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진기업복지제도 도입지원사업의 경제적 효과성 분석

        권진아(Jin-A Kwon),안영규(Young-Gyu Ahn),김현수(Hyun-Soo Kim),박경일(Kyung-I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 :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선진기업복지제도 실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성을 분석하여, 중소기업들이 선진기업복지제도를 적극 도입 시행하도록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문회수 자료 중 투입-산출 지표와 관련된 3가지 유형의 - A유형(기본+심화, 도입)기업 36개, B유형(기본+심화, 미도입)기업 5개, C유형(기본, 미도입)기업 7개 - 총 48개 기업을 표본대상으로 하여 선진기업복지제도 도입과 관련된 경제적 효과성을 측정해 보았다. 분석 결과, 컨설팅을 받은 후 선진기업복지제도 중 어떤 하나의 제도라도 도입한 기업의 경제적 효과성이 컨설팅을 받은 후 관련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의 경제적 효과성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나, 근로복지공단에서 실시하는 컨설팅을 통해 제도를 도입할 경우 긍정적인 경제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컨설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컨설팅만 받고 관련 제도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을 찾아내고 그 이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dvanced enterprise welfare system utiliz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contribute to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conducted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COMWEL). We classified 48 sample data into 3 categories : A category(basic consulting & intensive consulting, adoption) is 36, B category(basic consulting & intensive consulting, non-adoption) is 5, and C category(only basic consulting, adoption) is 7. A consulting fee is used as input variable, earning per employee and average employee tenure are used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from DEA, we find out the fact that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 category is better tha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B and C category and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sulting service provided by COMW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enterprise welfare system. Therefore, COMWEL is required to perform consulting service to small & medium business more actively and is needed to look at the reason why some businesses hesitate to accept the relevant system.

      • 기업복지의 지출 양상과 노조관련 변수

        이정현,김영인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4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기업의 노동비용 중 임금이 아닌 부가급여성 노동비용인 기업복지(비법정복지)에 대한 노동조합과 그 관련 변수인 상급노총 및 조직율의 영향을 살피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노조 유무와 관련하여 노동조합의 존재가 임금을 통제하더라도 비노조부문에 비해 기업복지의 수준을 증가시키는가 하는 점과 노동조합의 존재가 주요 개별 기업복지 항목의 제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초점으로 한다. 또한 상급 노총과 관련하여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각각에 소속된 노조들의 성격에 따라 기업복지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개별 기업복지 항목의 제공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95년부터 1999년의 기간동안 노동부에서 실시하는 기업체 노동비용조사의 자료에 포함된 8,479개의 사업체가 표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단순최소자승법을 사용할 때는 노조의 유무에 따른 기업복지 수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단계 최소자승법을 사용할 때 노조부문의 경우 비노조부문에 비해 기업복지의 차이가 32%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복지 항목중 기본적이며 오래된 형태의 기업복지(식사 및 주택지원)에서는 노조/비노조 부문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보다 최근에 중요성이 강조되는 학업지원과 사내복지기금는 노조부문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비노조부문에서 보다 각각 2.03배,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단체의 영향과 관련해서는 한국노총에 소속된 노조가 있는 기업에서는 민주노총소속 노조를 지닌 기업에 비해 33.1%(OLS)또는 56.2%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분석의 결과 민주노총소속 노조의 기업에서 임금이 수준이 한국노총소속 노조의 기업에 비해 9%정도 높게 나타나 총보상의 차원에서는 민주노총의 총보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적 개별복지의 제공에서는 양대 노총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한국노총과 비교할 때 민주노총 산하 기업에서 학업지원관련 지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25.8%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복지를 대신하는 공공근로자복지의 개선방안

