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에 관한 연구: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이노비즈기업을 대상으로

        김일번,천동필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3

        [연구목적]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이 무엇인지 규명하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역량을 혁신보유역량과 인적개발역량으로 구분하고, 혁신보유역량으로 특허와 기술/품질인증의 두 개의 변수를, 인적개발역량으로 기술개발인력과 CEO의 학력 및 동업계경력의 세 가지 변수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매출액, 영업이익, 고용을 설정하였고,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437개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기술/품질인증과 기술개발인력은 경영성과(매출액, 영업이익, 고용) 모두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허취득은 영업이익에만, CEO 동업계경력은 매출액에만 각각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가 실증 데이타를 기준으로 한 연구라는 점과 특허와 기술/품질의 인증을 동시에 고려한 점은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 확보를 위해 어떤 성장전략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과 기술혁신의 매개효과

        이광철,김병조 한국창업학회 2022 한국창업학회지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이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흡수역량과 기술혁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이들 네 가지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혁신성과 창출 과정에 대해 실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INNOBIZ 인증 기업(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 중 제조업체 175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에 문제가 있는 38부를 제외하고 최종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를 통해 기술 통계, 상관관계 및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흡수역량과 기술혁신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v4.1의 Model 6번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지향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과정에서 흡수역량과 기술혁신의 다중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혁신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가지향성이 가장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조직 수준의 흡수역량과 기술혁신이 전제되어야 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지금까지 기업가지향성과 혁신성과 사이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 분석이나 이 둘 사이에 흡수역량 또는 기술혁신 각각의 역할에 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흡수역량과 기술혁신과의 인과 관계를 밝히고 기업가지향성과 혁신성과 사이에서 이 두 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미래 경제사회 변화 전망에 따른 미래성장동력 발굴과 기술혁신정책

        배용호,최지선,이우성,황석원,이주량,하태정,장병열,고분이,김보영,정호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 필요성 ○ 사회·정책적 요구 부합성 - 경제·사회적 필요성: 주요 선진국의 새로운 성장산업 발굴과 그에 따른 우선순위의 조정 및 최근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차 세대 성장을 주도할 새로운 산업군의 선택과 집중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 - 정책적 필요성과 시의성: ?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최근 국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차세대 주력산업을 육성 할 목적으로 시행 중인 신성장동력사업의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이 요구됨 ?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기술혁신정책의 보완 방향에 대한 검토 필요 - 기관설립 목적 부합성: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를 연구·분석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는 본 연구기관의 설립 목적과 부합 ○ 학술적 측면 연구 필요성 - 미래성장동력 발굴 방법론 개량: 미래유망산업/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개 산업별·연구목적별로 개별적인 평가 기준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질적 평가에 의존함으로써 신뢰도 및 활용도에 제한 - 미래성장동력 기술혁신정책지수 개발: 선행연구에서 기술/산업별 혁신시스템의 차별성을 분석하기 위한 정량적·정성적 분석은 활 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그로부터 기술혁신정책을 도출하는 과정은 주로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한계 직면 연구의 정책적·학술적 의의와 차별성 ○ 한국미래기술지수 산출방법론의 개량과 적용: 미래성장동력 발굴과 중장기적 관리를 위한 종합지수 - 개념적 의의: 1차년도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미래기술지수 측정모형에 대해 미래기술 구현시점(2020)의 글로벌 트렌드와 한국의 고 유 가치의 평가 결과에 기초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지수의 구체성과 타당성 제고 - 방법론적 의의: 1차년도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지표의 검토 분석을 통해 지표의 가용성과 합리성을 기준으로 일부 변수를 교체/추 가하고 통합 가중치에 대한 사후 견고성 분석을 통해 지수의 전반적 신뢰도 제고 - 정책 활용성: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부에서 중점 육성하고 있는 신성장동력과 비교하여 향후 지원 대상 미래성장동력 범주의 발 전적 개선 방향에 대한 정책 제언 ○ 미래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정책지수의 개발과 적용: - 개념적 의의: 기술혁신정책 기획시 전문가의 직관적 정책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정량적이고 객관화된 분석방법론 고안 - 방법론적 의의: 정책우선순위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대개 정책의 중요도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 기초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는 기술별 기술혁신시스템의 요소 중요도를 근거로 정책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기술혁신정책지수를 개발·적용하여 방법론적 독창성/선도성 추구 - 정책 활용성: 개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45개 기술혁신정책에 대한 기술혁신정책지수를 도출하고 정책합치도를 평가한 후, 정부의 스타브랜드 육성정책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정책 개선방안 도출 및 실현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추진체계 설계 본 연구의 정책적·학술적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방법론의 개발을 통한 학술적 기여와 실증분석에 토대를 둔 정책개발을 통한 정책적 기여를 동시에 추구함 보고서 구성 ○ 본 연구 보고서는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 연구의 학술적 성과(방법론 정립): 제2장과 제3장에 제시 ? 1차년도 연구 성과의 한계를 다양한 형태의 이론적·실증적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량·발전시켜 분석틀을 고안하고(2장),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분석방법론을 정립(3장) - 연구의 정책적 성과(실증 분석):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에 제시 ? 개발한 분석방법론을 74개 미래 브랜드에 적용하여 실증 분석 수행 ? 개량된 한국미래기술지수를 활용하여 미래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고(4장), 미래성장동력 기술혁신정책지수를 측정하며(5장), 미 래성장동력의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정책 발전방향과 연구성과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함(6장과 7장)

