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규모기업집단의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동일감사인 선임을 중심으로

        김정옥 ( Jeong Ok Kim ),신유진 ( Yoo Jin Shin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기업집단을 대상으로 소속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는지 여부에 따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있다. 대규모기업집단은 특성상 2개 이상 기업집단으로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한 내부거래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요인들이 회계정보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대규모기업집단이 제공하는 회계정보라고 하더라도 각 대규모집단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회계정보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기업들이 어떠한 외부감사인에게 감사를 받는지에 따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은 차이를 보이므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기업의 외부감사를 수행한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서도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기업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감사인 특성으로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감사인을 선임여부에 따라 투자자들이 이들 회계정보에 대한 가치관련성을 차별적으로 평가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회사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규모기업집단소속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감사인을 선임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부가치 및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모두 높았다. 특히, 자회사가 모회사가 동일감사인을 선임한 경우에는 장부가치와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모두 높으며, 장부가치와 순이익의 가치관련성 차이가 작았지만 비동일감사인을 선임한 경우에는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이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비해 현격히 높아 장부가치와 순이익의 가치관련성 차이가 컸다. 이는 동일감사인을 선임함으로써 기업의 잠재적 능력을 대표하는 순이익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모회사와 자회사를 모두 포함한 전체 대규모기업집단을 분석대상으로 한 결과 동일감사인을 선임한 경우가 비동일감사인을 선임한 경우보다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월등히 높았지만 장부가치는 일관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모회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한 감사인을 선임함에 따른 모회사의 가치관련성의 차이는 자회사의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단순히 많은 숫자의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감사인을 선임하는 것으로 모회사의 가치관련성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규모가 크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한 감사인을 선임할 경우에 모회사의 가치관련성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일한 감사인을 선임함으로써 감사의 효율 및 효과를 높이고, 이는 궁극적으로 회계정보의 신뢰성으로 연결되어 가치관련성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 value relevance when the firm hire the auditor of the mother firm as the auditor of subsidiary firm has the systematic difference or not. Large business group consist of more than two company and there are internal transactions between the mother firm and subsidiary firm. Therefore those kinds of characteristics can affect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However although the accounting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large business group,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can b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business group.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uditor on the value relevance of the large business group. Following the prior research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have systemat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uditor. So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auditor on the value relevance of the larege business group. For that, we use whether the company choose the same auditor between a mother firm and a subsidiary firm or not as a measurement of the characteristic of external auditor. Our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we only use the subsidiary firm as the sample. We find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and net income are higher when the company hire the auditor of mother firm as the auditor of subsidiary firm auditor rather than the company hire the non-same auditor between the mother firm and the subsidiary firm. And also the differences of the relevance of book value and the relevance of net income are smaller when the company hire the same auditor rather than the company hire the non-same auditor.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increase the audit quality and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nd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results. That is,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does influence on audit quality. Therefore, investors understand the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is audited by same auditor as the high quality and that kind of understanding is reflected in the value relevance. Second, we analysis the hypothesis using the whole large business group, that is, mother firm and subsidiary firm sample. As the result,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increase in case of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But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do not have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and the non-same auditor appointment. Finally, we examine the hypothesis using only mother firm. We fou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mother firm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ubsidiary firm, not the number of subsidiary firm of same auditor appointment. That is, the effect of value relevance of mother firm depend on the subsidiary firm size and significant influence and etc. Using this results, we can interpret the difference of influence within large business group is crucial important role to accounting quality. Through the our research results,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within the large business group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 of audit, and these effects increase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o our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investor who want to invest the large business group.

