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진 기업복지프로그램이 한국 기업복지제도에 제시하는 대안에 관한 연구

        김의명(Kim, Ui-myo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07 복지행정논총 Vol.17 No.1

        한국의 기업사회와 기업복지 선진국의 기업사회 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양쪽 모두 기업복지를 기업의 이윤창출과 근로자의 복지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제로 보고 있고, 전망 또한 밝다는 점이다. 그러나 공통점은 거기서 그친다. 기업복지 선진국의 활성화추세는 기업복지 본래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는데 기인한다고 보여 지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특히 1990년대 중반 이후,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고 표류하는 징후가 도처에 나타나고 있고 “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기업이윤창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는 1995년 한국노동연구원의 체계적인 연구가 가장 대표적인 지적이다. 한국기업복지제도의 이러한 기능장애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 기업복지의 바탕이 되는 이론과 선진국의 기업복지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보완성, 효율성, 전문성, 효과성이 기업복지제도의 본질적인 특성 요인 으로 도출 되었다. 도출된 4가지 특성 요인을 분석의 준거 틀(analytical framework)로 하여 그것을 다시 기업복지 선진국의 역사적 경험과 현실에 대입하여 그 신빙성을 확인하고, 같은 요인을 분석의 기제로 삼아 한국기업복지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현재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기업복지 본래의 목적인 임금과 공공복지에 대한 보완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윤창출에 기여하는 경제 효율성면에서는 특히 뒤쳐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측면에서의 전문성은 한국기업복지제도가 선진국에 비교대상이 되지 못할 만큼 낙후되어 있으며, 근로자의 권리로서의 기업복지와 다양한 욕구 충족과 직결되는 효과성측면에서도 한국기업복지제도는 구태를 벋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복지가 이러한 문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미래지향적 발전을 꾀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문적 사회복지 상담프로그램인 종업원지원 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 EAP)와 선택적 기업복지제도(cafeteria plan)를 제시하였다. 전자는 주로 기업복지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고 후자는 보완성, 효율성 및 효과성을 진작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도입과 운영과정에 많은 문제점이 예상되나 다른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 현재로선 이 두 제도가 유일한 대안이 라고 볼 수 있다. It would appear that there is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and the that of the advanced industrial nations. Each system seems to be considered by an integral part in it`s business community and the future prospects seem promising. However, similarities end there. The former enjoys an popularity as a result of it`s successful performance while the latter holds unwarranted popularity, for there are substantial amount of indications that it does not fulfill it`s proper function . The systematic study undertaken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1995 revealed a number of serious defects in the occupational welfare system in the Korean industry in it`s function of profit-making. With a view to find reasons of the impotency and solutions, theories of occupational welfare and experiences of occupational welfare in the Western nations were throughly examined in order to come up with basic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welfare. Four factors notably, degree of complement, efficiency, professionalization, and effectiveness were derived to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As consequences,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was turned out to have serious deficiencies in all four aspects. As for alternatives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medy current structural problems,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which may address the problem with respect to degree of professionalization and efficiency. Cafeteria plan(flexible benefit plan) that may redress the problem of degree of compensation and effectiveness were also suggested as a viable alternative.

      • KCI등재

        선택적복지제도와 기업복지만족도의 관계에서 기업특성의 조절효과

        김효선,조주복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최근 급변하고 있는 기업복지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욕구변화는 전통적인 방식 의 기업복지제도 변화의 필요성을 예고하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에 대한 만족도 제고에 초점을 맞춘 선택적 복지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선택적복지제도를 통해 근로의욕을 고취하는 현상은 총체적 보상제도(total compensation system)로 설명이 가능하다. 비록 기업의 노사 간의 협의로 기업복지의 일방적인 제공방법이 최소화되지만, 기업복지는 질적 향상보다는 양적 확대의 경향이 있으며, 노동비용에서 차지하는 기업복지비 증가로 인한 효율적 관리에 기업의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즉, 기업복지는 어떤 수준을 지급할 것인가, 어떻게 지급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복지비를 생산적으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택적복지제도의 도입에 따른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여 기업복지제도의 도입에 따른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회사규모, 노동조합 가입유무가 기업복지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가? 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선택적복지제도의 효율적 운영으로 기업복지제도의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recent rapidly-changing business welfare service environment and employee's desire change have been predicted to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business welfare system, and the needs to adopt cafeteria plan which are focused on the satisfaction re-consideration about employee welfare have been issued. Phenomenon to evoke the will to work through the Cafeteria Plan can be explained with total compensation system. Although one-sided supply method of business welfare is minimized by talk between management and worker in business, business welfare has tendency to be expanded quantitatively rather than improved in quality. And increase in business welfare cost out of labor cost naturally draws interest from business in efficient management about this. That is, business welfare would face question about in what level the welfare should be provided, how to provide, and how the welfare cost can be used in productive way. Accordingly, the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business welfare system through efficient operation of the Cafeteria Plan.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d actual state and examples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the Cafeteria Plan. And then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se- how the system affected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upon acceptance of the Cafeteria Plan? business size, whether worker registered labor's union or not has moderating effect on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 KCI등재