      • 나노기술을 활용한 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특성 분석

        이광호,서정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목적 지식기반경제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지식에 기반한 새로운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T)을 필두로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과 같은 신기술의 개발 및 산업화가 필요하다. 나노기술은 그 자체가 갖는 분자수준의 물질 합성 및 제어라는 혁신성도 크지만, 타 기술과 융합하였을 때 산업적 가치가 증폭된다. 또한 나노기술은 지식기반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기술혁신과 산업기반 구축에 있어서 각종 물적 토대의 마련과 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노기술의 산업화에 대한 국내외 분석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여, 특히 나노기술을 활용하는 주체인 부품소재기업들의 기술혁신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태동기에 있는 우리나라 나노기술 산업화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나노기술 산업화의 방향성과 패턴을 예측하는데 있다. 또한 정부 연구개발사업과 특허분석을 통해 정부 연구개발투자 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 하고 부품소재기업이 나노기술을 상용화하는데 있어서의 기술혁신 특성과 산업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나노기술을 활용한 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을 혁신자원 투입-혁신활동-혁신성과 창출의 단계로 나누어, 각각 정부 연구개발사업 분석, 기술혁신 사례 분석, 국내 출원 특허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중 정부 연구개발사업 분석은 KISTEP의 DB를 활용하여 2001년도~2004년도에 시행된 정부 연구개발사업 중 나노기술로 분류된 세부과제들을 추출한 후 분석하였으며, 특허 분석은 한국특허청에 공개된 2005년 8월 31일까지의 특허를 대상으로 검색어(‘나노’)에 의해 관련 특허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허의 초록을 일일이 검토하여 오류를 최소화한 2단계 추출법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나노기술 혁신활동에 대한 분석은 국내외 참고문헌 분석과 더불어 대표적인 국내기업들을 방문하여 임원급들을 심층 인터뷰를 함으로써 유형화 하였고, 기술혁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혁신자원 투입을 연구개발 자금 투입 측면에서 보면,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정부가 주도하고 있으며, 산업화는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기업에 대한 정부 자금 투입은 주로 중소기업 중심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초기 단계의 벤처기업으로 정부 자금의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혁신활동은 나노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시장에 진입시켰거나 혹은 상용화에 가까운 제품을 개발하는 국내외 부품소재 기업들의 혁신활동을 유형화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유형은 공급가치사슬체계를 바탕으로 개발하고 있는 기술의 속성과 관련 시장의 특성에 의해 아키텍처 창출형, 부품?장비 개발형, 신소재 개발형, 바이오의약 개발형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혁신성과 창출면에서 특허분석을 한 결과, 우리나라 부품소재 기업들의 나노기술 관련 특허 출원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나노소자와 나노소재 및 이의 제조와 관련된 공정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정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한 많은 중소기업들이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화로 연결시키는 역량이 아직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기존의 나노 기술 관련 정책연구가 나노기술의 경제? 사회적인 파급효과와 정부의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중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나노기술을 산업화하는 주요 주체가 부품소재 기업임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정부의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수립에 있어서 구체적인 제품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정부 연구개발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나노기술 전문투자조합 결성 유도 및 소재분야 대기업의 나노기술 활용을 촉진하는 등, 민간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중핵기업이 주축이 되는 연구개발 콘소시엄의 구성, 공공섹터로부터의 기술이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R&D 전문기업 활성화 등 실질적인 산학연협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유형별(아키텍처 창출형, 부품장비 개발형, 신소재 개발형, 바이오의약 개발형 등) 산업화 특성을 고려한 지원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다섯째, 정부 연구개발사업 기획 단계부터 특허 정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 및 나노기술 관련 정부 연구개발사업 추진의 당위성 확보와 방향성 설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제시된 나노기술 관련 국내 특허분석 결과는 관련 민간기업 및 공공 연구기관의 R&D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 및 기술 분야별, 출원주체별 경쟁력 파악 수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기술혁신과 노사관계에 대한 한국, 일본, 스웨덴의 국제비교연구

