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1963)의 특징과 판소리사적 의의

        송미경 ( Mik Young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본 연구에서는 1963년 기독교방송에서 박록주의 <춘향가> 완창을 녹음·방송한 경위를 제시하고, 박록주가 남긴 여타 <춘향가> 녹음들과의 비교를 통해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의 사설과 장단이 지니는 특징을 고찰했으며, 이로부터 이 자료가 지니는 판소리사적 의의를 밝혔다. 1973년 박록주가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로 재인정된 후, 그의 판소리 공연 및 음반 녹음, 판소리 전수 활동은 자연스럽게 <흥보가>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박록주의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 취입 목록이나 경성방송국 방송 기록 등을 살펴보면, 일찍이 <춘향가>가 그의 레퍼토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에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춘향가> 마디소리, 1964년 문화재관리국이 보존용으로 녹음한 입체창 <춘향가>, 1973년에 녹음해 1989년에 아세아레코드에서 제작한 <춘향전> 등 여러 편의 <춘향가> 음원이 남게 되었으나, 정작 박록주의 <춘향가> 한바탕이 온전히 담긴 자료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다행히 KBS 자료실에 소장되어 있는 박록주 완창 <춘향가>의 존재를 확인한 필자는 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것이 1963년에 기독교방송에서 추진했던 판소리 다섯 마당 완창 방송의 일환으로 그 해 봄에 녹음되어 1964년 4월 20일부터 5월 13일까지 총 12회에 걸쳐 방송되었던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장사훈이 진행을 맡은 이 기획 프로그램의 회당 방송 시간은 대략 30분 정도였으며, 3~5분내외의 해설·대담과 20~25분 내외의 판소리 연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최종회인12회 방송의 대담에는 당시 기독교방송 중앙국의 음악과장으로 있었던 최성진이 합류해판소리 다섯 마당 완창 기획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음원이 현 소장처인 KBS가 아니라기독교방송에서 녹음된 자료라는 정보도 바로 최성진의 대담 중에 언급된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를 박록주가 남긴 여타의 <춘향가>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30년대 초반에 녹음된 박록주의 <춘향가> 마디소리 중에 는 기독교방송 녹음본과의 차이가 크거나 기독교방송 녹음본에 아예 없는 대목이 많았으며, 이는 박기홍 또는 송만갑에게 배운 대목으로 추정된다. 반면 1934년 이후에 녹음한 박록주의 <춘향가> 마디소리는 모두 기독교방송 녹음본과 거의 유사한, 정정렬제 소리였다. 그리고 1964년에 녹음한 전수교재용 <춘향가>의 마디소리 가운데 기독교방송 녹음본과 차이를 보이는 대목 대부분은 기독교방송 녹음본의 사설을 축약한 것으로, 정정렬제<춘향가>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차이는 과거 대명창들의 더늠을 구현해달라는 문화재관리국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박록주는 정정렬제 ‘이별가’에 모흥갑의 더늠 사설을 삽입하거나, 정정렬제 ‘자진 사랑가’를 고수관의 더늠으로 대체함으로써 그에 응했다. 박록주가 1973년에 녹음한 아세아레코드 <춘향전>은 상업적인 음반발매를 목적으로 한 녹음으로, 한 스승으로부터 오롯이 배운 한 바탕의 <춘향가>를 발표하는 데 의미를 두었던 기독교방송 녹음과는 그 성격부터가 다른 것이었다. 이에 박록주는 정정렬에게 배운 ‘자진 사랑가’ 대신 비교적 널리 불렸던 고수관제 ‘자진 사랑가’를 넣고, 5시간여의 <춘향가>를 2시간여로 압축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중성을 얻고자 했다. 그리고 녹음 시간 절약을 위해 대폭 축약 또는 생략된 부분이 대체로 이몽룡 중심의 서사라는 점에서, 박록주가 아세아레코드 <춘향전>의 녹음에 있어 춘향 중심의 서사에 더 비중을 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논의한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가 지니는 판소리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 녹음은 첫째, 근현대 판소리사를 대표하는 여성 명창인 박록주의 유일한 <춘향가> 완창이자, 둘째, 정정렬 바디 <춘향가>를 온전히 담고 있는 또 다른계통의 <춘향가>이고, 셋째, 그동안 판소리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기독교방송자료의 가치를 확인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details of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ed by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CBS) in 1963 and the features of this work by comparing it to Park Rokju’s other Chunhyangga, and establishe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nsori. After becoming the holder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ark Rokju had performed, recorded albums, and taught mainly with Heungboga. But records of her album list or radio perform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 that Chunhyangga was in her main repertory. Unfortunately, her whole Chunhyangga work has yet been found. The writer of this article researched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ing collected by KBS, and eventually could check out its substance. This recording was recorded in 1963 as part of full-length pansori performance broadcasting by CBS and aired from April 20 to May 13 for 12 times. The length of this program was about 30 minutes composed with 3~5 minutes for interpretation by the presenter Chang Sahun or talk with Park Rokju and 20~25 minutes for performing pansori. In the final, Choi Seongjin, music section chief of CBS, made a guest appearance and explained about full-length pansori performance broadcasting by CBS. The fact that this recording was recorded and broadcasted not by KBS but by CBS was mentioned by Choi. Next, the results, compared Park Rokju’s Chunhyangga with her other Chunhyangga are as follows. Her partial phonograph records in the early 1930’s differs from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Some parts are in only her partial records, and those parts are thought to be taught from Park Gihong or Song Mangap. On the contrary, her partial phonograph records after 1934 are supposed to be learned from Cheong Jeongryeoland are similar to CBS record. In Chunhyangga teaching material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 preservation recorded in 1964, the most part dissimilar to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re contractions, so they are under the Cheong Jeongryeo-je Chunhyangga. The other difference was originated with demands for musical realization of master performer of pansori’s past deoneum. For example, Park Rokju inserted Mo Heunggap’s deoneum lyrics in Cheong Jeongryeol’s Farewell Song. Asia Record Chunhyangjeon was produced for commercial purposes. That in itself was differentiated from CBS record Chunhyangga put meaning to the presentation for a pure full-length Chunhyangga taught from Cheong Jeongryeol. So, Park Rokju condensed 5 hours long work to 2 hours long work and pulled in popular pansori song for its popularity.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has pansori historical significance as the only full-length Chunhyangga recorded by Park Rokju, a representative female pansori mast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nsori history, an another Chunhyangga inherited Cheong Jeongryeol’s wholly, and an works show importance of CBS records that have passed unnoticed.

