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리 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 관계 분석

        김규형,박진수,서지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2 지능정보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인 금리 스프레드와 주식 수익률 간 영향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미국시장을 중심으로 금리 스프레드를 통한 경기를 예측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은 장단기 금리의 기간을 조절하고 선행정도를 분석하며 금리 스프레드를 경기예측 선행지표로 검증했다. 국내에서도 2006년 경기 종합지수 제 7차 개편 이후 금리스프레드를 경기 선행지수 구성항목에 포함하였으며 현재까지도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주식시장에서 금리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금리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은 분석했다. 회귀분석을 통해 인과관계가 높은 장단기 금리를 선정하고 선행기간 및 산업별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연구 과정에서 단순 선형회귀 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항 회귀분석(Polynomial Linear Regression)을 활용해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 결과 6개월 선행하여 무보증 3년 회사채(AA-) 수익률과 콜금리 수익률의 차이 금리스프레드로 사용했을 때 높은 인과를 확인하였으며 산업별 주식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해당 금리 스프레드와 자동차산업의 수익률의 관계가 가장 밀접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금리 스프레드가 경기예측뿐만 아니라 주식수익률과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금리스프 레드만 사용하여 주식 가격을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다양한 요인들과 적절히 활용할 경우 강력한 팩터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의 분해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윤선중,전귀환 한국금융학회 2023 금융연구 Vol.3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oney market spreads on equity index returns and analyzes the economic source of the predictability. By decomposing the short-term reference interest rate spreads defin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3 month CD (Certificate of Deposit) rate and KOFR (Korea Overnight Financing Rate) into the short-term credit spread (3 month CD rate minus 3 month Treasury rate) and the short-term term spread (3 month Treasury rate minus KOFR), it is confirmed that short-term reference rate spread has a predictive power on cumulative KOSPI returns for horizons more than two months and that the predictability of the short-term reference rate spread is attributed to the informativeness of short-term term spread.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with macro variables, the predictability of short-term index spreads is closely related to the VKOSPI (the implied volatility index of KOSPI 200), which reflects macroeconomic uncertainties implied in financial markets. In the presence of the volatility mean-reversion phenomenon, investors will interpret the increase in VKOSPI as an increase in future risks, demand more risk premiums, and at the same time cause prices to fall. However, as volatility mean-reverses, the risk premium decreases and the future returns increases.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verified the informativeness of the reference interest rate spread in Korean money markets. The risk-free rate (i.e. KOFR in Korea) will serve as a major benchmark interest rate in international money markets in the future, and will also produce vast amounts of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can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RFR in the Korean market. In addition, the short-term credit spread used in this study is already used in practice as a crisis warning indicator under the name of TED spread, and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verifying the information power of TED spread in the normal market. 본 연구는 3개월 CD 금리와 KOFR 금리의 차이로 정의되는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가 주가지수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검증하고, 예측력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단기금융시장의 지표금리스프레드를 (단기)신용스프레드(credit spread)와 (단기)기간스프레드(term spread)로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가 2개월 이후의 누적주가지수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갖고 있으며 그 예측력이 주로 (단기)기간스프레드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수익률의 예측력을 유발하는 경제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는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의 예측력과 VKOSPI의 예측력 사이에 밀접한 관계 존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변동성이 증가할 때, 투자자는 이를 시장 위험의 증가로 해석하며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기대수익률)을 요구하고, 이후 변동성의 평균회귀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가격이 회복하면서 수익률의 예측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단기금융시장의 주요 지표금리 간의 스프레드에 대해 최초의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그리고 (단기)기간스프레드가 주식의 수익률에 대해 정보력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와 신용스프레드가 경기동행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남기주(Ki-Ju Na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수익률곡선은 향후 경기방향에 대한 시장의 기대와 예측, 통화당국의 통화정책 운영방향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미래 경기 예측에 중요한 정보변수이다. 경기상승이 예상되면 금리스프레드가 확대되고, 경기하락이 예상되면 금리스프레드는 축소된다. 본 연구는 경기선행지수 산출지표들의 경기선행성 논란이 커지고있는 가운데 2006년부터 산출지표로 사용되고있는 금리스프레드가 경기대용변수인 경기동행지수에 정확히 어느 정도 선행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중 국고채(3년)와 CD 금리스프레드는 전체기간(2000.1~2013.7)에서 10개월 선행하여 경기동행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5개월 선행시점에서 영향력이 가장 컸다. 금융위기 이전 기간에선 7개월 선행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설명변수에 AR(2)를 추가했을 경우에는 4개월 선행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VAR모형을 이용한 충격반응함수 결과에서도 금리스프레드는 8~9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경기동행지수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장단기 금리스프레드는 최소 1분기~3분기 경기에 선행하여 움직이는 정보변수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경기상승이 예상되면 신용스프레드가 축소되고, 경기하락이 예상되면 신용스프레드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동행지수에 대해 신용스프레드의 차분변수를 회귀분석한 결과와 VAR모형을 이용한 충격반응함수 추정결과 모두에서 음(-)의 부호가 나왔다. 이는 경기가 상승할 경우 신용프레드가 축소된다는 의미로 일반적인 예상과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 whether a positive slope of the yield curve is associated with a future increase in coincident composite index as proxy measure of real business cycle and a flatting and a negative slope of the yield curve is associated with a future decrease in coincident composite index.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or whole sample period, the effect of yield spread to coincident composite index lasts for 10 months and maximum effect is after 5 months. Yield spread have predictive power 1 to 3 quarter ahead to business variables(coincident composite index). Chow testing results about whether a break occurs at global financial crisis in September 2008 show that there is a break in the population regression coefficients. Credit spread(using spread between treasury bond(3 year) yield and BBB- corporate bond yield) will be reduced in business expansion, but will be increased in business recession. after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regression is (-) as expected and the effect of credit spread to coincident composite index lasts for 10 months.