        선진기업복지제도 도입지원사업의 경제적 효과성 분석

        권진아(Jin-A Kwon),안영규(Young-Gyu Ahn),김현수(Hyun-Soo Kim),박경일(Kyung-I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 :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선진기업복지제도 실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성을 분석하여, 중소기업들이 선진기업복지제도를 적극 도입 시행하도록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문회수 자료 중 투입-산출 지표와 관련된 3가지 유형의 - A유형(기본+심화, 도입)기업 36개, B유형(기본+심화, 미도입)기업 5개, C유형(기본, 미도입)기업 7개 - 총 48개 기업을 표본대상으로 하여 선진기업복지제도 도입과 관련된 경제적 효과성을 측정해 보았다. 분석 결과, 컨설팅을 받은 후 선진기업복지제도 중 어떤 하나의 제도라도 도입한 기업의 경제적 효과성이 컨설팅을 받은 후 관련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의 경제적 효과성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나, 근로복지공단에서 실시하는 컨설팅을 통해 제도를 도입할 경우 긍정적인 경제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컨설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컨설팅만 받고 관련 제도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을 찾아내고 그 이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dvanced enterprise welfare system utiliz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contribute to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conducted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COMWEL). We classified 48 sample data into 3 categories : A category(basic consulting & intensive consulting, adoption) is 36, B category(basic consulting & intensive consulting, non-adoption) is 5, and C category(only basic consulting, adoption) is 7. A consulting fee is used as input variable, earning per employee and average employee tenure are used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from DEA, we find out the fact that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 category is better tha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B and C category and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sulting service provided by COMW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enterprise welfare system. Therefore, COMWEL is required to perform consulting service to small & medium business more actively and is needed to look at the reason why some businesses hesitate to accept the relevant system.

      • 선택적 복지제도의 수용이 기업복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효선(Kim Hyo Se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최근 급변하고 있는 기업복지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욕구변화는 전통적인 방식의 기업복지제도의 변화의 필요성을 예고하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에 대한 만족도 제고에 초점을 맞춘 선택적복지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선택적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근로자의 사기와 동기부여를 증진하고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은 선택적복지제도의 수용이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기업복지제도의 개선방안과 성공적인 기업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다. 기업이 전통적 복지제도나 선택적 복지제도를 선택 하던지 기업에 복지제도가 없던지 간에 기업복지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서로 없었다. 실질적으로 기업에서 기업복지제도를 운영의 효율성과 절차적·분배적 공정성을 높이는 것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복지제도의 수용에 따른 기업현황 분석과 사례연구,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선택적 복지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으로 기업복지 만족도를 향상시켜 조직성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recent rapidly-changing business welfare service environment and employee's desire change have been predicted to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business welfare system, and the needs to adopt cafeteria plan which are focused on the satisfaction re-consideration about employee welfare have been issued. Therefore, the enterprise wants to try to acquire the company's competition power through management rationalization by increasing employee's morale and motivation and acquir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to adopt cafeteria plan.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uccessful policy of business welfare and the improvement method of business welfare system to figure out the problems by analyzing present status and examples on the adoption of cafeteria plan and by analyzing about how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of employees will be affected by the types of business welfare system? will have the adjustme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business welfare practically.Therefore,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should be enhanc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by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afeteria plan, keeping pace with the analysis of company's present status, case study and practical study on the adoption of cafeteria plan on this study.

