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과 긍정감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금융상품을 중심으로

        임미자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에서 중요한 주제인 감정, 특히 긍정 감정의 영향을 다룬다. 금융 상품 투자는 소비자의 재 무 상태와 직결되는 중요한 의사결정 영역이며, 다른 영역에 비해 의사결정 결과에서 소비자들은 더 극명한 감정 경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투자 영역에서의 감정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감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 더 풍부 하게 하며, 다른 영역에 비해 감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익 후 긍정 감정 경험과 의사결정 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긍정 감정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고 싶어 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복잡하고 어려우며 감정의 영향이 클 수 있는 투자 영역에 서는 손실의 부정 감정에서와 마찬가지로, 긍정 감정을 안정적으로 줄일 수(downward regulation) 있을 때 성과 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금융 상품 소비자들이 긍정 감정에 대해 어떤 감정조절 전략 유형 들을 사용하는 지, 긍정 감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조절 전략은 무엇인지, 그리고 긍정 감정조절 전 략 유형들은 부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들과 어떻게 다른 지를 제시하였다.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이 조사되면 실 무의 관리자들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투자 과정에서 감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감정조절 전략을 사용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공헌은 긍정 감정이 의사결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투자 상품에서 의 긍정 감정의 영향을 새롭게 밝혔다는 점이다. 그리고 성과의 목적이 앞설 때 긍정 감정을 하향 조절(downward regulation)하는 조건적 헤도니즘의 이론적 폭을 확장시켰다. 또한 소비자들의 이익 경험 후의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이론적 공헌이 있다. As the financial industr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a service economy, individual investment behavior attracts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economics, psychology, and marketing. Consumers have stronger emotional experience in financial investment compared to other areas because it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area that can have crucial consequences for investor welfare. Therefore, research on emotions in investment will expand and enrich prior studies on emotion and will shed light on the influence of emotion on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s on performance. In addition, it evaluates what investors think after gain, how they regulate positive emotions, what types of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used, how each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fluences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 and the differences in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versus negative strategies. In spite of the important role of emotion in economic decision making (Summers and Duxbury 2007),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investments. Previous studies showed a smaller negative affect after loss results in more superior investment performance (Chu et al. 2011; Salovey 2001). Similarly,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a smaller positive affect leads to better investment performance. Regarding negative emotion regulation, prior studies revealed that cognitive reappraisal (e.g., ``thinking about the negative situa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reasoning about why the objective negative situation isn`t so bad) and counterfactual thinking (e.g., ``things could have been so much worse and I could have lost more) reduces negative emotions (Gross 2008; Loewenstein 2007), while external attribution after loss, in other words, blaming others for self-failure, is believed to exacerbate negative emotions (Chu et al. 2011). Prior research also showed that even though suppression strategy helps to express less negative emotions, it actually leads to greater negative emotions(Gross 1998, 2008; Gross and John 2003). Mean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ternal attribution (i.e., ascribing one`s success to their own ability) and external attribution (i.e., ascribing the gain to other external market situation or good luck) increase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s, while counterfactual thinking (i.e., thinking that I should have greater gain) and suppression strategy reduce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s. However, reappraisal strategy in gain did not significantly lessen positive emotions. Gross and John (2003)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who habitually use the reappraisal strategy in real life experience greater positive emotions and less negative emotions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rarely use reappraisal. Judging from this, we can infer that since reappraisal is the cognitive tendency to think positively in any situation, it reduces negative emotion but does not lessen positive emotion even though it encourages thinking objectively after gain. Counterfactual thinking was identified as the regulation strategy to reduce not only negative emotions, but also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suppression strategy reduce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even though it proved not to effectively lesse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Consequently, investors need to avoid attributing the success to one`s capability after gain, make an effort for the next decision with the thought that he/she should have greater gain, and control positive feelings in order to protect the self from positive emotional whims, thus leading to more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e discovery of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on performance in investment. With this, the study expanded the prior research on conditional hedonism, which implies that if a performance goal overcomes a short-term hedonistic goal, the former may be preferred (e.g., Cohen and Andrade 2004). Furthermore, this study newly presented the types of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what kind of strategies among them can effectively reduce positive emotion in the investment area.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Marketers in the financial service area must educate investors to control emotions even after gain, since successful gain regulation can boost investment performance. Prior studies demonstrated that encouraging participants to scrutinize the relevance of emotion used in decision making or to attribute their present feelings to judgment-irrelevant situational factors attenuate the impact of emotions on judgment and choice (e.g., Keltner et al. 1993; Lerner and Tetlock 1999; Schwarz and Clore 1983). Managers in the field should encourage investors to realize the impact of emotion and help them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for efficient regulation of emotional whim.