        윤은경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5

        Article 4 of the Framework Act on Labor Welfare(as amended in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provides that the subjects of ‘public services for workers’ welfare’ ar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ticle 5 of the Act provides that the subjects of ‘corporate welfare’ are employers of workers. Both public services for workers’ welfare and corporate welfare under the Act contribute to increase ‘labor welfare’ as a whole. Practically, the portion of corporate welfare is higher than public services for workers’ welfare.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such tendency has to be changed. I suggest that the current condition for beneficiary of the public services for workers’ welfare and policy for labor welfare be modified as follows in order to decrease labor welfare gab: (i) the standard to be a beneficiary of loan for supporting livelihood has to be based on family income of workers in total if members of the family work; (ii) the amendment of the Act in order to insert the article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s’ duty to promote employment for vulnerable social group into social enterprises, and of certain portion of above enterprises’ benefit to be used for workers’ welfare as well; and (iii) the arrangement of supportive methods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by big corporations. 근로복지기본법은 근로복지의 수행주체를 기업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구분하고, 기업이 수행하는 근로복지를 기업복지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근로복지를 공공근로복지로 규정하고, 두 복지제도를 통해 근로복지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공공근로복지는 공공근로자복지사업(서비스)라고도 불리며, 사회보험제도는 제외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공공근로복지보다 기업복지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최근 공공근로자복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는 종래 공공근로복지를 대신해 왔던 기업복지에 대한 시정과 조정의 필요면에서 본다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국내외적 경제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공공근로복지를 중심으로 근로복지의 주체를 옮겨가되 다음과 같이 현재 시행 중인 공공근로자복지의수혜자격을 일부 수정하고, 기업복지와 공공근로복지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함으로써 근로자들간의 소득재분배를 통한 복지격차해소에 일조할 것으로 본다. 첫째, 생활안정자금 융자의 수혜대상자의 선정기준을 원칙적으로는 개별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하되, 세대원의 소득이 있을 경우, 예외적으로세대원의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근로복지기본법의 공공근로의 장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취약계층 근로자들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의무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게 부여하는 규정과 사회적 기업에서 발생한이윤의 일정비율을 근로자들의 복지에 사용하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을 둘 것을 제안한다. 셋째, 대기업의 하청중소기업 근로자에 대한 복지 지원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직업사회복지와 코칭의 통합적인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2 : 사회복지와 경영의 세 번째 만남을 향하여

        김의명 한국코칭학회 2011 코칭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직업사회복지와 코칭의 통합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와 경영간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추적하였다. 사회복지와 경영의 첫 번째 만남은 산업혁명이후 영국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진 산업사회에서 기업 내에 자선적 성격의 사회복지제도가 생성되고 정착되면서 이루어졌다. 순수하게 자선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던 기업의 자선복지가 생산성 향상과 사회통제의 목적아래 기업의 인사/노무관리 제도로 정착하였으나 과학적 경영방법의 출현으로 인해 기업에서 퇴출되었지만 자선적 기업복지와 과학적 경영방법이 통합되어 인사관리제도가 형성되었다. 두 번째 만남은 1970년대 초반에 이루어지는데 과거의자선적기업복지에서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근로자 지원프로그램과 선택적 기업복지제도를 포함하는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사회복지로서 기업에 진출하게 된다. 전기한 두 가지 직업사회복지 프로그램이 기업의 이익과 생태에 잘 부합되어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되고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의 두 가지 목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확산 일로에 있다. 세 번째 만남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만남으로서 직업사회복지의 한 분야인 근로자 지원프로그램과 근래 새로 부상하는 코칭의 제 분야 가운데 기업코칭과의 통합을 모색하고 있다. 근로자 지원프로그램과 기업코칭을 학문적인 성격, 목적, 과정, 효과, 서비스 대상자에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공통되는 부문이 대부분이어서 서로 간의 통합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다. 두프로그램을 연결시키고 각각의 프로그램 내에 상대방의 프로그램을 적절히 접목 시킨다면 근로자 지원프로그램과 기업코칭의 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근로자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복지증진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고 기대된다. The first encounter between social work and business administration took place in thenearly years of industrialization. A few business leaders introduced welfare works innindustry to express paternalistic and humanitarian concern toward their employees.nWelfare works prevailed the business community until the introduction of the scientificnmanagement method. The first encounter between welfare works and the businessncommunity was harmonious during early part but ended up as tragedy. Welfare worksnwere driven out from the industry by the scientific management method.nThe second encounter occurred in the early 1970`s when occupational social worknadvanced into the business community. The second meeting turned out to be fair one, fornoccupational social work at this time was well-fitted into business administration for it`sndual functions which were enhancement of production and efficiency as well as upgradingnworker`s quality of life.nThe third encounter between employee assistance program and business is just about tonbegin. Both programs hav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in regard to scholaristicnbackground, purpose, process, service provider, effects in that integration of two programsnor, in more general level, of two discipline appears to imperative for sake of clients,nexperts, and the academic discipline itself. Either inter-connecting or integrating twonprograms seem to be viable course of actions and the prognosis appears to be promisingnat present time.

