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왜란과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정출헌(Chung, Chul-heo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1 No.-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삼국의 인민을 전쟁의 광기로 몰아넣었다. 수많은 병사가 전쟁터에서 죽어갔고, 힘없는 백성은 전란을 피해 전국으로 떠돌았다. 그러다가 전쟁포로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 잡혀간 조선인은 최대 10만 명쯤 되는데, 그 중 7,500명 정도만 귀환할 수 있었다. 이들의 귀환 경로는 대략 세 가지였다. 첫째는 錦溪 魯認처럼 자력으로 탈출한 경우다. 둘째는 睡隱 姜沆과 月峰 鄭希得처럼 일본인의 도움으로 돌아온 경우다. 셋째는 조선에서 파견한 回答兼刷還使가 데리고 귀국한 경우이다. 이들 가운데 몇몇은 자신의 포로체험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여기서는 姜沆의 「看羊錄」과 鄭希得의 「海上錄」, 그리고 최척의 구술을 토대로 하여 서사적으로 재구한 趙緯韓의 「崔陟傳」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이들 포로체험 實記類는 사실의 기록이란 측면에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귀국포로들은 자신의 굴욕적인 체험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자기 방어기제를 끊임없이 작동시키며 일정한 굴절 현상을 일으켰다. 자신에게 불리한 과거는 기억에서 흐릿하게 처리하거나 아예 배제해버렸던 것이다. 또한 뒷사람들이 이들의 포로체험 기록을 출판물로 公刊할 때도 유사한 방어기제가 작동했다. 과거의 기억이 굴절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그 결과 중앙정계에 몸담았던 강항은 「간양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충절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고, 재지사족이었던 정희득은 「해상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효심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최척전」의 주인공이기도 한 최척은 삼국을 떠돌아다니다가 귀국한 자기 부부의 체험을 구술할 때, 부인에게 드리워진 ‘훼절의 의혹’을 불식시키려 애쓴 흔적이 역력했다. 작가 조위한은 이런 구술 사실을 바탕으로 그들 부부의 전란체험을 서사적으로 재구했던 것이다. 이런 검토의 결과, 포로체험을 담은 실기류는 ‘사실의 기록’이라기보다 오히려 ‘기억의 서사’라는 시각에서 보다 섬세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jin War drove nationals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into the insanity of war. Countless soldiers were killed in the battle fields and powerless ordinary people had to wander all over the country to escape the war. Meanwhile some people got caught as prisoners of war (POW) and were taken to Japan. As many as one billion people from Joseon were taken to Japan during Imjin War and only 75,000 people among them could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There were approximately three return paths for these people. First, they escaped by themselves, e.g. in the case of Geumgye Noin. Second, they could escape with the help of Japanese people, e.g. the cases of Sueun Gang-hang and Walbong Jeong-Heedeuk. Third, they could return to Joseon with Hoidapgyeom Seohwansa, who were envoys of Joseon to Japan. Some of them kept a record of their experience as POWs (prisoners of war). Here I have examined as my main texts Gang Hang’s Ganyangrok, Jeong Hee-deuk’s Haesangrok, and Jo We-han’s Choiceokjeon, which was reconstituted based on Choi Cheok’s oral statement. The records of POWs’(prisoners of war) experiences were treated as the record of the truth until now. However returned POWs activated defense mechanism incessantly in the process of recollecting their humiliating experiences and bent the truth to a certain degree. They made dim or even excluded for some past event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them. Also similar defense mechanism was activated when future generations published these POW records. That is why past memories went through alterations. As a result, Gang Hang who worked for central government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accomplishment of fidelity” through Gangyangrok, Jeong Hee-deuk, who was a provincial nobleman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practice of filial piety” through Haesangrok. When Choi Cheok, who is the hero of Choicheokjeon, dictated he and his wife’s experience while wandering three countries, he made a great effort to eliminate the doubt towards his wife’s faithfulness. Jo We-han reconstituted he and his wife’s war experience based on this oral statement. In conclusion, these documents that have POW experiences need to read with deliberate care in terms of ‘narrative of memories’ rather than ‘record of truth’.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 KCI등재

        工學的 글쓰기에서의 空間的 對象 記述 方法 硏究 -工學的인 글의 理解와 記憶 대한 實驗 硏究-

        오충연,권은영,이성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3

        In this study, methods of engineering writing were experimented that can enhance learning spatial objects as well as transforming the acquired knowledge into long term memory. In experiments, two types of written descriptions on three spatial object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and requested either to draw figures or to write down on the spatial objects depending only on their memory. Ninty nine engineering major- and 95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tudents generally performed better when the spaces are described in the order of the total shape, and shapes and locations of the parts(i.e., top-down description). When func- tions and operating systems of parts are described along with the locations of the parts, the comprehension and memory of spacial objects were im- proved. Given the assumption that engineering major students are better in visualizing spatial object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 students, the visualization abilities seem to accelerate their ability to re- trieve and reconstruct their memory on functions and operating systems of spatial objec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escribed. 이 연구는 工學的 內容의 說明文에서 공간적인 대상을 효과적으로 傳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長期記憶으로 轉換 시킬 수 있는 글의 記述 方式에 대해,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순수한 空間的 對象에 대한 기술은 全體的인 모습을 제시한 다음, 部分의 모양과 위치를 설명하는 下向式 기술 방식이 有利하였지만, 대상의 技能이나 作動體系 등을 함께 설명해야 할 경우에는 각 부분의 공간적 位置를 技能 및 作動體係와 結負지어서 기술하는 방식이 유리하므로, 단순히 하향식이 有利하다고 할 수 없었다. 實驗結果, 공학계열 학생들의 경우에는 주어진 言述 資料로부터 공간적 대상을 心象化하는 能力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서 優越하였으며, 이러한 심상화의 능력은 해당 대상의 기능이나 작동 체계에 대한 기억의 再構에도 注目할 만한 上昇效果를 가져 왔다. 이는 대상의 심상화를 事件性을 가지는 4次元的인 揷話로 轉換시키는 능력이 優越하기 때문인 것으로 分析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