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 흡연자의 ‘국가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한주,박진주,김혜경,임민경 대한금연학회 2020 대한금연학회지 Vol.11 No.1

        연구배경: 최근 국가 금연지원서비스가 확대되었으나 금연지원 서비스 효과 평가가 이용자 수 및 금연성공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보다 포괄적인 평가에 토대를 둔 서비스 향상 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흡연자에서 국가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이후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환류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 흡연자의 성, 연령, 지역별 분포를 고려한 비례 층화표본추출을 통해 트릴리온 인터넷 패널에서 만 19세-65세 성인 현재흡연자 2,000명을 선정하였다. 2018년 11월 16일에서 26일까지 인구사회학적 특성, 흡연행태,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이용경험과 효과, 금연의도 등을 온라인 설문조사하고, 카이제곱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조사항목별 금연의도의 차이와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 중 1개월 및 6개월 이내 금연의도는 각각 19%와 71%였으며,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은 21.8%였다. 하루 10개비 미만의 흡연량과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1개월 이내의 금연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으며, 금연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이 효과적이었던 경우 1개월 이내 금연의도는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교차비: 2.78, 95% 신뢰구간: 2.07-3.73). 이상의 결과는 6개월 이내의 금연의도에서도 유사하였다.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흡연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으나 효과를 얻지 못한 경우 대비 금연의지 및 금연자신감 강화의 효과를 경험한 경우 6개월 이내 금연의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교차비: 9.34, 95% 신뢰구간:2.71-32.16). 결론: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경험과 금연의지 및 금연자신감 강화의 효과를 얻은 경우 향후 금연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더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지원서비스를 경험하게 하고 금연지원서비스 제공에 금연자신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보완 또한 필요하겠다.

      • KCI등재

        흡연대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가 금연의도에 관한 연구

        장희정,홍선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흡연대학생들의 흡연지식, 흡연태도, 금연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금연의도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4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금연의도 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금연 태도(β =0.20, p=0.002)였으며, 흡연량(β=0.19, p=0.002) 흡연시작 시기(β=0.20, p=0.001), 금연시도 유무(β=0.16, p=0.012)순이 였으며 이들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17.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를 높이기 위 해서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mong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factors which influence in college student smo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leted by 240 college student smokers from 2 college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member 15,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the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ver. 21.0. The participants’ knowledge was 0.51 out of 1 points, attitude was 3.63 out of 5 point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level was 2.71 out of 5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ere smoking attitude(β=0.20, p=0.002), smoking amount(β=0.19, p=0.002), age of starting smoking habit (β=0.20, p=0.004), try to quit smoking(β=0.16, p=0.012)). Smoking cessation intention 17.7% of the variance in smoking attitude, smoking amount, age of starting smoking habit and try to quit smoking. The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attitude change is needed. Maybe, well-designed program will enhance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 KCI등재