      • KCI등재

        기업규모와 지분가치에 대한 투자효과

        방신석 한국전산회계학회 2023 電算會計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투자지출과 지분가치와 관련성을 기업규모에 따른 상대적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기업의 규모에 따라 경영자들의 의사결정이나 경영정책에서 차이가 있고 자본시장에서의 반응 또한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기업의 규모가 크고 시장지배력이 높을수록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 규모가 큰 기업의 투자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규모가 작은 기업의 투자에 대한 시장의 반응과 다를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이러한 규모에 대한 부분을 통제를 통하여 전체기업들을 변수로 하여 연구를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규모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규모별 투자와 지분가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투자의 속성에 따라 대체투자와 적응투자로 구분하고 이들 투자들이 지분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된 예측은 기업규모에 따라 투자지출과 지분가치와의 관련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그리고 투자속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규모가 큰 기업과 규모가 작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규모가 큰 기업과 규모가 작은 기업의 투자지출과 투자지출의 두가지 속성 모두에서 시장의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즉, 규모가 큰 기업의 투자지출과 대체투자와 적응투자는 모두 지분가치에 양의 효과를 보였으나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비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결정이나 투자결정 등에 관한 연구나 정잭결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제조업 부분의 기업 규모 분포의 진화(1992-2007)

        이남순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2 아태경상저널 Vol.4 No.2

        기업은 단기에는 기업 규모에 의존적인 성장을 하지만 장기가 되면 효율적 규모에 도달하여 확률적 요인에 의한 성장으로 실제 기업 규모는 장기에 로그 정규 분포로 접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생존 기업의 기업 규모 분포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로그 정규 분포로 진화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생존 기업의 기업 규모 분포의 진화가 이루어지면 실제 기업 규모분포는 장기에 로그 정규 분포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에서 생존 기업의 기업 규모 분포가 진화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생존 기업들의 기업 성장이 기업 규모와의 의존적 관계가 장기가 되어도 변하지 않고 있어 기업 규모 분포의 진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규모 기업 집단과 연령이 아주 많은 기업 집단에서만 기업 규모와 성장 간 독립적 관계가 존재하여 기업 규모 분포는 진화하여 장기에 로그 정규 분포를 이루었다. 그러나 기업 규모의 장기 로그 정규 분포는 Gibrat의 법칙에 의해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다. Gibrat의 법칙은 기업 규모와 성장이 독립적인 관계를 이루는 많은 경우 중 하나의 특별한 예인것이다. 또한 기존의 분석 결과들과 다르게 대내외적인 급격한 경제 환경 변화로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의 평균 기업 규모가 축소하여 기업의 효율적 규모가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Many studies have asserted that firm growths are dependent of current sizes of firm in the short-run but firms grow proportionally by stochastic elements as firm sizes are close to the optimal size and therefore the actual firm size distribution can approach lognormality in the long-run.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the firm size distribution(FSD) has received considerable empirical attention. For the entire firm size distribution can become approximately lognormal in the long-run if the surviving FSD evolve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surviving FSD does evolve or no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that the distribution of firm sizes does not evolve because firm growths do not tend to vary independently from their sizes over time and long-run lognormal distribution can exist regardless of Gibrat’s Law. The distribution of firm sizes evolves in the group of larger or older firms that efficient scale is not restricted. When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growth is satisfied even if Gibrat’s Law does not hold, the FSD converges into lognormal distribution. Gibrat’s law is a special case for presenting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growth. Average firm size becomes reduced over time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early studies because of rapid change in market environment from globalization.