      • KCI등재

        MBS 발행금리 스프레드 결정요인

        임병권,김형근,오주한 한국금융공학회 2023 금융공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행되는 MBS의 발행금리 스프레드가 어떠한 측면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거시경제와 채권시장 요인, 주택시장과 주택금융시장 요인, MBS와 기초자산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되는 경우 MBS의 발행금리 스프레드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MBS를 제외한 여타 비금융 특수채의 순매수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MBS의 수요가 감소하여 발행금리 스프레드에는 부정적이나, 주택시장이 호황이면 MBS 발행금리 스프레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MBS의 기초자산인 정책모기지의 조기상환율 또는 연체율은 발행금리 스프레드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BS 만기별(단기 및 중장기), MBS 기초자산별(단일 또는 복수), 안심전환대출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MBS를 제외 그리고 채권 부도 위험을 고려한 분석에서 채권시장이나 주택시장과 관련된 요인이 MBS 발행금리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특히, 안심전환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한 MBS를 제외하는 경우 국고채의 수요가 증가하면 MBS 발행금리 스프레드가 낮아지나, 여타 특수채의 수요가 증가하면 MBS의 발행금리 스프레드도 동시에 증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MBS의 발행금리는 주로 채권시장 요인에 기인하며 특히 국채의 가격 흐름이나 국고채 및 특수채의 수요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해당 측면을 면밀하게 고려하여 유리한 시장 상황 하에서 MBS를 발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MBS 발행시장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인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나, 향후 MBS의 발행환경 변화나 채권시장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A주에 대한 H주의 할인에 관한 연구