      • KCI등재

        긍정적-부정적 상황에서의 보상소비와 소비자 감정 및 소비자행복의 관계

        한만설,김소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24 소비문화연구 Vol.27 No.2

        보상소비는 개인의 소비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소비활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보상소비가 긍정적 감정의 강화와 부정적 감정의 약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존재하지만, 보상소비가 소비의 궁극적 목표인 소비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부정적 상황에서의 보상소비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더 나아가 소비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1년간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 경험이 모두 있는 소비자 42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은 부정적 상황과 긍정적 상황에서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보상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 후에 소비자가 지각하는 부정적 감정반응은 모두 3점 이하로, 긍정적 감정반응은 모두 3점 이상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은 긍정-부정 상황에서 모두 보상소비에 대하여 부정적 감정은 많이 느끼지 않는 반면 긍정적 감정은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 행태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상황에서 보상소비로 지출하는 비용은 적었으나 더 빈번하게 보상소비를 하고 있었고,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에서 모두 음주나 외식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 소비자 감정반응, 소비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는 부정적 감정반응과 긍정적 감정반응을 모두 강화하는 반면, 긍정적 상황의 보상소비는 부정적 감정을 줄이고 긍정적 감정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는 소비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긍정적 감정반응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과는 달리, 긍정적 상황의 보상소비는 소비행복에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구분된 맥락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보상소비를 상황별로 구분하여 긍정적-부정적 상황의 보상소비가 감정반응에 미치는 차별된 영향을 밝히고, 이에서 더 나아가 소비행복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소비자학적 의의를 가진다. Compensatory consumption plays a vital role in an individual's spending behavior and constitutes a significant part of their overall consumption activitie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compensatory consumption can bolster positive emotions and mitigate negative ones. To the author’s knowledge, no study has explored its impact on consumer happiness, the ultimate goal of consumption. To address this gap,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mpensatory consumption on emotional responses related to consumption and, more notably, on consumer happine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28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Compensatory consumptio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 consumers did not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as strongly as positive emotions. They spent more often and spent less money on average on compensatory consumption in negative situations than in positive situations. In the structural analysis, compensatory consumption in the negative situation enhanced negative emotions, however the magnitude was smaller than the increased positive emotions at the same time. And in the positive situation, the compensatory consumption migrated negative emotions and elevated positive emotions. And in both negative and positive situations, compensatory consumption indirectly increased consumer happiness through elevated positive emotions.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while compensatory consumption may occasionally lead to negative emotions, its overall effect on consumer happiness is not significantly detriment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void focusing on the only the adverse consequences of compensatory consumption. Instead, the behavior should be reevaluated from a neutral perspective, and its potential positive functions are worth to explore in enhancing overall well-being of the consumers.

      • KCI등재후보

        은행기업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긍정적 감정,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재원,옥경영,류주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은행기업이미지가 소비자의 자아인식, 긍정적 감정형성, 그리고 선호도 및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조사에서 “S”은행을 대상으로 Aaker(1997)가 제시하고 있는 42개 의 항목을 사용하여 Park & John(2010)이 제시한 추출방법에 의해 ‘실질적인’, ‘안정적인’, ‘젊은’이미지 등 3개 의 속성을 은행기업이미지로 추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이렇게 추출된 3개의 은행기업이미지가 소비자의 자아인식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3개의 이미지 속성 중에서 감성적인 속성의 이미지인 ‘젊은’이 소비자 자아인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형성은 Fredrickson (2008)이 제시한 조작된 차이감정척도(Modified Differential Emotions Scale)들 중에서 17항목을 사용하여 자아인식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은행기업이미지에 의해 향상된 소비자의 자아인식은 개인의 긍정적 감정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인식은 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성별이 만족도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감정이 선호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감정은 선호도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하고 있으면 선호도와 만족 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에서는 성별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은행기업이미지를 경험함으로써 자아인식이 향상되는 사전 경험을 하게 되고 소비자의 향상된 자아인식은 긍정적 감정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은행에 대한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 이다. 또한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은 기업에 대한 선호도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self-perception by bank corporate’s image influence on consumer’s positive emo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is the important property of bank corporate’s image that affects consumer’s self-perception? (2) How will the consumer’s self-perception affect consumer’s positive emotion, bank preference, or satisfaction? (3) How will the consumer’s positive emotion influence on bank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pilot test, “S”bank images were extracted from 98 research subjects and “S”bank image can be defined as “secure”, “downto earth”, and “young.” In main survey, 160 subjects’s data were collected for research questions. Self-percep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xposing “S”bank image, and 3 factors about consumers’ emotion were pleasure, angry, and hat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er’s self-perception is increasing after exposing bank image, “young”, and the higher consumer’s self-perception, the higher positive emotion and bank preferenc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higher consumer’s positive emotion, the higher bank preference and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의식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영향: 통일교육의 매개효과