      • KCI등재

        A Critical Analysis on the Corporate Welfare Policy in America

        KIM, Hang-Seok 국제지역학회 2002 국제지역연구 Vol.6 No.2

        최근에 이르러 우리나라에서도 기업복지가 기업은 물론 사회복지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업복지는 사회복지, 가족복지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업복지가 전통적으로 단순히 노동자와 사용자 당사자 간에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복지에 있어 세계적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고찰하고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개혁방안을 강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이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리고 기업복지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하였고, 또한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이 어떠한 사회경제적 배경하에서 형성되어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동안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은 사회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왔으나 투여되는 사회적 비용에 대비하여 그 경제적 효과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에 대한 논쟁에 대한 검토와 함께 구체적인 통계분석에 근거하여 그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미국 기업복지정책이 본래 추구하였던 사회복지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5가지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 선진 기업복지프로그램이 한국 기업복지제도에 제시하는 대안에 관한 연구

        김의명(Kim, Ui-myo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07 복지행정논총 Vol.17 No.1

        한국의 기업사회와 기업복지 선진국의 기업사회 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양쪽 모두 기업복지를 기업의 이윤창출과 근로자의 복지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제로 보고 있고, 전망 또한 밝다는 점이다. 그러나 공통점은 거기서 그친다. 기업복지 선진국의 활성화추세는 기업복지 본래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는데 기인한다고 보여 지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특히 1990년대 중반 이후,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고 표류하는 징후가 도처에 나타나고 있고 “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기업이윤창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는 1995년 한국노동연구원의 체계적인 연구가 가장 대표적인 지적이다. 한국기업복지제도의 이러한 기능장애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 기업복지의 바탕이 되는 이론과 선진국의 기업복지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보완성, 효율성, 전문성, 효과성이 기업복지제도의 본질적인 특성 요인 으로 도출 되었다. 도출된 4가지 특성 요인을 분석의 준거 틀(analytical framework)로 하여 그것을 다시 기업복지 선진국의 역사적 경험과 현실에 대입하여 그 신빙성을 확인하고, 같은 요인을 분석의 기제로 삼아 한국기업복지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현재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기업복지 본래의 목적인 임금과 공공복지에 대한 보완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윤창출에 기여하는 경제 효율성면에서는 특히 뒤쳐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측면에서의 전문성은 한국기업복지제도가 선진국에 비교대상이 되지 못할 만큼 낙후되어 있으며, 근로자의 권리로서의 기업복지와 다양한 욕구 충족과 직결되는 효과성측면에서도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구태를 벋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복지가 이러한 문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미래지향적 발전을 꾀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문적 사회복지 상담프로그램인 종업원지원 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 EAP)와 선택적 기업복지제도(cafeteria plan)를 제시하였다. 전자는 주로 기업복지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고 후자는 보완성, 효율성 및 효과성을 진작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도입과 운영과정에 많은 문제점이 예상되나 다른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 현재로선 이 두 제도가 유일한 대안이 라고 볼 수 있다. It would appear that there is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and the that of the advanced industrial nations. Each system seems to be considered by an integral part in it`s business community and the future prospects seem promising. However, similarities end there. The former enjoys an popularity as a result of it`s successful performance while the latter holds unwarranted popularity, for there are substantial amount of indications that it does not fulfill it`s proper function . The systematic study undertaken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1995 revealed a number of serious defects in the occupational welfare system in the Korean industry in it`s function of profit-making. With a view to find reasons of the impotency and solutions, theories of occupational welfare and experiences of occupational welfare in the Western nations were throughly examined in order to come up with basic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welfare. Four factors notably, degree of complement, efficiency, professionalization, and effectiveness were derived to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As consequences,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was turned out to have serious deficiencies in all four aspects. As for alternatives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medy current structural problems,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which may address the problem with respect to degree of professionalization and efficiency. Cafeteria plan(flexible benefit plan) that may redress the problem of degree of compensation and effectiveness were also suggested as a viable alternative.