      •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방송국 로고디자인 분석

        김정열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로고디자인은 기업과 소비자 간의 첫 번째 시각적 접점이며, 첫 번째 인상을 형성하게 된다. 기업은 내부적으로 기업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구성원의 의식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외부적으로는 고객들에게 기업의 정체성을 전달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기업 중 방송국의 로고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하게 된다. 시각적 이미지와 직결되는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다루는 기독교 방송국이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어떻게 구성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국내 기독교 방송국 중 대표성을 가지는 6곳을 선정하고,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구성요소 중 심볼마크, 로고타입, 기업컬러 및 앱 아이콘에 대해 연구했다. 기독교 방송국의 로고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볼마크는 방송국 이니셜을 활용한 디자인을 가장 많이 사용됐다. 둘째, 로고타입은 정직성과 정확성을 의미하고, 가독성이 높은 고딕체를 주로 사용했다. 셋째, 기업 컬러는 1~2개의 단순한 컬러를 사용하여 기업의 심볼마크와 로고타입을 디자인했다. 마지막으로 앱 아이콘은 디바이스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컬러가 조합하여 그라데이션 컬러를 구성하고, 앱 아이콘에 적용하여 디자인했다. 특히, 위의 결과를 반영하여 기독교 방송국 또는 기독교 관련된 기업의 로고디자인을 제작한다면, 기독교 기반의 기업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의 초기 라디오 방송 문화 형성과 기독교 방송의 위치