        오세경,양범 한국재무학회 201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05

        본 논문에서는 중국 주식 시장에 내국인 투자 주식 즉, A주에 대하여 외국인 투자 주식 즉, H주가 할인되는 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 5년 동안의 일별 자료를 이용하여 분리된 사장간의 가격 차 이를 설명하는 유동성 가설, 정보비대칭 가설, 상이한 수요 가설, 위험에 대하 태도 가설 및 금리스프 레드 가설을 검증하며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개별 회사의 위험을 고려하여 조정된 할인율에 대한 원 인을 분석하는 목적을 위하여 다시 위에 언급한 5가지 가설을 검증하며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A주에 대하여 H주가 할인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 동성 가설, 정보비대칭 가설, 상이한 수요 가설, 위험에 대한 태도 가설과 금리스프레드 가설을 검증 하며 분석한 결과는 전체 가간 동안에 5가지 가설은 모두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A주에 대한 H주 의 할인율의 원인으로 성립된다. 하지만 2 시장 기준금리의 변화에 따라 기간을 나누어서 분석해보니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H주 시장의 기준금리가 A주 시장의 기준금리보다 높았을 때 유동성 가설, 정 보비대칭 가설과 금리스프레드 가설만 H주의 할인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A주 시장의 기준금리가 H주 시장의 기준금리보다 높았을 때 유동성 가설, 정보비대칭 가설, 상이한 수요 가설과 금리스프레 드 가설은 H주의 할인 원인으로 성립된다. 둘째, 개별 회사의 위험을 고려하여 조정된 할인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 기간 동안에 유동성 가설, 정보비대칭 가설, 상이한 수요 가설과 금리스 프레드 가설은 조정된 할인율을 설명하는 원인으로 선정될 수 있다. 하지만 2 시장 기준금리의 변화 에 따라 기간을 나누어서 분석해보니 역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H주 시장의 기준금리가 A주 시장 의 기준금리보다 높았을 때 정보비대칭 가설과 금리스프레드 가설만 H주의 할인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A주 시장의 기준금리가 H주 시장의 기준금리보다 높았을 때 유동성 가설, 정보비대칭 가설만 H주의 할인 원인으로 성립된다.

      • KCI등재

        금리스프레드의 경기예측력 비교에 관한 연구

        이헌상(Hun-Sang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채권시장을 대상으로 신용스프레드와 기간스프레드의 실물경기 및 불황 확률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시차별 회귀분석 결과, 신용스프레드와 실질GDP증가율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제8차 경기침체기 이후부터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 움직이는 반면에 기간스프레드는 2005.11월부터 2009.11월의 기간 동안에 부(-)의 움직임을 나타냄에 따라서 관련성이 약해졌다. 아울러, 경기침체기 시 비우량등급의 신용스프레드는 우량등급의 신용스프레드에 비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2009년부터 발생한 등급간 양극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불황 확률을 예측한 결과, 신용스프레드는 경기침체기에 2개월 선행하는 반면에 기간스프레드는 6개월 선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신용스프레드가 제8순환기를 제외한 기타 경기침체기에 대해서 50% 이상의 불황 확률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수축기와 확장기 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에, 기간스프레드는 모형의 설명력이 매우 저조하고 순환기별 수축기와 확장기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기간스프레드의 불황 예측력은 신용스프레드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credit spread can predict real economic activity. we compare that credit spread and term spread which have predictability of real economic activity and probability of recessions in domestic bond market. Credit spread and real GDP growth rate are much more closely related after the 8th period of economic stagnation, whereas term spread has a weak correlation by presenting (-) movement from November 2005 to November 2011. In a period of economic stagnation, credit spread on sub-prime grade is more sensitive than credit spread on prime grade. And occurred from 2009, polarization phenomenon between grades, is maintained continuously. In result of prediction on the probability of recession, credit spread has characteristic of leading indicator and leading term 2months in a period of economic stagnation. On the other hand, term spread has 6months leading term. But, credit spread presents more than 50% probability of economic recession except the 8th period of business cycle as well as has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a period of depression and prosperity. In contrast, term spread has a very poor explanatory power on the model, an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a period of depression and prosperity. So we can find that term spread’s predictability of recession is low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redit spread. Such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this area which focuses on the predictive content of the interest rate credit spread.

