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 또래관계의 질과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이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21 兒童硏究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 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을 통계적으로 통제하여도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 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77명을 대상 으로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의 높은 긍정생활사건 경험과 또 래관계의 질은 낮은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높은 긍정반추는 낮 은 우울증상을 예측하였고, 높은 가라앉히기는 높은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긍정반추, 가라앉히 기)이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 또래관 계의 질,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주요 환경 변인인 긍정생활사건, 또래 관계의 질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함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구 긍정심리학, 얼마나 긍정적인가? - 실천신학적 전망 -

        권수영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1990년대 이후 한국교회는 내적치유운동의 영향으로 고통 받는 메시야의 모습을 망각하고, 긍정주의 심리만을 불러일으키는 치유장소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 널리 소개되고 있는 서구의 긍정심리학이 한국교회와 목회에는 어떠한 실천적인 함의가 있는지 문화해석학적인 비판과 실천신학적인 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이미 미국의 초기 심리학자들이나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에게 연구되어져 온 인간 삶의 긍정적인 주제들이 최근 서구 긍정 심리학자들에게 의해서 새로운 영역으로 소개되어지는 이면에 양적 과학적 연구방법만을 유일한 방법으로 여기는 편향성과 감정의 안정성 및 건강유익성만을 행복의 척도로 여기는 서구적 틀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서구 긍정심리학이 어떻게 한국인의 삶의 역설적인 측면을 담아낼 수 있을지 교차문화적으로 탐색한다. 연구자는 해석학적 실천철학을 기초로 주창한 단 브라우닝(Don Browning)의 실천신학 방법론을 가지고, 십자가의 도를 통전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한국교회와 한국인들을 위해서는 인간의 감정을 부정과 긍정인 이분법적 틀로 나누어 부정적인 감정을 통제하는 서구적 태도가 아니라, 우리에게 주어진 어떠한 부정적인 감정도 전체를 위해 필요하다는 체계적 사고와 부정과 긍정을 초월하여 가장 적절한 중용에 이르기 위한 실천적인 지혜가 절실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proposes the need for building a hermeneutical and paradoxical model that integrates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emotive properties in understanding a human life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perspective. Cultural critique of the historical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y' in the West is central to this enterprise. This article presents a challenge to the Western orientations to emotional stability and health benefit in current researches i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assesses the way in which current consideration of American positive psychology limit a substantial link with the paradox in life praxis in non-Western cultures. First, this study examines a scientific and quantitative focus upon the research methods in current positive psychology. Leading positive psychologists Martin Seligman and Mihaly Csikszentmihalyi have chosen to distance themselves from humanistic psychology because of what they call its use of unscientific methodologies and its inadequate empirical foundation. And yet, this paper suggests that positive psychology has roots going at least as far back as Abraham Maslow and even William James in terms of thematic concerns about positive human phenomena, such as love, growth, and happiness. Drawing upon Aristotle's practical wisdom of moderation, a hermeneutical approach to human life and practice in practical theology such as Don Browning's shows how we should embrace the negative emotions in holistic context of life system. Simply put, the negative emotions are not bad emotions, but just play unnecessary roles to maintain homeostasis in human intrapsychic systems. In this sense, as Herbert Anderson argues, paradox is systematic ambiguity in life. In a practical theological prospect, ambiguity and paradox are blessed since they diminish the divisions that absolutizing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creates in scientific positive psychology.