        이성민(Sungmi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4

        본 논문은 한국의 라디오 방송 문화에 있어서 1950년대 후반의 전환기적 상황에 주목하면서, 이 과정에서 최초의 민간방송으로서 기독교방송의 역할과 위치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1950년대 후반 이후 방송극 중심의 라디오 전성기의 시작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자 했다. 특히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라디오 방송 영역에서 나타났던 냉전적 과잉’이 어떻게 자국 내 필요 속에서 전유되었는지, 그 전유는 어떠한 연결 속에서 가능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독교방송은 전파전쟁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라디오에 대한 관심과 냉전의 이념적 자장 하에서 설립의 기회를 얻었지만, 민간방송으로서 라디오 방송의 다른 쓸모에 대한 대중의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주면서 선전에서 오락으로의 전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방송극이라는 서사의 장치가 소리 미디어의 주요 장르로 부상했고, 연극과 신문 소설이 라디오 방송을 중심으로 새로운 창작 생태계를 재구성하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냉전적 선전을 위한 인프라의 구축과 오락에 대한 대중의 요구에 따른 방송의 새로운 성격 규정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 radio broadcasting culture, which faced a transitional period in the late 1950s, and examined the role of CBS, the first private broadcasting station. This aimed to expand the discussion of how the radio heyday, which has emerged as a drama boom since the late 1950s, was possible. It also examined how the appropriation of ‘cold war excess’ in radio broadcasting appeared at that time. CBS gained the opportunity to be established as the first private broadcaster in the course of the expansion of the radio wave cold war, but provided a basis for accommodating the public’s demand for other uses of radio broadcasts. The main role of CBS also changed from propaganda to entertainment. In the process, drama emerged as the mainstream of radio broadcasting, and radio broadcasting became the center of the new creative eco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at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cold war propaganda and the change of personality to entertainment broadcasting we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 KCI등재

        한국 기독교의 선교방송 편성 현황과 운영 개선 필요성

        이장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기독교사회윤리 Vol.26 No.-

        Christianity in South Korea have plural influential television media and channels, through which a variety of missions, culture, business has developed. Although limited research, the main broadcasters’ programming through the analysis of business goals and yet more than half of what most broadcasters configured to preach character and could see that the limits shown. Preaching the gospel of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delivery to target an unspecified number of passages, though the church service broadcast live to relay missions to the nature of the topics being preached in many ways,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the limit. To do this, from different angles and ways of overcoming and was pointed out that measures be taken, the point is as follows. 1) To do effort to overcome the unbalanced preaching centered programming. 2) To do effort to ensure various broadcast content is needed. 3) To present and share a common goal,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by broadcasters. 4) To need to anti-privatization of broadcasting organizations and financial stability. 5) To reflect on the medium itself, audienc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Subsequent discussions with a variety of projects and practice of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a tool and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한국 기독교는 영향력 있는 매체 가운데 하나인 텔레비전 채널을 여럿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선교, 문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제한적 연구이긴 하지만, 주요 방송사들의 경영목표와 프로그램 편성 분석을 통하여 아직은 대부분 방송사들이 절반 이상의 내용을 설교로 구성한 특징이자 한계를 보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설교는 복음전파의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전달 통로이긴 하지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선교방송이 교회 예배실황을 중계하는 성격의 설교 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은 여러 면에서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극복 방안 및 대책이 강구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는데,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1)선교방송의 설교 편중 편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2)다양한 방송 컨텐츠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공동의 목표제시 및 공유, 방송사별 차별화가 필요하다. 4)선교방송 기관들의 공영성 확보와 재정적 안정이 필요하다. 5)매체 자체에 대한 성찰, 수용자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양한 후속 논의와 실현 가능한 과제들의 실천을 통해 한국 기독교의 선교방송들이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기독교 문화 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1963)의 회별 구성과 자료적 특징

