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Chang, Seog-Won,Koo, Jun-Hak,Sung, Chang-Hyun,Lee, Jeong-Ho,Park, Sho-Jun,Jee, Jae-Uk,Youn, Jeong-Ho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mowing the grass of a grave (Beolcho) is a very important event preceded by Chuseok (Korean thanks giving day) and Si-Hyang (annual ancestral feast). Because Beolcho usually takes place one or two weeks before Chuseok, the traffic accidents on roads are getting worse and safety accid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Erroneous Beolcho methods can cause the soil to be exposed and cause the loss of soil or the low shoot density of graveyard grass or weed occurrence. Therefore, the dispersion of the Beolcho timing and the approprite method can be import issu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grass mowing timing and height before Chuseok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The mowing timing was evaluated at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before Chuseok, and the mowing h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wo type of grass. In Z. japonica, the faster mowing before Chuseok, the longer the plant height, and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higher. In Z. matrella, the faster mowing, the longer the shoot length,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r tendency. As compared to Z. japonica, the plant height of Z. matrella was kept short regardless of the time of mowing. In both grasses, the plant height was shortened when mowing was done at low cutting height,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hoot density of graveyard lawn by 40-50 mm or 30-40 mm cutting above the ground for Z. japonica or Z. matrella, respectively.
학교 운동장 조건에서 봄철 그린업 전후 답압 강도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 운동장의 품질 차이
김기동(Ki-Dong Kim),이정호(Jeong-Ho Lee),장석원(Seog-Won Chang)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2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은 이용자의 안전 확보, 자연친화적 공간 제공 및 환경조절 기능이 우수하여 맨땅, 인조잔디 운동장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천연 잔디 운동장이 갖는 장점이 뚜렷하고 천연 잔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잔디 관리의 부담감으로 학교마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잔디 운동장의 보급 확산과 효율적 잔디 관리를 위해 가상의 학교 운동장 조건에서 그린업 전후에 답압의 강도가 들잔디와 금잔디로 조성된 운동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답압 처리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에서 70 kg의 성인 남성이 10분간, 빈도는 주 1, 3, 5회 및 무답압 처리로 3주간 실시하였다. 토양경도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 모두 답압 빈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주 3회 이상의 답압 조건에서 뚜렷하였다. 답압이 멈추면 토양 경도가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공 튀김 높이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 모두 답압 빈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린업률과 지상부 밀도는 답압 빈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답압을 멈추면 그린업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전체적으로 봄철 그린업 시기에는 금잔디가 들잔디에 비해 답압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경향을 보였다.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bare land or artificial turf grounds for its excellence in user safety, nature friendly space, and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However,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though having many benefits and a high preference, are limitedly used at schools because of the burden of turfgrass care. In this study, playground quality by human compaction before and after spring green-up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in school playground conditions were evaluated for the expansion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and its efficient use. Human compaction was applied for three weeks by an adult of 70 kg for 10 minutes, under the condition of no compaction, once, three times, and five times per week in Z. japonica and Z. matrella field. Soil hardness of both Z. japonica and Z . matrella field significantly was increased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and it showed obviously under the condition of more than 3 times per week. When the compaction stopped, the soil hardness tended to decrease. Ball rebound height of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fiel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decreased significantly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But after human compaction was stopped, the green-up progressed quickly. In general, during the spring green-up period, the Z. matrella tended to be less affected by the human compaction than Z. japonica.
일 최저기온 일반화 극단값분포를 이용한 한국 금잔디 재배지 탐색
황영은,김영선,윤상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4 No.1
한반도에서 자생하고 있는 금잔디는 따뜻한 지역에서 성장하는 난지류 식물이다. 금잔디는 녹병에 대한 저항성, 잎의 높은 밀도와 섬세한 질감을 가져 축구장과 골프장 등에 이용되지만 낮은 기온에서 성장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연간 일 최저기온을 기반으로 한 한반도 기후대를 고려한 금잔디 재배지를 파악하였다. 연구자료는 종관기상관측장비에서 수집된 1992년부터 2021년까지 일 최저기온이다. 일반화 극단값분포 적합을 위해 일 최저기온을 음수 치환을 통해 최댓값으로 변환하였다. 모수는 표본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 L-적률추정법으로 추정하였고 모형적합도는 Anderson-Darling 검정을 이용하였다. 추정된 모수를 통해 25년과 50년 재현수준을 계산하였다. 또한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해발고도가 고려된 일반 크리깅을 이용하여 한반도 일 최저기온의 재현수준을 시각화 하였다. 연구결과 금잔디 재배지는 한반도 남부의 낮은 고도 지역과 서해안과 동해안 지역이 적합하다.