      • KCI등재

        유효세율과 기업규모 : 정치적 비용이론과 정치력이론의 검정

        노현섭 ( Roh Hyun-sub ),김정찬 ( Kim Jung-cha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효세율과 기업 규모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회계연구는 두 가지 경쟁적인 이론을 제안하였다. 정치적 비용이론은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에 양의 관계를 가지며, 정치력이론은 기업규모와 유효세율간에 음의 관계를 갖는다. 최근 연구는 다국적 기업과 내국기업의 유효세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다국적기업은 내국기업과 비교하여 조세에 기초하여 원가 유리하지 않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1991년부터 2017년 까지 3,307 기업-연도 표본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내국기업과 비교하여 다국적기업의 기업 규모와 유효세율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에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대기업에 대한 더 많은 규제행위뿐만 아니라 대중적 압력과 간섭에 기인 하여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에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예상하는 정치적 비용이론과 일치한 다. 유의적인 양의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의 관계는 다국적기업에서만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국적기업과 내국기업 모두 유사한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추가분석의 결과는 기업특성 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에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다. [연구의 시사점] 이 연구는 내국기업과 다국적기업의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에 공헌할 것이다. 내국기업과 다국적기업의 기업규모와 유효세율 간 의 관계를 분석하면 내국기업과 다국적기업에 발생하는 조세효익 차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 연구는 유효세율의 측정과 결정요인 연구에 공헌한다.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effective tax rate(ETR) and firm size. Accounting literature offers two competing theories:The political cost theory, suggesting a positive size-ETR relation, and the political power theory, suggesting a negative size-ETR relation. Recent research finds that the ETR for both multinational and domestic firms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over recent decades and that multinational firms do not have a taxbased cost advantage relative to their domestic counterpart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firm size and ETR over the past 27 years. In this research, we examine a sample of 3,307 firm-year from 1991 to 2017. Also, we examine the size-ETR relation and ETR for multinational firms relative to domestic firms.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we identifying a positive estimates for the size-ETR relation. This finding supports an overall predominance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cost theory, which predicts a positive size-ETR relation due to greater regulatory actions as well as public pressure and scrutiny on large firms. The significant positive size-ETR relation is not concentrated in multinational firms, a positive size-ETR relation has revealed at approximately the similar way for both multinational and domestic firms. And, we continue to see a significant positive size-ETR relation after controlling for firm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counting research by estimating and comparing a size-ETR relation for domestic and multinational firms. Examining a size- ETR relation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possible differences in tax benefits accruing to multinational and domestic firms. And, this paper is important for academic researchers interested in investigating the estimates and he determinants of effective tax rates.

      • KCI등재

        기업합병의 상대적 규모효과의 존재에 관한 연구

        송치승 ( Chi Seung Song ) 한국금융공학회 2010 금융공학연구 Vol.9 No.1

        기업합병에서 피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는 합병거래가치의 산정뿐만 아니라 합병관련기업 대주주의 이해관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합병연구에서 상대적 규모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해외연구에서는 상대적 규모가 클수록 합병기업의 성과가 높음을 제시하고 있지만 국내연구 결과는 그렇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합병에서 합병기업에 대한 피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효과의 존재와 이의 존재 정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국내 연구에서 처음으로 합병 및 피합병기업의 상장여부 및 상장시장유형을 통제함은 물론 국내·외적으로도 합병거래특성 변수를 처음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합병시장에서 피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가 클수록 합병기업의 합병성과가 높게 나타남이 발견되었다. 둘째, 이러한 합병의 상대적 규모효과는 상대적 규모측정 방법(예, 자본금, 총자산, 시장가치대비 피합병거래가치)과는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남이 발견되었다. 셋째, 상대적 규모에 의한 합병성과는 합병기업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고, 피합병기업이 비상장기업인 경우 더욱 크게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합병거래특성 변수인 합병거래가치, 합병교부지분율, 그리고 합병이전 지분율을 통제한 이후 합병성과는 합병거래가치 및 합병교부지분율이 높은 상위집단, 그리고 합병이전 지분보유율이 낮은 하위집단에서 유의하게 높다. 그리고 각 합병거래특성 변수별로 상대적 규모를 통제하는 경우 상대적 규모 상위집단의 합병성과가 상대적 규모 하위집단보다 높음이 발견된다. 다섯째, 상대적 규모효과에 대한 횡단면 회귀분석결과는 상대적 규모수치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양의 값을 갖는 대신 상대적 규모더미변수에 대해 유의한 양의 값이 발견된다. 이는 피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가 합병기업의 합병성과에 비례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상대적 규모가 어느 일정수준에 도달하였는가의 여부에 의해 합병성과가 좌우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합병에서 상대적 규모효과가 존재하지만 인수표본을 대상으로 한 외국연구와는 달리 합병성과가 상대적 규모와 비례적이지 않음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effect of mergers on the acquiring firm, listed on the KSE or KOSDAQ market, by the relative size of the target. I examine 353 mergers from 1991 to 2006. Measuring the effect of the target relative size, I controlled the type of listed markets(KSE or KOSDAQ) and whether a target is private. Furthermore, I added control variables such as transaction value, target`s share after merger, and acquirer`s share prior to merger announcement, which are first considered in studying the effect of the relative size all over world. My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ind the acquirer group with the high target relative size gets better returns than group with the low. Second, I show that the gains from mergers by the target relative size are higher when the merging firm is listed on the KSE market instead of KOSDAQ market and when it merges a private target. Third, I find that the high relative size merging group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gher target`s share after merger, higher merging transaction value, and lower acquirer`s share for merger before announcement. Fourth, I find that the acquiring gain ha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elative size dummy variable, not with the relative size value from a cross-sectional regression. This means that the merger performance is not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size,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the relative size on the acquiring firm gains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relative size is greater than a median value to any extent.