        송미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4 No.-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방송에서 1963년 봄에 녹음하고, 1964년 4월 20일부터 5월 13 일까지 방송한 박록주 <춘향가> 자료의 구체적인 실상을 회별로 고찰하고, 대담 자 료․연창 자료 그 각각에서 주요하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확인해 보았다. 우선 1회부터 12회까지, 각 회별로 대담과 연창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 내용을 상 세히 밝혔다. 장사훈-박록주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의 일부를 직접 제시하고, 그 내 용을 지금까지의 판소리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에 의거해 분석하거나, 그러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 판소리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 연창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정 정렬-김여란 계열의 박초선 <춘향가>, 최승희 <춘향가>의 사설․장단과 정정렬- 박록주 계열의 본 박록주 <춘향가>의 사설․장단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의 대담 자료를 통해서는, 박록주가 정정렬제 <춘향가>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자부심, 그리고 고수의 기능 가운데 특히 ‘보비위’를 중시 하고, 천구성보다 수리성을 판소리의 이상적인 성음으로 생각했으며, 판소리 ‘제 (制)’의 의미 해석에 있어 사설이나 내용보다는 선율이나 악조에 기준을 두었던 박 록주의 판소리관을 엿볼 수 있었다. 대담 자료는 본 박록주 <춘향가>가 기독교방송 에서 녹음․방송된 사실을 입증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다만 장사훈의 해설로 대 체된 8회~10회 대담 자료는 내용상 실수가 적지 않았던바 아쉬움을 남겼다. 다음 연창 자료를 통해서는 박록주의 <춘향가>가 정정렬-김여란 계열의 박초선 <춘향가>, 최승희 <춘향가>와 상당히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박록주는 대담을 통해 자신의 <춘향가>가 정정렬제임을 강조했는데, 실제 사설 과 음악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이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박록주가 부른 <춘 향가>의 사설과 음악이 박초선 창본․최승희 창본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했던 것은 아니다. 창/아니리의 구분과 장단 구성, 사설의 축약과 부연, 재담적․언어유희적인 아니리의 삽입, 소리 대목의 드나듦, 사설 자체의 내용과 표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 다. ‘춘향과 이도령이 정표 교환하는 대목’, ‘신관사또 내려오는 대목’, 운봉영장이 이 어사를 생일잔치에 들이는 장면, 이어사가 춘향을 떠보느라고 짐짓 수청 명령을 내 리자 춘향이 지환을 받아보고 이어사의 정체를 확인하는 장면 등에서 창/ 아니리의 구분과 장단 구성 면의 차이를, ‘춘향이 이별 말에 사생결단하는 대목’, ‘춘향과 이도 령이 정표 교환하는 대목’, ‘춘향이 옥에서 자탄하다 귀신 울음 듣는 대목’ 등에서 사 설의 축약과 부연 면의 차이를, 이도령이 춘향을 요여(腰輿)에 태워갈 꾀를 내는 장 면, 농부가 남원 고을의 ‘사망(四妄)’을 이야기하는 장면, 기생이 이어사를 비꼬며 권 주가를 부르는 장면 등에서 재담적․언어유희적인 아니리 삽입 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리 대목이 들고나는 예는 일명 ‘춘향방 그림 사설’, ‘갈까부다’ 등에서, 사설의 내용 및 표현이 확연히 차이나는 예는 ‘춘향이 황릉묘 다녀오는 꿈을 꾸는 대 목’, ‘춘향이 이어사의 수청 명령을 거절하는 대목’ 등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글의 목적은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 자료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데 있 었던바, 그 사설과 음악적 내용을 박초선 창본, 최승희 창본의 그것과 비교 하는 작업에 있어 박록주 창본이 중심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정정렬제 <춘향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박록주 창본, 박초선 창본, 최승희 창본을 동 궤에 놓고 비교해야 하며, 정정렬제 <춘향가>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여타의 창본도 그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대한 논의는 후고를 기약하기로 한다. This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details of talk parts and performing parts of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ed in 1963 and broadcast by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CB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alk parts of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its 1st and 5th episodes, it is determined that this Chunhyangga is Cheong Jeongryeol-je(制) and Park Rokju has a strong sense of pride of it. Second, its 3rd, 6th and 7th episodes show Park Rokju’s view of pansori drummer, drumming method, ideal vocal for pansori, and pansori’s je(制). Third, CBS music manager Choi Seongjin’s mention of 12th episode gives evidence for Chunhyangga’s source. Meanwhile, talk parts were replaced by commentaries by Chang Sahun in from 8th to 10th episodes, and these commentaries had mistakes. Next, performing parts of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nd another Cheong Jeongryeo-je Chunhyangga, Park Choseon’ and Choi Seunghui’, have a number of things in common. Common examples of this are scenes that Chunhyang has a first night with Lee Mongryong without her mother’s permission, Chunhyang and Lee Mongryong part at the Orijeong Pavilion, gisaeng Nanhyang urges Chunhyang to give new Namwon Magistrate Byeon Hakdo bed service, and so on. But there are several other differences between Park Rokju’s Chunhyangga and Park Choseon’․Choi Seunghui’. Examples include a composition of Chang and Aniri, a length of pansori lyrics, an insertion Aniris as jokes or puns, singing parts.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기독교 선교와 정치적 선전의 만남: 동아시아 냉전체제와 FEBC 극동방송의 초기 형성사를 중심으로