금잔디 포복경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물질과 배지첨가물질의 영향
김경희,김용구,허성현,배은지,이광수,박남창,이병현,Kim, Kyung-Hee,Kim, Yong-Goo,Heo, Sung-Hyun,Bae, Eun-Ji,Lee, Kwang-Soo,Park, Nam-Chang,Lee, Byung-Hyun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Zoysia matrella (L.) Mer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upplements on plant regeneration using stolon explants excised from mature plant grown in a green house.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was 33.3% when stolon tissues with a node were cultured on the regenera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2,4-D and 1 mg/L of kinetin. Comparing the basal media tested, MS medium showed higher plant regeneration performance than N6 or SH medium. Addition of 5 mg/L $AgNO_3$ with 10 mg/L cysteine improved frequency of plant regeneration up to 40%. Among different carbon sources, 3% sucrose was found to show the best for regeneration frequency. This rapid and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would be useful for using genetic transformation experiments of manilagrass without intervening callus-mediated regeneration. 금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재배한 식물체의 포복경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기본배지로는 MS배지가 N6배지나 SH배지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배지에 첨가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는 0.5 mg/L 2,4-D와 1 mg/L of kinetin을 첨가했을 때 33.3%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을 보였다. 또한 배지에 첨가되는 탄소원 종류로는 sucrose를 3% (v/v) 농도로 첨가해 주었을 때 재분화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재분화배지에 첨가되는 항산화물질로는 5 mg/L $AgNO_3$와 10 mg/L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 주었을 때 40%의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어 재분화효율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한 금잔디의 포복경 재분화 시스템은 캘러스 배양기간 없이 단기간 내에 재분화 식물체를 높은 효율로 얻을 수 있음으로써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한 잔디의 분자육종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배은지,정재경 한국잔디학회 2024 Weed & Turfgrass Science Vol.13 No.4
한국잔디 신품종 ’세찬’은 피복력 및 밀도가 우수한 잔디유전자원 JO (Zoysia matrella) 모본과 Z1060 (Z. japonica) 부본간에 인공교배를 수행하였고, 교배후대(F1) 중 생육이 우수하고 밀도가 높은 특성의 JJ317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세찬’ 이라 명명하여 품종보호권(품종보호 제232호)을 등록하였다. ’세찬’의 특성은 엽폭는 3.0 mm 중엽 형태이고, 들잔디에비해 엽장은 79.4 mm로 짧은 편이며, 최하위 잎의 높이가 16.8 mm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줄기개수는 금잔디에 비해 적었지만 들잔디에 비해 약 1.8배가 많아 높은 줄기밀도 특성을 보였다. ’세찬’의 봄철 그린 피복률과 생육속도는 들잔디와 유사하였다. 지상 포복경 마디 두께는 1.63 mm로 들잔디와 유사하였고, 금잔디에 비해 2배가 굵었다. 마모와 토양 답압에 의한 답압스트레스 처리 후 초분광 분석결과 답압에 민감하게 반응한 식생지수 NDVI, EVI, SRI, PSSRa에서높은결과를나타내어’세찬’의답압에대한저항성을확인할수있었다. In this study, the new zoysiagrass cultivar ‘Sechan’, was compared with the JO (Zoysia matrella) mother plant, which has rapid greening and shoot density, and the Z1060 (Z. japonica) father plant. Among the F1 hybridization progenies, JJ113 was selected for its high growth speed and high shoot density. This new cultivar was named 'Sechan' and the plant breeders’ rights (Right No. 232) was registered. ‘Sechan’ has a leaf width of 3.0 mm, with a leaf-shaped midrib. The leaf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Z. japonica at 79.4 mm, and the height of the lowest leaf is 16.8 mm. The turfgrass quality was compared with Z. japonica and Z. matrella, ‘Sechan’ had fewer shoots than Z. matrella, but approximately 1.8 times that of Z. japonica, meaning that it has high density. The spring green cover rate and growth rate of ‘Sechan’ were similar to those of Z.japonica. The thickness of the stolon internode was 1.63 mm,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Z.japonica and twice as thick as that of Z. matrella. After applying traffic stress from wear injury and soil compaction, the hyperspectral analysis showed high NDVI, EVI, SRI, and PSSRa, which confirmed ‘Sechan’ resistance to traffic stress.
