약하였다. 그리고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역할 에 대해 조명하였으며, 자기자비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효과를 분석하여 자 기자비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자기자비 관련 연구분야, 개인 및 집단상담에 시사하는 바와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status of the topic of self-compassion tha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s of psychology. To achieve this aim, we define self-compassion, and analyze and then summarize the component as well as the measurement method about self-compassion. Furthermore,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self-compassion, we seek to fin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been considered relevant to self-compassion. Moreover, we discuss the research achievements that have report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self-compassion and summari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 also cast light upon the effects and role of self-compass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ek to understand self-compassion overall through analyzing research findings from counseling programs with self-compassion. Last, w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s well as individual and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s regarding self-compassion.

      • KCI등재

        箕子朝鮮과 小中華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기자조선 전승이 중국 전한~삼국 시기에 성립되는 과정은, 漢의 朝鮮4郡설치 및 낙랑지역 호족들의 기자 선조의식을 계기로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낙랑군을 점령한 이후 그 지역의 箕子神을 제사하였다. 이것은 기자조선 전승이 고구려에 수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를 계기로 고구려는 箕子國(朝鮮)의 후신으로 인식되었다. 8세기에 들어 唐은 신라를 동방의 君子國으로 인식하였는데, 9세기 이후 崔致遠등의 신라 지식인들은 신라를 군자국으로 자부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군자국 의식은 기자 전승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현실적 소중화 의식이라기보다는 발해에 대한 경계심‧적대감과 함께 신라의 말세적 현실에 대한 좌절감의 역설적・복고적 표출에 가깝다고 이해된다. 11세기 고려에서 나타난 기자 계승 의식과 소중화 의식이 12세기 초 箕子祠제사를 통해 제도화되고, 『三國史記』를 통해 기자조선이 삼국시대 이전의 중심 시대로 설정되었다. 기자조선이 국사에서 고조선사의 중간 단계로 체계화된 것은, 13세기 후반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이르러서였다. 『제왕운기』에서는 前朝鮮(단군)과 後朝鮮(기자)의 체계를 세우면서, 기자조선을 소중화의 표상으로 제시하였다. 고려 중~후기에 기자조선이 국사화되는 과정은 고려와 宋・거란(遼)・여진(金)・몽골(元) 사이의 다원적 국제관계 속에서 등장한 소중화 의식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e process that the legend of Kija-Chosŏn(箕子朝鮮)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Former Han dynasty to Three Kingdoms periods was related to the Han dynasty"s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and the awareness of ancestors from the local groups such as Han(韓) or Wang(王) families. After occupying the Lelang Commandery, Koguryŏ(高句麗) beg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for Kija(箕子, Qizi), a god of the region at that time. This signifies that the legend of Kija was accepted by Koguryŏ"s socie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fact that Koguryŏ was considered to be Kijaguk(箕子國; Kija State, refers to Old Chosŏn)"s later self. In the eighth century, the Tang dynasty recognized Silla as a ‘state of Junzi(君子; noble man)", and Silla"s intellects such as Ch"oe Ch"wŏn (崔致遠) were proud of Silla being a ‘state of Junzi(君子國)" after the nin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tate of Junzi" was originated in the legend of Kija, a phenomen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 paradoxical and retro expression of the consciousness of ‘little China(小中華)". During the 11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ion and worship for Kija appeared in the Koryŏ dynasty, which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rite of Kijasa(箕子祠; a shrine for Kija) in the early 12th century. In the end, Samguk Sagi(三國史記) defined Kija-Chosŏn as the central historical stage in the pre-ancient period. Then, in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he Kija-Chosŏn period was systemized as an intermediate stage of Old Chosŏn’s history by the time when Yi Sŭnghyu(李承休)’s Chewang-un"gi(帝王韻紀) was published. In this book, which has the chronological system of the Former Chosŏn(前朝鮮; refers to Tangun-Chosŏn) and the Later Chosŏn(後朝鮮; refers to Kija-Chosŏn), suggested Kija as an emblem of little sinocentrism. The courses that the national history includes Kija-Chosŏn in the middle of the Koryŏ dynasty period wa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little sinocentrism; that is, little sinocentrism reappeared and grew in the dynamic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ong Koryŏ, the Song dynasty, the Kitan(Liao), and Jurchen(Jin) in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