        대학 신입생 흡연자의 흡연특성, 건강상태와 금연의도

        이성희,김영찬,백민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Although there are numerous pre-existing researches on predictive factors for smoking cessation, only few studies had been conducted to grasp the predictive factors of smoking-cessation intention regarding newcomers at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concerning freshmen smokers. From March to April of 2016,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ed at 144 smok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city's specialized university was utilized to investigate on the subject's general and smoking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 and the predictive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Research results, as a predictor of smoking cessation,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as 24.91 times higher when the subject smokes daily compared to when the subject does not (AOR = 21.91, 95% CI = 1.22 - 509.69 , P = .037). Also, compared to subjects who responded that they feel the strongest urge to smoke when they receive stress, subjects who responded as alcohol consumption showed a possibility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28.83 times higher (AOR = 28.83, 95% CI = 1.73 - 328.51, p = .018); And for those subjects who responded as when nearby people smoke, it was 14.72 times higher (AOR = 14.72, 95% CI = 1.01-216.76, p = .049). Whereas, the possibility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as lower for people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smoking compared to those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OR = .48, 95% CI = .01 - .59, p = .018). In additions, subjects who answered that they do not feel stress showed possibility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22.36 times higher than those who answered that need to deal with a lot of stress in their daily lives (AOR = 22.36, 95% CI = 1.09 - 460.38, p = .044). Such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moking amount of freshmen smokers, smoking impulses and smoking awareness, and the stress of life these university freshmen need to deal with. 지금까지 금연의도 예측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대학 신입생의 금연의도 예측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을 하는 대학 신입생의 금연의도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6년 3월에서 4월에 국내 U시 소재 일개 전문대학에 재학하는 144명의 흡연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및 흡연 특성, 건강상태, 금연의도 예측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의도 예측요인으로 대상자가 매일 흡연을 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금연의도의 가능성이 24.9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OR=21.91, 95% CI=1.22-509.69, p=.037). 그리고 흡연충동이 가장 강할 때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라고 응답한 경우에 비해 음주시라고 응답했을 떄 금연의도의 가능성이 28.83배 더 높았고(AOR=28.83, 95% CI=1.73-328.51, p=.018), 주위 사람 흡연시라고 응답했을 때 14.72배 더 높았다(AOR=14.72, 95% CI=1.01-216.76, p=.049). 한편, 흡연 인식이 부정적인 경우에 비해 긍정적일 때 금연의도의 가능성이 낮았다(AOR=.48, 95% CI=.01-.59, p=.018). 그리고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낀다고 응답한 경우에 비해 보통 느낀다고 응답한 경우에 금연의도 가능성이 22.36배 높았다(AOR=22.36, 95% CI=1.09-460.38, p=.044). 본 연구결과를 고려한 대학 신입생 흡연자에 대한 금연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광고메시지 신뢰성과 광고태도, 금연의도에 대한 스포츠모델 및 메시지 유형별 효과

        허철무 ( Chul Moo Heo ),안상현 ( Sang Hyun A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모델(유명인과 일반인)과 메시지(긍정적 메시지와 부정적 메시지) 중심의 금연광고가 금연광고 메시지 신뢰성과 광고태도, 금연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명 스포츠스타가 모델로 나온 금연광고가 일반인인 모델로 나온 금연광고보다 광고태도와 금연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이 부정적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보다 금연광고 메시지 신뢰성과 광고태도, 금연의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과 메시지 유형의 광고태도 및 금연광고에 대한 개별적 주 효과가 발견되어 유명 스포츠스타가 모델로 등장하고, 메시지 또한 긍정적 메시지로 구성한 금연광고가 다른 금연광고물보다 광고태도 및 금연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금연광고 메시지 신뢰성과 광고태도는 금연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anti-smoking advertising on message incredibility, advertising attitude and nonsmoking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In terms of the impact of anti-smoking advertising, the model type was divided by celebrated model and ordinary model, the message type was divided by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The results revealed as followed. First, anti-smoking advertising bycelebrated model showed high score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nonsmoking behavioral intention. Second, positive message on anti-smoking showed high scores on message incredibility, advertising attitude and nonsmoking behavior intention. Third, anti-smoking advertising by celebrated model and positive message showed high score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nonsmoking behavior intention. Fourth, message incredibility and advertising attitude on anti-smoking advertising influenced positively on nonsmoking behavior intention.

      • KCI등재

        당뇨병이 있는 흡연자의 금연 의도 관련 요인: 2013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이영훈,고점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3