태현숙,김용선,허영두 한국잔디학회 2013 Weed & Turfgrass Science Vol.2 No.4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weedy species to control in turfgrass because it’s high tolerant to various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stresse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the integrated weed management including cultural practices to suppress bermudagrass in Zoysiagrass matrella (L) Merr. As results, two sequential applications of Fluazifop-P-butyl 0.05 ml m-2+ Triclopyr-TEA 0.5 ml m-2 and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 applied on 20 days intervals were evaluated the primary option for bermudagrass suppression and turfgrass injury was acceptable in zoysiagrass. In both treatments, turf injury was observed during 30days after the first application and almost recovered at 40days. While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2 were lightly phytotoxic to zoysiagrass in chlorophyll content test, there was no growth inhibition of zoysiagrass. Verticut practice (4 mm depth) just before herbicides application where zoyisagrass is contaminated with bermudagrass was not helpful to reduce turf injury in this experiment. However, alone verticut management was utilized to decrease about 12-14% bermudagrass population. Thus the application of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 which are permitted for turfgrass after zoysiagrass is perfectly recovered from turf injury by verticut practice should be utilized for bermudagrass reduction in zoysiagrass. 버뮤다그래스는 다양한 환경과 관리작업에 대한 내성이높기 초종으로 잔디밭에 침입할 경우 가장 방제하기 어려운 잡초성 초종 중 하나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금잔디에발생된 버뮤다그래스을 제거하기 위해 관리 방법의 개선이 포함된 종합적인 제초 방법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Fluazifop-P-butyl 0.05 ml m-2+ triclopyr-TEA0.5 ml m-2 및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 을 20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한 시험구의버뮤다그래스의 방제 효과가 높았으며 약해 발생도 양호하였다. 두 처리구에서 잔디의 약해는 1차 처리 후부터 약 30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40일에는 회복되었다. 이 때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 혼용 처리에서 잔디 엽색의 황화가 발생되었으나 심각한 생육 억제 등은 발생되지 않았다. 제초제 살포 1주일 전 실시한 버티컷 작업은 약효를 유의하게 상승시키지 못하였으나 버티컷 작업만 실시할 경우 버뮤다그래스의 밀도를 12-14%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버티컷 작업 후 한국잔디가 회복된 이후 잔디에 고시된 약제인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을 처리하는 것은 한국잔디 약해를 최소화하면서 버뮤다그래스를 서서히 줄여나가 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태현숙,홍범석,신종창,장공만,김경덕,박대섭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characteristics of new zoysiagarass cultivar ‘Green Ever’ (Plant Variety ProtectionApplication no. 2014 - 02). ‘Green Ever’ was developed by selection breeding among 100 native zoysiagrasses collected inSouth Korea. ‘Green Ever’ showed specific bands (1.48 kb with OPC14 and 1.05 kb with OPD5) which were distinct from ‘AnyangJoonggi’ or ‘Dongrae Koryogi’ in RAPD analysis. ‘Green Ever’ was classified as Z. matrella in morphological evaluations includingplant height (6.8±0.5 cm), leaf width (2.0±0.1 mm), height of lowest leaf (1.9±0.1 cm) and seed length (3.0±0.1 mm), which wassimilar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grae Koryogi’. Turf quality, shoot density and chlorophyll content of ‘Green Ever’were higher than them of ‘Anyang Joonggi’ and ‘Dongrae Koryogi’ under intensive management such as fairway on golf course,especially shoot densities of ‘Green Ever’ were excellent higher than ‘Anyang Joonggi’ and ‘Dongrae Koryogi’ during experimentalperiods. It could be extensively used in fairway, teeing ground of golf courses and landscape garden after further study about variousenvironmental adaptabilities such as winter kill, wear tolerance etc.. 본 연구는 한국잔디 신품종 ‘그린에버’(품종보호출원2014-02)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린에버'는한국에서 수집한 100개의 자생 한국잔디에서 선발 육종된품종이며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안양중지’, ‘동래고려지'와품종의 차별성을 확인하였다(1.48 kb with OPC14 and 1.05 kbwith OPD5). ‘그린에버'의 형태적 특성 평가결과 잔디의 초장(6.8±0.5 cm), 엽폭(2.0±0.1mm), 최하위 엽까지의 높이(1.9±0.1 cm) 및 종자의 길이(3.0±0.1 mm) 등은 금잔디의 특성을 띠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며, 형태적 특성은 ‘동래고려지’와 유사하였다. 골프장 페어웨이 관리 조건에서 ‘그린에버’의 잔디 품질, 밀도, 클로로필 등은 ‘안양중지’ 및 ‘동래고려지’ 보다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조사기간동안 그린에버의 밀도는 ‘안양중지’ 및 ‘동래고려지’ 보다탁월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그린에버’의 내한성, 내마모성 등 다양한 환경적응성이 검증된다면 골프장페어웨이, 티잉그라운드 및 정원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미영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5 음악이론포럼 Vol.32 No.1
본 논문에서는 소월의 시 「금잔디」가 한 세기의 시간을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음악적 소리로 재탄생되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그 다양한 의미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봄을 배경으로 하는 시 「금잔디」는 죽음을 상징하는 ‘무덤’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금잔디’가 9행의 짧은 시구에서 대립되면서 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긴장감은 이 시에 내재된 의미세계를 풍부하게 하고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한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기억 매체인 「금잔디」는 가곡장르에서죽음을 극복하는 밝은 생명력을 표현하는 음악으로, 또는 그 이면에 은닉된 죽음이라는 모순을 드러내는 음악으로 작곡되는가 하면, 해방기의 시대적 컨텍스트에서 연가곡으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민요시 「금잔디」의 의미세계는 21세기 합창곡에서 유려한 정가의 소리, 다성 폴리포니적 짜임새, 경건한 찬송가풍의 노래와 같은 다양한 상호문화적인 작법을 통해 새로운 소리로 재탄생되고, 국악 관현악곡에서 상호텍스트적으로 인용되는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새로이 형성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al reception and multiple meanings of Kim So-Wol’s poem “Golden Turf.” Writt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Golden Turf” evokes a strange tension as grave, which symbolizes death, and golden Turf, which symbolizes life, are opposed in a short nine-line poem. This tension enriches the semantic world inherent in the poem and allows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As a cultural memory medium of the Japanese occupation, “Golden Turf” has been converted into music, such as art songs that express the bright vitality overcoming death or reveal the contradiction of death hidden behind it.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xt of the liberation period, the poem has been turned into a song cycle, acquiring a new meaning. In addition, the semantic world of the folk song “Golden Turf” is expanded through the creation of new cultural meanings. It is recreated by incorporating new sounds through various cross-cultural compositions in 21st-century choral works and intertextually quoted in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works.