      • 대기업 공장 내 정규직-비정규직 노동자의 법정외 기업복지에 관한 연구

        오창민 ( Chang Min Oh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8 No.-

        이 글은 광주 지역의 대표적인 대기업 제조업체인 금호타이어와 기아자동차를 사례로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에 따른 법정외 기업복지의 격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매년 고용노동부에서 발간되는 『기업체노동비용조사보고서』와 사례 기업의 단체협상 내용을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두 기업의 정규직 노동자들은 주거, 건강보건, 보육, 학비보조, 휴양문화체육오락, 사내근로복지기금출연금, 우리사주제도지원금 등에서 복지혜택을 받고 있고, 비정규직 노동자는식사지원 정도의 법정외 복지 수혜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금은 통장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비가시적이지만, 기업복지는 작업현장 네에서도 가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심리적 소외와 무력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기업은 법정외 복지를 통해서 노동자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통제 할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고.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노동조합 역시 높은 현금급여에 따른 일부의 사회적 비난을 회피하기 위해 기업복지를 선호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모든 복지의 영역에서 배제될 수 밖에 없다. 결국 법정외 기업복지는 노동자들간 격차와 위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복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라는 문제와도 연동된다. 국가복지는 기업규모, 업종, 고용형태에 따른 복지의 격차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나아가 고용여부와 상관없이 어떻게 전체국민의 사회적 안전망을 확보할 것인지의 폭넓은 문제로까지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gap in non-legally required company welfare by employment type (standard and non-standard) of two major representative manufacturing compan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UMHO Tire and KTA Motors. References for this article are from Report on Enterprise Labor Cost Survey which are published annualy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is aticle analyzed of the Labor Collective Agreement by each trade union. The article shows that the standard workers of the two companies received various company welfare such as support on housing, medical ana health care, child care expenses, school expenses, recreation, contribution to employee welfare fund and eve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On the contrary, the contrary, the nonstandard workers got small benefit such as support on canteens and other food services as non-legally required company welfare. Wages are non-visible as they are paid through bankbook. However, company welfare is visible at workplace which cna create sense of alienation and a feeling of helplessness for the nonstandard emplpyees. stock ownership association. On the contrary, the nonstandard workers got small benefit such as support on canteens and other food services as non-legally required company welfare. Wages are non-visible as they are paid through bankbook. However, company welfare is visible at workplace which can create sense of alienation and a feeling of helplessness for the nonstandard emplpyees. Nrmally, companies use this non-legally required company welfare as a tool to manage and control workers. Trade unions of these companies also prefer this to avoid the social blame caused by high total cash payment. This circumstance forces nonstandard workers to be excluded from various kinds of company welfare. In conclusion, non-legally required company welfare is operation as a mechanism in the process of making a gap and hierarchy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emplpyees. This whole situation is related to the issue of how the national welfare should be viewed. The state welfare should be considered and debated not only about how to reduce the welfare divide caused by the size of the corporation, type of business and form of employment but the broader questions such as how to secure a social safety net for the public in the future.