        김환석,이영희,조형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2 정책연구 Vol.- No.-

        70년대의 오일 쇼크 이후 micro-electronics 기술을 비롯한 첨단 생산기술들이 생산현장에 널려 보급된 이래 시간이 갈수록 그 기술적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기술환경에 신속히 적응하면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정적인 노사관계의 정착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생산과 기술혁신이란 결국 인간이 하는 일들이기 때문에 노사관계의 안정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현장의 문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들의 자발적 협조와 창의력을 끌어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혁신적 기술의 도입과정에 애로가 발생하거나 도입된 기술자체도 충분히 활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그러나 일반적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기술혁신의 과정은 노사관계와는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즉 기술혁신의 주체는 단지 창의적인 기업가들이나 실험실의 연구자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생각되곤 하였다. 따라서 기술혁신과 노사관계의 상관성을 이야기할 경우에도 대개 기술혁신이 노사관계의 여러 측면들(즉 숙련형성, 노동시장, 노동력구성, 노동조건 등) 에 어떠한 ‘영향’(impact) 들을 미치는가와 같은 시각에서의 분석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많은 연구들에 따르면 기술혁신의 과정에 노사관계의 성격, 형태 등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척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특히 기술후발국의 경우, 자체기술개발에 의존하기 보다는 주로 도엽기술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문과학기술자가 주도히는 ‘급진적 혁신`(radical innovation) 보다는, 생산현장 작업지들의 지속적 이고 적극적인 참여에 의해 수행되는 “점진적이고 누적적 혁신" (incremental and cumulative innovation) 이 기술의 축적파 생산성 향상에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었다. 특히 제품기술보다는 공정기술, 생산기술의 경우에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 주지하듯이 일본의 제조업체들와 경우 도 기술후발국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제안하고 주도한 점진적인 개선과 혁신을 수십년간 꾸준히 축적해옴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높은 생산성과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던 것이다. 단,이처럼 생산현장에서의 기술혁신과정에 작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노사관계를 토대로 갖추고 작업자들의 기능과 지식 수준의 향상을 통해 높은 현장개선능력을 이들이 지니도록 해주어야 한다.그러나 대체로 우리나라의 경우, 노조나 작업자들이 기술도입이나 기술혁신에 대해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작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생산현장에서의 점진적인 기술혁신이 그다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 특히 80년대 후반 이후 많은 기업들에서 공장자동화설비를 확대하고, 새로운 생산관리기술(예컨대 JIT)을 광범위하게 도입하고 있지만,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이 가진 생산잠재력이 충분하게 발휘되고 있지는 못하다고 보여진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직접 새로운 기술들을 다루게 되는 현장작업자들이 기술의 개선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욕이나 지적 능력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며, 그 근저에는 상호불신의 노사관계가 자리잡고 있다.반면 신뢰에 바탕하여 합리적언 노사관계의 독특한 모델을 구축한 일본과 스웨덴 등에서는, 기술혁신이 촉진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오늘날 국제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구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성장괴질의 재분배로 국민이 골고루 잘사는 안정된 복지사회를 향유하고 있다고 지적되어 왔다. 특히 이른바 ‘ME혁명’ 이후 이러한 일본과 스웨덴의 모델은 선진국의 전통적 모델이었던 미국과 영국의 그것에 비해 훨씬 뛰어난 적응력과 경제적%성과를 보여 왔으며, 따라서 현재 이들 모델에 대해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 바람직한 노사관계와 기술혁신의 모델을 모색하여 우리나라 산업의 최대 현안과제인 노사관계의 안정과 기술혁신 촉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 점에서 현재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일본과 스웨덴의 모델을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들과 우리나라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모델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 세계적 일류기업을 향한 기술혁신전략