        Background:Smoking increases the risk of diabetic complications, but the prevalence of smoking in diabetes is similar to non-diabetes. We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tentions (SCI) in current smokers with diabetes. Methods:In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information about current smokers has been collected among people who are over 30 years old with diabetes.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indicators, health behaviors, comorbidities, smoking-related factors, diabetes-related factors and SCI. A total of 3,511 current smokers with diabet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Among current smokers with diabetes, 13.4% reported having SCI (within six month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SCI. Moreover, lower amounts of smoking, previous attempts to smoking cessation (odds ratio [OR] 3.66, 95% confidence interval [CI] 2.94-4.56),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OR 1.87, 95% CI 1.38-2.52),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OR 1.57, 95% CI 1.12-2.20), and experience of diabetic education (OR 1.33, 95% CI 1.06-1.66)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CI in current smokers with diabetes. Conclusion:In order to lower the smoking rate of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diabetes, effective anti-smok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aking into account SCI-related factors, including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diabetes education. 연구배경: 본 연구는 당뇨병이 있는 현재 흡연자들에서금연 의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30세 이상 당뇨병이있는 현재 흡연자 3,511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카이제곱검정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지표, 건강행태, 동반질환, 흡연 관련 요인, 당뇨병 관련 요인과 금연 의도와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당뇨병이 있는 현재 흡연자 중 13.4%는 6개월 이내금연 의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성, 교육수준, 결혼 상태 및 직업은 금연 의도와 유의한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흡연량이 낮을수록, 금연 시도(교차비 3.66, 95% 신뢰구간 2.94-4.56), 주위사람들의 금연 권고경험(1.87, 1.38-2.52), 금연 교육 경험(1.57, 1.12-2.20), 당뇨병 교육 경험(1.33, 1.06-1.66)은 당뇨병 현재 흡연자에서 금연 의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지역사회 당뇨병 성인의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금연 교육 및 당뇨병 교육과 같은 금연 의도의 유의한관련 요인을 고려한 효과적인 금연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요인

        최숙희(Sook-Hee Choi),김윤희(Yu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Y시 소재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12일부터 20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현재흡연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β=.634 p<.001),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β=.191, p=.002),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β=.132, p=.032)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금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rela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14 nursing students among two universities in B city and Y cit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were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β=.634 p<.001),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β=.191, p=.002), and beliefs of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β=.132, p=.032). And these factors explained 65.2% of the variance in nursing students’ intention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n conclusion,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nd beliefs of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delivery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se finding can be used to develop evidence-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세대와 흡연특성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연구: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정재선,Jung Jae-Su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8 No.-

        본 연구는 현행법과 사회적 통념상 청소년의 금연은 강요되지만 성인이 된 이후는 개인의 선택에 금연을 맡기는 사회적 환경에서 청소년과 성인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고등학생, 25세 이하의 대학생, 26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세대별 금연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별 금연의도 형성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의 크기와 흡연특성에 따른 금연의도 형성 역시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금연기대 인식은 금연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연기대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노력 예컨대, 금연개입으로서 금연캠페인의 경우 세대특성과 흡연특성을 고려하여 정교하게 설계되어 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ssumed different impacts of the prohibition of smoking forced on adolescents on the adolescent and adult intent to smoke in a social environment allowing adults to choose to smoke or not. Under this assumption, it verified the differences in impacts of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 to smoke among different generations by surveying high schoolers, university students aged 25 or below and employees aged 26 or abov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ables related to non-smoking behaviors differed by generation in terms of awareness. It is noticeable that the expectation to stop smoking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generate the intent to stop smoking among all generations. Especially, the intent to stop smoking had a continued, from current to future, impact on the intent to remain a non-smoking person. Accordingly, the social efforts to help recognize the expectation to remain a non-smoking person such as an anti-smoking campaign as an intervention shall be designed in a sophisticated wa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and smoking behaviors.

      • KCI등재

        정신과 병원 간호사의 금연중재 의도 영향요인

        송명희,김윤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psychiatric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202 psychiatric nurse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nd premotivation factor (predisposing, information), awareness factor, motivation factor (attitude, social influence, self-efficacy).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0.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were marital status (β=.176, p=.035), awareness factor (β=.264, p=.001), and social influence (β=.359,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35.0% of the variance in psychiatric nurses' intention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n conclusion, marital status, awareness factor, and social influ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psychiatric nurses. These finding can be used to develop evidence-based smoking cessation training program for psychiatric nurses for enhancing the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본 연구는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금연중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부산 및 경남지역 소재 8개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2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8월 19일부터 31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동기전 요인 중 연령, 결혼상태, 총 근무기간, 병원에서 흡연 분위기, 금연자료 비치 및 금연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식요인과 동기요인인 태도, 사회적 영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동기요인의 사회적 영향(β=.359, p<.001), 인식요인(β=.264, p=.001), 동기전 요인의 결혼상태(β=.176, p=.035)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 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사회적 규범 및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영향이 높을수록, 금연지식, 금연중재의 행동계기 및 흡연 위험인식과 같은 인식요인이 높을수록, 기혼자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금연중재를 많이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전 요인, 인식요인, 동기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하여 금연중재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 KCI등재