      • 중소기업규모 분포와 무역이익

        조상섭,민경세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7 No.2

        본 연구는 중소기업무역이익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간 무역이익에 대한 연구들이 우리나라 전체 기업규모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거나, 대표적 기업(평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분리하여 파레토 및 대수 정규기업규모분포에 대한 결정모수를 추정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무역이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규모의 이질성이 클수록 무역이득이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무역이익은 파레토규모분포를 가정할 경우 대수정규분포를 가정한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의 경우가 중소기업의 경우보다 무역이익이 크게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대기업규모분포가 중소 기업규모분포보다 이질성이 더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셋째, 기업규모분포가 동질적이라고 가정할 경우에 무역이익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무역이익증대의 관점에서 기업규모이질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다양성을 증대 시키는 중소기업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영,손서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EOs and HR managers on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Six CEOs and HR manag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ive themes were identified: provision of various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family-friendly management, difficulty introducing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willingness to acquire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and ways to exp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All participants agreed on the need for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provided different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y suggestions for employe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s in acquiring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However,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troducing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different incentives are needed to encourage companies to expand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본 연구는 중소규모 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규모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 6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기업 중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나, 모든 기업에서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중소규모 기업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기업의 특수성, 제도 확대에 따른 부담, 제도 도입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가족친화인증 참여 의지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함에 따라 CEO 교육 확대,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홍보 확대 및 제도의 간소화 등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 확대 방안으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효율성 및 규모수익 평가: 지방하수도공기업에 대한 방향거리함수모형의 적용

        유금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行政論叢 Vol.5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efficiency, input inefficiency, output inefficiency, and returns to scal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t sixty-nine local sewage utilities in local Korean governments using a non-oriented variable returns to scale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model that maximizes outputs and minimizes inpu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of the sixty-nine sewage utilities are 77.08%, 24.08%, 100%, and 33.33%, respectively.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inputs and outputs inefficiencies indicate that most of the inefficiencies of sewage utilities are due to inputs rather than outputs. The results of the scale efficiency analysis show that most sewage utilities do not operate at optimal lev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turns to scale of sewage utilities with an inefficient scale of operations reveal that twelve sewage utilities operate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while forty-five operate with decreasing returns to scale. These results imply that sewage utilities operating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need to be expanded, while those operating with decreasing returns to scale should be reduced. 본 연구에서는 투입요소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산출물을 최대화하는 투입산출지향적(non- oriented) 규모수익가변(VRS) 방향거리함수모형(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model)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69개 지방하수도공기업을 중심으로 지방공기업의 운영효율성과 투입비효율성, 산출비효율성, 규모수익을 분석했다. 지방하수도공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69개 하수도공기업의 투입산출지향적 효율성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치, 최소치는 각각 77.08%, 24.08%, 100%, 33.33%로 나타났다. 투입요소와 산출물의 비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하수도공기업의 비효율성이 거의 대부분 산출물보다는 투입요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도공기업의 규모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하수도공기업의 대부분이 최적규모에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하수도공기업의 규모수익을 분석한 결과, 12개 하수도공기업이 규모수익체증(IRS)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데 비해 45개 하수도공기업은 규모수익체감(DRS)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모수익체증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하수도공기업의 운영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규모수익체감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하수도공기업의 운영규모를 축소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주식시장의 기업규모효과와 PER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정강원 ( Kang-one Jeong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1