      • 대학상담에서 긍정심리학의 활용 가능성

        장춘미 서울여자대학교 2010 학생생활연구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상담에서 긍정심리학적 접근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학상담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긍정심리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 기존 이론과의 차별성, 긍정심리학의 핵심적인 주제, 그리고 인간의 강점 및 자원의 계발과 활용을 강조하는 긍정심리학적 상담개입 등 긍정심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발달적 위기나 일시적으로 상황적 문제를 가진 대학생 내담자 상담에서 긍정심리학적 개입의 활용가능성과 긍정심리학을 적용할 때 경계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반응 양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이희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and the response styles to positive affect(enhancing and dampening) on well-being. Based on Fredrickson’s (1998) ‘Broaden-and-Build theory’, we hypothesized that positive affect and response styles of positive affect predict well-being, and there is reciprocal effects between of predictors on well-being.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14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positive affect,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and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positive affect and enhancing positive affect predict increased well-being, but not dampening. Moreover, mediational analyses showed that positive affect and enhancing positive affect reciprocally predict one another.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of counsel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반응 양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Fredrickson(1998)의 ‘확장-구축 이론(Broaden-and-Build theory)’에 기반하여,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반응 양식이 안녕감의 변화와 유의하게 관련이 되고, 안녕감의 변화에 이들 변인이 호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단기종단연구를 통해 학부생과 대학원생 147명을 대상으로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반응 양식, 안녕감을 측정하였고, 참가자들의 안녕감 기저선을 통제하여 변인간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강화하기는 안녕감의 증가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긍정정서 가라앉히기는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긍정정서와 안녕감의 관계를 긍정정서 강화하기가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며, 긍정정서 강화하기와 안녕감의 관계를 긍정정서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강화하기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으로써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호혜적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자본(PSC) 형성을 위한 액션러닝(AL)의 활용 가능성과 경영컨설팅 측면의 시사점 고찰

        손성문,김권수,공재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자본과 액션러닝의 관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긍정심리자본의 형성에 액션러닝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긍정심리자본과 액션러닝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 및 비교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4가지 하위 구성요소(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력)와 액션러닝의 구성요소 6가지(학습팀, 과제, 러닝코치, 학습의지, 실행의지, 성찰)와 철학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론적 탐색과 비교분석을 통해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함에 있어 액션러닝을 활용하는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비교분석의 결과, 액션러닝의 학습팀, 러닝코치는 긍정심리자본의 4가지 하위구성요소 모두와 관련이 있고, 성찰은 낙관주의와 회복력, 학습의지는 자기효능감, 과제는 희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액션러닝의 활동과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의 형성은 충분한 관련성이 있으며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하는데 액션러닝을 활용할 논리적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며 또한, 액션러닝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여 실증적으로 액션러닝과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를 입증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Action learning'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lationship action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esent study analyze theore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pare sub four compon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self-efficacy, hope, optimism, resilience) with six components of action learning(study team, challenges, running coach, Learning will, will of execution, the refl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team and the running coach of action learning is associated with both of the sub-components of the fou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flection is associated with resilience and optimism, will of learning is self-efficacy, challenges is associated with hope. Therefore, the action learning was studied that it is possible to affec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ncouraging research on preceding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re expected. Further, to develop a measure of action learning and prove obj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pirically is required.