      • KCI등재

        RP기준금리와 시장금리간의 비교 분석

        조국일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1 No.-

        1999년 5월부터 한국은행에서 시행해 오고 있는 Call금리 목표제가 2008년 3월부터 7일물 RP기준금리로 변경되었다. 이는 단기자금시장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Call금리의 시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일환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 자료를 이용한 RP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시장금리가 기준금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며, 이를 통하여 금융시장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금리정책을 도모하고, 이로 인한 새로운 기준금리의 타당성 방향을 연구하는데 있다. 한국은행 통화정책은 시장의 왜곡성을 완화하려는 단발성으로 끝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07년의 BOK BR(Call)과 RP 및 기타 시장금리의 일별자료 분석하여 금리 스프레드차를 이용한 금리비교 및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BOK BR(Call)과 유사한 형태의 채권의 금리는 유의수준 범위 내에서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다. 또한 한국은행과 금융기관간의 초단기 Call금리는 유사한 각 채권과 이자율이 비슷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효과보다는 각 채권과 연동하여 장기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OK BR(Call)의 대용으로 RP가 사용된다면 기타 채권금리가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과거치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단기금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결국 RP금리도 시장조절기능이 가능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결과이다. 하지만 BOK BR(Call)보다는 채권금리가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장기간에 걸친 여수신금리가 각각의 종속 변수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BOK BR(Call)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통화량이 파악되는 금리는 그 미치는 영향도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용등급이 높은 채권일수록 BOK BR(Call)에 영향을 주고, 등급이 낮은 채권일수록 RP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BOK BR(Call)과 RP간의 금리 차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준금리로는 ML의 금리는 통제는 될 수 없다는 것도 파악되었다. 기타 여신금리가 미치는 영향은 BOK BR(Call)이 RP보다 조금 더 다양하며 이는 Call거래가 여신금리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과거의 예측치를 통하여 RP는 기준금리로써 타당하고, 기타 금리에 통제, 연동되는 효과가 있지만, 그 실효성이나 타당성은 진행형이다. The call rates target system, which has been carried out at the Bank of Korea from May 1999, changed to RP base rates from March 2008.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currency policy of the central bank for removing unstability of the short-term fund market and securing marketability of call rates. This study, using historical materials, empirically carried out an comparative analysis of RP base rates and market interest rates. This study, on the basis of daily materials of a call rate which is the base rates of the Bank of Korea, RP and other market interest rates from 1999 to 2007, compared interest rates using difference of spread and examined the effect of market interest rates on the base r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all rates and interest rates of a bond, which is a similar type of call, was very high. Also, it was found that because the super-short term call rates of the Bank of Korea and financial institutions are similar to each similar bonds in interest rates, the rates could have long-term effects in connection with each bond instead of short-term effec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what effects other bond interest rates would have if RP is used as a substitute of call rates, with historical materials, short-term interest rates had a significant effect. This result implies that RP rates also, at last, can perform a market-controlling function. But, the effect of bond interest rates on RP base rates was smaller than call rate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what effects long-term loan·deposit interest rates would have on each dependent variable, the interest rates whose money supply could be regularly known had equal effects in case of call rat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redit rating of a bond, the more it affects call rates, and the lower the credit rating of a bond, the more it affects RP. This was found to be caused by a difference of interest rates between call interest rates and RP base rates.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base rates is not able to control mortgage loan. In respect of the effects of other loan interest rates, call rates are more diversified than RP, which means call transaction is sensitive to loan interest rates. At last, when making an estimate on the basis of past materials, RP is suitable as the base rates and has an effect of controlling and reacting on other interest rates, but its effective and feasibility is yet to be known.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금리정책 공시효과