        본 연구는 중국 증권시장에서 기업규모와 PER효과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10년간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연속으로 상장된 1425개 기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두 거래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기업규모 순으로 배열한 후 PER 순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분석에서 기업규모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PER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PER 순으로 배열한 후 기업규모순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경우 기업규모효과와 PER효과 모두 발견할 수 없었다. 분산분석의 결과는 각 포트폴리오간 기업규모효과와 PER효과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황에 따라 기업규모효과와 PER효과가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한 결과 시황과 관계없이 기업규모가 주가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락 장세에서는 대기업 선호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안정장세와 상승장세에서 기업규모효과가 뚜렷하게 시현되고 있다. PER효과는 시황과 관계없이 관찰될 수 없었다. 셋째, 거래소 시장별로 기업규모효과와 PER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하이증권거래소의 경우 기업규모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PER이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존재하지만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전증권거래소의 경우에는 반대로 기업규모효과는 현저하게 나타났지만 PER효과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넷째, 중국 증권시장 전체적으로 베타가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할 수 없어 CAPM이 성립되지 못하며, 선전증권거래소의 경우 기업규모효과가 베타 및 PER효과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ize and PER can be a useful factor to explain the cross sectional variation in average stock returns in the Chinese stock market. To do this, data from 1425 companie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and the Shenzhen Stock Exchange for 10 years from March 2008 to March 2017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two exchanges in China are analyzed, the size effect is clearly seen in the portfolio analysis after arranging the firms in the order of PER, but the PER effect is not found. We can not find both firm size effect and PER effect. The results of the ANOVA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m size effect and the PER effect among the portfolio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irm size effect and PER effect according to market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market, the firm size affects the stock return. However, in a downward market, the preference for large corporations appears, and the firm size effect is evident in stable and uptrend market. The PER effect was not observed regardless of market conditions. Third, the firm size effect i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was not found and PER affects stock returns but trivial. In the case of the Shenzhen Securities Exchange, on the contrary, the firm size effect was remarkable, but the PER effect could not be found at all. Fourth, the beta in the Chinese securities market has no effect on the stock return. In the case of the Shenzhen stock exchange, Considering the firm size, the PER effect disappears.

      • KCI우수등재

        방향거리함수모형을 이용한 지방상수도공기업의 운영효율성과 규모효율성, 규모경제 평가

        유금록 한국행정학회 2013 韓國行政學報 Vol.47 No.2

        본 연구에서는 투입요소의 최소화와 산출물의 최대화를 동시에 측정하는 투입산출지향적(non-oriented) 방향거리함수모형(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model)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105개 지방상수도공기업의 운영효율성과 투입비효율성, 산출비효율성, 규모효율성, 규모경제(규모수익)를 분석하였다. 지방상수도공기업의 운영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환경변수가 상수도공기업의 투입요소와 산출물에 미치는 효과를 조정한 후 운영효율성의 평균이 87.7%로 환경변수의 효과를 조정하기 전보다 21.1%포인트 증가하였다. 투입요소와 산출물의 비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상수도공기업의 비효율성이 거의 대부분 투입요소보다는 산출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도공기업의 규모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87개 상수도공기업이 최적규모에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수도공기업의 규모경제(규모수익)를 분석한 결과, 65개 상수도공기업이 규모수익체증(IRS)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데 비해 22개 상수도공기업은 규모수익체감(DRS)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모수익체증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수도공기업의 운영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규모수익체감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수도공기업의 운영규모를 축소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