        김상용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national unification awareness on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education. Based on the 2019 Unification Awareness Report, medi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erformed. First, the study finds that the unification awareness differs significantly across gender and age. Men have a greater awareness of the unification. The awareness also increases with age.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also significantly differs across gender and age. Second, the study shows that unification aware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That is, high unification awareness can infer positive feelings toward unification and that both awareness and educ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The research also suggests that awareness is more effective than education on changing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Third, awareness has a direct effect on the positive feeling, and that education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mediation. Lastl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shows that awareness and education are both relevant factors. The awareness affects education then indirectly affects the level of positive feeling toward un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이 경험하는 통일의식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통일교육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 통일의식조사’에서 실시한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통일의식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통일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많을수록 통일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통일감정 또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통일의식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일의식이 높을수록 통일에 대한 감정이 긍정적이었고,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일의식이 통일교육보다 긍정적 통일감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통일의식은 긍정적 통일감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일교육이 매개변인으로 긍정적 통일감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적합도 지수는 통계적 기준을 충족하므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즉 주요 변인 간 경로에 대한 구조모형에서 통일의식이 통일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통일교육은 긍정적 통일감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브랜드 경험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주연(Ryoo Juyoun),김정구(Kim Chung Koo)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소비자는 구체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의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통하여 정서적으로나 인지적, 또는 행동적인 방법 등으로 브랜드를 경험하고 있으며, 바람 직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하는 것으로도 개인의 장점을 개발하고 만족스러운 삶의 기본이 되는 긍정적 감정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경험하면 브랜드가 갖는 매력적이고 강력한 브랜드개성을 마치 소비자 자신의 개성인 것처럼 인식하게 되어 좀 더 향상된 자아로 인식하게 되는 브랜드 효과와, 이러한 브랜드 경험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국내 실정에서 실제의 브랜드를 가지고 실증해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최신식이고, 유행에 민감하며, 현대적인’ 개성을 갖는 갤럭시S 스마트폰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이후 세 가지 브랜드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Brakus 외 (2009)의 연구를 근간으로 12개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브랜드 경험에는 감각적, 감정적, 경험적, 그리고 인지적 경험의 4가지 차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경험과 긍정적 감정, 자아인식과 브랜드 애호도의 네가지 연구 개념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 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바람직한 브랜드개성을 갖는 브랜드를 경험한 이후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애착, 관계 등과 같은 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 차원에서는 긍정적 감정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실증한 것이다. 둘째, 브랜드 경험으로 인한 긍정적 감정은 자아인식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생각과 행동의 폭을 넓히고 관계를 지속하게 함으로써 삶의 만족과 행복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애호도와 자아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한국적 실정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하였고 넷째, 브랜드를 경험하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이 향상되고 자아인식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긍정적 감정과 자아인식의 향상이 브랜드 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는 밝히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공헌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onsumers experience brands directly or indirectly both by purchasing or consuming brands`` offerings and communicating brand related aspects in the sensory, emotional, perceptual, or actual way. This research replicates the brand effect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and examines how consumers` positive emotion can be formed and increased through brand experiences using a real Korean brand. Positive emotions broaden consumer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thought-actions and provide variety experiences which can be the fundamentals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by brand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in the Korean market situation. In the pretest, 53 respondents selected five personality traits tha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Samsung Galaxy S. Three traits out of 42 personality scale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up-to-date(53%), contemporary(45%), and trendy(45%). Also these three traits revealed a high degree of interests in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mselves: up-to-date(m=.68), contemporary(.74), and trendy(.68). Based on this data, Galaxy S was used in the main survey where 450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business undergraduate classes and MBA classes. Excluding foreign students` data and inappropriate data, 321 sample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eople perceive themselves to be more up-to-date, more contemporary, and trendier after experiencing Galaxy S through manipulation information. The result confirms that brand experience helps self perception enhancing, especially to people who like certain brand personalities and have interest in increasing the personalities. Second, consumers` positive emotion was increased after they experience the brand, thus a brand can provide positive outcomes both corporations and consumers. The notion that positive emotion produces novel thoughts,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suggests that brand experience has an important aspect regarding consumers` psychological strengths. Third,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can affect self perception enhancing. Experiencing brand through sense, feel, behavior, and cognitive way increases consumers` self perception like consuming real products or services. Forth, brand experience affect brand loyalty and self perception positively. Finally, the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and self perception do not affect brand loyalt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procedure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과 브랜드평가