        이재억,임채윤,김왕동,김동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정보통신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확산되기 시작한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는 기업 간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지역별로 분포하던 시장을 동일화시키고 있으며, 세계 어디서나 동일한 제품을 동일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이른바 세계시장이 전개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99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환경기술의 발전은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다국적 기업들은 그동안 성장 한계에 도달한 산업영역으로부터 새로운 성장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산업 및 제품 영역으로 과감한 도전을 실행하고 있다. 풍부한 자본, 인력, 정보와 지식을 축적하고 있는 세계적인 거대 기업들이 과감한 기술혁신 투자를 통하여 새로운 지배제품(dominant design)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핵심에는 이른바 불연속 혁신(discrete innovation) 또는 급진적 혁신(radical innovation)의 실현과 세계적 일류기업을 중심으로 한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의 형성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 일류 기업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배제품의 형성을 위한 노력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와 같이 후발주자(latecomer)로써 산업화의 대열에 합류한 국가와 기업은 여전히 추종자의 위치만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세계 경쟁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초일류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수행하던 기술혁신 방식으로부터 과감하게 탈피하여 새로운 기술혁신전략을 수립. 추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쟁 환경에 우리나라 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어떠한 기술혁신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여야 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추진된다. 새로운 경쟁 환경에서 우리나라의 기업이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 기업과 기술혁신의 전략적 구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가를 파악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최근 다수의 학자와 기업 컨설팅 전문가들은 다양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경쟁 환경에서 세계적인 일류기업의 조건으로 불연속적인 혁신 또는 급진적인 혁신을 들고 있다. 기존 시장 또는 기술의 성장한계를 돌파하고 새로운 성장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반드시 새로운 혁신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 에서는 불연속적인 혁신 또는 급진적인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업의 다양한 전략체계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기업의 현황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일류기업의 조건으로써 급진적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혁신전략의 개념과 내용을 이론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모델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종합적으로 제시된 모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기술혁신을 수행하고 있는 1,255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전략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기업의 일반적인 현황, 기술혁신의 유형, 외부 환경으로써의 경쟁적 아키텍처, 조직 역량, 최고혁신관리자의 역할, 그리고 조직역량 강화요인 등이 조사되었다. 한편, 설문조사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3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기술혁신전략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 연구는 각 기업별 기술기획 및 전략 그룹의 실무책임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기술혁신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례별 연구책임자에 대한 면담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선도적 기업의 기술혁신전략 1. 기술혁신전략의 변천 2. 제4세대 기술혁신전략의 필요성 3. 제4세대 기술혁신전략의 특징 4. 세계적 일류기업의 기술혁신 전략 모델 기술혁신전략 현황 조사 1. 설문조사의 개요 2. 설문조사 결과 요약 : 기술혁신전략 현황 국내 일류기업의 혁신 사례 연구 1. 사례연구의 목적 2. 사례연구 대상 개요 가. A사의 무선 홈미디어 센터 개발 사례 나. B사의 점착제 개발 다. C사의 친환경자동차 개발 라. 기술혁신 유형 비교 3. 사례연구 요약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기업들의 기술혁신 전략을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을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기술혁신전략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향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전략 형성 메커니즘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서 설문조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전략의 현황과 수립과정을 파악하였으며, 사례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고 수준에 있는 기업의 기술혁신 사례를 바탕으 로 기술·시장·기업 측면에서 불연속적인 기술혁신의 추진 배경과 내용, 그리고 전략의 수립과정,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한 조직의 역량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이 기술혁신 전략의 추진과정과 시스템이 제2세대를 넘어서 제 세대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제2세대 기술혁신의 주요 한 특징인 과제단위의 기술혁신전략의 틀을 벗어나서 전사적인 차원에서 통합된 기술혁신전략을 수립·실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례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든 기업이 기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3세대 혁신의 특징인 기술 로드맵을 도입 하여 장기적인 기술혁신전략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제4세대적인 접근법은 주로 혁신관리자의 역할 재정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혁신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혁신을 관리하는 최고혁신관리자(CInO, 또는 CTO)의 직위가 기업 내의 최고경영진의 일원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내 다양한 의사결정권의 참여가 확대되고 있고, 기술혁신에 있어서 상당한 자율권이 보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고혁신관리자의 역할과 지위가 확대되면서 창조적 긴장, 전략적 의지 등 전략적 수단이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기술혁신 활동의 자율성, 평가와 보상, 실패용인 자기조직화팀, 지식관리 및 평가보 상시스템 활용 등 제 4세대 혁신에서 추구하고 있는 관리적 기법들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불연속적인 기술혁신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지식·정보의 공급을 기업의 내부 조직에 의존하고 있다. 사례연구에 포함된 3개 기업은 국내에서 최대규모의 거대기업으로써 다양한 조직과 인력을 구성하고 있으며, 기술혁신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기업 내부의 조직, 협력기업을 통해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부분의 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써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조직 내부를 통한 지식·정보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 기업이 활용할 만한 지식·정보의 외부원천이 적절히 제공 되지 못하고 있거나, 기업이 외부원천을 탐색·활용할 능력과 수단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해진다. 사례연구의 대상기업은 협력기업, 해외연구소 등 거대 기업으로써 다양한 정보원천을 가지고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활용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조직내부에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조직역량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광범위한 지식·정보 교류체제 구축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기업은 기술혁신의 아이디어와 진행과정이 직접적으로 영업비밀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이해집단을 기술혁신 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제약은 지식과 정보의 외부원천을 기술혁신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섯째, 개별 기업이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는 첨단적인 기술혁신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불확실성의 속성에 부합되는 나름대로의 기술혁신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사례연구의 시사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록 첨단의 급진적 기술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체제와 기술적 불확실성에 대비한 체제는 서로 상이하게 구