      • KCI등재

        기업복지형태가 기업복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김효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rporate welfare types affect the welfar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based on the survey of th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Daegu & Kyeung–buk Region.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welfare type and Cafeteria Plan in the business welfare satisfaction of employees. The length of service of employees did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mployee satisfaction(service quality, cost, ease of use, value of use) according the welfare systems. The firm size had a partially moderating effect on the only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This imply that CEO need to consider the strategic choice of welfare system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as companies grow. 최근 급변하고 있는 기업복지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욕구변화는 전통적인 방식의 기업복지제도의 변화의 필요성을 예고하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에 대한 만족도 제고에 초점을 맞춘 기업복지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경영환경에 맞는 기업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근로자의 사기와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은 기업복지의 형태가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기업복지형태가 종업원 기업복지 만족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서로 없었으나, 조직규모, 근속기간은 기업복지만족도에 조절효과는 있었다. 실질적으로 기업에서 기업복지제도의 운영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것이 종업원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복지 형태에 따른 기업현황 분석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기업복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여 조직성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기업복지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박길태(Kil-Tae, Park)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4 No.-

        이 연구에서는 1961년 이전부터 현재까지 한국 기업복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외환위기 이후 도입된 선택적 복지제도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960년대 이전에는 한국의 상황으로 보았을 때 기업복지를 도입하기 어려웠던 시기 이다. 1961년~1972년에는 인사노무관련 부서가 출현하면서 기업복지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졌는데 여성노동력을 유인하기 위한 복지 관련 시설이 주를 이루었다. 1973년~1986년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무관리체계가 제도화되면서 기업복지도 함께 확대 되었다. 1987년~1997년에는 한국의 노동시장이 획기적인 변화가 초래되면서 기업복지 비용이 증가되고, 복지 프로그램 내용도 충실해지면서 기업복지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98년 이후에는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기업복지의 방향과 성격에도 상당한 변화를 초래했다. 그러면서 등장한 것이 선택적 복지제도의 도입이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1996년 한국 IBM이 최초로 도입하였고, 이후 현재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 날 수 있는 불합리한 요인 제거, 계약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까지 대상 확대, 새로운 복지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occupational welfare in Korea from before 1961 up to date and the state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an effort to make some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n the future. It was not easy to introduce occupational welfare before the 1960s due to contemporary national circumstances. The departments of personnel management started to appear between 1961 and 1972, and occupational welfare started to be discussed at that time, especially welfare-related facilities geared toward attracting female manpower. As personnel management was systemized in large companies between 1973 and 1986, the scope of occupational welfare was expanded. The Korean labor market underwent drastic changes between 1987 and 1997. Occupational welfare expenses were on the increase, and better welfare programs were provided, which contribu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occupational welfare. In and after 1998, there were great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nature of occupational welfare be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wa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The flexible benefit plan was introduced in 1996 by IBM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it has since been extended up to n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rrational consequences of it that may possibly occur with the lapse of time should be eliminated, and it should be applied to contract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as well. Besides, the development of new welfare programs is necessary.

      • 카페테리아 플랜의 수용에 따른 기업복지 만족에 관한 연구

        강영걸,박노율,김효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6

        오늘날 기업의 경영환경은 급격한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예외일 수 없는 한국기업은 최근 다양화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복지욕구, 우수 인력확보, 유지 등을 둘러싼 외적 환경변화와 기업복지수준의 정당한 확보를 위한 기업복지제도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현재 한국의 기업복지제도는 기업복지 본래의 목적인 경제효율성과 기업복지 내용과 운영측면에서의 전문성, 근로자의 권리로서 기업복지와 다양한 욕구충족과 직결되는 효과성 등에서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업복지는 기업의 한축으로 단순히 기업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 노사간의 협력적인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 노사관계의 안정에도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카페테리아 플랜의 도입에 따른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카페테리아 플랜의 성공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근로자들의 기업복지만족도를 높이는데 있다.

      • 선택적 복지제도, 중소기업에서도 유용할 것인가?

