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재-반응을 이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판별 및 긍정적 행동지원

        이영연 ( Young Yo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가 중심이 되어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모델을 이용하여 정서 및 행동장애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판별하는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중재-반응모델을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예방·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켜서 학생들의 교육적 혜택을 확대하는 것이다. 중재-반응모델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중재전략은 모든 아동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전략이며, 중재에 반응이 없는 학생들을 선별하여 2단계 중재를 적용한다. 2단계 중재는 장애가 의심이 되는 소집단아동에게 적용되며, 2단계 중재에서 반응이 없는 학생은 특수교육서비스가 필요한 정서 및 행동장애로 판별되어 3단계 중재가 적용된다. 3단계 중재는 기능평가 및 기능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긍정적 행동지원이 제공되는 과정이다. 결론으로, 현행법에 제시된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의 문제점과 의학적 모델에 의존하는 정서 및 행동장애의 선별·판별 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학교중심으로 문제행동을 감소·예방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중재-반응 모델의 연구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introduce evidence-base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for early identification of at-risk students, assessment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o need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b) suggest to implement RTI to prevent and decrease problem behaviors and increase appropriate behaviors in schools resulting in expanding educational benefits for students. RTI consists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Primary prevention is universal interventions applied to all students in classrooms and schools. Secondary prevention is spey prized interventions applied to at-risk students. Tertiary prevention is individuprized intensive interventions applied students with chronTerand intensive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a) the problems of IDEIA`s definition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b) the problems of currently using medical model in assessing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re discuss staninally, it is suggested that training and piariding teachers with knowledge and skills in behavior management and academic instructions are necessary to implement RTI with fidelity.

      • KCI등재

        실행 과학에 기반 한 미국의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 전략과 시사점

        박계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PBIS)의 과학적 실행 전략을 고찰하여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의 성공적인 국내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BIS 실행 시스템의 특징, 주요 추진 요소, 추진 구조 및 실행 절차에 관한 선행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과가 기대되는 PBIS 실행과 일반학교로의 더 큰 규모로의 확장된 실행을 위해 실행 과학에 기반 한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실행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실행 프로임워크에는 증거기반실제의 확립, 정부 지원에 터한 정부-지역교육청-학교 간 연계적 운영 시스템의 구축, 정책과 절차 또는 제도를 변화시키는 상황 활성화가 포함된다. 둘째, PBIS 실행 추진 요소는 역량, 조직 및 리더십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되며, 실행 추진 요소의 핵심은 정부, 지역교육청 및 학교 수준의 리더십 구축과 운영이다. 셋째, PBIS의 실행은 탐색 및 채택, 도입, 초기 실행 및 본격 실행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며, 각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자체 평가를 통해 절차 진행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실행에 대한 의사결정은 계획-실행-연구-개선(Plan-Do-Study-Act) 모델을 따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PBIS 실행에 주는 시사점과 향후 실행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ient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in the United State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domestic implementation of PBIS.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main driving elements, driving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of the PBIS implementation system. Results. First, a systematic and active implementation framework based on implementation science is needed to implement PBIS with expected results and expand its implementation to general schools on a larger scale. The implementation framework included establishing evidence-based practice, establishing a linked operating system between the state, district, and school based on state support, and activating situations to change policies, procedures, or systems. Second, the PBIS implementation driving factors consist of elements related to capacity, organization, and leadership, and the core of the implementation driving factors i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eadership at the state, district, and school levels. Third, the implementation of PBIS proceed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exploration and adoption, introduction, initial implementation, and full 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ogress of the process through continuous self-evaluation of each elem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decisions on implementation were made through the improvement cycle model of Plan-Do-Study-A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domestic PBIS implement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가정 기반의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 고찰

        김혜선,박지연,봉귀영,이애진,김은윤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가정 기반의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가정 기반의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의 실행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관련 논문 28편을 선정하여 전반적인 동향과 중재 관련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12년부터2023년까지 이루어진 가정 기반의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 연구 28편 중 국내 연구는 7편으로 국외 연구에 비해 그 수가 적었다. 둘째, 총 28편의 연구 중 절반 정도의 연구가 다양한방법으로 가족 맥락적 적합성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에서 직접기능평가와간접기능평가를 병행하고 있었으나 생태학적 정보를 수집한 연구는 많지 않았고,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은 주로 기능평가를 전문가와 함께 실행하고 전문가로부터 전략 코칭을 받아 중재를 실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정 기반 행동지원의 실제와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family-based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in order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research. Method: Twenty-eight domestic and foreign articles published from 2012 to 2023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ervention components in addition to overall research tren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28 studies on family-based PBIS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only seven were domestic studies, a much smaller number than foreign studies. Second, about half of the total 28 studies considered family contextualization in various ways. Third, most of the studies performed both direct and indirect functional assessment, but only a few studies collected ecolog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BIS, the roles of parents were mainly to complete functional assessment with professionals and implement interventions with strategy coaching from professionals. Conclusion: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사-특수교사 협력기반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PBIS)이 ADHD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문정연,문현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on problem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ADHD. The study applied PBIS, which is a multiple factor intervention planned setting events/antecedent interventions, alternative behaviors/skill teaching, and consequence interventions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The participant was a 5-year-old male child with ADHD. The study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hich were composed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 disturbing behavior, a climbing behavior onto the stair rail, and an out-of-seating behavior. The disturbing behavior and the climbing behavior onto the stair rail were recorded using an event recording system and then the occurrence frequency was calculated. The out-of seating behavior was recorded using the time sampling method and then the occurrence rate was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disturbing behavior was decreased to frequency 1.5 on average, the climbing behavior onto the stair rail to frequency 1.2 on average, and the out-of seating behavior to 5.1 percent on average. PND has a high effect size of more than 82.6 perc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PBIS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ADHD.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에 기반한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PBIS)이 ADHD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ADHD를 가진 만 5세 남아 1명을 대상으로 3가지 문제행동(방해하기, 계단 난간에 매달리기, 자리이탈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능평가를 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 교수, 후속결과 중재를 계획하는 중다요소 중재인 PBIS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단계로 진행되었다. 방해하기와 계단 난간 올라가기 행동은 사건기록법을 이용하여 발생빈도를 산출하였고, 자리이탈 행동은 시간표집 기록법을 이용하여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 결과 유아의 방해하기, 계단 난간 올라가기, 자리이탈 행동은 감소하였으며 PND는 82.6% 이상으로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특수교사 협력기반 PBIS가 ADHD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의 PBIS의 효과, ADHD 유아를 위한 중재로써 PBIS의 적합성, 교사 협력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분석