      • KCI등재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 현황 및 결정요인 분석

        김민석,안기돈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5

        Daejeon City has strived to support the SMEs to innovate technologies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aedeok Innopolis. It is widely known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the key strategy of Small medium enterprises(SME) to survive and succeed in a mark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 and determinants of SM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Daejeon. Even though most of firms are the small enterprises which employ less than 10 workers in Daejeon, the number of technology-oriented company per capita in Daejeon is highest in South Korea. The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divided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The literature insists that technology-oriented small firm tends to implement product innovation rather than process innovation. SMEs in Daejeon also provided more output from product innovation than process innovation. The empirical analysis provided the results that the determinants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depends on its type. The scale of firm, R&D investment, and R&D employees positively influence product innovation of SMEs in Daejeon. However, the impact of R&D employees is not significant on innovating the existing product. Process innovation is positively affected by R&D investment and firm age. The study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business supporting programs of Daejeon government. The business supporting policy of Daejeon government should focus on supporting each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by SME and consider strategies that focus on R&D investment and manpower support. 대전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역량을 기반으로 기업들의 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로 기술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전 기업의 92.8%가 10명 미만의 중소·벤처기업이고, 인구당 벤처기업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대전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이 매우 중요하다. 기술혁신 유형은 크게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분되는데, 기존 연구에 의하면 벤처기업은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전 중소·벤처기업 역시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통한 성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술혁신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품혁신의 경우 기업규모, R&D 투자자금과 R&D 인력 등이 기술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D 인력은 기존제품의 기술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정혁신의 기술혁신은 R&D 투자자금과 기업업력에 의해서만 정(+)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대전 기업지원정책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기술혁신 유형별 지원에 초점을 맞추며 R&D 투자와 인력 지원에 집중하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분석

        지일용(Illyong Ji),고영욱(Youngwook Ko),서은영(Eunyoung Seo),정재용(Jae-Yong Cho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2

        한국 영화는 개화기에 도입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호평 받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시네마 및 입체영화의 등장 등 급진적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해외 기술의 도입 위주로 진행되던 기술 전략?정책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에 초점을 두고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를 분석한다. 영화산업 관련 기존 문헌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 및 지식, 제도, 혁신주체와 네트워크를 조망해 보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 기술혁신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영화산업 기술혁신의 한국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지식 축적 과정의 단절, 영화산업 특수적 연구 개발 활동의 부재, 혁신주체의 전문성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화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은 기술혁신연구 분야에 영화산업을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의도 갖는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has gradually evolved as one of the world leaders. However,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the new digital and 3D cinema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technology policy and strategy designed for the adoption and effe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ddress this issue by emphasiz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ide rather than the use/adoption side. In order to provide policy makers with critic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tor, we analyzed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In order to conduct this analysis, we re-visited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e motion picture sector. Then, th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ector. However, the implications from this paper are not limited to the motion picture industry.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s a new case for innovation studies, our paper may provide new research opportunities to the academia.