        윤미경(Yun, Mi-kyoung),김혜진(Haeji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동계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에서 선택적 복지제도가 기업복지제도 특성(다양성/수혜수준/커뮤니케이션)과 자기결정요소(자율성/유능성/관계성)를 매개로 기업복지 만족도와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업에서의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은 제도에서 오는 장점뿐만 아니라 종업원들의 긍정적 인식과 종업원들의 관계개선에 영향을 미쳐 복지만족도와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선택적 복지제도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결정요소의 하나인 관계성이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나, 다양성이나 수혜수준의 상승에 일정한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에서도 선택적 복지제도는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에서 선택적 복지제도의 도입을 둘러싸고 종업원들과의/종업원간의 관계개선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선택적 복지제도가 기업복지 만족도,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in Korea on employees" benefit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are medi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e benefit system(diversity/benefit level/benefit communication) and the self-determination elements(autonomy/competence/relatedness). The adoption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through employees" positive perception of an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firms as well as the benefit system characteristics, resulted in higher benefit satisfaction,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the relatedness of the self-determination elements was found to have important medi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finding is a good news for SMEs, where there are many limitations on increasing benefit diversity or benefit level. Therefore, we would advise SMEs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and between employees around the adoption/use of flexible benefit plans if they want more benefit-satisfied and committed employees with less intention to leave the firm.

      • KCI등재

        기업복지가 일과 삶의 양립에 미치는 영향: 시․공간 경계관리를 중심으로

        김혜련,채연주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corporate welfare on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identity, an area that has been greatly overlooked in the past. To explore the inner phenomena,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8 individuals from 3 companies and th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method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at a company’s welfare system has a direct influence on work-life balance and also indirectly intervenes in setting boundaries between work and life. For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corporate welfare on work-life identity, Goffman’s concept of ‘Total Institution’ was applied, which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two types of work-life identity: an active self toward work-life integration and a passive self toward work-life integration. Not only family-friendly welfare programs but also those relatively unrelated to family issues were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in forming an individual’s work-life ident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identity both in the workplace and at home. It also rais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welfare and work-life balance. 본 연구는 일과 삶의 양립문제와 관련해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기업복지에 초점을 두고, 기업복지가 일과 삶의 양립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밀한 현상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활용하여, 총 3개 회사 2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현상학적 분석(IPA)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복지제도에는 일과 삶의 시간과 공간의 경계설정에 직접적․명시적으로 개입하는 제도뿐만 아니라 교육, 건강관련 혜택처럼 일과 삶의 경계설정에 간접적․암묵적으로 개입하는 제도들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두 유형의 제도와 관련해 전자는 개인들의 일과 삶의 조율에 있어 의식적으로 개입하는 제도로 후자는 무의식적으로 개입하는 제도로 구분했는데, 두 유형 모두 개인들이 일로 삶을 통합하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기업복지의 이러한 특성이 개인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프만의 전체제도 개념을 차용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정체성 재정립 유형을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일과 삶의 양립 논의에서 간과되어 왔던 전반적인 기업복지가 개인들의 일과 삶의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이를 통해 일과 삶의 양립 논의에서 가족친화적 복지제도를 넘어 개인의 삶의 문제를 일정하게 해결하는 기업의 전반적인 복지이슈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일과 삶의 양립 과정에서 개인은 어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탐구함으로써 지금껏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일과 삶의 논의에서 정체성의 이슈를 다루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효과

        문선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welfare policies on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levels for married working women.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Wave 3, 1,413 married working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primary analytical methods for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rporate welfare polic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both work and family lif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demographic variables were the explanatory factor in determining the work satisfaction as well as the family-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using corporate welfare policies. Second, work and 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ed both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Third, of corporate welfare policies, national pension, support for childcare, and parental le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life satisfaction. Paid leave, overtime pay, national pension, occupational insurance, and flexible work tim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satisf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support for childcare and flexible work time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married working women's lives. Thus, in order to sustain those family-friendly policies, the policies from the public sector need to be improved first. In addition, alternative, more specialized policies are need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married working women.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여성가족패널자료 3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1,413명의 임금직 기혼 직장여성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주요 분석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는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의 만족정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에서의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일-가정 갈등 변인은 가정생활과 직무에서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복지제도 변인들 중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국민연금의 제공여부였으며, 가족친화제도 관련 변인들 중 출산휴가와 직장내 보육시설 제공여부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제도 변인들로서 유급휴가, 시간외 수당, 국민연금, 산재보험의 제공과 동시에 가족친화제도 관련 변인들에서는 탄력근로/시차출퇴근 제도만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서, 직장내 보육시설의 설치, 탄력근로제/시차출퇴근제도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이들 제도의 지속적인 시행과 확산을 위해 공공부분에서부터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증대로 인한 가족의 돌봄에 대해 새로운 사회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정양립이 가능하기 위해서 근로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수요층에 기초한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