        오경화,방명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ingle-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wenty-one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2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effects, an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develop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2014) and Horner and his colleagues(2005). Result: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tudy sampl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homes and special schools were most widely used as places for intervention. Second, the most widely implemented interventions were caregiver participation in PBIS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s, and individualized PBIS interventions. Third, all 21 studies reported intervention effects o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or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While 20 studies(95.7%) examined maintenance effects, only five studies(23.8%) examined generalization effects. Fourth, nine studies(42.9%) entirely fulfille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are effective in decreasing problems behaviors and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need to be entirely fulfilled by single 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논문 21편이었다. 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중재변인 및 중재결과를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 외(2005)가 제시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급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3편(61.9%)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과 특수학교가 중재 장소인 연구가 각각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보호자인 중재자가 ‘부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17편이고 ‘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3편이었다. 둘째, 보호자 참여 유형은 PBIS팀 협의회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교육인 연구가 각각 6편으로 가장 많았고, 보호자의 역할은 자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내 중재에 참여한 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았다. PBIS 전문가가 참여한 연구가 21편 중 13편이었다. 모든 분석대상 논문이 개별차원을 포함하였으며 3편은 학급차원의 중재도 포함하였다. 셋째, 중재결과에서는 학생의 도전적 행동이 종속변인인 연구가 12편으로 가장 많았고,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0편이었으며 일반화를 검증한 연구는 5편이었다. 넷째, 질적 분석 결과 모든 질적 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9편(42.9%)이었다. 결론: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행동 중재 및 지원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와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는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특수학교 연계 긍정적 행동지원단의 개별차원 PBIS를 통한 장애학생 문제행동과 특수교사 인식의 변화

        문현미,김선현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대학-특수학교 연계 긍정적 행동지원단이 실시한 개별차원 PBIS가 장애학생 문제행동과 특수교사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의 PBIS 대상으로 선정된 자폐성장애 학생 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AB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능평가에 근거한 개별차원의 PBIS를 실시하였다. 사건기록법으로 문제행동의 빈도를 수집하였으며 PND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PBIS 종료 후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자리이탈 행동, 공격 행동, 부적절한 요구 행동은 감소하였으며 PND는 83% 이상으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면담 분석 결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PBIS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PBIS의 성과에 대한 인식 내용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매년 실시되고 있는 ‘장애학생 문제행동중재 프로그램 지원’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모델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implemented by a university-special school collaboration team on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ding a special school. We used an AB design as well as an individualized PBIS plan based on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We collected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s using the event recording system and we measured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After the PBIS was terminated, we interviewed special teachers in a semi-structured mann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ea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inappropriate demanding behaviors were reduced. PND has a high effect size, greater than 83 percent.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dentified the following 2 themes. One theme was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collaborative PBIS with 2 subthemes: (1) teachers’ prejudice on PBIS, (2)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BIS. The other was successful outcomes of PBIS with 3 subthemes: (1) reduced problem behavior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of target students, (2) positive changes in the behavior of his/her peers, (3) positive impacts of PBIS o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mode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BI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ther special schools.

      • KCI등재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연구의 질적 지표 반영 분석: 2011-2021년

        김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tudies’ quality indicators that implemen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 disability and at risk. A total of 42 studies including 28 single subject studies, 9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5 mixed studies from 2011 to 2021 were found as appropriately met the inclusive criteria. Single subject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that were suggested by Horner et al.(2005) while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them by Gersten et al.(2005). The findings of research synthesis presented that most of SSD studies met the criteria of the quality indicators except result of generalization. Quasi-experimental studies included information of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and intervention implementation while several studies did not include explanation of comparative group, and result measurement. Theref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o address generalization results for SSD studies and several important quality indicators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order to provide evidence-based research.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중재연구의 질적 지표 반영을 분석하여 증거기반의 중재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관련 주제의 중재연구는 총 42편이었으며, 단일대상연구가 28편, 실험연구가 9편, 단일대상연구와 실험연구가 혼합된 연구가 5편이었다. 단일대상연구는 Horner와 동료들(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연구는 Gersten과 그의 동료들(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 동안 단일대상연구를 한 연구 33편은 질적 지표 중 일반화에 대한 결과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가 명시되었거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를 한 14편의 연구는 연구참여자나 장소, 중재실행에 대한 지표는 잘 반영되었으나 비교집단 조건이나 결과측정에 대한 지표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 단일대상연구는 보다 증거기반의 연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화도 함께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실험연구는 실증적인 연구에 충족할 수 있는 항목들을 좀 더 엄격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