      • 脫추격형 기술혁신의 불확실성 대응 전략

        송위진,박동오,강윤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과거 외국의 기술을 도입하여 기술혁신을 추진하던 추격 시기와는 달리 스스로 새로운 궤적을 형성해나가는 脫추격형 혁신 활동이 몇몇 분야에서 나타나면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추격형 기술개발과정에서는 개발해야 할 기술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의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 기술이 개발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특정의 설계 방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脫추격 단계에서의 기술혁신은 많은 경우 모방할 대상이 없으며, 또 그 기술이 개발가능한 것인지도 미리 알기 어렵다. 따라서 脫추격 단계에서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脫추격 단계에서 나타나는 기술·경제적 불확실성 관리의 핵심을 기술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확보라는 요소로 정리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개념적 틀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기술혁신의 경우 그것과 관련된 기술지식이 확보되어야 하고, 또 사회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당성이 확보되어야만 기술혁신활동이 성공적으로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산업형성기의 기술·경제적 불확실성의 특성과 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이 논의는 脫추격형 기술혁신 과정에서 불확실성과 대응방안을 살펴보는 준거점을 제공하고 있다. 脫추격형 기술혁신은 새로운 기술혁신을 통해 신산업을 형성하거나 기존 산업을 재활성화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불확실성이 산업형성기의 불확실성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게 된다. 산업형성기에 접하는 불확실성을 기술적 불확실성과 정당성 확보와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예지능력의 강화, 실험과 실패를 통한 학습, 개방형 혁신과 사용자 참여, 기술·사회시스템에 대한 기대(expectation)형성 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어떻게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지는지를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脫추격형 혁신의 특성을 정리하고, 脫추격형 혁신의 사례를 정해 기술혁신과정에서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내용과 그에 대한 대응활동을 분석한다. 이 때 앞서 제시한 대응방안들을 준거점으로 해서 脫추격형 혁신활동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정리한다. 줄기세포연구, 와이브로 기술개발, 파이넥스 기술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예지능력, 실패학습, 사용자 참여, 기대형성 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앞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脫추격형 혁신활동에서 기술적 불확실성과 정당성 관련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향에 대해 정리한다.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脫추격형 혁신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1. 예지활동의 강화 우리나라 정부부처에서 신기술개발 관련 과학기술계획이나 전략기획 활동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계획이나 로드맵이 시나리오 접근보다는 단선적인 발전과정에서 시기별로 수행해야할 사업이나 개발해야 할 기술들이 배열되는 형태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과거 추격시기의 기획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추격단계에서는 선진국이 가는 궤적을 왜 따라가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궤적의 시나리오를 탐색하는 활동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기술궤적은 복수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던 것이다. 향후 복수의 궤적을 탐색하는 관점들이 기술기획 등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궤적이 당연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진화적 발전 궤적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궤적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안은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가지고 있는 집단들이 기획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것이다. 다른 가치관과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이해당사자들이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는 장을 조성하여 복수의 궤적들이 검토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실험과 실패를 통한 학습 그 동안 우리는 선진국에 의해 주어진 궤적을 따라가면서 답이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왔기 때문에 문제의 대한 복수 대안을 선택하는 접근은 채택하지 않았다. 또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답이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일정 수준이상의 노력을 기울이면 실패를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실패는 용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병렬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불확실성이 높은 기술개발사업에 반영하고, 성실한 실패를 인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일본이 실패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과를 만들고 실패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실패로부터 학습을 촉진하려는 노력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또한 실패한 사업의 경우 서둘러 덮어 버릴 것이 아니라 실패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3. 개방형 혁신과 사용자 참여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혁신체제는 국내적으로 폐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기업들 간에, 기업과 대학·연구소들에 밀접한 교류가 없이 각개약진 식으로 발전해왔다. 근래에 와서 변화가 나타나고는 있지만 이와 같은 사업 방식은 아직도 많은 혁신주체들의 행동들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협력을 위한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개방과 협력은 그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전적으로 축적된 공통의 지식기반과 사회적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4.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 형성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술발전과 공진화하는 사회의 모습에 대한 담론형성 능력은 상당히 취약하다. 특정 기술이 널리 사회에 자리 잡게 되면서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어떤 변화가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탐구 능력이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기술과 동시에 구성되는 사회에 대한 전망에도 외국에서 제시된 논의들을 그대로 수용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제는 다양한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들이 토의되면서 공론이 형성되는 장이 필요하다. 그 동안 정부주도의 발전 과정에서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은 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추격단계에서는 이러한 접근이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발전궤적이 열려 있는 脫추격 단계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공론 형성의 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기술시스템의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 기술혁신과 일자리 창출