        공포 소구 및 흡연에 대한 감정이 금연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효능감과 낙인 인식의 조절 및 매개 효과 중심

        김영욱,박단아,김수현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key variables in health communications such as fear appeals, emotion, efficacy, and stigma in anti-smoking campaigns and aims to investigate specific influencing pathways of how these key variables have impacts on the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3 adult smokers, an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fear appeal treatments. Fear appeals were treated with the degree of fear appeared in the video.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appeals had no direct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on the other hand, accrued emotion did. This verifies that the effects of fear appeal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ere completely mediated by the degree of accrued emotion. Also, efficacy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Lastly, stigma was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The perceptual degree of stigma positively affects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hich emphasizes the active role of stigma in the anti-smoking campaign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should be equally considered when anti-smoking messages including fear appeals are applied in the campaig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금연 캠페인에서 공포 소구의 수준에 따라 금연 행동 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공포 소구로 유발된 흡연에 대한 감정의 역할을 확인하고, 그것이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효능감의 조절 효과,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의 매개 효과, 효능감과 낙인 인식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33명의 성인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그룹에게는 높은 수준의 공포 소구를 사용한 금연 캠페인 영상을, 다른 그룹에게는 낮은 수준의 공포 소구를 사용한 흡연 관련 뉴스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뒤,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의 금연 의도에 공포 소구는 직접 효과를 미치지 않는 반면, 흡연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흡연에대한 감정은 공포 소구가 흡연자의 금연 의도에 미치는 과정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공포 소구는 흡연에 대한 감정을 유발함으로써 금연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며, 흡연에 대한 감정이 금연 행동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독립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감정과 금연 행동 의도와의 관계는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며,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감정(독립 변수)과 금연 행동 의도(종속 변수) 의 관계가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매개된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금연 캠페인에서 공포 소구를 사용함에 있어 흡연에 대해 유의한 수준의 부정적 감정을 유발할 수 있어야 캠페인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며, 수용자의 효능감과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적이며 실무적인 함의를 보여 준다.

      • KCI등재

        금연 캠페인의 사회적 낙인 효과 연구 : 흡연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행위변화단계에 따른 조절효과

        이혜진,안순태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흡연규제 정책을 통해 적극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흡연의 ‘비주류화’ 전략을 낙인(stigma)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흡연자에대한 낙인찍기를 전략으로 하는 금연 캠페인을 주시하고, 그러한 낙인의 효과가 흡연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행위변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성인 남녀 흡연자 163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고, 흡연자들의 사회적 낙인 인식은 흡연자의소득 및 행위변화단계와 상호작용하여 금연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소득은 사회적 낙인이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소득 집단의 경우 사회적 낙인을 크게 인식할수록 더 높은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를 보인 데에 반해, 저소득 집단의 경우 사회적 낙인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행위변화단계와 관련하여, 금연에 대한 동기가 전혀 없는 계획전단계의 경우, 사회적 낙인을 크게 인식한다 하더라도 이것이 금연 의도 및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와 같은 건강개선행위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중 세분화의 관점에서 흡연자 낙인의 부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효과적인 금연 캠페인을 위한 전략적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ti-smoking campaign promoting smoker-related stigma. We investigated whether stigmatization is effective in curbing smoking and more importantly, smo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ages of change moderate stigma effects. A total of 163 adult smok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income and stages of change on cessation intention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income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stigma led the high-income smokers to show higher intentions for using cessation hotline, while it did not for the low-income smokers. Regarding stages of change, pre-contemplators did not show enhanced cessation intentions with heightened stigma, while the rest of the smok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creased cessation intentions with heightened stigma. Based on the results, side effect of smoking stigma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erms of target segment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