        유만식 한국은행 2002 經濟分析 Vol.8 No.2

        1998년에 物價安定目標制가 도입된 이후 일반적으로 한국 통화정책의 透明性이 증대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1999년부터는 매월 통화정책의 방향과 함께 목표콜금리를 발표한 이후 정책 투명성이 더욱 증대된 것으로 보이며 목표콜금리도 더욱 신속하게 달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公示된 콜금리 목표의 달성은 전통적인 流動性經路(liquidity channel)뿐만 아니라 公示經路(announcement channel)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부 문헌에서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급준비금시장에서 직접적인 금리정책의 公示效果와 함께 장․단기 금융시장을 통해 간접적인 公示效果를 살펴보았다. 먼저 지급준비금시장에서는 금리공시가 도입된 이후 유동성효과가 커짐으로써 공시효과에 의한 정책경로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經濟의 不確實性 또는 金融政策의 不確實性 등을 감안한 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긴축정책을 펼 때 금리간 스프레드가 負의 反應이 커짐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장․단기 금융시장에서도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성증대를 통한 政策의 公示效果가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直․間接的인 공시효과의 존재는 분석상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향후 정책운영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中央銀行이 더욱 信賴性 있는 公示(credible announcement)를 통하여 단기 금리, 나아가 장기금리의 變動性을 감소시킴으로써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공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투명성을 提高시키는 등 다양한 방안을 摸索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투자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 금리스프레드 변동성을 중심으로 Centering on Interest Rate Spread Volatility

        김준태 한국금융연구원 2003 금융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불확실성이 투자 및 소비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미래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기대를 반영하는 금리스프레드의 변동성을 기준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추정해 투자·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주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Exponential GARCH 모형을 통해 추정된 금리스프레드의 변동성은 경기상승기에 비해 경기하강기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기적으로나 중장기적으로 투자·소비지출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왔던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금융 시장 불확실성이 금리변동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반응을 제약하여 경비변동에 대응한 금리정책의 효과를 약화시켜 왔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금리정책의 효과를 약화시켜 왔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정책당국은 금리스프레드의 급격한 변동을 예의주시하면서 불확실성의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stimate the volatility of short and long-term interest rate's spread reflecting the market's expectation for future as an uncertainty index of financial market and then examines how it could affect the investment and consumption expenditur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appears the leverage effect0the volatility of slumps is larger than that of booms-in estimating process the volatility of the spread by Exponential GARCH model. Moreover estimates show that the uncertainty of financial market, measured as th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of the spread, has affected negatively the investment and consumption over the short and long run. It means that the financial market's prevailing uncertainties have weakened the effectiveness of interest rate policy by restricting the behaviors of market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market interest rat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est rate policy, therefore, policy authorities should make an effort to minimize the enlargement of uncertainty with monitoring drastic fluctuation of spread.

      • KCI등재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의 경기 설명력에 관한 연구: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이나경 예금보험공사 2021 金融安定硏究 Vol.22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interest rates term spread on the real GDP growth rate by employing Markov Switching Model in U.S and S. Korea. As a result, the impact of the term spread in S. Korea on the real output growth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igh volatility regime. In the case of U.S,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real output growth in both high and low volatility regimes a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term spread has a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regardless of the regime. Furthermore, in high volatility regime, the term spread in S. Korea has more predictive power than the U.S counterpart. Current period is considered as a high volatility regime caused by the outbreak of coronavirus and China-US trade dispu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interest rates term spread carefully to prepare for future output fluctuations. 본 연구는 마르코프 스위칭 (Markov Switching) 모형을 기반으로 장단기 금리스프레드가 경기 변동에 어느 정도 설명력이 있는지를 한국과 미국의 시장금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고변동성 국면에서만 장단기 금리스프레드가 실질 GDP 증가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미국은 변동성 국면과 관계없이 금리스프레드가 실질 GDP 성장률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고변동성에서 한국의 금리스프레드의 영향력이 미국의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중 무역 분쟁 및 코로나19 펜데믹을 겪고 있는 지금의 시기는 고변동성이 될 확률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장단기 금리스프레드 및 여러 경제 지표를 면밀히 관찰하여 향후 경기 변동을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