      • KCI등재

        기업복지격차 완화를 위한 법정외복지의 제도적 개선방안

        민기채(Min, Kicha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국가 간 상호작용적 시각에 기초하여 대기업-중소기업 간 복지격차 완화를 위한 법정외복지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조직-국가 간 상호작용적 관점의 의의 및 기업복지의 범위에 대한 이론적 검토 후, 법정외복지라는 분석틀에 기초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복지격차는 주거, 건강·보건, 식사, 교통·통신, 보육, 보험료, 자녀학비 보조, 휴양·문화·체육·오락, 우리사주제도 지원금,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금, 기타(근로복지시설, EAP, 복지포인트, 중소기업복지 지도사) 등 11개 법정외복지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기업복지격차 완화를 위한 다양한 법률 개정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복지의 격차가 나타나는 주요한 이유는 기업복지의 임의성 때문이므로, 「근로복지기본법」에 있는 임의규정을 강행규정으로 바꾸는 법률 개정방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reduce the welfare gap between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ased on the interactive perspective between corporate organizations and states. To this end, after attempting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ve perspective and the scope of corporate welfare,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called non-statutory welfare and amendments based on the 「Basic Work Welfare Act」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porate welfare gap appears a cross 11 non-statutory welfare areas, including housing, health, meals,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hildcare, insurance premiums, child tuition assistance, recreation·culture·athletic·entertainment, employee stock ownership support funds, contributions to in-house work welfare funds, and others (work welfare facilities, EAP, welfare points, and SME welfare instructors). It can be said that various amendments to the law are required to ease the corporate welfare gap. In particular, because the main reason for the gap in corporate welfare is the randomness of corporate welfare, so a direction for amendment of the law is required to change the voluntary provisions in the Framework Act on Labor Welfare into mandatory rules.

      • KCI등재

        기업복지형태가 기업복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김효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rporate welfare types affect the welfar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based on the survey of th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Daegu & Kyeung–buk Region.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welfare type and Cafeteria Plan in the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of employees. The length of service of employees did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mployee satisfaction(service quality, cost, ease of use, value of use) according the welfare systems. The firm size had a partially moderating effect on the only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This imply that CEO need to consider the strategic choice of welfare system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as companies grow. 최근 급변하고 있는 기업복지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욕구변화는 전통적인 방식의 기업복지제도의 변화의 필요성을 예고하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에 대한 만족도 제고에 초점을 맞춘 기업복지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경영환경에 맞는 기업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근로자의 사기와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은 기업복지의 형태가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기업복지형태가 종업원 기업복지 만족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서로 없었으나, 조직규모, 근속기간은 기업복지만족도에 조절효과는 있었다. 실질적으로 기업에서 기업복지제도의 운영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것이 종업원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복지 형태에 따른 기업현황 분석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기업복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여 조직성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 카페테리아 플랜의 수용에 따른 기업복지 만족에 관한 연구

        강영걸,박노율,김효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6

        오늘날 기업의 경영환경은 급격한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예외일 수 없는 한국기업은 최근 다양화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복지욕구, 우수 인력확보, 유지 등을 둘러싼 외적 환경변화와 기업복지수준의 정당한 확보를 위한 기업복지제도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현재 한국의 기업복지제도는 기업복지 본래의 목적인 경제효율성과 기업복지 내용과 운영측면에서의 전문성, 근로자의 권리로서 기업복지와 다양한 욕구충족과 직결되는 효과성 등에서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업복지는 기업의 한축으로 단순히 기업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 노사간의 협력적인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 노사관계의 안정에도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카페테리아 플랜의 도입에 따른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카페테리아 플랜의 성공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