        최낙환(Nak Hwan Choi)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서 소비자가 경험하지 못한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의 지각이 유발하는 소비자의 인지반응변수로 과거의 기업가에 대한 긍정성개념을 도입하였고, 또 감정반응변수로 그 기업가에 대한 감정이입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노스탤지어에서 부정감정을 흡인하여 긍정감정으로 회복되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예방감정개념을 도입하여,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가 브랜드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하여 다음 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서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의 지각은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이 긍정적 예방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광고에서 느끼는 긍정적 예방감정이 브랜드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 지각이 브랜드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도 탐색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비자가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 노출되어 지각되는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이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 그리고 예방감정을 통해서 브랜드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과정과 브랜드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식별하여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This paper reviewed theoretically the effects of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on br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process in which consumers" negative affect triggering nostalgia could be redeemed back to positive prevention affect by way of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to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A scenario that would cause historical nostalgia and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hypotheses. 218 collegians participated in empirical study, which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the perception of positive historicity for past entrepreneurs in the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had positive influence upon positiveness of entrepreneurs and empathy. Seco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ness of entrepreneurs and empathy led to positive prevention affect. Third, the positive prevention affect perceived from the advertisement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 upon brand evaluation. Fourth, it was also made clear from the research that the cognition of positive historicity for past entrepreneurs exercised direct impact upon brand evaluation. In this manner, the present paper is believed to have made contributions theoretically by expla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entrepreneurs" historicity as perceived by the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on brand evaluation.

      • KCI등재

        너의 표정을 통해 읽는 것은 나의 감정이다: 감정의 변화가 상대방의 표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유선 ( Yoo Sun Hwang ),신우열 ( Woo Yeol Shin ),김주환 ( Joo Han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1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에서 상대방의 얼굴 표정을 통해 감정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다. 지금까지 심리학 연구에서는 주로 상대방의 표정에 나타난 감정의 변화가 수용자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한편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감정변화가 미디어 텍스트 (만화, 영화 등)의 감정적인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주로 연구했다. 커뮤니케이션학이나 심리학에서 수용자의 감정 변화가 상대방의 표정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는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감정 상태의 변화가 상대방의 표정 인지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적인 감정이 유발 되었을 때와 긍정적인 감정이 억제 되었을 때 무표정한 얼굴에 대한 감정적 해석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긍정적인 감정이 유발되면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감정에 따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민감한 여성과 남성의 성별 효과도 존재할 것이라고 보았다. 실험결과 감정에 따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단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감정이 유발되어 있을 때에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얼굴 표정을 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얼굴 표정을 해석하는 반응 속도가 더 빨라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입증되었다.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얼굴 표정에서 드러나는 감정을 인식하는 속도가 더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에 의한 얼굴 표정을 평가의 차이는 남녀 성별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emotion on the recognition of others` facial express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 experimental study had been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ositive emotional state and the constrained positive emotion bring about differences in evaluating emotional expressions of neutral faces. We hypothesized that positive emotion will regard others` facial expressions as more positively and women who were sensitive to nonverbal cues will evaluate facial expressions faster than men.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states affect the judgment of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More positive evaluation was found during the positive emotional state. Women reacted faster at the evaluation of neutral facial expressions. In the positive emotional state, it took more time to judge neutral facial expressions. Emotional states affected the evaluation of facial expressions regardless of gender.

      • KCI등재

        템플스테이 만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병길,김민자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과정의 주요 속성인 체험요인, 인적서비스요인, 그리고 시설환경요인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참가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템플스테이 지정 운영사찰을 대상으로 총 768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은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체험요인은 부정적 감정에 비해 긍정적 감정에 대한 영향력이 다소 크게 나타나 만족요인에 가깝다고 판단된다. 인적요인과 시설환경요인 또한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체험, 인적서비스, 그리고 시설환경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mple-stay satisfaction and it's antece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More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how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influence participant's emotions (compris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and temple-stay satisfaction formation. The authors propo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rising six constructs. Data were collected from 768 temple-stay participants in designated temple-stay operating temples, and analyzed by AMOS 7.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Moreover, the effect of experience factors on positive emotion appeared to be comparatively stronger than on negative emotion Second,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had effects on temple-stay participants' both of emotion. Third, the effect of temple-stay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nega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emple-stay experience, human and facility factors on satisfaction formation were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수행전략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창택 한국행정학회 2012 韓國行政學報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수행전략들(표면행위, 부정적 감정조화행위, 내면행위, 긍정적 감정조화행위)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기관의 일선 직원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고갈에 대해 표면행위는 정적 영향을, 긍정적 감정조화행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직의도에 대해 표면행위, 부정적 감정조화행위, 감정고갈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고객지향성에 대해 내면행위와 긍정적 감정조화행위는 정적 영향을, 감정고갈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감정고갈은 표면행위와 긍정적 감정조화행위가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