        이공래,강희종,황정태,이준협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기업 기술혁신 활동이 활발할 경우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혁신 지원정책의 방향과 세부 대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고용 측면에서 우리경제가 갖는 문제와 정책과제가 무엇인가를 발견- 고용을 증가하는 기업들이 어떤 혁신 특성을 갖는가를 규명- 기업의 기술혁신이 어느 정도의 고용유발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떤 유형의 기업이 더 많은 고용을 유발하는가를 밝힘 주요 연구내용 ○ 주요 연구 질문 및 연구 내용 - 경기순환과 기술혁신이 상호 연관되는가?- 고용 측면에서 우리경제가 갖는 문제점과 정책과제는 무엇인가?- 고용을 증가하는 기업들은 어떤 혁신특성을 갖는가?- 기업의 기술혁신이 어느 정도의 고용유발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떤 유형의 기업이 더 많은 고용을 유발하는가? 등임 ○ 한국경제의 고용흡수력 약화의 원인- 거시·미시적 차원에서의 원인: 서비스산업의 미발달,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 산업 다변화 및 신산업 생성 부족, 근로자 임금 상승에 다른 노동절약적 혁신, 인력 수급구조의 불균형- 장·단기적 차원에서의 원인: 기업의 노동절약적 경영, 중소기업의 저생산성 및 저임금 구조, 대기업 노조의 임금상승 압력, 노동을 경시하는 청소년 가치관, 기술인력 양성의 미스매치 등임 ○ 한국경제의 고용확대를 위하여 제기되는 정책과제- 고용 확대형 강소기업의 전략적 육성- 과학기술 기반 서비스기업의 육성- 산업의 다변화 및 신산업 육성- 대학의 1인 창조기업 창업 등 벤처창업 촉진- 지적재산권의 사업화 촉진 등 결론○ 한국에서 고용확대기업의 혁신 특성- 고용을 확대하는 기업은 제품·서비스 혁신을 왕성하게 수행하고 특허출원을 많이 함- 전문기술형 기업과 과학기반형 기업에서 높은 고용창출을 보임- 일반서비스형 기업은 R&D형 혁신과 마케팅형 혁신, 인적·조직 역량 혁신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기업의 고용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기업의 제품·서비스 혁신능력 및 특허출원 능력을 강화-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제품혁신 능력 및 특허출원 능력을 향상- 서비스산업의 혁신능력 강화- 고용창출이 뛰어난 과학기반형 기업은 인적·조직역량 강화- 공급자주도형 기업 및 규모집약형 기업은 원천·핵심기술을 개발하고 특허를 등록하여 성장잠재력을 배양 ○ 기술혁신기업의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더 높은 고용유발효과를 나타냄-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1% 증가가 0.028%의 고용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고용유발효과를 발휘함- 중소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고용유발효과는 벤처기업보다는 낮지만 통계적 유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남- 대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은 고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음 정책제언○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창업을 장려해야 한다○ 1인 창업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1인창조기업센터”를 설치하고 지원해야 한다○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1인 창업자 지원 금융상품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대학 재학생의 기업가정신을 고양해야 한다○ 창업 성과를 중요 평가지표로 활용해야 한다○ 실패 후 다시 살아나는 창업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벤처보험제도를 구축해야 한다○ 기초연구를 촉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