금잔디 포복경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물질과 배지첨가물질의 영향
김경희,이병현,김용구,허성현,배은지,이광수,박남창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2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Zoysia matrella (L.) Mer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upplements on plant regeneration using stolon explants excised from mature plant grown in a green house.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was 33.3% when stolon tissues with a node were cultured on the regenera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2,4-D and 1 mg/L of kinetin. Comparing the basal media tested, MS medium showed higher plant regeneration performance than N6 or SH medium. Addition of 5 mg/L AgNO_3 with 10 mg/L cysteine improved frequency of plant regeneration up to 40%. Among different carbon sources, 3% sucrose was found to show the best for regeneration frequency. This rapid and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would be useful for using genetic transformation experiments of manilagrass without intervening callus-mediated regeneration. 금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위하여 온실에서 재배한 식물체의 포복경 절편체로부터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기본배지로는MS배지가 N6배지나 SH배지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배지에 첨가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는 0.5 mg/L 2,4-D와 1 mg/L of kinetin을 첨가했을 때 33.3%로 가장 높은재분화율을 보였다. 또한 배지에 첨가되는 탄소원 종류로는 sucrose를 3% (v/v) 농도로 첨가해 주었을 때 재분화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재분화배지에 첨가되는 항산화물질로는 5 mg/L AgNO_3와 10 mg/L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주었을 때 40%의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어 재분화효율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한금잔디의 포복경 재분화 시스템은 캘러스 배양기간 없이단기간 내에 재분화 식물체를 높은 효율로 얻을 수 있음으로써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한 잔디의 분자육종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희중(Lee Hee-Joong) 한국시학회 2003 한국시학연구 Vol.- No.8
This essay is to analyze ‘fire’ which the writer, Kim So-Wol has used with a unique importance in his works. The word ‘fire’ cannot be said to be a very critical word in his works only to see the frequency of its usage, because it seems as common as any other usage of this word in his quite a few works, but it is shown to be used in a very especial way in his few other works. In particular, we can point out that his works have presented the word ‘fire’ in an outstanding environment in the spaces of a ‘tomb’ or a ‘ridge’. The main critical works being discussed in the essay are some of his works that include the words such as a ‘tomb’, a ‘grass’ and ‘fire’ coordinating in the one work such as Gold Grass(금잔디), Having Lived with my eyes closed(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and Cigarette(담배). To be balanced from a viewpoint to construe that all the individual works are one and thorough art structure with a completeness and thus to separate all of each works, it is, to some extent, useful to review comprehensively usage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that the poet has adopted in some of his works. This essay eventually intends to explain all the in dividual works’s interior completeness and also their meaning, but when their meaning varies, I have referred to the same words in the similar sequences or vocabularies of the other works, so that we could search for the way to interpret all the similar phrases and expressions seen across from his various works putting them into one and consistent categor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essay, let me conclude that the writer, in the works that I have selected for the essay, apparently or implicitly wishes to appose his wish of burning grasses with his desire to recover his ‘nim(님, the lover)’ who is already dead. In that sense, I have offered that there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grass’ as metonymy of a ‘tomb’ regarding the way of interpreting three respective words-a tomb, a grass and fire-as all in a consistent meaning. So the tomb, in the poem referred to death of ‘nim’, can be reflected to the impossible desire to recover and therefore to eliminate the tomb. This plays a role of activating each of his works by making them become more valuable and more poetic, but it gives a boundary in a sense of presenting the obsession to a dream impossible to make come true as Invoking a Soul(초혼) d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