      • KCI등재

        행복, 기쁨, 플러리싱(flourishing), 그리고 교회

        김도훈(Do Hoon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2 No.-

        인간의 보편적 갈망은 무엇일까? 아마 행복과 기쁨의 삶이라 대답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인간의 주관적 삶의 요소인 행복과 웰빙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학문분야가 등장하였다. 그것은 바로 긍정심리학이다. 이 글은 행복과 기쁨, 그리고 플러리싱 라이프라는 주제를 접촉점으로 하여 신학과 긍정심리학의 대화를 정리하고, 그것을 교회론과 연결하여 긍정교회론(positive ecclesiology)을 모색하는 논문이다. 긍정교회론이란 교회를 행복과 기쁨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과 기쁨을 배양하고 그들로 하여금 플러리싱한 삶을 살게 하는 것이 교회의 과제와 역할임을 드러내는 교회론이다. 그러므로 긍정교회론을 좀 더 좁혀서 행복교회론, 기쁨의 교회론 혹은 플러리싱 교회론이라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긍정교회론은 필자가 시도하는 긍정신학(theologia positiva)의 하부분야다. 긍정신학은 신학의 긍정적인 측면들, 창조, 부활, 감사, 용서, 화해, 행복, 기쁨, 복, 번성 등을 연구하며, 전통적 교리와 신학을 긍정적 차원으로 해석하여 기독교를 슬픈 종교나 죽음의 종교가 아닌 기쁨과 감격과 은혜와 위로의 종교로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러므로 긍정교회론은 이러한 긍정신학의 성격을 수용하여 교회의 성격을 기쁨과 행복 공동체로 정의하고, 교회를 행복한 삶, 플러리싱한 삶을 함양하고 훈련하는 긍정적 기관으로 규정하려는 교회론이다. 논문을 진행함에 있어서 우선 긍정심리학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긍정심리학의 여러 주제 중의 하나인 종교와 영성에 대한 긍정심리학의 입장이 무엇인지 정리하려 한다. 그것은 영성이 긍정심리학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만큼, 그들이 거론하는 긍정기관에 교회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을 말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의 주 관심사인 긍정교회론을 다루며 마지막으로 교회와 긍정심리학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논문을 마무리한다. What is the true goal of life? Maybe it will be happy and flourishing lif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ademic discipline that aims to scientifically explore happiness and wellbeing, which are the elements of human flourishing life. It is called the positive psychology. This is an article that tries to construct positive ecclesiology based on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with the themes of happiness, joy, and flourishing life. Positive ecclesiology is the ecclesiology that reinterprets the church in terms of happiness and joy, cultivates the happiness and joy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reveals that it is the task and role of the church to make them live a flourishing life. Positive ecclesiology is a subfield of Positive Theology(theologia positiva). Positive theology is an attempt to study positive aspects of theology such as creation, appreciation, forgiveness, reconciliation, happiness, joy, blessing, and thriving, to reinterpret doctrinal and theological tradition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to restore Christianity to the religion of joy and happiness. Therefore, positive ecclesiology is an ecclesiology that defines the nature of the church as a joy and happiness community by accepting the character of positive theology and to define the church as a positive institution to cultivate a happy and flourishing life. In this Article, I will explain positive psychology introductory, and try to summarize the position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positive Psychology. Finally, I will close the paper by suggesting the tasks of church.

      • KCI등재

        긍정심리학의 기본 이론에 근거한 시민교육

        추병완(Beong Wan Chu),최윤정(Yun Jeong Choe),이은미(Eunmi L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긍정심리학이 중시하는 24개의 성품 강점 가운데 상당수는 시민적 덕을 표상하므로, 긍정심리학은 시민교육과 상당한 친화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많은 학자는 긍정심리학과 시민교육의 관련성을 깊이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 긍정심리학은 시민교육과의 만남을 통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시너지 효과는 긍정 시민성 개념의 도입을 통해 가능해진다. 여기서 긍정 시민성은 긍정심리학의 긍정성 개념을 전통적인 시민교육에서 시민성개념과 결합한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의 토대를 이루는 기본 이론을 살펴보고, 그 이론에 기초한 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긍정심리학의 기본 이론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긍정심리학의 기본 이론에 근거한 시민교육은 강점에 근거한 시민 참여, 긍정 관계를 통한 사회 자본 형성, 증거 기반 시민교육 교수법 활용, 삶의 목적의 불씨로서 시민적 · 정치적 목적 형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Many of the 24 character strengths in positive psychology represent civic virtues that democratic citizens are expected to have. In this regard, positive psychology has considerable affinity with civic education, but many scholars at home and abroad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y and civic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civic education can have synergy effects through a constructive meeting each other. Such synergistic effects are possibl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ositive citizenship. Here positive citizenship combines the concept of positivity in positive psychology with the concept of citizenship in traditional civic educ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basic theories underlying positive psychology, put forward the urgency of civic education based on such theories, and suggest methods of implementing civic education using the basic theories of positive psychology. In this article, we emphasized important facts that civic education based on the basic theories of positive psychology should be oriented toward civic engagement based on student’s personal strengths,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 utilization of evidence-based teaching methods in civic education, and formation of civic and political purpose as sparks for purpose in life.