        서명삼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종교와사회 Vol.10 No.2

        본 논문은 FEBC 극동방송의 설립과 발전 과정을 사례로 삼아 현대 사회에서 종교와 정치가 교차하고 뒤섞이는 모습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0세기 중반 시작된 전 세계적 냉전 갈등은 미국에 근거를 둔 기독교 단체들이 동아시아에 있는 공산권 국가에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이들 중 일부는 소위 ‘죽(竹)의 장막’ 너머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선교와 반공주의적 정치적 선전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FEBC 극동방송의 설립에 참여한 국내외 여러 관련 단체들, 그중에서도 특히 The Evangelical Alliance Mission과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라는 두 기독교 조직이 여러 나라의 정치인들, 군 당국자들 그리고 선교 단체들과 교류해온 역사를 추적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분석은 냉전 갈등의 상황 속에서 종교가 라디오 방송을 매개로 하여 정치와 경제 영역에 진출하며 공적·사적 영역을 넘나드는 양상을 선명하게 드러낼 것이다.

      • KCI등재

        방송 청취 경향과 라디오 드라마 현황 : 1950~70년대 초기를 중심으로

        윤금선(Yeun, Keum-sun) 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to have considered the radio hearing trend and the situations radio drama, from the late 1950s to the beginning of 1970's. This hearing trend divided by broadcasting stations, listener tendencies, time zones and hearing field through research and broadcast criticism. And analyzed the boom phenomenon around radio dramas, especially considered about problems of a melodrama. Hearing trend by a broadcasting station, it was competitive times of KBS and CBS in 1960's. However, hearing rate of the KBS that a network was wide, was sole master of the stage of KBS. Afterwards, MBC, DBS, TBC appeared and a competitive column is keen between governmental broadcasting Co. Ltd and a privately-managed broadcasting company. Besides privately-managed broadcasting company's hearing rate appeared high, and, specially, hearing rate of TBC was high. It was exposed to a feminine dominant listener in hearing trends by listener tendencies and at time zone, appeared in approximately 5 hours daily average hearing, and the night 7:00~9:00 was exposed by a golden time zone. Entertainments recreation section was higher than culture programs. And, specially, hearing rate of a drama appeared the highest. According to this radio drama boom rose, and drama competition was keen every each broadcasting company. Also, specific gravity of a melodrama was high, genres of a radio drama. However, the melo drama in contents planes were criticized. And the reason of melodrama was strong, there were a lot of the cases that a drama is made a mo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