      • KCI등재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의 종단적 인과관계

        김초록,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The broaden-and-build theory posits that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broaden people's momentary thought-action repertoires, which in turn serves to build their enduring personal resources, ranging from physical and intellectual resources to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tudy 1 was plann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coping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ARCL).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coping were concurrently correlated, wherea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wo constructs measured at different waves was not supported. Study 2 examined whether positive emotions increased positive coping. The results in the study2 showed that the positive emotion brought by the intervention increased positive coping at the same period, whereas i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coping at the later wave. The different finding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i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주의와 인지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개인적 자원을 확립시키고 안녕감을 증가시킨다는 확장과 수립 이론(broaden and build theory)에 대한 반복, 확장 검증을 시도했다. 연구 1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의 관계를 기존 연구들(Fredrickson & Joiner, 2002)에서 사용한 매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상호인과관계 검증에 유용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들의 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였지만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는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가 동일 시점의 상관은 있으나 종단적인 상호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긍정적 글쓰기를 통해 유발된 긍정적 정서가 증가한 긍정적 대처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1의 자기회기 교차지연 모형의 결과와 유사하게, 유발된 긍정적 정서는 동일 시점의 증가한 긍정적 대처를 예측하지만 추후의 긍정적 대처는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의 차이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긍정심리학에서 본 행복론

        홍종관(Hong, Jong Kwan) 행복한부자학회 2012 행복한부자연구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이 말해주는 행복의 의미 그리고 행복해지는 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M.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의 주요개념인 ‘긍정적 정서’, ‘강점과 덕성’을 중심으로 인간의 행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해지려면 긍정적 정서를 가져야 한다. 즉 과거, 미래, 현재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따로 따로 함양해야 한다. 과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감사와 용서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비관적인 사고를 버리고 낙관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 또한 현재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대표 강점과 덕성을 발휘 하여 몰입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둘째, 행복한 삶을 살려면 자신의 대표강점과 덕성을 발견하고 계발하여 그것을 발휘할 수 있는 일에 몰입해야 한다. 특히 자신의 삶의 주요한 영역인 직업에, 가정에, 자녀교육에 자신의 대표 강점과 덕성을 적극 발휘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긍정심리학에서 말하는 행복론의 키워드는 긍정적 정서, 대표 강점 및 덕성이다. 즉 인간은 긍정적 정서를 가지고 삶의 현장인 직장과 가정에서 자신의 대표 강점과 덕성을 발휘하여 몰입할 때에 즐거운 삶, 만족하는 삶,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In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and the way of happiness that positive psychology tell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M. Seligmans positive emotions, strengths and virtues.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have a positive emotion to be happy. It means there positive emotions about the past, future and present should be cultivated separately. The way increasing the positive emotion about the past are th forgive and thank. To increase the positive emotions about the future, it needs optimistic thoughts, not pessimistic thoughts. Also, we should live a life of commitment with our own strengths and virtues for the positive emotion about the pres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mitment on finding and developing its own strengths and virtues for the happy life. Particularly, we should live a life of active exercise about jobs, families, children there represent the main areas of life. The key words of happiness that positive psychology tells are positive emotion, representative strengths and virtues. In conclusion, human beings can live a meaningful life when he or she live a life wi고 positive emotions such as the strength and virtues at work place and home.

      • KCI등재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과 긍정적인 생활 사건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정나래,김은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1

        Depression is mental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po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 depression, and interact with positive life events. College students(n=448) were taken to self report assessment fo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emotion clarity, negative rumination, positive and negative life events, depression. As a result, dampe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positive life event. Positive rumination influenced depression, moreover there wer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including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life events as moderator variable. And negative rumin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negative life event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s depression, and partially interacts with positive life events as stressor.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options were discussed. 우울증은 긍정성의 감소를 특정적인 요인으로 갖는 대표적인 정신장애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정서 조절 기제인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그리고 긍정 정서 반응과 생활 사건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긍정 정서 반응, 정서 인식 명확성, 부정 반추, 생활사건, 우울을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의 하위 요인 중 가라앉히기(dampening)는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긍정 반추는 유의미하게 우울 증상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인식 명확성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긍정 반추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에서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 생활 사건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긍정적인 생활 경험이 적을 때, 긍정 반추가 높은 사람들은 긍정 반추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 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을 훨씬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 생활 사건이 많을 때, 긍정 반추와 정서 인식 명확성의 정도에 따른 우울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정 반추는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부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즉, 가라앉히기 및 긍정 반추가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각각 정적 및 부적 영향을 끼치며, 생활 사건이라는 스트레스 요인이 이들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